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59B1 -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 Google Patents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59B1
KR101270559B1 KR1020120111993A KR20120111993A KR101270559B1 KR 101270559 B1 KR101270559 B1 KR 101270559B1 KR 1020120111993 A KR1020120111993 A KR 1020120111993A KR 20120111993 A KR20120111993 A KR 20120111993A KR 101270559 B1 KR101270559 B1 KR 10127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off
base frame
water
hole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석
손태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대상인 시료가 채워지고 상부면이 개방된 토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토조의 상부와 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부;와 급수관 및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강우장치부; 및 상기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유출수의 양을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강우조건 하에서 대상시료에 대한 수문순환의 요소인 지표유출량과 지표하유출량 및 지하수유출량을 각각 산출하여 수문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경사와 상류의 지표유출을 함께 고려하여 유역특성이 반영된 세밀한 시험 및 검정이 가능하고, 동일한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대해 서로 다른 시료를 동시에 시험 및 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장치의 모든 조작이 가능하고 관련 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SMART LID-NPS SIMULATOR}
본 발명은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시에 주요한 수문순환요소인 지표유출, 지표하유출, 침투를 고려하여 수문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유역경사와 상류의 지표유출을 함께 고려하여 세밀한 시험 및 검정이 가능하고, 동일한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으로 동시에 지표면 특성이 다른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다양한 개발활동으로 인하여 산업폐수, 도시하수 등 다량의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이 수질오염의 주요원인이었으나, 최근에는 도시지역이나 농업지역 등에서의 개발활동이 가져오는 총체적인 영향과 이에 수반하여 발생되는 강우유출량과 오염물질이 수계(하천, 강, 호수)의 수질을 결정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무분별한 개발과 성장으로 인하여 비점오염물질(non-point pollutant)의 발생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자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숲, 녹지, 늪지 등이 파괴되어 비점오염물질 관리가 미미한 실정이다.
도 1은 자연계의 수문순환을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며, 도시개발에 따라 지표유출이 아닌 침투를 통해 표층을 따라 발생하는 지표하유출의 비율은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지하수층으로 이동하는 지하수유출도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도시 내 불투수 면적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총 유출량이 상승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문조건이 변화되어 물순환 체계가 파괴되고 도시 내 비점오염원이 함께 유출되어 하천 환경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생태계 및 자연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저감시설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도시화에 따른 물관리 쟁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개발이전의 수문순환 상태를 모사하여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물 순환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저영향개발(LID : Low Impact Development)이 강우유출관리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 이는 유역의 지형 및 토질특성을 반영하여 물 순환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유역개발기술과, 강우-유출양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소규모의 기술을 조합하여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기능을 유지하는 녹색공간과 자연형 공간을 조성하는 공간활용기술 및, 강우 유출수의 지하침투를 증대시켜 유역단위의 홍수 유출량을 저감하고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저감하며 건천화를 방지하는 등의 저영향 개발기술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처럼 현재 비점오염저감시설과 LID 요소기술들은 산재되어 있으나 시공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성 검정 기술 개발은 세계적으로도 미비한 실정이며, 효율성 검정을 위해서는 수문순환과 유역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실험시설 및 기기가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23259호에서는, 건기 및 우기시 수질자료, 수량자료, 강우자료 및 유역현황자료를 사전에 수집하여 구축한 자료구축 서버를 포함한 관리 제어 유닛에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전송받고; 강우발생 이전에 예측 강우량, 예측 강우지속시간 및 예측 강우강도를 사전에 구축된 자료와 비교하여 모의 산출하고, 모의 산출된 결과에 따라 비점오염 초기유출량을 산정하고; 비점오염원을 포함한 유입수를 처리하기 위한 비점오염 처리장치에 저류된 처리수를 상기 산정된 초기유출량을 근거로 산정된 초기유출량만큼 강우 발생 이전에 방류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강우 발생 이전에 모의 시스템을 통하여 모의를 수행한 결과를 활용하여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의 운전성능을 개선함으로써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저류된 처리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상정보 및 모의시스템 기반의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필요로 하는 유역경사 및 유역 내 유출경로를 파악한 유역현황자료는 대상유역에 대한 유역 수치표고자료(DEM) 및 위성사진을 활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양한 지역이나 가상의 지역에 대한 모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기존의 모의기기들은 수문순환 요소 중 강우-지표유출만 모의 가능하고 단일 시료로만 실험이 가능한 단점이 있어서 어떤 지역의 수문학적인 물의 유입/유출/저장량을 산출한 물수지(Water Budget)를 산정할 수 없어 물의 순환과정을 규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비점오염저감시설과 LID 요소 기술에서 핵심인 저류효과와 물의 손실을 규명할 수 없었고, 상류 유역과 하류 유역의 지표면 특성이 다른 상황은 실험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강우조건 하에서 대상시료에 대한 수문순환의 요소인 지표유출량과 지표하유출량 및 지하수유출량을 각각 산출하여 수문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역경사와 상류의 지표유출을 함께 고려하여 유역특성이 반영된 세밀한 시험 및 검정이 가능하고, 상류유역의 지표유출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와 LID 요소 기술의 검정도 수행할 수 있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일한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대해 서로 다른 시료를 동시에 시험 및 검정할 수 있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격으로 장치의 모든 조작이 가능하고 수문순환과 관련된 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는, 시험대상인 시료가 채워지고 상부면이 개방된 토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토조의 상부와 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부;와 급수관 및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강우장치부; 및 상기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유출수의 양을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을 승강시키는 경사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에는, 상기 토조의 상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지표수투입공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상기 경사조절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며, 상기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된 물의 양과 상기 계측부를 통해 측정된 유출수의 양을 유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시험대상인 시료가 채워지고 상부와 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이 형성된 토조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부와 그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강우장치부 및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유출수의 양을 측정하는 계측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한 강우조건 하에서 대상시료에 대한 수문순환의 요소인 지표유출량과 지표하유출량 및 지하수유출량을 각각 산출하여 수문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베이스프레임부의 하부에는 베이스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와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을 승강시키는 경사조절부 및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에서 토조의 상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지표수투입공이 형성됨으로써, 유역경사와 상류의 지표유출을 함께 고려하여 유역특성이 반영된 세밀한 시험 및 검정이 가능하고, 상류유역의 지표유출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와 LID 요소 기술의 검정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베이스프레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조가 구비됨으로써, 동일한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대해 서로 다른 시료를 동시에 시험 및 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경사조절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며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된 물의 양과 계측부를 통해 측정된 유출수의 양을 유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원격으로 장치의 모든 조작이 가능하고 관련 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자연계의 수문순환을 간략히 나타낸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는 베이스프레임부(10)와 강우장치부(20) 및 계측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는 시험대상인 시료(2)가 채워지고 상부면이 개방된 토조(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토조(11)의 상부와 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지표유출공(12)과 지표하유출공(13) 및 지하수유출공(14)이 구비된다. 후술되는 강우장치부(20)에 의해 상부에서 분사된 물은 지표유출공(12)과 지표하유출공(13) 및 지하수유출공(14)으로 각각 배출되고 각각의 유출공과 연통하는 배수관(121,131,141)을 통해 각각의 수조(122,132,142)에 담겨진다.
상기 강우장치부(20)는 급수관(21) 및 분사노즐(22)을 구비하고, 베이스프레임부(10)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킨다. 상기 급수관(21)은 워터탱크(23) 및 펌프(2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지상에 설치된 거치대(26) 상에 안착된다.
상기 계측부(30)는 베이스프레임부(10)의 지표유출공(12)과 지표하유출공(13) 및 지하수유출공(14)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유출수의 양을 수조(122,132,142)에 구비된 수위계(31,32,33)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일정한 강우조건 하에서 대상시료에 대한 수문순환의 요소인 지표유출량과 지표하유출량 및 지하수유출량을 각각 산출하여 수문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의 베이스프레임부(10)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부(40)와 경사조절부(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부(40)는 고정구(41)에 의해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구(41)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지지대(42)가 베이스프레임부(10)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부(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경사조절부(50)는 베이스프레임부(10)의 일측을 승강시켜 베이스프레임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는 구동모터(5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스크류장치(52)가 너트하우징(53)과 체결되고, 너트하우징(53)의 일측 및 베이스프레임부(10)의 하부에 체결된 승강대(54)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의 베이스프레임부(10)의 일측에는, 워터탱크(23) 및 펌프(152)와 체결된 급수관(151)과 연통하여 토조(11)의 상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지표수투입공(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역경사와 상류의 지표유출을 함께 고려하여 유역특성이 반영된 세밀한 시험 및 검정이 가능하고, 상류유역의 지표유출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유출모의와 LID 요소 기술의 검정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베이스프레임부(10)에는 둘 이상의 토조(1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기상조건과 유역특성에 대해 서로 다른 시료를 동시에 시험 및 검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에는 컨트롤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60)는 전술한 강우장치부(20) 및 지표수투입공(15)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경사조절부(5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며, 강우장치부(20) 및 지표수투입공(15)으로 공급된 물의 양과 계측부(30)를 통해 측정된 유출수의 양을 유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또한 강우량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 토조(11)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부(10)의 메인프레임(18)상에 개폐가능하게 체결된 그물망덮개(19)를 더 구비하여 그 상부에 별도의 강우계(25)를 복수 개 설치하여 강우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원격으로 장치의 모든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수문량과 관련된 자료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100)는 강우의 강도와 유역의 경사도 및 지표면을 모델링한 시료의 특성을 달리하여 수문순환이 시뮬레이션되고 지표수유출과 지표하유출 및 지하수유출이 검출됨에 따라 기상 조건 및 유역 환경 조건별로 수문순환이 세밀하고 정밀하게 분석되는 한편 비점저감시설과 요소 기술에서 핵심인 저류효과와 물의 손실이 규명됨에 따라 비점저감시설과 LID 요소 기술 개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2 : 시료
10 : 베이스프레임부 11 : 토조
12 : 지표유출공 13 : 지표하유출공
14 : 지하수유출공 121,131,141 : 배수관
122,132,142 : 수조 15 : 지표수투입공
151 : 급수관 152 : 펌프
18 : 메인프레임 19 : 그물망덮개
20 : 강우장치부 21 : 급수관
22 : 분사노즐 23 : 워터탱크
24 : 펌프 25 : 강우계
26 : 거치대
30 : 계측부 31,32,33 : 수위계
40 : 지지프레임부 41 : 고정구
42 : 지지대
50 : 경사조절부 51 : 구동모터
52 : 볼스크류장치 53 : 너트하우징
54 : 승강대
60 : 컨트롤부

Claims (4)

  1. 시험대상인 시료가 채워지고 상부면이 개방된 토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고, 상기 토조의 상부와 측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이 구비된 베이스프레임부;와
    급수관 및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강우장치부; 및
    상기 지표유출공과 지표하유출공 및 지하수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유출수의 양을 측정하는 계측부;를 포함하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을 승강시키는 경사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일측에는,
    상기 토조의 상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지표수투입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상기 경사조절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며, 상기 강우장치부 및 지표수투입공으로 공급된 물의 양과 상기 계측부를 통해 측정된 유출수의 양을 유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컨트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KR1020120111993A 2012-10-09 2012-10-09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KR10127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993A KR101270559B1 (ko) 2012-10-09 2012-10-09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993A KR101270559B1 (ko) 2012-10-09 2012-10-09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559B1 true KR101270559B1 (ko) 2013-06-03

Family

ID=4886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993A KR101270559B1 (ko) 2012-10-09 2012-10-09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59B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49B1 (ko) 2013-06-24 2014-01-27 (주)웸스 Lid 요소기술 물순환 효율성능 검증실험 방법
KR101354452B1 (ko) * 2013-06-24 2014-01-27 (주)웸스 Lid 기술 검증용 소형―다중 강우―유출 모사기
CN103913558A (zh) * 2014-03-26 2014-07-09 北京林业大学 一种便携式径流小区
CN103940979A (zh) * 2014-04-18 2014-07-23 扬州大学 生态透水边坡处治道路路面径流污染的模拟系统
CN104266941A (zh) * 2014-08-29 2015-01-07 天津大学 室内降雨入渗试验模拟系统
CN104535295A (zh) * 2015-01-26 2015-04-22 山东科技大学 一种用于模拟坡面流水力要素的多功能实验装置及其实验方法
KR101558147B1 (ko) * 2014-05-09 2015-10-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나 사면침식의 상하 분기 포집형 모의 시험장치
KR101564214B1 (ko) 2014-08-18 2015-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간극수압-지표변위-전단면 완전연계 산사태 조기탐지 시험장치
KR20150126222A (ko) 2014-05-02 2015-11-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기법 검증용 이동―조립형 현장 강우 모사기
KR101573261B1 (ko) 2014-12-30 2015-12-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저영향개발 시설 설계방법
KR20150137843A (ko) * 2014-05-30 2015-12-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순환 모의를 위한 lid-수리수문 효율성 검증기기
CN105136427A (zh) * 2015-09-21 2015-12-09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小型沉积水槽泥沙循环及流量定量控制系统
KR101581848B1 (ko) * 2015-01-08 2015-12-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토석류의 폭 가변형 모의 시험장치
KR20160004772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KR101604772B1 (ko) 2014-05-29 2016-03-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20160049742A (ko) 2014-10-28 2016-05-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형 투수포장 시설의 저영향개발(lid) 효율성 검증 시스템
KR101623942B1 (ko) * 2015-07-27 2016-05-26 대한민국 인공강우장치
KR20160085990A (ko) * 2015-01-08 2016-07-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침식 실험장치
CN105784322A (zh) * 2016-05-04 2016-07-2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对同一土槽进行不同坡长人工模拟降雨试验的遮雨板装置
KR20160106976A (ko) 2015-03-03 2016-09-13 (주)웸스 Lid 기법 검증용 이동식 현장 강우 모사기
CN106932326A (zh) * 2017-05-11 2017-07-07 湘潭大学 一种室内坡面渗流试验模型槽及试验方法
CN107843527A (zh) * 2017-12-05 2018-03-27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坡面降雨深层入渗特征的模拟观测装置及方法
KR20180066519A (ko) 2016-12-09 2018-06-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요소기술에 대한 수환경 효율성 검증 교반시스템
KR101891237B1 (ko) 2017-12-01 2018-09-28 대한민국 강우 시뮬레이터 검·보정 자동화 시설
KR20180115460A (ko) 2017-04-13 2018-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폐색 실험용 부유물 분사용 교반장치
KR20190046560A (ko) 2017-10-26 2019-05-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표준오염수 자동제조시스템
CN110541450A (zh) * 2019-09-16 2019-12-06 上海交通大学 一种海绵城市的雨水源头调蓄系统的构建方法
CN111473819A (zh) * 2020-04-28 2020-07-31 广西壮族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地表径流监测分析方法
KR102192989B1 (ko) * 2020-10-28 2020-12-18 대한민국 홍수도달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 유출 실험장치
CN112906950A (zh) * 2021-02-03 2021-06-04 深圳市创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规划设计系统
KR20210157690A (ko) * 2020-06-22 2021-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우유출 수문모의 실험교구
RU2788322C2 (ru) * 2021-06-23 2023-0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оцессов водной эрозии почвогрунтов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307B1 (ko) 2002-08-12 2005-04-06 (주)지오그린21 강우 연동형 지중 오염 추적자 실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307B1 (ko) 2002-08-12 2005-04-06 (주)지오그린21 강우 연동형 지중 오염 추적자 실험장치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52B1 (ko) * 2013-06-24 2014-01-27 (주)웸스 Lid 기술 검증용 소형―다중 강우―유출 모사기
KR101354449B1 (ko) 2013-06-24 2014-01-27 (주)웸스 Lid 요소기술 물순환 효율성능 검증실험 방법
CN103913558A (zh) * 2014-03-26 2014-07-09 北京林业大学 一种便携式径流小区
CN103913558B (zh) * 2014-03-26 2016-02-24 北京林业大学 一种便携式径流小区
CN103940979A (zh) * 2014-04-18 2014-07-23 扬州大学 生态透水边坡处治道路路面径流污染的模拟系统
KR20150126222A (ko) 2014-05-02 2015-11-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기법 검증용 이동―조립형 현장 강우 모사기
KR101558147B1 (ko) * 2014-05-09 2015-10-0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나 사면침식의 상하 분기 포집형 모의 시험장치
KR101604772B1 (ko) 2014-05-29 2016-03-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20150137843A (ko) * 2014-05-30 2015-12-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순환 모의를 위한 lid-수리수문 효율성 검증기기
KR101653757B1 (ko) * 2014-05-30 2016-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순환 모의를 위한 lid-수리수문 효율성 검증기기
KR101641870B1 (ko) * 2014-07-04 2016-07-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KR20160004772A (ko) * 2014-07-04 2016-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석류 항복응력 측정 방법
KR101564214B1 (ko) 2014-08-18 2015-10-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간극수압-지표변위-전단면 완전연계 산사태 조기탐지 시험장치
CN104266941A (zh) * 2014-08-29 2015-01-07 天津大学 室内降雨入渗试验模拟系统
KR101647771B1 (ko) 2014-10-28 2016-08-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형 투수포장 시설의 저영향개발(lid) 효율성 검증 시스템
KR20160049742A (ko) 2014-10-28 2016-05-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형 투수포장 시설의 저영향개발(lid) 효율성 검증 시스템
KR101573261B1 (ko) 2014-12-30 2015-12-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저영향개발 시설 설계방법
KR101581848B1 (ko) * 2015-01-08 2015-12-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토석류의 폭 가변형 모의 시험장치
KR101656769B1 (ko) * 2015-01-08 2016-09-1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침식 실험장치
KR20160085990A (ko) * 2015-01-08 2016-07-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침식 실험장치
CN104535295A (zh) * 2015-01-26 2015-04-22 山东科技大学 一种用于模拟坡面流水力要素的多功能实验装置及其实验方法
KR20160106976A (ko) 2015-03-03 2016-09-13 (주)웸스 Lid 기법 검증용 이동식 현장 강우 모사기
KR101623942B1 (ko) * 2015-07-27 2016-05-26 대한민국 인공강우장치
CN105136427A (zh) * 2015-09-21 2015-12-09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小型沉积水槽泥沙循环及流量定量控制系统
CN105784322A (zh) * 2016-05-04 2016-07-2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对同一土槽进行不同坡长人工模拟降雨试验的遮雨板装置
KR20180066519A (ko) 2016-12-09 2018-06-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요소기술에 대한 수환경 효율성 검증 교반시스템
KR20180115460A (ko) 2017-04-13 2018-10-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폐색 실험용 부유물 분사용 교반장치
CN106932326A (zh) * 2017-05-11 2017-07-07 湘潭大学 一种室内坡面渗流试验模型槽及试验方法
CN106932326B (zh) * 2017-05-11 2023-09-19 湘潭大学 一种室内坡面渗流试验模型槽及试验方法
KR20190046560A (ko) 2017-10-26 2019-05-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표준오염수 자동제조시스템
KR101891237B1 (ko) 2017-12-01 2018-09-28 대한민국 강우 시뮬레이터 검·보정 자동화 시설
CN107843527A (zh) * 2017-12-05 2018-03-27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坡面降雨深层入渗特征的模拟观测装置及方法
CN110541450A (zh) * 2019-09-16 2019-12-06 上海交通大学 一种海绵城市的雨水源头调蓄系统的构建方法
CN111473819A (zh) * 2020-04-28 2020-07-31 广西壮族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地表径流监测分析方法
CN111473819B (zh) * 2020-04-28 2021-08-06 广西壮族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一种地表径流监测分析方法
KR20210157690A (ko) * 2020-06-22 2021-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우유출 수문모의 실험교구
KR102192989B1 (ko) * 2020-10-28 2020-12-18 대한민국 홍수도달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 유출 실험장치
CN112906950A (zh) * 2021-02-03 2021-06-04 深圳市创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规划设计系统
CN112906950B (zh) * 2021-02-03 2023-06-27 深圳市创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规划设计系统
RU2788322C2 (ru) * 2021-06-23 2023-0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оцессов водной эрозии почвогрунтов
RU2808679C1 (ru) * 2023-07-31 2023-12-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Ломоносова" (МГУ) Стенд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эрозион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атмосферных осадков на почв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559B1 (ko) 비점 및 lid 검정 모의기기
Yin et al. Integrated 1D and 2D model for better assessing runoff quantity control of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on community scale
Sohn et al. The influence of climate on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A systematic review
KR101604772B1 (ko)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Liang et al. Coupling surface and subsurface flows in a depth averaged flood wave model
Khan et al. Bioretention cell efficacy in cold climates: Part 1—hydrologic performance
Zhang et al. A review on implementing infiltration-based green infrastructure in shallow groundwater environments: Challenges, approaches, and progress
Fan et al. Effects of low impact development on the stormwater runoff and pollution control
CN104596736B (zh) 一种降雨积水模拟系统及方法
KR101354449B1 (ko) Lid 요소기술 물순환 효율성능 검증실험 방법
KR101836914B1 (ko) 단위블록 lid 시설 성능평가용 유량-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Cording et al. Monitoring methods and designs for evaluating bioretention performance
Beecham et al. Designing porous and permeable pavements for stormwater harvesting and reuse
Marchese et al. Quantitative comparison of active and passive stormwater infrastructure: case study in Beckley, West Virginia
Li et al. Optimization design of key parameters for bioretention cells with mixed filter media via HYDRUS-1D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Lin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green roads for runoff control
Guo et al. The proportion of jet flow and on-wall flow and its effects on soil loss and plunge pool morphology during gully headcut erosion
KR101830370B1 (ko) 스마트 적응형 다목적 광폭 개수로 실험장치
Rujner et al. Advancing green infrastructure design: Field evaluation of grassed urban drainage swales
Li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correction factor of surface overland flow velocity
KR101748197B1 (ko)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Pope et al. Time-Lapse Resistivity Monitoring of a Simulated Runoff Test in a Bioswale, Philadelphia
KR20120038303A (ko) 빗물과 상수의 연계 활용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Mangangka et al. Enhancing the storm water treatment performance of constructed wetlands and bioretention basins
Ladson Using WSUD to Restore Predevelopment Hydr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