KR101271401B1 -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401B1
KR101271401B1 KR1020130035378A KR20130035378A KR101271401B1 KR 101271401 B1 KR101271401 B1 KR 101271401B1 KR 1020130035378 A KR1020130035378 A KR 1020130035378A KR 20130035378 A KR20130035378 A KR 20130035378A KR 101271401 B1 KR101271401 B1 KR 10127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ontrol device
pcb
automatic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홍
김광환
Original Assignee
(주)엠텍
(주)디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텍, (주)디아이디 filed Critical (주)엠텍
Priority to KR102013003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체의 존재나 위치를 검출하여 LED 조명등을 소정의 밝기로 제어하는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검출하는 RF센서부를 구비한 제2 PCB기판과, 신호처리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제3 PCB기판과, 제2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핀과 제3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결합부가 각각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AUTOMATIC CONTROL DEVICE OF LED LAMP}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동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LED 조명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주차장, 건물 복도, 계단이나 현관 등과 같이 사람이나 차량(이하, 유동체라 함)이 빈번하게 드나드는 장소에서 항상 온(ON) 상태로 동작하는 일반 조명장치와는 달리 유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유동체가 근접한 경우에는 조명장치를 밝게 구동하고, 유동체가 멀어지면 조명장치를 어둡게 하여 전력소비를 줄이도록 동작시키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유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센서와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장치나 설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LED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유동체의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F 센서를 LED가 실장된 PCB에 부설한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LED 조명장치는 복수의 LED(2)와, LED(2)를 구동하기 위한 여러 전기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CB)(1)과, LED(2)가 탑재된 PCB(1)를 수용하는 케이스(3)와, LED(2)의 발광부측에 설치된 광 투과커버(4)와, 유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RF 센서(5)를 포함하고, RF 센서(5)는 PCB(1) 상에 배치된 LED 패턴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실장되며, 극초단파의 송수신 및 극초단파가 송수신되기 위한 전자계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가 PCB 상에 칩(11)과 연결된 패턴의 형태로 포토 공정 또는 에칭 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전도성 물질로 증착 또는 인쇄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RF센서의 안테나를 조명장치의 PCB에 일체형으로 설치할 경우, 조명장치의 PCB 상에 놓이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RF센서의 위치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RF 센서의 안테나는 RF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하고, 임피던스 정합 특성을 포함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PCB 내에서의 임의의 다른 회로 패턴과 교차 또는 인접되는 것을 피하도록 정착되어야 하고, 크기 및 패턴이 일반적으로 유동적이지 않다.
따라서 기존에 고정된 안테나 패턴을 LED 조명 장치 사이에 실장하는 것은 많은 제약과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종래기술을 적용하여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에 RF 센서를 실장하기 위해서는 LED의 간격을 일부 조정하거나 RF 안테나 패턴을 다시 설계해야 함으로 많은 시간과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LED 조명장치의 제이파라미터가 초기 제작 또는 양산된 값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LED 램프의 밝기나 램프 온 지속시간, LED 램프의 대기전력 등과 같은 LED 램프나 센서의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작사 측에 프로그램 설정 변경을 의뢰하여 프로그램을 다시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면에서 많은 불이익이 수반된다. 그리고 고정된 제어 파라미터로 제작된 조명장치의 경우, 제품 인증 절차상에서 제어 파라미터 값에 따른 모델별로 개발, 검증 및 승인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LED 조명장치는 센서 또는 제어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LED 조명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의 종래의 램프 자동제어시스템은 램프 구동부(140)를 구성하는 트라이악 모듈(141)과 릴레이 모듈(142)을 사용하므로 소형으로 제작이 어려워 LED 조명장치에서 LED 사이에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3967호(공고일: 2011년 3월 15일)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81541호(공고일: 2006년 5월 23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조도, 램프 온(ON) 유지시간, 센서 감도 등을 쉽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조명장치에 대해 위치 제약이 없이 자유롭게 설치가능한 소형화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사이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화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동체의 존재나 위치를 검출하여 LED 조명등을 소정의 밝기로 제어하는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검출하는 RF센서부를 구비한 제2 PCB기판과; 신호처리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제3 PCB기판과; 상기 제2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핀과 상기 제3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결합부가 각각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호처리 및 제어부는, 상기 RF센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RF센서부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유동체의 존재를 판별하고, LED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버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LED 조명등을 구동하는 LED구동부와; SMPS로부터 인가된 DC 전압을 각 구성요소 별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설정조건과 관련된 설정 값을 입력받는 설정값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센서부는 제2 PCB기판 상하부에 각각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되,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는 각각 2개의 안테나 패치 및 급전선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핀 중 2개의 핀은 전원공급(Vcc)과 신호전달을 하고, 나머지 2개의 핀은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키는 센서감도, 온상태 유지시간, LED 조명등 밝기조정을 제어하고, 가변저항의 회전방향을 4단계의 스텝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ED구동부는 LED 조명등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별도의 방열 장치가 없는 소형의 FET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PCB기판 상부에는 LED 조명등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유동체의 검출 여부에 따라 LED 조명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용도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직접 센서 모듈 설정 파라미터를 쉽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조명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는 컴팩트한 구성으로 소형으로 제작되어 LED 조명등의 LED 사이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명장치에서 위치제약 없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LED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램프 자동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와 LED 기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와 LED 기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300)는 제1 PCB기판(10)에 실장된 복수의 LED(11)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300)의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4.3~4.5cm×3.8~4.0cm×1.1~1.3cm의 크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300)는 RF센서부(210)를 구비한 제2 PCB기판(100)과 신호처리 및 제어부(200)를 구비한 제3 PCB기판(200)이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PCB기판(10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핀(105, 106, 107, 108)과 상기 제3 PCB기판(20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결합부(201,202,203,204)가 각각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핀(108)와 결합부(204)는 미도시되어 있다.
상기 4개의 핀(105, 106, 107, 108) 중 2개의 핀(105, 106)은 각각 전원공급(Vcc)과 신호전달을 하고, 나머지 2개의 핀(107, 108)은 접지(GND) 된다.
상기 RF센서부(210)는 제2 PCB기판(100) 상단부에 2개의 안테나 패치(101) 및 급전선로(102) 패턴으로 이루어진 송신안테나(110)와 제2 PCB기판(100) 하단부에 2개의 안테나 패치(101) 및 급전선로(102) 패턴으로 이루어진 수신안테나(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 및 제어부(200)는 제3 PCB기판(200) 상부에 전자 회로 및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PCB기판(100) 상부에는 조작키(209, 210, 211, 212)를 더 포함하며, 조작키(209, 210, 211, 212)를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센서감도(센싱 거리), 온상태 유지시간, 움직임이 없을 때의 LED 조명등 밝기조정, 움직임이 검출되었을 때의 LED 조명등 밝기조정 등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키(210, 211, 212)는 가변저항의 회전방향을 4단계로 나누어서 선형적인 설정 값들을 스텝으로 나눔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조도 센서의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도센서 온/오프 스위치 또한 상기 조명 자동 제어장치의 상면에 다른 조작키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300)의 상면에는 조명장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내 제어부(230)에 입력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텍터는 경우에 따라 생략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300)는 RF센서부(210)와 증폭기(AMP)(220), 제어부(MCU)(230), 버퍼(240), LED구동부(250), 전원변환부(260) 및 설정값 변환부(270)를 포함하는 신호처리 및 제어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센서부(210)는 센싱 영역 내에 유동체의 존재 및 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10.52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함)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안테나(100)와 수신하는 수신안테나(110)가 제2 PCB 기판(100)에 패턴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RF센서부(21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230)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작기 때문에, 증폭기(220)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부(230)에 전달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증폭기(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RF센서부(210)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유동체의 존재를 판별하고, LED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250)에 전달한다. 제어부(230)는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마이컴) 유닛으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 센서 및 조명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RF센서부(210)에서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유동체의 존재를 판단하고, 유동체가 존재하면 LED 조명등을 밝게 하고, 유동체가 센싱 영역 내에 존재하기 않으면 LED 조명등을 어둡게 하도록 LED구동부(25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특히, 제3 PCB기판(200) 상부에는 LED 조명등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조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230)는 RF센서부(210)로부터 조도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주변의 조도와 RF센서에 의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조합함으로써, 조도가 높으면(즉, 주위가 밝으면) 조명을 오프(OFF)로 유지시키고, 주변의 조도가 낮으면(즉, 주위가 어두우면) 조명을 온(ON)시키고 밝기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또한 유동체의 검출 여부에 따라 LED 조명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밍(Dimming) 기능을 구비한다. 디밍 기능에 의해, 제어부(230)는 센싱 영역 내에 유동체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LED의 조도가 예를 들면 최대 조도의 15~20%가 되도록 구동시키고, 유동체가 감지되면 LED를 최대 밝기의 80~95%가 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경우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은 디밍 기능을 통하여, LED 조명등의 수명을 연장하여 보증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최가 85%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230)는 설정값 변환부(2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설정 조건과 관련된 설정값을 조작키(209~212)를 통해 입력되면, 설정값에 따라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설정 조건을 변경하여 새로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LED구동부(250)에 새로운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설정값은 예를 들면 센서의 감도, 램프의 최대 밝기 및 최소 밝기, 램프온 유지시간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피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240)는 제어부(2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LED구동부(250)에 전달하기 전의 구성요소이나, 반드시 이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상기 LED구동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도 3의 LED(11)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FET모듈(251)을 통해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의 출력단자를 통해 LED구동부(250)에서 생성된 전압이 LED(11)가 실장된 제1 PCB기판(10)에 인가되어 LED(11)를 점등시킨다. 여기서, 상기 LED 구동부(250)와 연결된 출력 단자는 도 5에서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병렬 포트 구성을 통해 N개(N은 2 이상의 정수)로 확장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출력단자를 가진 하나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로 다수의 조명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ED 구동부(250)를 종래기술에서는 트라이악 모듈과 릴레이 모듈로 구성되어 있어 소형으로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작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방열 장치가 없는 소형의 FET모듈(250)로 구성함으로써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원변환부(26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조명 자동 제어장치 내의 RF센서부(210), 증폭기(220), 제어부(230), 버퍼(240), LED구동부(250)의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LED 소자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조명장치는, 보통 교류(AC)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300)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원변환부(260)는 엘이디 램프의 경우 SMPS(300)와 연결되어 SMPS(300)로부터 인가된 DC 전압을 각 구성요소 별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이에 따라 출력전압의 범위는 입력 전압의 범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예를 들면 9V~48V와 같은 광대역의 전원에서 동작할 수 있다. LED 소자 이외의 다른 조명장치의 경우에도 전원변환부(260)는 외부 전압원과 연결되어 AC 전압 또는 DC 전압을 조명 자동 제어장치 내의 각 구성요소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는 종래기술과 달리 PCB 상에 일체화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장치에 아무런 제한 없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PCB상에 실장된 LED 사이에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는 PCB에서 LED 소자들을 연결하는 금속 연결선 부분을 제외하면 조명장치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의 어느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자동 제어장치를 실장함에 따라 수반되는 PCB 회로를 재설계하는 불편함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조명장치의 일예로 LED 램프를 바탕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LED 램프에 한정되지 않고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의 다양한 광원을 사용하는 조명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 PCB기판 11: LED
100: 제2 PCB기판 200: 제3 PCB기판
210: RF센서부 210: 증폭부
230: 제어부 240: 버퍼
250 : LED 구동부 260: 전원변환부
270: 설정값 변환부 300: SMPS

Claims (8)

  1. 유동체의 존재나 위치를 검출하여 LED 조명등을 소정의 밝기로 제어하는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유동체를 검출하는 RF센서부를 구비한 제2 PCB기판과;
    신호처리 및 제어부를 구비한 제3 PCB기판과;
    상기 제2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핀과 상기 제3 PCB기판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 4개의 결합부가 각각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호처리 및 제어부는,
    상기 RF센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RF센서부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유동체의 존재를 판별하고, LED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하는 버퍼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LED 조명등을 구동하는 LED구동부와;
    SMPS로부터 인가된 DC 전압을 각 구성요소 별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LED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설정조건과 관련된 설정 값을 조작키를 통해 입력받는 설정값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센서부는 제2 PCB기판 상하부에 각각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되, 상기 송수신 안테나에는 각각 2개의 안테나 패치 및 급전선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핀 중 2개의 핀은 전원공급(Vcc)과 신호전달을 하고, 나머지 2개의 핀은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는 센서감도, 온(ON)상태 유지시간, LED 조명등 밝기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는 가변저항의 회전방향을 4단계 스텝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구동부는 LED 조명등에 공급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별도의 방열 장치가 없는 소형의 FET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PCB기판 상부에는 LED 조명등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동체의 검출 여부에 따라 LED 조명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KR1020130035378A 2013-04-01 2013-04-01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KR10127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78A KR101271401B1 (ko) 2013-04-01 2013-04-01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78A KR101271401B1 (ko) 2013-04-01 2013-04-01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401B1 true KR101271401B1 (ko) 2013-06-05

Family

ID=4886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378A KR101271401B1 (ko) 2013-04-01 2013-04-01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4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210Y2 (ja) 1991-08-08 1998-03-18 能美防災株式会社 輻射式火災感知器
KR200364720Y1 (ko) 2004-07-03 2004-10-12 최정길 비금속물체 투과형 유동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센서조명등
KR100858591B1 (ko) 2004-02-02 2008-09-17 인피콘, 인크. Rf센서 클램프
KR20120007886A (ko) * 2010-07-15 2012-01-25 (주)지티씨 엘이디 극초단파 센서 조명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210Y2 (ja) 1991-08-08 1998-03-18 能美防災株式会社 輻射式火災感知器
KR100858591B1 (ko) 2004-02-02 2008-09-17 인피콘, 인크. Rf센서 클램프
KR200364720Y1 (ko) 2004-07-03 2004-10-12 최정길 비금속물체 투과형 유동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센서조명등
KR20120007886A (ko) * 2010-07-15 2012-01-25 (주)지티씨 엘이디 극초단파 센서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580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US9955548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CN108352267B (zh) 具有带照亮的标记的面板的无线控制设备
US20210384612A1 (en) Control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US11217402B2 (en) Keypad having illuminated buttons
US9155172B2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n electrically isolated antenna
KR101126211B1 (ko) 엘이디 극초단파 센서 조명등
KR101271401B1 (ko) 엘이디 조명등 자동 제어장치
KR101226715B1 (ko) 엘이디 디밍 센서등
US20230151953A1 (en) Control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KR101023967B1 (ko) 알에프센서가 부설된 엘이디 조명장치
TWI516171B (zh) 感應式調光系統及其調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