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356B1 - 다목적 펫 하우스 - Google Patents

다목적 펫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356B1
KR101269356B1 KR1020120103023A KR20120103023A KR101269356B1 KR 101269356 B1 KR101269356 B1 KR 101269356B1 KR 1020120103023 A KR1020120103023 A KR 1020120103023A KR 20120103023 A KR20120103023 A KR 20120103023A KR 101269356 B1 KR101269356 B1 KR 10126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housing
state
coupl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12010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다목적 펫 하우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 펫 하우스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이 제한 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상태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적인 상황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펫 하우스{MULTI-PURPOSE PET HOUSE}
본 발명은 다목적 펫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개, 고양이 등 각종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실외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하던 과거와 달리 근래에는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이 편안하게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애완동물용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시설물이 제공되고 있으나, 애완동물에게 안락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육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펫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있다.
나아가, 위생적인 측면에서 애완동물을 적절히 목욕시켜야 함에 불구하고, 종래에는 효과적인 목욕 시설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이 종종 목욕에 거부반응을 일으켜 목욕에 대한 사육자의 부담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효과적인 목욕시설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펫 하우스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이 제한 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상태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제1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급수기(waterer)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제2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샤워헤드(shower head)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캐노피(canopy)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전후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세척액이 배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drain)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펫 하우스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제1 상태와,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하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도롤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의 구성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10, pet house)는, 제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는, 하우징(20, housing)의 일측에 마련된 출입구(23)를 통하여 애완동물이 제한 없이 출입할 수 있는 상태에 일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의 일상적인 주거를 위하여 펫 하우스(10)가 제공되는 경우가 제1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상태에서, 애완동물은 출입구(23)를 통하여 자유롭게 입출할 수 있다. 출입구(23)는, 하우징(20)의 적어도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출입구(23)는, 애완동물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하우징(2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출입구(23)에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 상측으로 연장된 출입턱이 존재하여, 하우징(20)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일정 정도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안락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두께의 매트(mat)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에는 급식기(30)가 위치될 수 있다. 급식기(30)는,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급식기(30)는, 애완동물의 사료가 일정한 조건하에서 자동으로 급여되는 자동 내지 반자동 타입일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상측에는 캐노피(40, canopy)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상측에 결합된 캐노피(40)는, 하우징(20)의 내부 일정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한 애완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캐노피(40)는,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및/또는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40)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일측에는 홀더(50, holder)가 하우징(20)과 제1 각도(a1)를 이룬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홀더(50)는, 하우징(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바(bar)일 수 있다. 홀더(50)는, 하우징(20)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 하우징(20)에 대한 홀더(5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홀더(50)는,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신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길이가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애완동물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적절하도록 홀더(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과 제1 각도(a1)를 이룬 홀더(50)에는 급수기(60, waterer)가 부착될 수 있다. 급수기(60)는, 홀더(50)에 마련된 커넥터(connector)에 결합되는 형태로 홀더(50)에 부착될 수 있다. 급수기(60)는, 애완동물이 급수기(60)의 배수관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급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관은 구슬 등으로 평소에는 폐쇄(close)되고, 애완동물의 혀 등으로 터치되어 구슬이 밀려 올라가는 경우에 개방(open)되어 식수가 급수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급수기(60)의 몸체는 투명 내지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남은 물의 양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10)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하우징(2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70, 80)를 통하여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에 대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사육자가 애완동물을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펫 하우스(10)가 제공되는 경우가 제2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상태에서, 애완동물은 가이드 부재(70, 80)에 의하여 좌우 및 전후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 80)는, 제1 가이드 부재(70)와 제2 가이드 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0)는, 하우징(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70)는 2개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제1 가이드 부재(70)의 이격 간격은,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견의 경우라면 해당 소형견의 목 부분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1 가이드 부재(70) 간의 이격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중대형견의 경우라면 해당 중대형견의 목 부분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1 가이드 부재(70) 간의 이격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가이드 부재(70)를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목욕시키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좌우방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80)는, 하우징(2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바닥면에 결합된 제2 가이드 부재(80)는, 전후 방향 특히 애완동물의 후방으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좌우 움직임은 애완동물의 목 주위에 위치한 제1 가이드 부재(7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 내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애완동물은 뒷걸음으로 하우징(20)을 벗어나야 한다. 애완동물이 뒷걸음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애완동물의 뒷다리는 제2 가이드 부재(80)에 간섭될 수 있다. 즉, 뒷다리의 움직임이 제2 가이드 부재(8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뒷다리가 제2 가이드 부재(80)에 의하여 제한되면, 애완동물은 더 이상 뒤로 물러설 수 없다. 따라서 사육자는 애완동물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노력 없이도 하우징(20) 내부에 애완동물이 안정적으로 자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80)는, 애완동물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홀더(50)는 하우징(20)과 제2 각도(a2)를 이룬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의 제1 각도(도 1의 a1)보다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 제2 각도(a2)의 위치에 홀더(50)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20)에 대해서 제2 각도(a2) 만큼 회전된 위치에 있는 홀더(50)에는, 샤워헤드(90)가 결합될 수 있다. 샤워헤드(90)는, 제1,2 가이드 부재(70, 8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 애완동물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홀더(50)에 샤웨헤드(90)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세척액 분사와 관계없이 사육자의 두 손은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는 보다 편리하게 애완동물의 목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하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2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배수공(26)은,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마련된 관통공일 수 있다. 하우징(20)은,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태에서 세척액이 분사되어도 하우징(20)이 젖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 제1 상태에서 하우징(20)을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 바닥면에 마련된 배수공(26)을 통하여, 하우징(20) 내부로 분무된 세척액이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20)에는, 복수의 지지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2)는 하우징(20)의 모서리 각각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되어, 하우징(20)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2)의 바닥면에는, 고무 재질의 논슬립(nonslip) 부재(24)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에 대한 목욕이 진행되는 욕실 환경에서도 하우징(2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목욕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의 사용 상태도롤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10)는, 제2 상태에서 애완동물(100)에 대한 목욕을 진행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애완동물(100)은 제1,2 가이드 부재(70, 8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의 목 부분의 좌우에 위치한 제1 가이드 부재(70)와 애완동물(100)의 뒷다리 후방에 위치한 제2 가이드 부재(80)에 의하여, 애완동물(100)의 좌우 및 전후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목욕 중 애완동물(100)이 하우징(20) 내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홀더(50)는 제2 각도(도 2의 a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홀더(50)에는 샤워헤드(90)가 부착될 수 있다. 사육자가 샤워헤드(90)를 파지해야할 필요가 없음으로 인하여, 사육자는 보다 자유롭게 목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의 구성품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10)는, 사육자의 필요에 따라서 펫 하우스(10)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의 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1 상태와, 애완동물의 목욕실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상태 중 하나의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상태에서, 홀더(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급수기(6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급식기(30)가 하우징(20)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우징(20)의 상부에는 캐노피(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홀더(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샤워헤드(9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2 가이드 부재(70, 80)가 하우징(20)의 상부와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태와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손쉽게 전환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사육자는 보다 편리하게 애완동물을 사육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펫 하우스(10)는, 펫 하우스(10)에 다양한 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펫 하우스(10)에 부착되는 캐노피(40)는, 캐노피(40)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양(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양(45)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위치하게 될 애완동물이 보다 아늑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는 최초 위치로 복귀시켜 애완동물의 입출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펫 하우스(10)에는, 자동 급양기(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자동 급양기(35)는 급식기(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자동 급양기(35)는, 일정한 주기로 애완동물의 사료를 급식기(30)로 배출할 수 있다. 사육자는, 필요에 따라서 자동 급양기(35)를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펫 하우스(10)에는, 각종 전장물(8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장물(85)은, 펫 하우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애완동물의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라서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전장물(85)은, 펫 하우스(10)의 바닥면에 위치한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공은, 배수공(도 3의 26)을 겸할 수 있다. 전장물(85)이 결합공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애완동물의 이동 및/또는 펫 하우스(10)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도 전장물(85)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펫 하우스(10)의 홀더(50)는 커넥터(55)에 1차로 결합된 후 하우징(20)에 2차로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55)는, 홀더(50)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홀더(5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하우징(2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펫 하우스 20: 하우징
30 : 급식기 40: 캐노피
50 : 홀더 60 : 급수기
70 : 제1 가이드 부재 80 : 제2 가이드 부재
90 : 샤워헤드

Claims (5)

  1.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벽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마련된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이 제한 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1 상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애완동물의 목주위에 위치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애완동물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재와, 하우징의 바닥면 일정 위치에 결합되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결합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애완동물의 뒷다리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애완동물에 대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목욕실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경 가능하며,
    제 1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착탈이 가능한 캐노피가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 일정 영역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에서는 급수기(waterer)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샤워헤드(shower head)가 장착되되,
    상기 홀더의 일측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된 커넥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급수기의 배수관 내부에는 구슬이 배치되어 애완동물이 급수기의 배수관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급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차폐영역이 확장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최초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차양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급식기와, 상기 급식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급식기로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는 급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펫 하우스.
  5. 삭제
KR1020120103023A 2012-09-17 2012-09-17 다목적 펫 하우스 KR10126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23A KR101269356B1 (ko) 2012-09-17 2012-09-17 다목적 펫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23A KR101269356B1 (ko) 2012-09-17 2012-09-17 다목적 펫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356B1 true KR101269356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23A KR101269356B1 (ko) 2012-09-17 2012-09-17 다목적 펫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3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21B1 (ko) 2013-05-10 2014-05-15 서행자 다목적 펫 하우스
CN107751017A (zh) * 2017-10-27 2018-03-06 德清轩轩工艺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宠物澡盆
KR20220009751A (ko) * 2020-07-16 2022-01-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라이트 테라피 목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7103A1 (en) * 2010-06-02 2011-12-08 Li Lai Den Industrial Co., Ltd. Pet bathtu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7103A1 (en) * 2010-06-02 2011-12-08 Li Lai Den Industrial Co., Ltd. Pet bathtub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21B1 (ko) 2013-05-10 2014-05-15 서행자 다목적 펫 하우스
CN107751017A (zh) * 2017-10-27 2018-03-06 德清轩轩工艺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宠物澡盆
KR20220009751A (ko) * 2020-07-16 2022-01-2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라이트 테라피 목욕기
KR102437932B1 (ko) 2020-07-16 2022-08-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라이트 테라피 목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421B1 (ko) 다목적 펫 하우스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US4020796A (en) Portable animal bathing apparatus
US5678511A (en) Bathing device for pets
US4316433A (en) Animal washing stand
US20120037085A1 (en) Enclosed bathing apparatus for animals
KR101269356B1 (ko) 다목적 펫 하우스
CN203897010U (zh) 一种羊用喷淋式药浴房
KR20110110519A (ko)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US7836854B1 (en) Pet bathing apparatus
KR200468228Y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US20140299066A1 (en) Shield for use in animal bathing
KR20190056271A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US11388886B2 (en) Bathing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JP6116944B2 (ja) ペット用洗浄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洗浄器具セット
KR101377310B1 (ko) 애완동물의 샤워장치
KR102186224B1 (ko) 애완동물용 욕조
KR102308842B1 (ko) 반려동물용 하우징
KR20100008637U (ko) 애완동물의 목욕장치
KR200325503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CN105210915A (zh) 能够固定淋浴喷头的宠物洗澡盆
CN202232475U (zh) 宠物笼
WO2016162730A1 (en) Enhancement in mobile shelter for dogs
KR102294854B1 (ko) 애완견 미용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