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141B1 - 소변기의 물 분배기 - Google Patents

소변기의 물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141B1
KR101270141B1 KR1020100139277A KR20100139277A KR101270141B1 KR 101270141 B1 KR101270141 B1 KR 101270141B1 KR 1020100139277 A KR1020100139277 A KR 1020100139277A KR 20100139277 A KR20100139277 A KR 20100139277A KR 101270141 B1 KR101270141 B1 KR 10127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rinal
metal cover
coupling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349A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김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102010013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1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기의 물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변기에 장착되어 물을 분배하는 분배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배기의 제작과정에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변기의 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변기(30) 벽면에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물공급관(31)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통시켜 흘려보내도록 물공급관(31)측과 결합되는 접속부(51)를 포함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40)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31)측과 결합 되어 물을 출수시키는 접속부(51), 이 접속부(51)와 상통하는 분배구(52)를 일체형으로 갖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내부몸체(50); 상기 내부몸체(50)의 외부와 결합 되어 전체 물 분배기(40)의 표면을 형성하는 금속커버(60); 상기 접속부(5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흘려 보내기 위하여 상기 금속커버(60)의 하단부를 따라 장방형으로 뚫려진 분배구(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변기의 물 분배기{Water dispenser of urinal for man}
본 발명은 소변기의 물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변기에 장착되어 물을 분배하는 분배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배기의 제작과정에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변기의 물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거주 및 상업시설 건물, 사무실 그리고 공공시설 등의 옥내에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별도의 소변기가 마련되어 있다.
소변기에는 위생과 청결 그리고 세척을 위해 세척수를 흘려 보낼 수 있는 밸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밸브 콕을 누르거나 돌려서 조작하는 수동 밸브식이 있고 근접 센서에 의해 사용 유무를 검출하여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세척수를 자동으로 흘려보낸 뒤 밸브를 닫아서 작동을 멈추게 하는 전자 감응형 자동 밸브식이 있다. 사용 편의성이 좋은 자동 밸브식이 널리 쓰인다.
자동 밸브식 소변기에는 밸브 제어를 위하여 센서를 비롯한 몇 개의 전장부품들이 실장 되고 밸브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에 전장부품과 밸브가 겉에서 보이지 않게 마감 처리되어 있다.
삭제
도 1은 소변기(10)에 설치되는 물 분배기(2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물 분배기(20)는 소변기(10)에 설치된 밸브(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물공급관(11)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소변기(10)의 내벽(12)에 고르게 분배하여 흘려보낼 수 있도록 소변기(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물공급관(11)으로부터 출수 되는 물을 고르고 균일하게 소변기(10)의 내벽(12)을 따라 흘려서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소변기(10)의 상부측 내벽(12)에는 물 분배기(20)를 결합하기 위한 물공급관(11)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소변기에 설치되는 종래의 물 분배기(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물 분배기(20)는,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기 위한 장방형으로 뚫려진 분배구(21)를 갖는 물 분배기 본체(22)와, 상기 물공급관(11)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물 분배기 본체(22)에 형성된 분배구(21)와 상통시켜 흘려보내도록 물공급관(11)측과 결합되는 접속부(23)로 구성된다. 접속부(23)는 결합을 위해 외경이 나사산(24)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물 분배기(20)는, 분배구(21)와 접속부(23)가 물 분배기 본체(22)에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복잡한 공정의 기계가공을 통해서 제작된다.
사용하는 재질도 기계가공성, 부식성 등을 감안하여 구리 주석 그리고 아연 합금을 포함한 고가의 금속합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니켈 크롬 도금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내부식성이 양호하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탄소강을 포함한 스테인레스계열의 금속은 기계가공성이 떨어져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물 분배기는 고가의 금속 사용에 따라 경제성이 낮다. 또한, 복잡하면서도 정밀한 기계 가공 그리고 도금공정 등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대량생산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변기에 장착되어 물을 분배하는 물 분배기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 제작을 통해 기계가공 없이 다양한 재료의 사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소변기의 물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의 물 분배기는,
소변기 벽면에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물공급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통시켜 흘려보내도록 물공급관측과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측과 결합 되어 물을 출수시키는 접속부, 이 접속부와 상통하는 분배구를 일체형으로 갖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내부몸체;
상기 내부몸체의 외부와 결합 되어 전체 물 분배기의 표면을 형성하는 금속커버;
상기 접속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흘려 보내기 위하여 상기 금속커버의 하단부를 따라 장방형으로 뚫려진 분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금속커버의 결합을 밀착 지지하는 상태로 유도할 수 있게 상기 금속커버에 대응되는 결합표면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물공급관측과 결합 되는 접속부가 일체형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 되어 구성되고,
상기 금속커버는, 상기 내부몸체의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표면과, 상기 내부몸체측 결합표면에 대응되어 안착 되는 내벽면과, 상기 바디의 결합표면측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내벽면에 돌설되어 결합표면에 매립되는 금속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내부몸체의 결합표면 두께살 부분의 외벽면을 감쌓아 가려주고 밀착시키기 위해 바디측 결합표면을 향하여 절곡된 플랜지면과, 상기 금속커버와 내부몸체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플랜지면에 형성된 합성수지 인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금속커버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금속커버에 형성되는 분배구는 금속커버의 플랜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변기에 장착되어 물을 분배하는 물 분배기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 제작을 통해 기계가공이 필요 없는 합성수지재료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의 사용으로 제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기의 분배기 제작에서 기계가공을 하지 않고 부품별 제작으로 생산성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분배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소변기의 물 분배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물 분배기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절취한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
도 5는 도 5(b)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분배기의 사용 상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물 분배기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분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절취한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 이다. 도 5는 도 5(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분배기의 사용 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물 분배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변기(30) 벽면에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물공급관(31)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통시켜 흘려보내도록 물공급관(31)측과 결합되는 접속부(51)를 포함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40)로 이루어진다.
주요 부분은, 물공급관(31)측과 결합 되어 물을 출수시키는 접속부(51), 이 접속부(51)와 상통하는 분배구(52)를 일체형으로 갖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내부몸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부몸체(50)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면 사출성형으로 일회의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개선되고 대량 제작도 가능하다. 나중에 금속커버(50)와 결합되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재료의 선택에서 경제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몸체(50)의 외부와 결합 되어 전체 물 분배기(40)의 표면을 형성하는 금속커버(60)가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커버(50)는 내식성이 우수한 판상형의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금형 성형작업을 통해 금속커버(50)를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일정 수준 유지할 수 있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그리고, 금속커버(60)에는 내부몸체(50)의 접속부(5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흘려 보내기 위하여 하단부를 따라 장방형으로 뚫려진 분배구(61)가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몸체(50)는, 금속커버(60)의 결합을 밀착 지지하는 상태로 유도할 수 있게 상기 금속커버(60)에 대응되는 결합표면(53)을 갖는 바디(54)와, 바디(54)로부터 돌출되어 물공급관(31)측과 결합 되는 접속부(51)가 일체형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커버(6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프레스 금형 성형으로 성형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커버(60)는, 내부몸체(50)의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표면(62)과, 내부몸체(50)측 결합표면(53)에 대응되어 안착 되는 내벽면(63)과, 바디(54)의 결합표면(53)측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내벽면(63)에 돌설되어 결합표면(53)에 매립되는 금속 보강리브(6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보강리브(64)는 금속커버(60)를 내부몸체(50)의 결합표면(53)에 밀착시킬 때 기계적 결합이 가능하며 내부몸체(50)의 경화 전 상태에서 금속커버(60)를 결합시키면 금속 보강리브(64)가 결합표면(53)의 두께살 부분에 밖혀 금속 보강리브(64)가 두께살에 매몰된 상태의 결합을 유지하여 경화 후 금속커버(60)와 내부몸체(50)간 결합력과 결합강도를 크게 한다.
또한, 금속커버(60)는, 내부몸체(50)의 결합표면(53) 두께살 부분의 외벽면(55)을 감쌓아 가려주고 밀착시키기 위해 바디(54)측 결합표면(53)을 향하여 절곡된 플랜지면(65)과, 금속커버(60)와 내부몸체(5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플랜지면(65)에 형성된 합성수지 인입공(6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커버(60)의 인입공(66)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내부몸체(50)를 경화 전 상태에서 금속커버(60)를 결합하여 내부몸체(5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일부가 인입공(66)을 따라 흘러들어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뚫어 놓은 구멍이다.
또한, 금속커버(60)에 형성되는 분배구(61)는 금속커버(60)의 하부측 플랜지면(65)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놓여 결합 외관이 나빠지지 않고 양호한 상태의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는, 구조적으로 2부분으로 분리된 부품 조합으로 구성되므로 내부식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재료의 선택을 통해 최소의 공정으로 제작을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내부몸체(50)를 제작하는 경우, 기계가공을 하지 않고 사출 성형에 의한 연속 반복적인 양산이 가능하다. 기계가공과 내식성이 좋은 고가의 금속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금속커버(60)는 내부몸체(50)와 달리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이므로 내식성이 좋고 표면 광택이 우수한 재료의 사용이 적합하다. 스테인레스계열의 강판은 가공및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도금 없이 일정한 광택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물 분배기의 외부 표면 처리재료로 적합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를 포함한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관 디자인 그리고 경제성, 프레스 가공 성형성 등에서 스테인레스계열의 강판이 적합하다.
스테인레스계열의 재질을 사용하여 금속커버(50)를 제작하는 경우, 프레스 성형으로 원하는 형상의 커버를 연속 반복적으로 양산이 가능하다.
한편, 합성수지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내부몸체(50)에 금속커버(60)를 결합하는 방법의 하나는 사전 제작된 금속커버(60)를 내부몸체(50)의 소성변형 전 단계, 즉 사출 성형 과정에서 적절한 온도 분위기를 선택하여 열적 결합하는 결합이 적합하다. 이러한 결합은 상호 결합에서 조여주는 수단, 분리된 것을 결합하는 수작업 과정, 그리고 부품을 운반하고 이송하는 작업 등을 일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식이 될 수 있다.
도 3에는 이와 관련하여 덧살에 해당하는 금속 보강리브(64)가 포함된 내용과 수지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인입공(66)이 나타나 있다.
금속 보강리브(64)는 내부몸체(50)와 금속커버(60)의 횡 방향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강화하고 지속시킨다.
인입공(66)은 내부몸체(50)와 금속커버(60)의 결합에서 도 5와 같이, 내부몸체(50)를 형성하는 수지의 일부가 들어가 경화된 상태에서 결합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결합 방법에 따라 금속커버(60)에 있는 금속 보강리브(64) 및 인입공(66)은 위와 같은 결합력에 관여하는 기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즉 내부몸체(50)의 경화 전 일정한 온도 분위기 상태에서 금속커버(60)를 내부몸체(50)에 결합하는 열접합을 포함하는 결합, 또는 금속커버(60)의 온도 분위기를 이용할 때 결합력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 분배기(40)를 소변기(30)에 부착한 사용 상태로서 표면은 금속커버(60)로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변기용 물 분배기의 제작에서 생산성을 개선하고 소재의 선택성 그리고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고효율 저비용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30:소변기
31:물공급관
40:물분배기
50:내부몸체
51:접속부
52:분배구
53:결합표면
54:바디
55:외벽면
60:금속커버
61:분배구
62:외부표면
63:내벽면
64:금속보강리브
65:플랜지면
66:인입공

Claims (6)

  1. 소변기(30) 벽면에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기 위하여 물공급관(31)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상통시켜 흘려보내도록 물공급관(31)측과 결합되는 접속부(51)를 포함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40)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31)측과 결합 되어 물을 출수시키는 접속부(51), 이 접속부(51)와 상통하는 분배구(52)를 일체형으로 갖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내부몸체(50);
    상기 내부몸체(50)의 외부와 결합 되어 전체 물 분배기(40)의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5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흘려 보내기 위하여 하단부를 따라 장방형으로 뚫려진 분배구(61)를 갖는 금속커버(6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몸체(50)는,
    상기 금속커버(60)의 결합을 밀착 지지하는 상태로 유도할 수 있게 상기 금속커버(60)에 대응되는 결합표면(53)을 갖는 바디(54)와, 상기 바디(54)로부터 돌출되어 물공급관(31)측과 결합 되는 접속부(51)가 일체형 합성수지 사출물로 성형 되어 구성되고,
    상기 금속커버(60)는,
    상기 내부몸체(50)의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표면(62)과, 상기 내부몸체(50)측 결합표면(53)에 대응되어 안착 되는 내벽면(63)과, 상기 바디(54)의 결합표면(53)측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내벽면(63)에 돌설되어 결합표면(53)에 매립되는 금속 보강리브(64)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내부몸체(50)의 결합표면(53) 두께살 부분의 외벽면(55)을 감쌓아 가려주고 밀착시키기 위해 바디(54)측 결합표면(53)을 향하여 절곡된 플랜지면(65)과, 상기 금속커버(60)와 내부몸체(5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플랜지면(65)에 형성된 합성수지 인입공(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커버(6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커버(60)에 형성되는 분배구(61)는 금속커버(60)의 플랜지면(6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의 물 분배기.
KR1020100139277A 2010-12-30 2010-12-30 소변기의 물 분배기 KR10127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77A KR101270141B1 (ko) 2010-12-30 2010-12-30 소변기의 물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77A KR101270141B1 (ko) 2010-12-30 2010-12-30 소변기의 물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49A KR20120077349A (ko) 2012-07-10
KR101270141B1 true KR101270141B1 (ko) 2013-05-31

Family

ID=4671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277A KR101270141B1 (ko) 2010-12-30 2010-12-30 소변기의 물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00A (ko) 2021-12-24 2023-07-03 강정훈 테플론을 이용한 절약형 클린 소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41A (ja) * 1999-04-22 2000-10-31 Inax Corp 小便器の洗浄装置
JP2006316544A (ja) 2005-05-13 2006-11-24 Inax Corp スプレッダー、小便器、大便器、浴槽及び浴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541A (ja) * 1999-04-22 2000-10-31 Inax Corp 小便器の洗浄装置
JP2006316544A (ja) 2005-05-13 2006-11-24 Inax Corp スプレッダー、小便器、大便器、浴槽及び浴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49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781B1 (ko)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US8931500B2 (en) Two handle centerset faucet
KR101286410B1 (ko) 싱크대용 수전
CN106065965B (zh) 一种注塑成型的龙头主体及其制作方法
WO2011094510A1 (en) Plastic construction for decorative spout
KR101270141B1 (ko) 소변기의 물 분배기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KR101102126B1 (ko) 플라스틱 수도꼭지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US20090324329A1 (en) Manhole Cover for Preventing Inflow of Bad Smell and Harmful Insect
KR102039226B1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CN208634465U (zh) 一种无金属污染物析出的铸造锌合金水龙头
WO2013119844A1 (en) Plastic sink, toilet bowl, urinal, bath tub, drinking fountain modules
CN202561187U (zh) 一种水龙头
US20050145725A1 (en) Shower head
KR20200072887A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CN201507719U (zh) 龙头分体式阀座
CN210169945U (zh) 一种多功能盖板组
CN217815114U (zh) 一种冷热二联龙头
KR200491017Y1 (ko) 수도꼭지용 편심 유니온
CN215806524U (zh) 一种单联式可调水量快速出水龙头
CN209725296U (zh) 新型分体水龙头
KR200448064Y1 (ko) 세면대용 수도꼭지의 이음쇠
US20160060851A1 (en) Water outlet structure of a dual-connected faucet inner core
KR200423808Y1 (ko) 금속재가 내재된 합성수지재 수도미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