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145B1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0145B1 KR101270145B1 KR1020110109285A KR20110109285A KR101270145B1 KR 101270145 B1 KR101270145 B1 KR 101270145B1 KR 1020110109285 A KR1020110109285 A KR 1020110109285A KR 20110109285 A KR20110109285 A KR 20110109285A KR 101270145 B1 KR101270145 B1 KR 1012701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veillance camera
- information
- camera
- location information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6—Characteristics of the server or Internal components of the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및 영상 취득 방법이 제공된다.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는,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위치정보 연산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GPS 등을 통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관한 CCTV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취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적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면서 감시카메라(CCT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적 결과를 통해서도 감시카메라가 많이 설치된 지역에서 중대범죄 발생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의 범죄 예방 효과 이외에도 실제 발생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증거 확보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 도로나 골목 이외에도 특정 건물 또는 대학교 캠퍼스 등 일정 범위에 한정된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도입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비디오 감시 시스템은 감시카메라, 연결성(Connectivity), 비디오 관리 시스템, 영상 저장장치, 비디오 분석 장치, 비디오 재생 장치 및 통합 관리 시스템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감시카메라라고 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정해진 구역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감시카메라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며, 실제 촬영 여부를 떠나서도 범죄 우려 지역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범죄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사용자 본인 또는 주변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종래에는 단순히 전화 등을 이용하여 주변 지인들이나 관련 기관에 신고하였지만, 이 경우 상대방이 긴급 상황에 대하여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관련 기관으로서는 실제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하며, 감시 시스템 상에서도 정확한 현장 영상을 촬영,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계속해서 동영상을 촬영하여야 하므로 현장에 오래 머무를 수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된 현장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면, 시스템 상에서 현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중에서 최적의 감시카메라를 선택하여 현장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바탕으로 구현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위치 측정이 필요하다.
사용자 및 현장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측위 기술로서 이동 통신망 기지국 셀 정보를 활용하는 네트워크 방식과 이동 단말에 장착된 GPS 수신기를 사용하는 GPS 측위 방식이 있다. 현재, GPS 측위 방식은 어느 정도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런 오차로 인해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2호에는, "위치인식에 의한 표적좌표 추적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추적영상감시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2호의 발명은 실시간으로 수신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이동물체의 위치검출과 자이로센서에 의한 좌표값 및 GPS 센서에 의한 위치인식값에 따른 위치검출 결과에 반응하는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현재 위치 또는 현장 위치를 이동 단말을 사용하여 전송하면 시스템에서 해당 위치 주변의 감시카메라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의 영상을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는,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위치정보 연산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연산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위도정보를 이용하여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위도정보, 경도정보, 고도정보, 현재 팬 각도, 현재 틸트 각도, 관찰가능거리, 촬영제한각도 및 카메라 네트워크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는 관찰가능거리가 최대인 감시카메라의 관찰가능거리를 기초로 탐색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대상위치로부터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까지의 거리인 대상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는 상기 촬영제한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 중에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고도정보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고도정보의 차이 및 상기 대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직이동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와 상기 대상위치의 대상수평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평이동각도를 결정하며, 상기 대상수평각도는 북쪽을 기준으로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대상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는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각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는 둘 이상의 이동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은, 특정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이동 단말, 특정위치를 촬영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에서 개시된 어느 하나의 영상 취득 서버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위치에 포커싱된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은, 단말 통신부가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연산부가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선택부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각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위도정보, 경도정보, 고도정보, 현재 팬 각도, 현재 틸트 각도, 관찰가능거리, 촬영제한각도 및 카메라 네트워크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로부터 관찰가능거리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위치가 상기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관찰가능거리가 최대인 감시카메라의 관찰가능거리를 기초로 탐색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위치로부터 상기 탐색영역 이내의 감시카메라까지의 거리인 대상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제한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 중에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고도정보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고도정보의 차이 및 상기 대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직이동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와 상기 대상위치의 대상수평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평이동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수평각도는 북쪽을 기준으로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대상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이동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으로 측정된 특정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및 영상 취득 방법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현재 위치 또는 현장 위치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면 시스템에서 해당 위치 주변의 감시카메라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의 영상을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감시 시스템의 이동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수평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수직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 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감시 시스템의 이동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수평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이동 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수직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서 감시카메라를 촬영대상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이동 각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이동 단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동 단말은 또한, 시스템,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이동 단말기,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불릴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PDA,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보안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100),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감시 카메라(300)를 제어하는 영상 취득 서버(200) 및 영상 취득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위치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인터넷 또는 전용 회선 등의 통신망(400)을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망(400)에는, 이동 통신망, 무선 인터넷 망, 유선 인터넷 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안 감시 서비스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을 통해 긴급 상황이 발생한 지점 또는 자신의 위치를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하고, 영상 취득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지점을 촬영 가능한 감시 카메라(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감시카메라(300)가 해당 위치를 정확히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취득 서버(200)는 선택된 각각의 감시카메라(300)에 대해 움직여야 할 팬 각도 및 틸트 각도를 계산하여 감시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감시카메라 조작정보는 각각의 감시카메라(300)로 보내지고, 감시카메라(300)는 조작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팬 각도 및 틸트 각도만큼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 정보는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관련 기관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 취득 정보(200) 및 이동 단말(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100)은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영상 취득 서버(2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이에 반응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1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위치인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100)에 포함된 GPS 모듈(110)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일 지점이 3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110)은 3 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국의 경우 대략적으로 북위 33°~38°, 동경 125°~131° 사이에 위치하며, GPS 모듈(110)을 이용하여 수집된 위치정보는 예를 들어 북위 37.30045284831746°, 동경 127.0399010181427°와 같이 소수점 이하를 가지는 세밀한 좌표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점 다섯 자리의 위치정보 데이터로 약 1미터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소수점 여섯 자리의 위치정보 데이터로 약 0.1미터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데이터를 소수점 다섯 자리 또는 여섯 자리까지의 데이터로 가공한 후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하여도 무방하다.
촬영하고자 하는 지점이 현재 이동 단말(100)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100)의 지도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가 지도로부터 특정될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지점을 신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각각의 GPS 위치정보 및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이동 단말(100)의 지향방향정보를 기초로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된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100)과 영상 취득 서버(2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100)이 연결되는 네트워크(4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푸쉬 요청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특정 사물 또는 특정 인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영상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사물 또는 특정 인물을 선택하여 선택된 사물 또는 인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영상정보로부터 특정 사물 또는 특정 인물을 식별하는 기술은 공지의 영상인식기술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카메라부(13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이동 단말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영상 취득 서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취득 서버(200)는 단말 통신부(210), 위치 정보 연산부(220), 감시카메라 선택부(230), 감시카메라 제어부(240) 및 감시카메라 선택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취득 서버(200)는 관리중인 모든 감시카메라들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영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대상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100)의 통신부(120)와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이동 단말과의 전송 품질을 보장하고,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등의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적응형 전송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연산부(220)는 단말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연산부(220)는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특정 지점의 위도값, 경도값 및 고도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정보에 포함된 위도 정보, 경도 정보, 고도 정보를 각각 Lat_Client, Lon_Client, Alt_Client 라고 하기로 한다.
위치 정보 연산부(220)는 위도 정보(Lat_Client)로부터 경도 1°에 해당하는 실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경도 1°에 해당하는 거리는 적도 부근에서 가장 길고, 극점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이로 인해 위도에 따라서 경도 1°에 해당하는 거리가 달라지므로 위치에 따라 경도 1°에 해당하는 값(단위위도당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위도가 북위 37°일 때 경도 1° 당 거리는 약 88903m 이다. 이 값은 적도를 기준으로 하여 지구 둘레가 40075017m 일 때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식 1) MperLon = (지구둘레길이 * sin(90 - Lat_Client))/360
위 식으로 구한 단위경도당 거리를 MperLon 이라 한다. Mperlon은 위도가 북위 38°일 때에는 약 87,720m이고, 위도가 북위 33°일 때에는 약 93,360m이다.
위도 1°당 거리는 MperLat 라고 하며, 위치에 따라 큰 오차 없이 약 110,950m이다.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관찰가능거리 이내에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대상위치가 포함되는 감시카메라(300)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위치 정보 연산부(220)를 통해 계산된 단위위도당 거리(MperLat), 단위경도당 거리(MperLat)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까지의 거리가 자신의 관찰가능거리, 다시 말해, 최대촬영거리 이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300)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후술할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의 감시카메라 목록 중에서 관찰가능거리가 최대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의 관찰가능거리를 기초로 탐색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감시카메라 목록 중에서 설정된 탐색영역 내에 위치하는 감시카메라(300)를 전부 선택하고, 선택된 감시카메라와 대상위치와의 거리인 대상거리(dist)를 계산한다. 또한, 선택된 감시카메라(300) 중에서 각 카메라별로 설정되어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촬영제한조건을 고려하여 대상위치를 촬영할 수 없는 감시카메라를 제외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대상거리(dist) 및 촬영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실제로 대상위치의 영상을 촬영할 감시카메라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감시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카메라의 해상도, 분해능 등의 성능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감시카메라를 선택할 수도 있다. 촬영대상위치에 대한 대상거리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감시카메라 제어부(240)는 선택된 감시카메라(300)를 이동시켜서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제어부(240)는 선택된 감시카메라(300)가 대상위치를 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한다. 카메라 조작정보에는 해당 감시카메라(30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 및 수직이동각도가 포함된다. 수평이동각도 및 수직이동각도의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생성된 카메라 조작정보는 감시카메라 통신부(250)를 통해 각각의 감시카메라(300)로 전송되고, 감시카메라(300)는 수신된 카메라 조작정보에 따라 카메라의 방향을 이동하여 대상위치를 촬영한다.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는 영상 취득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모든 감시카메라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는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의 위도 정보(Lat_Cam), 경도 정보(Lon_Cam), 고도 정보(Alt_Cam)를 가지고 있으며,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α), 현재 틸트 각도(β), 감시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최대거리인 관찰가능거리, 감시카메라 주변의 지형물로 인하여 감시카메라가 촬영할 수 없는 각도인 촬영제한각도 및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주소 등의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감시카메라에 관한 각종 정보들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각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감시카메라 통신부(250)를 통해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대상위치의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취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 단말(100)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한다(S100). 위치정보의 수집은 GPS 모듈(110)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위치정보에는 대상 위치에 대한 위도 정보(Lat_Client), 경도 정보(Lon_Client) 및 고도 정보(Alt_Client)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100)은 수집된 위치정보를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한다(S102). 대상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 영상 취득 서버(200)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위치와 감시카메라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영상 취득 서버(200)의 위치 정보 연산부(220)는 취득한 위치정보로부터 위도 정보(Lat_Client), 경도 정보(Lon_Client) 및 고도 정보(Alt_Client)를 추출한다.
이후, 위치 정보 연산부(220)는 상기 위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된 단위경도당 거리(MperLon)를 계산한다(S104). 단위경도당 거리는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상기 보정된 단위경도당 거리(MperLon) 및 단위위도당 거리(MperLat)를 기초로 대상위치 주변에 위치한 감시카메라를 선별한다(S106).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의 감시카메라 목록으로부터 최대 관찰가능거리를 가지는 감시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대상위치를 중심으로 최대 관찰가능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탐색영역을 설정한다. 이때, 탐색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반경은 임의로 선택해도 무방하다. 도 5에서 최대 관찰가능거리를 가지는 감시카메라는 감시카메라(300-1)이며, 삼각형으로 표시된 대상위치를 중심으로 감시카메라(300-1)의 관찰가능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탐색영역 내에는 5대의 감시 카메라(300-1 ~ 300-5)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이후, 탐색영역 내에 존재하는 감시카메라(300)를 모두 선택한다. 이를 위해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상기 보정된 단위경도당 거리(MperLon) 및 단위위도당 거리(MperLat)를 이용하여 대상위치로부터 각각의 감시카메라(300)까지의 거리인 대상거리(dist)를 계산한다. 대상거리는 도 7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도 7에서, 직교좌표의 중심을 감시카메라(300)라고 할 때, 감시카메라(300)와 대상위치간의 거리인 대상거리(dist)는 대상수평거리(dist_x) 및 대상수직거리(dist_y)를 이용하여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구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300)의 위도 정보 및 경도정보를 각각 Lat_Cam, Lon_Cam 이라고 할 때, dist_y 및 dist_x 는 다음과 같다.
(식 2) dist_y = (Lat_Client - Lat_Cam) * MperLat
(식 3) dist_x = (Lon_Client - Lon_Cam) * MperLon
식 2 및 식 3으로부터 대상위치와 감시카메라 사이의 대상거리(dist)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식 4) dist = √(dist_x2 + dist_y2)
식 2~4로부터 구해진 대상거리를 관찰가능거리와 각각 비교하여, 대상거리보다 관찰가능거리가 크다면 해당 감시카메라(300)를 선별한다.
이후, 선별된 감시카메라(300) 중에서 각 카메라별로 설정되어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촬영제한조건을 고려하여 대상위치를 촬영할 수 없는 감시카메라를 제외한다(S108).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선별된 감시카메라(300) 중에서 장애물 등에 의해 대상위치가 가려져서 대상위치를 촬영할 수 없는 감시카메라를 선별된 목록에서 제외시킨다. 도 6을 참고하면, 삼각형으로 표시된 대상위치는 감시카메라(300-6) 및 감시카메라(300-8)의 관찰가능거리 이내에 포함되며, 감시카메라(300-7)은 대상위치를 촬영할 수 없다. 또한, 감시카메라(300-6)은 기둥(10)에 의해 촬영이 제한되는 각도를 가지며, 감시카메라(300-8)은 인접한 건물(20)에 의해 촬영이 제한되는 각도를 가진다. 대상위치는 감시카메라(300-6)의 촬영제한조건에 포함되므로 감시카메라(300-6)를 통해서는 대상위치의 영상을 취득할 수 없다. 반면에, 대상위치는 감시카메라(300-8)의 촬영제한조건에는 포함되지 않으므로 감시카메라(300-8)를 이용하여 대상위치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가 촬영하지 못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파악되어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에 저장되며, 감시카메라 선택부(230)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로부터 해당 카메라에 관한 촬영제한조건을 제공받아 위와 같은 단계 S108을 처리한다.
감시카메라(300)를 기준으로 대상위치가 있는 방향에 지형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위치가 감시카메라(300)에서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도 7에서, 북쪽을 기준으로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대상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을 대상수평각도(θ)라고 하면, 대상 수평각도는 대상거리(dist) 및 대상수평거리(dist_x) 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식 5) θ = sin-1 (dist_x / dist) : (1/4 사분면)
도 7에서는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대상위치가 1/4 사분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는 식 5를 이용하여 대상수평각도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감시카메라를 기준으로 대상위치가 다른 사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기 다른 식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식 6) θ = 180 - sin-1 (dist_x / dist) : (2/4 사분면)
(식 7) θ = sin-1 (dist_x / dist) : (3/4 사분면)
(식 8) θ = -180 - sin-1 (dist_x / dist) : (4/4 사분면)
대상수평각도는 y측에서 우측에 있으면 양의 값, 좌측에 있으면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대상위치가 감시카메라 대비 어디에 위치하느냐는 대상수평거리(dist_x), 대상수직거리(dist_y) 값의 부호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st_x 값이 양, dist_y 값이 양이면 1/4 사분면, dist_x 값이 음, dist_y 값이 양이면 2/4 사분면, dist_x 값이 음, dist_y 값이 음이면 3/4 사분면, dist_x 값이 양, dist_y 값이 음이면 4/4 사분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해진 대상수평각도가 촬영제한조건에 포함되는 각이면 해당 감시카메라는 제외된다.
이후,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선별된 감시카메라(300)에 대하여 대상위치를 촬영하도록 각각의 감시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한다(S110).
구체적으로, 감시카메라 제어부(240)는 선별된 감시카메라(300)에 대하여 대상위치를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300)가 움직여야 하는 팬 각도 및 틸트 각도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감시카메라 제어부(240)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26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α) 및 현재 틸트 각도(β)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움직여야 하는 수평이동각도(Pmove) 및 수직이동각도(Tmove)를 계산할 수 있다.
영상 취득 서버(200)가 감시카메라(300)에게 명령을 내리기 직전에 감시카메라는 항상 정북 방향을 바라보고 있지는 않으며, 이전 명령을 받아서 회전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감시카메라(300)가 실제 회전할 수평 이동 각도(Pmove)는 다음의 식 9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식 9) Pmove = θ - α
예를 들어, 도 9에서, 대상위치가 3/4 사분면에 위치하고, 감시카메라(300)는 현재 1/4 사분면의 약 30°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300)가 수평으로 회전하여야 하는 각도인 수평이동각도(Pmove) 는 Pmove = (θ = -130°) - (α = 30°) = -160° 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160도 회전하면 된다.
또한, 도 10에서, 대상위치가 3/4 사분면에 위치하고, 감시카메라(300)는 현재 1/4 사분면의 약 70°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수평이동각도(Pmove) 는 Pmove = (θ = 220°) - (α = 70°) = 150° 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시계 방향으로 150도 회전하면 된다.
또한, 도 11에서, 대상위치가 4/4 사분면에 위치하고, 감시카메라(300)는 현재 3/4 사분면의 약 -120°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수평이동각도(Pmove) 는 Pmove = (θ = 130°) - (α = 240°) = -110° 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110도 회전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도 12를 참조하여 정리하면, 만일 Pmove가 음의 값이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해당 각도만큼 감시카메라를 회전시키며, 또한, Pmove가 양의 값이면 시계 방향으로 해당 각도만큼 감시카메라를 회전시킨다. 이때의 회전 각도는 180도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감시카메라(300)는 수평이동각도를 움직일 때마다 180도 이하의 각도로 움직이게 되므로, 더욱 빠르게 대상위치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300)가 상하로 움직일 수직 이동 각도(Tmove)는 감시카메라(300)의 현재 틸트 각도(β) 및 감시카메라(300)와 대상위치와의 각도인 대상수직각도(Ω)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우선, 감시카메라 제어부(240)는 위치정보의 고도정보(Alt_Clinet)와 선택된 감시카메라(300)의 고도정보(Alt_Cam)의 고도차인 dist_z 를 계산한다.
(식 10) dist_z = Alt_Cam - Alt_Client
이후, 도 13과 같이, 계산된 고도차(dist_z)와 대상거리(dist)로부터 해당 감시카메라(300)의 틸트 각도인 대상수직각도(Ω)를 계산할 수 있다.
(식 11) Ω = tan-1(dist_z/dist)
실제로 감시카메라(300)가 상하로 움직일 수직이동각도(Tmove)는 다음의 식 1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식 12) Tmove = Ω - β
예를 들어, 도 14에서, 측면에서 봤을 때, 대상위치가 감시카메라(300)보다 40° 아래에 있고, 감시카메라(300)는 수평보다 20° 높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실제로 틸트할 수직이동각도(Tmove)는 Tmove = (Ω = 40°) - (β = -20°) = 60°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카메라를 아래로 60도 틸트하면 된다. 참고로, 카메라가 지면 방향으로 틸트하는 경우에 +의 값을 가지게 되고, 하늘 방향으로 틸트하는 경우에 -의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5에서, 대상위치가 감시카메라(300)보다 60° 아래에 있고, 감시카메라(300)도 수평보다 40° 낮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실제로 틸트할 수직이동각도(Tmove)는 Tmove = (Ω = 60°) - (β = 40°) = 20°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카메라를 아래로 20도 틸트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 수평이동각도(Pmove) 및 수직이동각도(Tmove)를 이용하여 해당 감시카메라에 대한 조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카메라 조작 정보는 감시카메라 통신부(250)을 통해 해당 감시카메라(300)로 전송되며(S112), 감시카메라(300)는 수신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위치에 포커싱을 맞춘 후에 촬영을 개시한다(S114).
이후, 촬영된 영상 정보는 다시 영상 취득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S116).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긴급 상황시에 이동 단말을 통해 자신의 위치 또는 특정 위치를 알려주기만 하면, 영상 취득 서버에서 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에 관한 영상 정보를 정확히 포커싱하여 취득할 수 있어서, 정확도가 뛰어나고 편리한 보안 감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위치정보 연산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통신부 및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위도정보, 경도정보, 고도정보, 현재 팬 각도, 현재 틸트 각도, 관찰가능거리, 촬영제한각도 및 카메라 네트워크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는,
관찰가능거리가 최대인 감시카메라의 관찰가능거리를 기초로 탐색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대상위치로부터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까지의 거리인 대상거리를 계산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연산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위도정보를 이용하여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것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는,
상기 촬영제한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 중에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고도정보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고도정보의 차이 및 상기 대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직이동각도를 결정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와 상기 대상위치의 대상수평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평이동각도를 결정하며,
상기 대상수평각도는 북쪽을 기준으로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대상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위치정보 연산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는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각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인 것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에 있어서,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위치정보 연산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선택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감시카메라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는 둘 이상의 이동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으로 측정되는 것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
-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서버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이동 단말,
특정위치를 촬영하기 위해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조작 정보를 생성하는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 취득 서버 및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특정위치에 포커싱된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를 포함하는 보안 감시 시스템.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 있어서,
단말 통신부가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연산부가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선택부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각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카메라 선택부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에 대한 위도정보, 경도정보, 고도정보, 현재 팬 각도, 현재 틸트 각도, 관찰가능거리, 촬영제한각도 및 카메라 네트워크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감시카메라 정보 관리부로부터 관찰가능거리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위치가 상기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관찰가능거리가 최대인 감시카메라의 관찰가능거리를 기초로 탐색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위치로부터 상기 탐색영역 이내의 감시카메라까지의 거리인 대상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제한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영역 내의 감시카메라 중에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 가능한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된 고도정보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고도정보의 차이 및 상기 대상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직이동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현재 팬 각도와 상기 대상위치의 대상수평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의 수평이동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수평각도는 북쪽을 기준으로 상기 감시카메라와 상기 대상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도상의 특정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에 있어서,
단말 통신부가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연산부가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선택부가 상기 단위위도당 거리 및 단위경도당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대상위치가 관찰가능거리 이내인 감시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감시카메라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각도 및 상기 감시카메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각도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를 이동시켜서 상기 대상위치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조작정보를 상기 선택된 감시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이동 단말의 카메라의 방향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으로 측정된 특정위치에 관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인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285A KR101270145B1 (ko) | 2011-10-25 | 2011-10-25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285A KR101270145B1 (ko) | 2011-10-25 | 2011-10-25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925A KR20130044925A (ko) | 2013-05-03 |
KR101270145B1 true KR101270145B1 (ko) | 2013-05-31 |
Family
ID=4865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285A KR101270145B1 (ko) | 2011-10-25 | 2011-10-25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01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628B1 (ko) * | 2013-10-04 | 2014-05-07 | 안양시 |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76856B1 (en) | 2013-03-26 | 2019-08-14 | Sensity Systems Inc. | Sensor nodes with multicast transmissions in lighting sensory network |
EP2879371B1 (en) * | 2013-11-29 | 2016-12-21 | Axis AB | System for following an object marked by a tag device with a camera |
CN107079088A (zh) * | 2014-10-30 | 2017-08-18 | 赛西蒂系统股份有限公司 | 停车和交通分析 |
KR101890823B1 (ko) | 2018-04-03 | 2018-08-22 | (주)케이티피테크 | 360도 영상을 지원하는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
KR101977626B1 (ko) * | 2018-11-15 | 2019-05-13 | (주)대륙정보시스템 | Cctv 카메라 유지 보수 시스템, 그리고 cctv 카메라 유지 보수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CN110730332A (zh) * | 2019-10-14 | 2020-01-24 |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 一种嵌入式火气联动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4977A (ja) * | 2007-06-20 | 2009-01-08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監視カメラ選択装置、監視カメラ選択方法 |
KR101012281B1 (ko) * | 2010-09-27 | 2011-02-08 | (주)피앤씨네트워크 | 거점적 최적 영상 관제 시스템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285A patent/KR1012701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4977A (ja) * | 2007-06-20 | 2009-01-08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監視カメラ選択装置、監視カメラ選択方法 |
KR101012281B1 (ko) * | 2010-09-27 | 2011-02-08 | (주)피앤씨네트워크 | 거점적 최적 영상 관제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2628B1 (ko) * | 2013-10-04 | 2014-05-07 | 안양시 |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925A (ko) | 201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0145B1 (ko) | 위치정보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 |
WO2018161797A1 (zh) | 一种实现目标跟踪的方法、云台摄像机和监控平台 | |
JP2019201413A (ja) |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 |
US10210728B2 (en) | Method, server, system, and image capturing device for surveillance | |
KR101436223B1 (ko) | 궤적 기반 위치 결정을 이용한 이미지 식별 | |
US9341483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estimation | |
KR101248054B1 (ko) |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100125409A1 (en) | User generated pedestrian and indoor shortcut routes for navigation systems | |
US2013028625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Image Telegraphy | |
KR20110132208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영역 인식 장치 및 방법 | |
US2017016195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based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guidance | |
JP5830729B1 (ja) | 携帯通信端末を所持するユーザーを自動もしくは手動にて撮影する撮影及び映像配信システム | |
KR101145543B1 (ko) |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5100731B (zh) | 一种移动视频监控系统的移动中心及移动视频监控方法 | |
CN106772234A (zh) | 一种摄像头与电磁波协同定位追踪的方法和系统 | |
KR20110071408A (ko) | 비콘 기반의 관심 이동체 위치추적 방법 | |
US201702083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a user whether or not they are within a camera's field of view | |
KR20130136311A (ko) | 긴급구조 관제서버, 긴급구조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639068B1 (ko) | 공간 정보 기반 감시카메라의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 |
CN109101044A (zh) |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天线信息采集及调整系统 | |
KR101619522B1 (ko) | 차량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473984B1 (ko)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현장 정보 수집 시스템 | |
KR101163651B1 (ko)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영상 푸쉬/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버 | |
US10701122B2 (en) | Video streaming stitching and transmitting method, video streaming gateway and video streaming viewer | |
CN105653664B (zh) | 一种可视化信息处理方法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