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240B1 -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240B1
KR101270240B1 KR1020120087905A KR20120087905A KR101270240B1 KR 101270240 B1 KR101270240 B1 KR 101270240B1 KR 1020120087905 A KR1020120087905 A KR 1020120087905A KR 20120087905 A KR20120087905 A KR 20120087905A KR 101270240 B1 KR101270240 B1 KR 101270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emergency
engine
generator syste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한
이금렬
Original Assignee
유명한
씽크파워 주식회사 (THINK POWER 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한, 씽크파워 주식회사 (THINK POWER Co.,Ltd) filed Critical 유명한
Priority to KR102012008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8Control of generator circuit during starting or stopping of driving means, e.g. for initiating exc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5Computer o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와, 배터리의 점화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엔진과, 엔진 가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와,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을 낮추기 위한 소음기와, 발전용 연료탱크 및, 발전기의 작동상태를 표출하는 발전기 컨트롤러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70)에 병렬 연결되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200)와; 상기 비상작동스위치(200)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 점화용의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기(320)와,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MCU(Micro Controller Unit;MCU)(340)을 구비하는 비상시동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시동부(300)에 연결된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온(On) 상태로 할 때,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엔진의 정상 가동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작동을 위해 필요한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입력상태 표시부(115)와;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를 구비하는 출력상태 표시부(18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GENERATOR EMERGENCY START-UP SYSTEM}
본 발명은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군부대 등에서 특수목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에서 전원발생이 불가능한 직접적인 문제가 아닌 표시장치 등에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전원공급을 행할 수 있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백화점 및 공공시설이 대형화되고 다층구조를 갖게 되면서 발전기는 건물에 있어 필수적 장비로 정전시에 전원을 공급하고 화재의 확산 방지 및 유도등, 등의 소방활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군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장비로 통신, 무기체계, 훈련 시 필요한 전 군에서 핵심적인 전원공급 장치이다.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도 발전기의 고장으로 원자로 냉각에 문제가 되었던 기사를 접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원의 발명자는 발전기의 컨트롤러 고장시에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단순히 컨트롤러의 고장으로 인해 엔진만 시동 걸게 되면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발전기의 예방 점검 및 정비시 에도 발전기 또는 발전부(동체)가 이상있더라도 엔진을 기동시켜볼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컨트롤러 수리가 되기 전에는 정비조차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발전기의 일부 작은 부품 하나가 시스템 전체를 불능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발전기 엔진의 경우 육안검사를 통해 엔진 냉각수 및 윤활유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기동해서 정상 동작시킬 수 있으나 디지털 컨트롤러는 중대한 결함으로 판단하고 정상 동작을 못하게 중지시킨다. 운용자가 판단하여 운용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지만 디지털 컨트롤러는 사소한 부품 하나를 수리 못해서 전체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긴급을 요구하는 비상상황이나 전시에는 엔진이 고장으로 멈출 때까지는 1분 1초라도 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많은 인적,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큰 것으로 신속한 대비책이 요구되고 있다.
더우기, 민수 용도로 사용하는 발전기의 경우와는 달리 전시에는 발전기에 사소한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전원발생에 생긴 문제가 아닌 엔진 쪽에 문제인 경우 엔진이 고장 날 때까지는 통신 장비 및 무기체계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해서 생존에 위협을 줄 수 있는 현장에서의 문제점이 있다. 민수에서 사용되는 상용발전기 및 발전소 등의 비상발전기도 컨트롤러에 발생된 사소한 문제로 원자로의 비상 냉각 및 엘리베이터 및 화재시 급수용 펌프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지 못해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1. 특허공개 제10-2002-84146, 공개일자: 2002. 11. 04. 출원인: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발명의 명칭: 전력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료팩 및 발전기 및 전력공급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 2. 특허공개 제10-2010-49279호, 공개일자: 2010.05.12. 출원인: 엘아지넥스원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전원선택 장치 및 그 방법 3. 특허공개 제10-2011-133118, 공개일자: 2011. 12. 12, 발명의 명칭: 연료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4. 특허공개 제10-2010-18444, 공개일자: 2010. 02. 17., 발명의 명칭: 실시간지능 자율부하 관리 장치 및 방법 *이 문헌은 우선심사신청을 위한 선행기술자료로서 제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발전기 컨트롤러가 고장 및 오작동할 때 보조 장치에 의해 발전기를 운용할 수 있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비 시에 복잡한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꼭 필요한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시동을 쉽게 걸 수 있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를 이중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비용증가 및 부피증가로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트롤러의 수명이 높은 부품은 최대한 활용하면서 작은 공간에 또 다른 작은 제어기를 적용하여 비상시 바로 전원을 투입하여 발전이 가능토록 하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은 배터리와, 배터리의 점화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엔진과, 엔진 가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와,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을 낮추기 위한 소음기와, 발전용 연료탱크 및, 발전기의 작동상태를 표출하는 발전기 컨트롤러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70)에 병렬 연결되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200)와; 상기 비상작동스위치(200)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 점화용의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기(320)와,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MCU(Micro Controller Unit;MCU)(340)을 구비하는 비상시동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시동부(300)에 연결된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온(On) 상태로 할 때,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엔진의 정상 가동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작동을 위해 필요한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입력상태 표시부(115)와;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를 구비하는 출력상태 표시부(18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상태 표시부(115)는, 적어도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발전기의 출력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101)와, 엔진구동을 위한 연료의 압력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온도 스위치(107), 및 발전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10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전기 컨트롤러가 고장나서 동작 불능상태에 빠지게 될 때 독립된 스위치를 켜서 비상 시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발전기 시동 및 정지, 전원 투입을 행하여 발전기를 작동할 수 있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전기 정비(점검)시 수동 방식에 의한 시동이 가능하기에 발전기의 고장 유무를 빠르게 발견하여 수리할 수 있게 되므로, 발전기 장비의 가동시간을 증가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의하면, 비상 시 신속히 발전기의 기능을 복구할 수 있으며, 고장 원인을 신속히 파악 할 수 있으며, 정비사가 도착 시 까지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발전기 운용으로 발전기 유지보수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전기 디지털 컨트롤러의 주요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기 비상시동부의 주요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서 주요 내부 구성의 결합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flow ch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은, 배터리와, 배터리의 점화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엔진과, 엔진 가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와,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을 낮추기 위한 소음기와, 발전용 연료탱크 및, 발전기의 작동상태를 표출하는 발전기 컨트롤러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70)에 병렬 연결되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200)와; 상기 비상작동스위치(200)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 점화용의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기(320)와,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MCU(Micro Controller Unit;MCU)(340)을 구비하는 비상시동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시동부(300)에 연결된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온(On) 상태로 할 때,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엔진의 정상 가동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작동을 위해 필요한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입력상태 표시부(115)와;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를 구비하는 출력상태 표시부(18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도면에 기재한 도면의 부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전기는 연료탱크(10)에 연료(oil)를 저장하고, 엔진(20)을 점화하여 발전기(30)를 가동한다.
이때, 엔진(20)과 발전기(30)의 가동 중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기(40)가 상기 엔진(20) 룸 옆에 설치되고,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기(Air Cleaner)와 소음을 완화 및 제거하기 위한 소음기(Muffler)(60)가 설치된다.
또, 상기 엔진(20)을 점화시키기 위한 전원은 배터리(Battery)(70)를 통해 제공되며, 발전기컨트롤러(Controller)(100)를 설치하여 입출력 신호 및 가동상태를 표출 및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발전기컨트롤러(100)는 입력신호 및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상태 표시부(115)를 구비하며, 이것은 전압검출기(101), 전류검출기(102), 회전수검출기(103), 연료압력센서(104), 냉각수 온도센서(105), 연료압력스위치(106), 냉각수온도 스위치(107), 연료량 검출 센서(108), 제어스위치(109), 및 충전전압 표시기(110)를 갖춘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70)의 전원은 상기 발전기컨트롤러(100)에 설치된 배터리 전압표시기(75)를 통해 표출되고, 주전원공급기(130)를 통해 제1MCU(Micro Control Unit)(120)를 작동시켜 MCU 표시부(150)의 작동 상태를 알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전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300)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500)은, 상기 배터리(70)와는 별도로 작동되는 비상작동스위치(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비상시 또는 비상작동시라는 것은 발전기(30)의 엔진(20) 가동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표시하는 발전기컨트롤러(100)의 각종 표시기가 단순한 고장이나 불량으로 점등하지 못할 경우등을 말한다.
상기 비상작동스위치(200)는 비상시 엔진을 가동하는 비상시동부(3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비상시동부(300)에는 비상상태를 제어하여 엔진을 가동시킬지의 여부를 판단 실행하는 제2MCU(Micro Controller Unit)(320)와 보조전원공급기(340)를 구비한다.
또, 상기 발전기 시스템을 가동시킬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출력신호표시부(180)를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출력신호표시부(180)에는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신호 표시기(184) 및 예열신호표시기(186)를 설치하여 엔진 및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음을 표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엔진(20) 및 발전기(30)의 작동음이 들리는데도 발전기컨트롤러(100)에 설치된 입출력 상태 표시부가 고장 또는 불량으로 작동 표출되지 않을 때, 상기의 출력신호표시부(180)의 점등 상태를 파악한 후, 이들 표시기가 정상으로 점등될 때는 상기의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비상시동부(300)를 작동한다. 이로써 비상상황시에서 발전기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500)에서는 상기 입력상태 표시부(115) 중에서 발전기의 정상가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 정보를 표출하는 전압검출기(101)와,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온도 스위치(107)와, 제어스위치(109)의 4개 정보를 가지고 판단하게 된다.
만약, 발전기 시스템의 엔진(20)과 발전기(30)가 작동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발전기컨트롤러(100)상의 표시기가 오작동 또는 오프(OFF) 상태일 때는, 사용자는 상술한 상기 입력상태 표시부(115) 중에서 전압검출기(101)와,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온도 스위치(107)와, 제어스위치(109)의 4개의 표시기를 육안 관찰하여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비상시동부(300)를 가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때 비상시동부(300)를 가동한 이후에는 출력신호표시부(180)를 관찰하여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신호 표시기(184) 및 예열신호표시기(186)를 감시하여 엔진 및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시 또는 비상상황에서 일부 표시소자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에도 발전기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 시스템을 가동하기 위한 발전기 비상시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것은 S10: 발전기가 정상작동하는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 표시기가 고장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점검단계; S20: 상기 S10에서 입출력 표시기가 고장 또는 입출력 신호표시가 안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발전기의 출력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101)와, 엔진구동을 위한 연료의 압력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온도 스위치(107), 및 발전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09)가 신호를 표출하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를 눌러(ON) 가동하는 비상작동스위치가동단계; S30: 상기 S20의 가동에 의해 발전기가 가동될 때, 적어도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가 신호를 표출하는가를 확인하는 출력신호확인단계; 를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은 상태점검단계로, 발전기가 정상작동하는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 표시기가 고장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 및 감독자의 판단에 의해 발전기 및 엔진의 가동음이 정상인 경우에, 상술한 발전기컨트롤러(100)의 표시램프(기)가 정상적으로 점등표출되지 않거나 불량인 경우에는 비상스위치의 작동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상기 단계 S20은 비상작동스위치가동단계이며, 상기 S10에서 입출력 표시기가 고장 또는 입출력 신호표시가 안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발전기의 출력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101)와, 엔진구동을 위한 연료의 압력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온도 스위치(107), 및 발전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09)가 신호를 표출하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를 눌러(ON) 가동하는 단계이다. 이들 4가지 요소는 발전기 및 엔진이 정상적으로 가동됨을 나타내는 필수적인 표시기이다. 따라서, 비록 다른 표시기들이 소등(off)되거나 불량인 경우에도 상기한 4개의 표시기가 점등(on)이 되면 비상스위치를 눌러 발전기를 계속하여 가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전시 또는 기타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시에는 발전기의 임시 또는 비상가동시간을 조금이라도 더 늘려야하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 S30은 출력신호확인단계이며, 상기 S20의 가동에 의해 발전기가 가동될 때, 적어도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가 신호를 표출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비록 비상상황시에 발전기를 가동하더라도 엔진시동의 정상여부를 나타내는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소음에 의해 잘 알 수 없게 되는 엔진의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가 과열되는지의 여부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를 표시하는 예열신호표시기(186)의 점등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만약 이중에 어느 하나라도 정상이 아님을 나타낼 경우에는 즉시 가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은, 디지털 컨트롤러의 단일 제어시스템을 반 이중화하여 각각의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특히, 발전기의 특성상 낙뢰나 강우, 습도 등으로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데, 발전기의 비상 시동장치는 평상시에는 전원회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비정상인 경우에만 전원 공급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전원이 공급되는 주 장비의 보호를 위해 과전압 입력만 검출하고 보호하며, 엔진은 스위치 접점(저유압, 과온도)에 의해서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만일에 경우에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서 모두 무시하고 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컨트롤러 내부의 독립적인 최소의 공간 및 외부에 장착되어 비상시 시동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부가, 변형예를 안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연료탱크 20: 엔진
30: 발전기 40: 방열기(Radiator)
50: 공기정화기(Air Cleaner) 60: 소음기(Muffler)
70: 배터리(Battery) 75: 배터리 전압표시기
100: 발전기컨트롤러(Controller) 113: 비상작동 표시부
115: 입력상태 표시부
120: 제1MCU(Micro Control Unit) 130: 주전원 공급기
150: MCU 표시부 180: 출력상태 표시부
182: 시동신호표시기 184: 정지신호표시기
186: 예열신호표시기
200: 비상작동스위치 300: 비상시동부
320: 보조전원공급기 340: 제2MCU(Micro Controller Unit)
500: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Claims (3)

  1. 배터리와, 배터리의 점화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엔진과, 엔진 가동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엔진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와,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을 낮추기 위한 소음기와, 발전용 연료탱크 및, 발전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발전기컨트롤러(100)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70)에 병렬 연결되어 별도의 엔진 가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작동스위치(200)와; 상기 비상작동스위치(200)에 연결되고, 상기 엔진 점화용의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공급기(320)와,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MCU(Micro Controller Unit;MCU)(340)을 구비하는 비상시동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시동부(300)에 연결된 비상작동스위치(200)를 눌러 온(On) 상태로 할 때, 상기 발전기 시스템의 엔진의 정상 가동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작동을 위해 필요한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입력상태 표시부(115)와;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 및 정지상태의 출력신호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시동신호표시기(182)와, 정지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지신호표시기(184)와, 가동중인 발전기의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예열신호표시기(186)를 구비하는 출력상태 표시부(18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5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상태 표시부(115)는,
    적어도 발전기 시스템의 가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발전기의 출력 전압값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101)와,
    엔진구동을 위한 연료의 압력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료압력스위치(106)와,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온도 스위치(107), 및
    발전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110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500).

  3. 삭제
KR1020120087905A 2012-08-10 2012-08-10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KR101270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05A KR101270240B1 (ko) 2012-08-10 2012-08-10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05A KR101270240B1 (ko) 2012-08-10 2012-08-10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240B1 true KR101270240B1 (ko) 2013-05-31

Family

ID=4866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05A KR101270240B1 (ko) 2012-08-10 2012-08-10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48B1 (ko) * 2015-08-12 2016-03-17 (주)디에코에너지 비상 발전기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2011122B1 (ko) 2018-02-09 2019-08-16 (주)디오코인터내셔날 이동식 발전기가 내장되는 케이스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82B1 (ko) 2001-02-02 2003-08-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자 시스템내 이중화 제어기용 핫 백업 장치
JP2005061346A (ja) 2003-08-18 2005-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水車用調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82B1 (ko) 2001-02-02 2003-08-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자 시스템내 이중화 제어기용 핫 백업 장치
JP2005061346A (ja) 2003-08-18 2005-03-10 Mitsubishi Electric Corp 水車用調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48B1 (ko) * 2015-08-12 2016-03-17 (주)디에코에너지 비상 발전기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2011122B1 (ko) 2018-02-09 2019-08-16 (주)디오코인터내셔날 이동식 발전기가 내장되는 케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60B1 (ko) 비상발전기와 에너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전력관리 시스템
US7362005B2 (en) Isolated dual battery system
BRPI0720576B1 (pt) método e disposição para descarga de um sistema de armazenamento de energia para energia elétrica
CN210003391U (zh) 一种co监控系统
KR101270240B1 (ko) 비상시동부를 구비한 발전기 시스템
JP5154625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7783060A (zh) 飞机供电系统试飞方法
KR200454645Y1 (ko)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
KR20180022272A (ko) 화재시 발전전력을 자동 차단하는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발전설비
JP4640634B2 (ja) 自動点検機能付防災用照明器具および防災用照明器具制御システム
KR102058077B1 (ko) 자가 진단 지능형 발전기를 이용한 무인 안전 점검 시스템
CN111668919A (zh) 基于电动汽车蓄电阵列的多源应急供电系统及方法
CN202949388U (zh) 柴油发电机组控制系统
KR101314163B1 (ko) 무정전 디젤발전기
CN209822585U (zh) 一种安全型漏电保护开关
JP6017929B2 (ja) 移動電源車
CN212118863U (zh) 一种锂电池储能系统的消防预警装置
CN212649187U (zh) 基于电动汽车蓄电阵列和人力发电机耦合的应急供电系统
JP4315064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06019036A (ja) 非常用燃料電池発電装置の管理方法
US11401871B2 (en) Engine system
RU2471277C1 (ru) Способ аварий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ротивоаварийных систем опасног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ъек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166901U1 (ru)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высоконадежную цепь стартера
KR20180000862A (ko) 해양구조물의 기동 시스템
JP2020093884A (ja) 非常用電力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