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286B1 -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286B1
KR101271286B1 KR1020120021636A KR20120021636A KR101271286B1 KR 101271286 B1 KR101271286 B1 KR 101271286B1 KR 1020120021636 A KR1020120021636 A KR 1020120021636A KR 20120021636 A KR20120021636 A KR 20120021636A KR 101271286 B1 KR101271286 B1 KR 10127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base
tongs
connect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로
Original Assignee
박익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익로 filed Critical 박익로
Priority to KR102012002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Ray 등의 진단기기를 사용할 때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의 전도성 겔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전극의 전도부, 커넥터의 통전 플레이트 및 연결선이 X선을 투과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X-Ray 등의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ement for Bionic Information}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Ray 등의 진단기기를 사용할 때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의료용 전극은 피검체(예, 인체의 심장,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수집하는 것으로, 검사 대상인 피검체에 전극을 부착시키고, 상기 전극을 통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등을 측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생체 의료용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생체 의료용 전극(105)은 절연성을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 제 1 베이스(110)와, 제 1 베이스(110)의 일측 중앙에 위치되는 하이드로겔 점착제(120)와, 제 1 베이스(110)의 타측 중앙에 위치되며 하이드로겔 점착제(120)와 밀착되는 금속 재질의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 기기(200)와 연결된 연결선(150)의 커넥터(140)가 연결부(130)에 결합되고, 전극(105)이 부착된 피검체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표시 기기(200)에 표시된다.
도 2는 다수 개의 종래 생체 의료용 전극이 환자에게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병원에서 환자의 심전도 및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전극(105)이 환자의 신체상의 요구 위치에 부착된다. 전극(105)의 개수는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각각의 전극(105)은 환자로부터 전기 신호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전기 신호는 각각의 연결선(150)을 통하여 표시 기기(200)로 전달된다. 이러한 표시 기기(200)는 심전도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 신호가 외부로 표시된다.
한편, 병원에서는 환자의 각종 질환 및 골절과 같은 상해를 정밀하게 진단하기 위하여, X-Ray 등의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신체를 촬영한다. X-Ray의 경우, 인체의 특정 부위에 X 선을 투과시켜, 목적한 상(橡)을 촬영하도록 한다. 이러한 X 선은 밀도가 높은 금속은 통과할 수 없으므로, 환자는 X-Ray를 촬영하기 전에 본인의 몸에 있는 금속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그런데 중환자실에 있는 중환자(또는 응급실의 응급환자)는 다수 개의 전극(105)을 신체에 부착하여 심전도 등의 몸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진단기기를 이용하여 중환자의 신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환자의 몸에 부착된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전선인 연결부(130)를 구비한 일반 전극(105) 모두를 일일이 제거한 후, 방사선 투과(Radiolucent) 재료들로만 이루어진 별도의 방사선 투과 전극을 부착하여, 촬영에 임하게 되며, 촬영이 끝난 후에는 상기 방사선 투과 전극을 떼어내고, 다시 새로운 일반 전극(105)을 환자의 몸에 부착한다.
이처럼 중환자 또는 응급환자는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마다, 값비싼 방사선 투과 전극을 사용하고, 진단기기 이용이 끝난 후에는 다시 새로운 전극을 부착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자의 몸에 붙은 다수 개의 전극을 일일이 떼고, 붙이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 환자와 직원 모두를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단기기를 사용할 때와 같이 사용환경이 변하더라도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도록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서 그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체로 관통 위치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저면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 위치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부가 형성되고, 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는, 장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어 회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는 일측방에는 상기 결합부가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측방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 탄성을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삽입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방에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삽입부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공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서 그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서로 대향 위치되며, 회동부에 의하여 상호 회동되면서, 일단부는 상호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 1 집게부와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부재; 탄성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이 위치되어,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통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서로 대향 위치되며, 회동부에 의하여 상호 회동되면서, 일단부는 상호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 1 집게부와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부재; 탄성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이 위치되어,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통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겔은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하이드로 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는 그 가장자리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도부와, 상기 제 1 전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부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부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상기 제 1 전도부에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도부와, 상기 제 1 전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부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부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상기 제 1 전도부에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가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전극을 통해 감지되는 신체의 미세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전극의 전도부, 커넥터의 통전 플레이트 및 연결선을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X-Ray 등의 진단기기를 사용할 때,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거나 교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전극과 연결선이 커넥터에 의하여 용이하게 탈부착 되므로,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어내거나 교환하기가 수월해지며,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생체 의료용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수 개의 종래 생체 의료용 전극이 환자에게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읽어들이는 전극(10)과, 전극(10)에서 읽어들인 전기 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외부에 위치하는 심전도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 기기(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60)과, 상기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10)과 탈부착되면서 상기 전극(10)에서 읽어들인 전기 신호를 연결선(60)으로 전달하는 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선(60)은 전극(10)에서 측정된 신호가 유의미한 정보로 처리될 수 있도록, 외부에 위치한 상기 표시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 기기는 전극(10)과 연결선(60)을 통해 읽어들인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한편, 연결선(60)은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도 투과되는 카본(예를 들어,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등) 등의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며, 전도성을 향상 또는 일정 수준의 전도성을 확보시키기 위하여, 그 외측을 따라 박막 형태의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등의 금속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은 박막 두께로 도포 또는 코팅되면, X선은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 전도성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연결선(60) 및 후술하는 결합부(22: 도 4 도시), 전도부(20, 도 4 도시) 및 통전 플레이트(42: 도 5 도시)가 방사선이 투과되는 카본 재질 또는 박막 형태의 염화은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병원의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등에서 생명이 위독한 중환자 등이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X-Ray 등의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10)은 제 1 베이스(12), 라이너(15), 전도성 겔(14), 제 2 베이스(16), 전도부(20) 및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베이스(12)는 종이, 부직포, 절연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또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12)의 하측면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되고, 제 1 베이스(12)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제 2 베이스(16)가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다. 라이너(15)는 제 1 베이스(12)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제 1 베이스(12)에 도포된 점착제를 보호한다.
전도성 겔(14)은 신체의 미세 전기를 전도부(20)로 전도(Conduction)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 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겔(14)은 용융 또는 유동 상태에 있는 하이드로 겔을 제 1 베이스(12)의 관통홀(12a)에 그대로 위치시키거나, 하이드로 겔을 제 1 베이스(12)의 관통홀(12a)에 분사하고, 제 1 베이스(12)의 상하면에서 압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16)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2)의 상측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1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16)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부(17)가 돌출 형성된다.
전도부(20)는 제 2 베이스(16)에서 배이스의 상측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16)의 내면 중앙에서 돌출부(17)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일단부는 전도성 겔(14)과 대향 위치되어, 전도성 겔(14)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돌출부(17)에 위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제 1 전도부(21a)와, 전도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 1 전도부(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21a)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도부(21a)는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 등의 방사성 물질이 투과되는 재질, 예를 들면 통전되는 카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전도부(21b)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전도부(21b)는 다양한 공지된 코팅 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팅, 잉크 젯 프린팅, 실크스크린 프린팅, 나이프 코팅 등에 의하여 제 1 전도부(21a)에 얇은 박막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이 외에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하여 제 1 전도부(21a)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전도부(21b)는 제 1 전도부(21a)에 박막 두께로 도포되는데, 이때 두께는 X선은 투과되되, 전기 전도성은 일정 수준 확보될 수 있는 정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병원의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등에서 생명이 위독한 중환자가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 또는 박막 두께의 전도부(20)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부(22)는 전도부(20)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원형 형상의 지지판(22a)과, 상기 지지판(22a)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전도부(20)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베이스(16)의 돌출부(17)에 형성되는 삽입공(18)에 일체로 관통 삽입되는 결합돌기(2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부(22)는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이 그대로 투과하는 통전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2)의 지지판(22a)이 전도부(20)의 타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22)의 결합돌기(22b)가 관통된 전도부(20)의 타단부 및 제 2 베이스(16)의 돌출부(17) 내면에 고정부(25)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30)는 스냅 형식으로 전극(10)의 결합부(22)에 탈부착 되는 것으로, 본체(32), 통전 플레이트(42), 손잡이부(38) 및 판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32)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방은 개방되어 있고, 본체(32)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44)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리고 본체(32)의 내부에서 그 저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22)의 결합돌기(22b)가 관통 위치되도록 관통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32)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33)을 기준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부(34)가 형성되고, 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개방부(35)가 구비된다.
통전 플레이트(42)는 상기 본체(32)의 저면에 위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33)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개방부(35) 측방에 위치되며, 이때, 본체(32)의 저면에는 통전 플레이트(42)가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플레이트 안내홈(37)이 형성되어, 통전 플레이트(42)가 본체(32)의 플레이트 안내홈(37)에 삽입된다. 그리고 통전 플레이트(42)의 일단부는 본체(32)의 관통공(33)에 관통된 결합부(22)가 삽입되도록 삽입홀(42a)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통전 플레이트(42)의 타단부가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본체(32)에서 통전 플레이트(42)의 타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연결선(60)이 고정 위치된다. 상기 통전 플레이트(42)는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이 그대로 투과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형성되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외측을 따라 박막 형태의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은, 박막 두께로 도포 또는 코팅되므로, 밀도가 낮아, X선이 그대로 투과된다.
손잡이부(38)는 본체(32) 저면에 형성되는 회전부(34)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장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34)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회동부(38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방부(35)를 통하여 상기 본체(32)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8)에서 결합부(22)와 마주보는 일측방에는 결합부(22)가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부(38b)가 형성되고, 타측방에는 후술하는 판스프링(40)이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삽입부(38c)가 형성된다.
판스프링(40)은 길이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판스프링(4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병원의 응급실 등에서 전극을 부착한 중환자가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 판스프링(40)을 플라스틱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X-Ray 등의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40)의 일단부는 손잡이부(38)의 삽입부(38c)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손잡이부(38)의 타측방에서 본체(32)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그 결과, 판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판스프링(40)의 일단부가 손잡이부(38)의 삽입부(38c)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손잡이부(38)의 상기 가이드부(38b)를 상기 결합부(2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결합부(22)는 가이드부(38b)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관통공(33)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전극(10)에 붙은 라이너(15)를 제거하고, 제 1 베이스(12)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시킨다. 그 후, 전극(10)의 결합부(22)에 구비되는 결합돌기(22b)에 커넥터(30)의 본체(32)에 형성되는 관통공(33)을 삽입시킨다. 그러면, 손잡이부(38)의 가이드부(38b)가 판스프링(40)의 탄성 압력에 의하여 결합돌기(22b)를 가압하게 되어, 결합돌기(22b)가 관통공(33)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극(10)의 전도성 겔(14)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전기 신호는 전도부(20)를 통하여 결합부(22)로 전달되고, 결합부(22)로 전달된 미세 전기 신호는 커넥터(30)의 통전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연결선(60)으로 전달되어, 외부에 위치한 심전도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 기기(미도시)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부(20), 결합부(22), 통전 플레이트(42) 및 연결선(60)은 전극(10)의 전도성 겔(14)에서 읽어들이는 신체의 미세 전기를 상기 표시 기기로 전달해야 하므로,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X선이 투과되며 전기가 통전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 또는 X선이 투과되며 전기가 통전되는 박막 두께의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백금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병원의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등에서 생명이 위독한 중환자 등이 X-Ray 등의 진단기기를 사용할 때, 중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 커넥터(30) 및 연결선(60)을 떼거나 바꾸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커넥터(30)에 고정된 전극(10)이 탈거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본체(32) 외측에 노출된 손잡이부(38)의 타단부를 판스프링(4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판스프링(40)의 일단부가 손잡이부(38)의 삽입부(38c)에서 회동되면서 판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결합부(22) 방향으로 이동된 손잡이부(38)가 판스프링(40) 방향으로 역 이동된다. 그러면, 결합부(22)를 가압하고 있던 손잡이부(38)의 가이드부(38b)가 결합부(22)의 결합돌기(22b)에서 이격되어, 손잡이부(38)가 더 이상 결합부(22)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결합부(22)의 결합돌기(22b)가 관통공(33)에서 용이하게 빠지게 되어, 커넥터(30)에서 전극(10)이 탈거되게 되며, 이렇게 커넥터(30)와 전극(10)이 분리되면,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을 떼어내거나 교환하기가 수월해지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커넥터(50)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심전도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심장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읽어들이는 전극(10')과, 전극(10')에서 읽은 전기 신호가 처리될 수 있도록, 외부에 위치한 심전도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 기기(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60)과, 상기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10')과 탈부착되면서 상기 전극(10')에서 읽은 전기 신호를 연결선(60)으로 전달하는 커넥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선(6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도 투과되는 카본(예를 들어,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등) 등의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며, 전도성을 향상 또는 일정 준의 전도성을 확보시키기 위하여, 그 외측을 따라 박막 형태의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등의 금속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은, 박막 두께로 도포되면, X선은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전기 전도성은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병원의 응급실 등에서 전극을 부착한 중환자가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 연결선(60)을 통전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 또는 박막 형태의 염화은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중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10')은 상기 제 1 실시에에서 결합부(22)가 제거된 것으로, 제 1 베이스(12), 라이너(15), 전도성 겔(14), 제 2 베이스(16) 및 전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베이스(12)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12)의 하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제 1 베이스(12)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라이너(15)는 제 1 베이스(12)의 하면에 부착된다.
전도성 겔(14)은 신체의 미세 전기를 전도부(20)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 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겔(14)은 제 1 베이스(12)의 관통홀(12a)에 위치된다.
제 2 베이스(16)는 제 1 베이스(12)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1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16)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부(17')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16)에서 제 1 배이스(12)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는 후술하는 전도부(20)가 형성되고, 제 2 베이스(16)의 돌출부(17') 외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50)가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9 :도 8 도시)이 돌출 형성된다.
전도부(20)는 제 2 베이스(16)에서 제 1 배이스(12)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16)의 내면 중앙에서 돌출부(17')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일단부는 전도성 겔(14)과 대향 위치되어, 전도성 겔(14)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돌출부(17')에 위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제 1 전도부(21a)와, 상기 제 1 전도부(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21a)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도부(21a)는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 등의 방사성이 투과되는 재질, 예를 들면 카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전도부(21b)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도부(21b)는 다양한 공지된 코팅 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팅, 잉크 젯 프린팅, 실크스크린 프린팅, 나이프 코팅 등에 의하여 제 1 전도부(21a)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이 외에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하여 제 1 전도부(21a)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도부(21b)는 제 1 전도부(21a)에 박막두께로 도포되는데, 이때 두께는 X선은 투과되되, 전기 전도성은 일정 수준 확보될 수 있는 정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50)는 집게 형식으로 전극(10')의 돌출부(17')에 탈부착 되는 것으로, 집게부재(52), 통전 플레이트(58) 및 판스프링(57)을 포함한다.
집게부재(52)는 서로 대향 위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 양측에 제 1 회동부(55a)와 제 2 회동부(55b)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는 상호 회동 결합되는 제 1, 2 회동부(55a, 55b)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호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집게부(53)의 타단부는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에서 제 1 집게부(53)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저면부(54a)에는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부(54b)가 돌출 형성되어, 커넥터(50)가 전극(10')의 돌출부(17')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간혹, 슬라이딩 된다 하더라도, 걸림턱(19)에 걸리게 되어, 커넥터(50)가 전극(10')의 돌출부(17')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집게부(54)는 전극(10')의 돌출부(17')가 내입된 상태에서, 돌출부(17')가 양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집게부(54)의 돌출부(17')가 내입되는 입구(54c: 도 12 도시)의 양측에 고정벽부(54d)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집게부(54)의 입구(54c)로 전극(10')의 돌출부(17')가 내입된 상태에서, 커넥터(50) 또는 전극(10')에 움직임이 있더라도, 돌출부(17')는 고정벽부(54d)에 의해 커넥터(50)의 양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통전 플레이트(58)는 제 1 집게부(53)의 저면에 위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53)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53)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집게부(53)의 저면에는 통전 플레이트(58)가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플레이트 안내홈(56)이 형성된다. 그리고 통전 플레이트(58)의 타단부는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제 1 집게부(53)의 타단부에는 연결선(60)이 연결된다.
판스프링(57)은 탄성을 가지며,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 1 집게부(53)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제 1 판부(57a)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에 밀착되는 제 2 판부(57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판부(57b)에서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 방향 즉, 제 2 판부(57b)의 일단부는 제 1 판부(57a)의 일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판부(57b)의 타단부는 제 1 판부(57a)의 타단부와 이격 위치되면서,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제 1 집게부(53)의 타단부에서 이격되도록 위치시키고,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를 제 1 집게부(53)의 일단부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판스프링(57)은 탄성을 가지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플라스틱 소재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병원의 응급실 등에서 전극을 부착한 환자가 X-Ray 등의 진단 기기를 이용할 때, 판스프링(57)을 플라스틱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떼지 않고, X-Ray 등의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전극(10')에 붙은 라이너(15)를 제거하고, 제 1 베이스(12)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시킨다. 그 후, 전극(10')의 돌출부(17')에 커넥터(50)를 부착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으로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 1 집게부(53)에 위치된 통전 플레이트(58)에 전극(10')의 돌출부(17')에 구비된 전도부(20)를 밀착시킨다. 그 후,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한 손을 놓으면, 판스프링(57)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가 상호 접촉되며, 이때,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된 전도부(20)와 통전 플레이트(58)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부(20), 통전 플레이트(58) 및 연결선(60)은 전극(10')의 전도성 겔(14)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전기를 상기 표시 기기로 전달해야 하므로,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재질은 X선이 투과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 또는 카본 외측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등으로 구성되므로,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을 떼지 않고,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커넥터(50)에 고정된 전극(10')이 탈거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를 상호 이격시킨다. 그러면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가 더 이상 돌출부(17')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전극(10')의 전도부(20)가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 사이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 이렇게 커넥터(50)와 전극(10')이 분리되면,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을 떼어내거나 교환하기가 수월해지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전극(10'')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심전도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심장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활동 전류의 전기적 변화 등을 읽어들이는 전극(10'')과, 전극(10'')에서 읽은 전기 신호가 처리될 수 있도록, 외부에 위치한 심전도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 등의 표시 기기(미도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60)과, 상기 연결선(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10'')과 탈부착되면서 상기 전극(10'')에서 읽은 전기 신호를 연결선(60)으로 전달하는 커넥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극(10'')은 하기 도 1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연결선(60)과 커넥터(50)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극(10'')은 제 1 베이스(70), 라이너(72), 전도성 겔(74), 제 2 베이스(79) 및 전도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베이스(70)는 종이, 부직포, 절연성 수지 등의 비도전성 또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홀(7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70)의 하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제 1 베이스(70)의 상면에서 후술하는 제 2 베이스(79)와 대향되는 위치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라이너(72)는 제 1 베이스(70)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70)가 라이너(72)에서 용이하게 떼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베이스(70)의 하면에서 그 가장자리 일측에는 이탈가이드부(76)가 부착된다. 상기 이탈가이드부(76)는 그 상면은 제 1 베이스(70)의 하면에 부착되고, 그 하면은 라이너(72)에 부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라이너(72)를 제거할 때, 이탈가이드부(76)가 부착된 제 1 베이스(70)의 하면 가장자리 일측을 잡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도성 겔(74)은 신체의 미세 전기를 전도부(78)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하이드로 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겔(74)은 제 1 베이스(70)의 관통홀(70a)에 위치된다.
제 2 베이스(79)는 제 1 베이스(70)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70)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베이스(79)는 절연성 수지 등의 필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부(78)는 제 1 베이스(70)와 제 2 베이스(79)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 1 전도부와, 제 2 전도부와, 집게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부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는 전도성 겔(74)과 대향 위치되어, 전도성 겔(74)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제 2 베이스(79)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도부(78a)와, 상기 제 1 전도부(78a)의 타단부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제 1 전도부(78a)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집게 안내부(78c)와, 상기 제 1 전도부(78a)의 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78a)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7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부(78)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안내부(78c)가 제1 전도부(78a)보다 크고 넓적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안내부(78c)의 면적이 제 1 전도부(78a)에서 일체로 길게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집게 안내부(78c)의 크기나 형태는 커넥터(50)의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크기나 형태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전도부(78a)와 집게 안내부(78c)는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X선 등의 방사성이 투과되는 재질, 예를 들면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집게 안내부(78c)는 제 1 전도부(78a)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므로, 커넥터(50)의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 사이에 집게 안내부(78c)가 용이하게 위치된다. 또한, 집게 안내부(78c)는 제 1 베이스(70)의 상부에 위치되되, 제 1 베이스(70)와 제 2 베이스(79)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극(10'')과 커넥터(50)가 연결될 때, 커넥터(50)가 집게 안내부(78c)에 용이하게 접촉된다. 이는 하기 도 15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전도부(78b)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도부(78b)는 다양한 공지된 코팅 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팅, 잉크 젯 프린팅, 실크스크린 프린팅, 나이프 코팅 등에 의하여 제 1 전도부(78a)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이 외에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하여 제 1 전도부(78a)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도부(78b)는 제 1 전도부(78a)에 박막두께로 도포되는데, 이때 두께는 X선은 투과되되, 전기 전도성은 일정 수준 확보될 수 있는 정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 전극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전극(10'')에 붙은 라이너(72)를 제거하고, 제 1 베이스(70)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시킨다. 그 후, 전극(10'')의 돌출부(17')에 커넥터(50)를 부착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으로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 1 집게부(53)에 위치된 통전 플레이트(58)에 전극(10'')의 전도부(78)의 집게 안내부(78c)를 밀착시킨다. 이때, 전도부(78)의 집게 안내부(78c)는 제 1 베이스(70)와 제 2 베이스(79)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극(10'')과 커넥터(50)가 연결될 때, 커넥터(50)가 집게 안내부(78c)에 용이하게 접촉된다.
그 후,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한 손을 놓으면, 판스프링(57)의 탄성에 의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가 상호 접촉되며, 이때,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된 전도부(78)의 집게 안내부(78c)와 통전 플레이트(58)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부(78), 통전 플레이트(58) 및 연결선(60)은 전극(10'')의 전도성 겔(74)에서 읽어들인 신체의 미세 전기를 상기 표시 기기로 전달해야 하므로, 전기가 통전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재질은 X선이 투과되는 카본 등의 방사성 투과 재질 또는 카본 외측에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등으로 구성되므로,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을 떼지 않고, 진단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에서 전극이 탈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커넥터(50)에 고정된 전극(10'')이 탈거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의 일단부를 상호 이격시킨다. 그러면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가 더 이상 집게 안내부(78c)를 가압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전도부(78)가 제 1 집게부(53)와 제 2 집게부(54) 사이에서 용이하게 탈거된다. 이렇게 커넥터(50)와 전극(10'')이 분리되면, 환자의 몸에 부착된 전극(10'')을 떼어내거나 교환하기가 수월해지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커넥터(50)에서, 제 1 집게부(53) 바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바닥돌출부(53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닥돌출부(53a)에 의하여, 커넥터(50)의 제 1 집게부(53) 바닥이 사람의 피부에 닿게 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도 피부와 커넥터(50)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에도, 커넥터(50)의 피부 접촉에 의한 피부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0', 10'': 전극 12: 제 1 베이스
12a: 관통홀 14: 전도성 겔
15: 라이너 16: 제 2 베이스
17, 17': 돌출부 18: 삽입공
19: 걸림턱 20: 전도부
21a: 제 1 전도부 21b: 제 2 전도부
22: 결합부 22a: 지지판
22b: 결합돌기 25: 고정부
30: 커넥터 32: 본체
33: 관통공 34: 회전부
35: 개방부 37: 플레이트 안내홈
38: 손잡이부 38a: 회동부
38b: 가이드부 38c: 삽입부
40: 판스프링 42: 통전 플레이트
42a: 삽입홀 44: 커버
50: 커넥터 52: 집게부재
53: 제 1 집게부 53a: 바닥돌출부
54: 제 2 집게부 54a: 저면부
54b: 미끄럼방지부 54c: 입구
54d: 고정벽부 55a: 제 1 회동부
55b: 제 2 회동부 56: 플레이트 안내홈
57: 판스프링 57a: 제 1 판부
57b: 제 2 판부 58: 통전 플레이트
60: 연결선 70: 제 1 베이스
70a: 관통홀 72: 라이너
74: 전도성 겔 76: 이탈가이드부
78: 전도부 78a: 제 1 전도부
78b: 제 2 전도부 78c: 집게 안내부
79: 제 2 베이스

Claims (12)

  1.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서 그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체로 관통 위치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저면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 위치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부가 형성되고, 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는:
    장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회전부에 삽입되어 회동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는 일측방에는 상기 결합부가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타측방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
    탄성을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삽입부와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방에서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삽입부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공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3.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서 그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
    서로 대향 위치되며, 회동부에 의하여 상호 회동되면서, 일단부는 상호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 1 집게부와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부재;
    탄성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이 위치되어,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통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4.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도성 겔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면에 부착되되, 그 가장자리 일측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탈부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
    서로 대향 위치되며, 회동부에 의하여 상호 회동되면서, 일단부는 상호 접촉되고 타단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 1 집게부와 제 2 집게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집게부재;
    탄성을 가지며, 상호 이격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의 판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1 집게부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 사이에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이 위치되어,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와 상기 통전 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부,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방사선 투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겔은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하이드로 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는 그 가장자리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의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내면에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도부와,
    상기 제 1 전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부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부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상기 제 1 전도부에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전도성 겔에 밀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전도부와, 상기 제 1 전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제 1 전도부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 2 전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부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부는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상기 제 1 전도부에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 및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통전되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은, 염화은, 티타늄, 금 및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이 박막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제 1 집게부와 상기 제 2 집게부가 슬라이딩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KR1020120021636A 2012-03-02 2012-03-02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KR10127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636A KR101271286B1 (ko) 2012-03-02 2012-03-02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636A KR101271286B1 (ko) 2012-03-02 2012-03-02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286B1 true KR101271286B1 (ko) 2013-06-04

Family

ID=4886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636A KR101271286B1 (ko) 2012-03-02 2012-03-02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2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740A (ja) 2004-09-16 2006-03-30 Shimadzu Corp 医用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740A (ja) 2004-09-16 2006-03-30 Shimadzu Corp 医用診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1543B2 (ja) 生理学的モニタリング用の電子装置
US11806151B2 (en) Patient electrode connectors for electrocardiograph monitoring system
JP4554074B2 (ja) 汎用複数センサecg皮膚胸部マスク
US9757049B2 (en) Electrode and device for detecting biosigna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70127966A1 (en) Electrode device for wearable or handheld apparatus
JP5330259B2 (ja) ハンドヘルドの再位置付け可能であるecg検出器及びecgデータを取得する方法
JP7027464B2 (ja) 生体信号検出システム
US11375937B2 (en) Electrode carrier for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
US9986929B1 (en) Emergency cardiac an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placement system
WO2003051195A1 (en) A universal electrocardiogram sensor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four sizes including extra large
US20180249922A1 (en) Emergency Cardiac An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Placement System
JP2017093800A (ja) 携帯型心電計装置
KR20140043565A (ko) 다중 스터브 전극 구조의 건식 생체전극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EP3585262B1 (en) Emergency cardiac and electrocardiogram electrode placement system
KR101271286B1 (ko) 방사선 투과가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US202303098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biosensors
KR20140036688A (ko) 방사선 투과 어댑터를 구비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JP5806042B2 (ja) スライド式電極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