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333B1 -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333B1
KR101269333B1 KR1020110075033A KR20110075033A KR101269333B1 KR 101269333 B1 KR101269333 B1 KR 101269333B1 KR 1020110075033 A KR1020110075033 A KR 1020110075033A KR 20110075033 A KR20110075033 A KR 20110075033A KR 101269333 B1 KR101269333 B1 KR 10126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container
temperature
heating mean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407A (ko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이강메디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메디칼(주) filed Critical 이강메디칼(주)
Priority to KR102011007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3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11Feeding-tubes for delivery of nourishment to the mouth; Mouth 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8Sensor means, e.g. for sensing reflux, acidity 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6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fl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와,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채워진 음식물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되는 저장용기; 상기 가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공급 및 온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스위치 및 외부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인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저장용기에 연결되어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공급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 및 배출시키는 피드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액상의 음식물이 채워진 저장용기를 통해 환자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편리하게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용자는 물론이고 보호자나 간병인 등 주변인들의 편리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An apparatus with heating means for food and drink}
본 발명은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음식 섭취가 어려운 환자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액상의 음식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뿐만 아니라 보호자나 주변인들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중상을 입어 입원하는 환자들의 경우, 일정기간 신체를 움직일 수 없거나 움직일 수 있더라도 그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인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중환자들에게도 신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중환자들의 경우 정상인과 동일한 일반적인 식사는 어렵기 때문에 이들에게 제공되는 음식물은 미음과 같은 액상형태의 음식물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음식물을 중환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경이 큰 주사기로 음식물을 흡입하여 호스나 관의 말단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주사기의 음식물을 강제로 압출시켜서 환자의 신체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제적으로 음식물을 투여하는 환자들의 경우 소화력이 약해 소화흡수가 잘될 수 있도록 일정한 온도로 음식물을 데워서 주사기 주입을 하였으며, 음식물을 데우기 위해서는 각 병동에 마련된 취사실 등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병실과 취사실이 떨어진 경우에는 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이 수시로 취사실을 왔다갔다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데워서 사용할 때도 용기에 채워진 음식물이 환자에게 적합한 온도로 데워졌는지 육안으로는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손으로 용기를 만져보거나 시식을 먼저 해보고 적정한 온도로 맞춰졌는지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이 미리 확인한 후에 환자에게 제공하였었다.
그러나, 촉감이나 미감에 의해 음식물이 적정하게 데워졌는지 확인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의 개개인의 특성상 서로 다른 느낌을 감득하기에 환자들에게 가장 최적한 온도로 음식물을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이 시식한 후에 그 음식물을 환자에게 제공하므로 환자에게 2차 감염의 위험이 있었으며, 반대로 환자로부터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이 유해한 병균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도 상존하였었다.
또한, 이와 같이 주사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음식물을 주입하는 양이 작으면서 시간은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보호자나 간호사, 간병인들은 환자에게 음식물을 제공하는 동안 식어버린 음식물을 데우기 위해 또다시 취사실을 다녀오거나 장시간 동안 음식물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했었다.
또한, 기본 음식물을 제공한 후에는 환자에게 필요한 물이나 약물 등을 추가로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회에 걸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물이나 약물 등을 제공하는 번거러움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이러한 불편함 이외에도 적정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으로 환자가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환자가 병에서 쾌유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또한, 병원의 환자 이외에도 신체부자유자나 경로자 등이 있는 양로원이나 보육시설, 요양보호원, 일반 가정 등에서도 신체부자유자들에게 음식물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큰 불편함이 많이 발생되었다.
물론, 근래에 대형 병원 등에서는 음식물이 채워진 밀봉팩을 호스로 연결하여 환자의 구강이나 비강내로 설치된 호스에 연결하여 중력에 의해 음식물이 인출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일일이 환자의 입에 음식물을 떠 넣는 불편한 방법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환자에서 음식물을 제공하기 전에 음식물이 든 팩을 데워서 환자에게 제공하였으나, 환자에게 음식물을 제공하는 동안 밀봉팩에 채워진 음식물은 식어서 환자가 섭취하여 소화시키는데 부담을 주는 것은 역시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상의 음식물을 환자 또는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용자는 물론이고 보호자나 간병인 등 주변인들의 편리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일정한 온도로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신체에서 가장 잘 흡수될 수 있는 적정온도가 유지된 음식물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신체 흡수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빠른 쾌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장소에 무관하게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환경과 시설, 이용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예는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와,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채워진 음식물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가 구비된 저장용기; 상기 가열수단과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져 가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각종 전기소자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공급 및 온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마개를 관통하여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공급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기기의 동작을 위한 동작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 및 배출시키는 피드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음식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상단부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의 수용부가 형성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저면에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각종 전기소자가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가열수단의 전원공급 및 온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스위치 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마개역할을 겸하는 히팅지지체; 상기 히팅지지체가 결합된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된 히팅지지체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상기 히팅지지체에 전원공급을 하는 전원공급제어부; 상기 히팅지지체를 통해 연결되어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기기 동작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 및 배출시키는 피드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가열수단은 공급된 전원으로 발열되는 발열체가 내부에 구비된 일정길이의 히터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용기에 채워진 음식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열수단이 제1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의 저면에 구비될 경우 상술한 히터봉 이외에도 저장용기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가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저장용기에 채워진 음식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 또는 상기 가열수단에는 저장용기의 내부에 채워지는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충진되는 음식물의 용량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저장용기의 외측표면에 눈금표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히팅지지체에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음식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표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온도표시수단은 음식물의 온도를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고온·적정·저온으로 구분하여 각 온도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복수개의 발광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의 흡입부와 배출부에는 음식물의 흡입 및 배출시에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피드펌프의 흡입부 는 저장용기의 내부구조, 즉 다수개의 수용부로 분할 구성된 경우 각각의 분할된 수용부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흡입부에는 복수개의 흡입분기관이 연결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는 저장용기 내부 또는 저장용기와 접촉되어 신체의 흡수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저장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열 또는 유지시키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이용자의 섭취 및 섭취후 소화흡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건강을 빠르게 쾌유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 적절한 온도의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해 주변인들이 겪는 불편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는 사용장소에 무관하게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환경과 시설,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의 동작상태에 대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절단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와 전원공급제어부의 결합상태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에서 채워진 음식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발열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저장용기와 연결되어 강제로 음식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피드펌프를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후술하는 각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에 채워진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은 바람직한 수단으로 막대형상의 히터봉이나 평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의 설치 위치는 막대형상의 히터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의 바닥면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설치되거나, 제2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의 마개역할을 하는 히팅지지체의 내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가열수단이 평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3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발열되는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조절기능과 전원 공급제어를 위한 각 기능스위치와 전원입력단자 등이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히팅지지체 등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조작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저장용기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이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히팅지지체에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온도표시수단으로는 설정된 온도에 따라 고온, 적정, 저온의 상태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복수개의 엘이디로 구성되고, 저장용기 내의 음식물을 환자 또는 이용자에게 공급하는 상기 피드펌프는 음식물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복수개 구비하여 환자 또는 이용자에게 서로 다른 음식물의 공급이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제어부나 히팅지지체에 외부 상용 교류전원을 기기에 사용가능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충전기나, 휴대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축전지 및 기본적인 전자회로 등은 통상의 공지된을 응용하여 간단히 실현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주요구성의 동작관계를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저장용기(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저장용기(10)는 그 재질이 인체에 안전한 투명재의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되, 특히 고온에 강한 PE계열의 합성수지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용기(10)의 표면이나 내면에는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의 용량을 파악하기 위한 눈금표시부(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단에는 음식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에는 상기 수용부(14)를 밀폐시키는 마개(1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마개(12)에는 후술하는 피드펌드(40)의 흡입부(42)와 연결가능하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15)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5)에는 상기 흡입부(42)의 연결시 음식물의 누출이나 이물질의 침투방지, 흡입부의 이탈방지 등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패킹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에는 음식물의 소모상태를 감지하는 잔량감지센서가 추가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전원공급제어부(30)에 설치가능한 알람발생수단을 통해 음식물이 기준량 이하로 소모될 때 알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는 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의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인체안전성이 확보된 PE계열의 플라스틱제질로 이루어지고, 그 크기는 사용하는 이용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제작되어도 무관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는 스스로 거동이 불편하고 소화흡수력이 약하며 수족(手足)의 사용에 제한이 있는 신체가 불편한 지체자나 중환자, 노약자 등에게 음식물을 제공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어서, 통상 상기 저장용기(10)에는 미음과 같이 반고형(半固形) 또는 액상의 음식물이 채워져 사용되게 된다.
또한, 음식물이 채워지는 상기 저장용기(10)에는 그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수단(20)이 설치되는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수단(20)으로 저장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막대형 히터봉이 수직 설치되어 공급된 전기로 열이 발생되어 수용부 내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히터봉 이외에도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방법이 가열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가열수단(20)으로 제공되는 히터봉에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도시생략)가 내부에 내장된 후에 외부코팅이 이루어져 발열체에서 발열하는 열이 저장용기(10)의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열수단(20)에는 상기 저장용기(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2)가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10) 내부의 음식물에 대한 온도정보를 상기 저장용기(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제어부(3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도센서(22)는 상기 가열수단(20) 이외에 저장용기(10)의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제어부(30)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장치에 사용가능한 안정된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결합되는 충전기(36)와, 상기 충전기(36)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저장용기(10)에 공급하면서 상부에 상기 저장용기(1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고정대(3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대(32)에는 충전기(36)에 연결되어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도시생략)와 상기 저장용기(10)가 안착되어 저장용기의 하단으로 일부 노출된 가열수단(20)의 연결단자(24)와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접속부재(38)가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대(32)의 일측에는 입력전원 제어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스위치(34), 즉 전원온프스위치(34a), 온도조절스위치(34b), 보온기능스위치(34c), 소독기능스위치(34d)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대(32)의 내측에는 충·방전기능이 구비된 축전지(33)와, 상기 온도센서(22)에서 감지된 온도의 고저를 표시하여 이용자가 저장용기(10)의 음식물에 대한 온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표시수단(31)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용기(10)에 잔량감지센서가 설치된 경우 이 감지센서에 연동하여 동작되는 알람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일정량 이하로 음식물이 소진될 경우 알람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표시수단(31)의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온도센서에서 제공된 온도정보에 따라 고온, 적절, 저온의 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엘이디모듈이 구성되며, 상기 온도표시수단(31)이나 축전지(33) 등은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이 구비된 회로기판(35)과 함께 하부고정대(32)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표시수단(31)의 발광체로 엘이디모듈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온도센서(31)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고온, 적절, 저온의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서로 다른 색상의 적색, 황색, 녹색 엘이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엘이디 색상이 적색으로 점등된 경우는 음식물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고온(38℃ 초과) 상태를 표시하고, 엘이디 색상이 황색으로 점등된 경우에는 음식물의 설정온도가 환자 등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적절한 온도(35~38℃)를 표시하고, 엘이디 색상이 녹색으로 점등된 경우는 음식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35℃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이용자가 상기 온도표시수단(31)에서 표출되는 엘이디 점등색상을 보고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에 대한 온도를 쉽게 파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에 구비되는 상기 기능스위치(34)는 전원공급제어부(30)에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34a)와, 상기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스위치(34b)와, 상기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을 설정된 기준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열수단(20)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온기능스위치(34c)와, 저장용기(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 저장용기 내부에 채워진 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저장용기(10)의 내부 소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독기능스위치(34d)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 기능스위치는 필요에 따라 통합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나의 킷트로 제작되거나 추가의 기능스위치를 부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5)에 구비되는 축전지(33)는 2차 전지로 구성되어 별도의 외부전원공급 없이도 일정시간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휴대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 상용전원을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전원으로 변환,정류하는 충전기(36)는 통상 전기제품에 많이 이용되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피드펌프(40)는 상기 저장용기(10)의 수용부(14)에 채워진 음식물을 강제로 인출하여 이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 상기 피드펌프(40)에는 음식물을 흡입하는 흡입부(42)와, 흡입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44)가 구비되고, 음식물의 흡입과 배출을 위한 펌프구동제어부(46)와 외부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인입부(41) 및 동작 온/오프스위치(41a)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부(42)는 두 개 이상, 즉 서로 다른 음식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동시에 구비되어 약물이나 음식, 물 등을 각각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개(12)의 관통공(15)을 통해 저장용기(10)의 수용부(14)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며, 상기 흡입부(42) 및 배출부(44)는 일정길이의 탄력성 있는 호스나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44)는 상기 흡입부(42)로 공급된 음식물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배출시키는 것으로, 환자 등의 이용자에게 설치된 호스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비교적 탄력성이 우수한 호스나 연결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구동제어부(46)는 상기 흡입부(42)로 강제 흡입되는 음식물의 양이나 시간 등을 제어하여 이용자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펌프구동제어부(46)에는 펌프구동시간이나 동작 전원 제어를 제작시 일정하게 셋팅하거나 별도로 이용자의 상태에 따라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도시안됨)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부(42)와 배출부(44)의 용량과 성능을 고려하여 제작시 피드펌프의 성능이 셋팅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는 도 3의 블럭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이 전원공급제어부(30)를 통해 전원공급제어부(30)의 상단에 결합된 저장용기(10)의 가열수단(2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데, 전원공급시 이용자는 전원공급제어부(30)의 일측에 구비된 기능스위치(34)를 조작하여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저장용기(10)의 내부에 제공된 음식물을 채운 후에 기능스위치(34)중 보온기능스위치(34c)를 조작하게 되면, 전원공급제어부(30)에서 저장용기(10) 내측의 가열수단(20)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서 가열수단(20)이 발열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20)의 발열로 가열수단(20)의 주변에 있는 음식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이 데워지게 되고, 가열수단(20) 또는 저장용기(10)의 내측면에 구비된 온도센서(22)에서는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하여제어부(35)로 온도정보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35)에서는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기준치에 온도가 다다를 경우,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에서 가열수단(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이 설정된 온도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음식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온도센서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35)에서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에서 가열수단(20)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열수단(20)의 발열을 통해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센서(22)에서 감지되는 음식물의 적정온도는 인체의 소화흡수력이 가장 우수하고 가장 좋은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35~38℃를 기준온도 범위로 하여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의 제어부(35)는 온도센서(22)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온도표시수단(31)으로 신호를 보내고, 온도표시수단(31)에서는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고온, 적절, 저온의 상태를 표시하는 3개의 엘이디, 온도가 높은 상태(38℃ 초과)는 적색 엘이디, 온도가 적정한 상태(35~38℃)에서는 황색 엘이디, 온도가 낮은 상태(35℃ 미만)에서는 녹색 엘이디가 각각 점등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의 온도를 각 색상별로 점등되는 엘이디를 보고 사용 적정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 내의 음식물이 차가운 경우에는 상기 기능스위치(34)중 보온기능스위치(34c)를 동작하게 되면, 상기 가열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어져 발열된 가열수단(20)에 의해 음식물이 데워지게 되고, 음식물이 일정온도로 데워진 후에는 온도센서(22)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가열수단(20)으로 제공되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가열수단(20)으로의 전원공급 제어는 회로기판(35)에 내장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스위치(34) 중 온도조절스위치(34b)는 기능스위치의 온도설정과 별도로 임의의 온도를 설정할 때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2실시예>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a)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저장용기(10a) 내부에 가열수단(20a)으로 히터봉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가열수단(20a)이 저장용기(10a)의 상단에 결합되어 마개 역할을 하는 히팅지지체(60)에 구비되고, 상기 히팅지지체(60)는 저장용기(10a)가 안착되는 별도의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에 의해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팅지지체(60)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피드펌프(40)가 결합되어 피드펌프(40)에 구비된 흡입부(42)가 상기 히팅지지체(60)를 관통하여 저장용기(10a) 내측으로 삽입되어 저장용기(10a)에 채워진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여 배출부(44)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실시예의 저장용기(10a) 또한 그 내부에 음식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부(14a)가 마련되고, 상단에는 일정크기의 개구부(13a)가 구비된 일반적인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장용기(10a)의 표면에는 눈금표시부(16a)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용기(10a)의 개구부(13a)에 결합되는 히팅지지체(60)는 그 저면에 상기 저장용기(10a)와 결합시 저장용기(10a)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삽입되어져 저장용기(10a) 내에 채워진 음식물을 데우기 위한 가열수단(20a)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수단(20a)과 일체로 또는 상기 가열수단(20a)이 설치된 일측에는 저장용기(10a) 내의 음식물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히팅지지체(60)에는 상기 온도센서(22a)에서 감지된 음식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표시수단(31a)이 구비되고, 상기 온도표시수단(31a)으로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음식물의 온도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복수개의 발광체, 특히 엘이디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20a)으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그 내부에 발열체가 내장된 히터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히터봉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지지체(60)에는 상기 가열수단(20a)에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생략)와 복수개의 기능스위치(39), 즉 전원온/오프스위치(39a),온도조절스위치(39b), 보온기능스위치(39c), 소독기능스위치(39d) 등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40)의 흡입부(42)와 배출부(44)에는 피드펌프(40)의 구동시 흡입되거나 배출되는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2a)(44a)가 각각 구비되고, 흡입부(42)와 배출부(44)는 서로 다른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각각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는 상기 저장용기(10a)가 안정되게 안착 될 수 있도록 하부에 안착부(72)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10a) 및 상기 저장용기(10a)에 결합되는 상기 히팅지지체(60)가 안정되게 수직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의 지지대(73)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73)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히팅지지체(60)의 접속부(38)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장치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히팅지지체(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연결단자(74)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에는 별도의 충전기(76)가 연결 설치된다.
도 6에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용상태시 저장용기(10a)와 히팅지지체(60) 및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와의 결합된 일부 단면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10a)와, 상기 저장용기(10a)에 결합되는 히팅지지체(60) 및 상기 히팅지지체(60)의 상부에 결합되는 피드펌프(40)는 상기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10a)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는 외부전원을 충전기(36)로 공급받아 상기 히팅지지체(60)에 공급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40)에는 저장용기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음식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흡입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피드펌프의 성능 역시 저장용기의 용량이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음식물의 공급배출 성능을 다양하게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수단(20a)의 온도제어와 전원공급 제어를 담당하는 회로기판 등이 상기 히팅지지체(60)에 구비된 구조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히팅지지체(60)의 구성을 간단히 하기 위해 가열수단(20a)의 제어부를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설계의 편의에 따라 변경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제 2실시예의 각부 기능이나 동작에 대해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피드펌프(40)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변경은 당업자에 의해 간단한 설계변경으로 충분히 실시가능한 것이어서, 이러한 변형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제 3실시예>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b)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의 형상 및 설치구조만 일부 상이하게 이루어질 뿐 나머지 전체적인 기능이나 동작구성은 대체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채워지는 저장용기(10b)는 그 내부에 음식물이 채워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14b)와, 상기 수용부(14b)의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12a)와, 공급된 전원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발열되어 상기 수용부(14b)에 채워진 음식물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수용부(14b)의 바닥면에 내장되는 가열수단(20b) 및 온도센서(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개(12a)의 상부에 연결되어 음식물의 일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피드펌프(40)와, 상기 저장용기(10b)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제어가 가능하도록 저장용기(10b)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원공급제어부(3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a)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원공급제어부(30)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저장용기(10b)의 저면에 구비되는 가열수단(20b)의 연결단자(24a)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부(38)와, 상기 접속부(38)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센서(22a)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음식물의 온도를 표출하는 온도표시수단(3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표시수단(31b)은 온도센서(22a)에서 감지된 저장용기(10b) 내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이 발광되는 엘이디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정된 온도범위(35~38℃)에서 3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을 표시하는 적색엘이디가 발광되도록 구성되고, 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적절한 온도를 나타내는 황색엘이디가 발광되도록 구성되며, 35℃ 미만인 경우에는 설정된 온도 미만의 저온을 표시하는 녹색엘이디가 발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20b)의 온도 조절과 입력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a)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기능스위치(3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기능스위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기능스위치 구성과 동일하게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의 일부 결합상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b)의 저면에 구비되는 가열수단(20b)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단자(24)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단자(24)는 저장용기(10b)의 하단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노출된 연결단자(24)의 선단부는 저장용기(10b)의 저부에 결합되는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a)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속부(38)에 끼워져 전원공급제어부(30a)에 공급된 전원이 저장용기(10b)의 가열수단(20b)에 공급되도록 전기적인 결합관계가 형성된다.
한편, 저장용기(10b)의 마개에 연결되어 저장용기(10b)의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여 환자 또는 이용자에게 음식물을 제공하는 피드펌프(40)는 저장용기의 음식물을 흡입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부(42)와, 상기 흡입부(42)로 공급된 음식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44)가 구비된 구성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장용기(10b)의 상면에 결합되는 관통공(15a)이 형성된 마개(12a)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마개(12a)가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상기 피드펌프(40)가 마개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40)에 구비되는 흡입부(42) 또는 배출부(44) 역시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피드펌프(40)에는 흡입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의 원활할 공급이 가능하도록 각 흡입부(42)와 배출부(44)에는 소정의 체크밸브(42a)(44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30a)에 구비되는 기능스위치(39)는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원 온/오프스위치(39a), 가열수단(20b)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온도조절스위치(39b), 음식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온기능스위치(39c)와 소독기능스위치(39d)등이 구비되며, 그 기능 및 동작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한편, 도 9에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저장용기(10c)와 피드펌프(40)의 흡입부(42)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제4실시예에 관한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100c)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저장용기(10c)는 그 내부가 분할벽(11)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 구성되어 서로 다른 음식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용기(10c)의 바닥면에는 가열수단(20b)이 구비되어 상술한 제1,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전원공급제어부(30a)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원으로 열이 발생되어 저장용기(10c) 내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용기(10c)의 분리된 수용부(14b)에는 약물이나 음식물, 물 등을 따로 따로 채워 환자나 이용자가 필요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저장용기(10c)의 상부로 결합되는 마개(12a)에는 마개(12a)의 상부로 결합되는 피드펌프(40)의 흡입부(42)가 관통되며, 상기 흡입부(42)는 복수개의 분리된 저장용기(10c)의 수용부(14b)에서 각각 저장된 음식물을 흡입하는 흡입분기관(43a)(43b)(43c)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흡입분기관(43a)(43b)(43c)은 하나의 분기관모듈(43)을 통해 합체 및 분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저장용기(10c)의 분리된 각 수용부(14b)에 서로 다른 음식물이 채워져 있다 하더라도 환자 등이 이용하는 경우, 통상 한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다른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므로, 섭취에 필요한 음식물이 채워진 수용부(14b) 측에만 흡입분기관을 결합하여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음식물을 동시에 섭취도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기관모듈(43)에 절환스위치(도시안됨)를 설치해놓고, 절환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복수개의 흡입분기관(43a)(43b)(43c) 중 필요한 흡입분기관 만을 통해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장치가 복잡해지고 단가가 상승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을 감안하여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장치의 기능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으로,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예측가능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원공급제어부(30)(30a),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70) 또는 히팅지지체(60)에는 가열수단(20)(20a)(20b)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가열수단의 온도 제어 및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나 충전회로부 등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전자적 구성은 당연히 필요한 것이지만,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공지된 기술을 응용하거나 용이하게 채택하여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는 음식물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저장용기에 피드펌프를 연결하여 강제적으로 저장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거동이 불편하거나 노약자, 중환자 등의 간호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이용자는 물론 주변인들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에서는 물론이고 병원이나 양로원, 보육시설 등에서 그 사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10a, 10b, 10c : 저장용기 12,12a : 마개
13,13a,13b : 개구부 14,14a,14b : 수용부
15, 15a, 61 : 관통공 16,16a : 눈금표시부
20, 20a, 20b : 가열수단 22,22a : 온도센서
24,74 : 연결단자 30, 30a : 전원공급제어부
31,31a, 31b : 온도표시수단 32 : 하부고정대
33, 33a : 축전지 34, 39 : 기능스위치
34a,39a : 전원 온/오프스위치 34b,39b : 온도조절스위치
34c, 39c : 보온기능스위치 35 : 회로기판
36,76 : 충전기 37 : 알람발생수단
38 : 접속부재 40 : 피드펌프
41 : 전원인입부 41a : 동작 온/오프스위치
42 : 흡입부 42a, 44a: 체크밸브
43 : 분기관모듈 43a, 43b, 43c : 흡입분기관
44 : 배출부 60 : 히팅지지체
70 :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 72 : 안착부
73 : 지지대
100, 100a, 100b, 100c : 음식물 공급장치

Claims (13)

  1. 삭제
  2.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음식물을 채울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저장용기;
    전원입력이 가능한 접속부재와, 전원공급과 온도조절을 위한 기능스위치가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마개 역할을 겸하는 히팅지지체;
    상기 히팅지지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 상기 기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공급된 전원으로 저장용기 내의 음식물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 유지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히팅지지체가 결합된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히팅지지체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단자와, 외부의 전원입력을 위한 입력단자가 구비된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
    상기 히팅지지체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채워진 음식물을 강제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음식물을 이용자 또는 이용자에게 설치된 호스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되어 전기구동되는 피드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그 내부에 발열체가 포함된 일정길이의 히터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지지체에는 상기 가열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히팅지지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스위치,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기능스위치,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100℃이상으로 유지시켜 저장용기의 수용부를 고온 소독하기 위한 소독기능스위치가 한 개 이상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7. 제2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또는 가열수단에는 저장용기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에는 수용부에 채워지는 음식물 양을 식별하기 위한 눈금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히팅지지체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된 음식물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표시수단은 음식물의 감지온도가 이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적합한 적정온도(35~38℃), 적정온도 이하(35℃ 미만), 적정온도 이상(38℃ 초과) 중 어느 하나에 해당 될 경우 각각 설정된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복수개의 발광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전원공급제어부, 가열수단 중 어느 하나에는 수용부에 채워진 음식물 양이 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줄어들 경우 이를 감지하는 잔량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히팅지지체에는 상기 잔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알람발생수단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펌프의 흡입부 및 배출부에는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흡입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는 서로 다른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그 내측 수용부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동시에 채워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분할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부 또는 전원공급제어 및 거치부에는 외부에서 전원공급이 어려울 자체 저장된 전기를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 가능한 축전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KR1020110075033A 2011-07-28 2011-07-28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KR10126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033A KR101269333B1 (ko) 2011-07-28 2011-07-28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033A KR101269333B1 (ko) 2011-07-28 2011-07-28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07A KR20130013407A (ko) 2013-02-06
KR101269333B1 true KR101269333B1 (ko) 2013-05-29

Family

ID=4789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033A KR101269333B1 (ko) 2011-07-28 2011-07-28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822A (ko) 2017-05-10 2018-11-20 강성식 스마트형 경관 약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5773B (zh) * 2017-11-22 2022-04-2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暖奶机
KR101957111B1 (ko) * 2018-11-01 2019-03-11 임찬연 가열포트 겸용 휴대용 텀블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95Y1 (ko) * 2005-09-27 2005-12-12 이동욱 휴대용 냉온 물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95Y1 (ko) * 2005-09-27 2005-12-12 이동욱 휴대용 냉온 물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822A (ko) 2017-05-10 2018-11-20 강성식 스마트형 경관 약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07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42213A1 (en) Feeding system for infants
CN10753671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服药系统及其工作方法
CN103097260A (zh) 热传递设备和容器
KR101269333B1 (ko) 가열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공급장치
US10988389B1 (en) Water sterilization cap with removable cartridge
US20210178086A1 (en) Apparatus for injecting infusion solution
KR20180087796A (ko) 약 복용 지원 장치
KR100788121B1 (ko) 휴대용 젖병 보온기
KR101597624B1 (ko)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수분 섭취량 관리장치
CN204709427U (zh) 奶瓶器
CN109431272A (zh) 一种具有保温消毒功能的冲奶器及冲奶设备
WO2015147901A1 (en) Neonatal fluid tubing heater
KR101927149B1 (ko) 스마트형 경관 약물 공급장치
KR20210015853A (ko) 액체를 투여하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
CN207237015U (zh) 一种新型引流袋便携式安全装置
KR101362427B1 (ko) 유아용 자동 분유 급이장치
CN214969328U (zh) 恒温喂食装置
CN202802392U (zh) 输液加热保温装置
KR200380832Y1 (ko) 휴대용 젖병 보온기
CN106860927A (zh) 一种新型引流袋便携式安全装置
CN211634438U (zh) 一种消毒盖及壶
US10813844B2 (en) Hydration apparatus and system
CN202802407U (zh) 玻璃输液瓶加热设备
US11478106B2 (en) Portable baby food warmer
CN202802396U (zh) 输液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