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960B1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60B1
KR101268960B1 KR1020080016494A KR20080016494A KR101268960B1 KR 101268960 B1 KR101268960 B1 KR 101268960B1 KR 1020080016494 A KR1020080016494 A KR 1020080016494A KR 20080016494 A KR20080016494 A KR 20080016494A KR 101268960 B1 KR101268960 B1 KR 10126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rofile
total reflection
reflecting
thickness
reflec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926A (ko
Inventor
김지곤
문정민
김기빈
한길원
남지근
강춘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60B1/ko
Priority to TW097137329A priority patent/TWI460503B/zh
Priority to US12/314,963 priority patent/US7946747B2/en
Priority to CN2008101865889A priority patent/CN101514789B/zh
Publication of KR2009009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경량화가 용이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 및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 및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상기 광원부와 마주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출사면, 곡면으로 형성된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제1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의 단부로부터 상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한다.
LCD, 에지, 광학 소자, 빔 프로파일 변환기, 반사,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화가 용이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소형화 및 박형화와 저전력 소모의 장점을 가지며, 노트북 PC,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크게 액정 표시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치 방식에 따라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direct-under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 도광판, 반사판 및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광원부는 하나 이상의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 전극 형광램프(EEFL), 엘이디(LED) 등의 광원과,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 반사판을 포함한다.
광원은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 예컨대 백색광을 발생시키며, 광원 반사판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반사시킨다.
도광판은 균일한 광을 얻기 위하여 광원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광원 부로부터의 광을 액정 표시 모듈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도광판은 42°정도의 임계각을 가지며 굴절률이 대략 1.5 정도인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및 하부면과 4개의 측면부가 구비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부와 마주보는 도광판의 측면부(입사면)를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임계각 이하의 방위각을 가지는 광은 도광판의 상부면(출사면)을 통하여 방출되고, 그 이상의 방위각을 가지는 광은 전반사 되어 도광판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도광판의 하부면에는 누설광을 도광판의 내부 공간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 판이 배치되며, 도광판의 하부면은 산란 패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필름은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확산 시트는 도광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확산 시트, 확산 시트 지지부 및 상부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산 시트는 그의 내부에 포함된 비드들(beads)을 이용하여 도광판으로부터 진행된 빛을 확산시킨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 위에 배치되며, 베이스 필름 및 프리즘들(prisms)을 포함한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에 의해 확산된 빛을 집광한다.
보호 시트는 프리즘 시트에 의해 집광된 빛을 확산시켜 액정 표시 모듈에 제공한다.
도광판으로부터 진행된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광학 필름은 위에서 언급한 구성 외에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양한 시트(sheet)류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도광판은 사출 또는 압출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사출 또는 압출 방식으로 기재를 형성한 후 열경화 방식의 경화 공정을 통해 하부면에 산란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따라 제조되며,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 무게 중 대부분의 무게를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를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도광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요구되지만, 광 이용 효율 측면에서 도광판의 두께를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경량화가 기술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량화가 용이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 및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 및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상기 광원부와 마주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 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제1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의 단부로부터 상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상기 광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그의 두께 중심선에 평행한 선과 입사면과 출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 사이의 각도가 4-20°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이 50-300㎜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의 곡률반경은 입사면의 두께와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며, 또한,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의 곡률반경이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에 대해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출사면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100㎜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출사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자의 경우, 반사판의 제1 반사면은 상기 두께 중심선과 평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하부 전반사면과 동일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출사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후자의 경우, 상기 반사판의 제1 반사면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과 평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반사 영역의 크기는 상기 출사면의 형상과 관계없이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며, 상기 제2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출사면의 형상과 관계없이 제2 반사면의 단부가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백라이트 유닛은 빔 프로파일 변환기가 도광판의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무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백라이트 유닛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의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실시예 1>
그러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시준 및 지향 성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시준 및 지향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 또는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등의 선 형상 광원을 사용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선 형상 광원 대신에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의 점광원도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110)를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소정 파장을 가지는 빛, 예컨대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선형상 광원(112)과,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광원 반사판(114)을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하부 커버로 작용하는 반사판(12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 1은 1개의 광원부(110)가 반사판(120)의 단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반사판(120)의 반대쪽 단부에도 광원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광원(112)의 측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프로파일 변환기(beam profile changer)가 설치된다.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1.49의 굴절률을 갖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로 이루어지며, 광원(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외에 다양한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종래의 도광판과는 달리 반사판(120)의 내부 공간 중에 일부 공간에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광원(112)과 마주하는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빛을 출사하는 출사면(134)이 입사면(13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사면(132)을 광원과 정렬하기 위해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별도의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입사면(132)과 출사면(134) 외에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은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된 입사광의 전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출사면(134)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시준(collimate)하는 작용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그의 두께 중심선(L1)에 평행한 선(L2)과 입사면(132)과 출사면(134)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L3) 사이의 각도(θ1)가 4-20°, 특히 6-10°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이 50-300㎜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각도(θ1)를 4-20°로 한정하는 것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에서 전반사되는 빛의 굴절되는 정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의 곡률반경은 입사면(132)의 두께와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한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입사면(132)의 두께가 대략 3mm인 경우에는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대략 120mm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사면(132)의 두께가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대략 120-300mm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입사면(132)의 두께가 3mm 미만인 경우에는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50-120mm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두께 중심선(L1)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으며 상부 전반 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두께 중심선(L1)에 대해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설계 및 제작의 용이성과 입사광의 시준 및 지향 효율을 감안할 때,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을 두께 중심선(L1)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사면(132)을 통해 입사되어 상부 전반사면(136) 및 하부 전반사면(138)에서 전반사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134)은 입사면(132)과 동일하게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시야각에 따른 광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든 각도로 균일하게 방출되는 램버시안 광이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의 출사면(134)을 통해 출사될 때, 상기 출사광은 특정 범위의 시야각(view angle)에서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효과적으로 시준 및 지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시야각은 두께 중심선(L1) 상에 관측자의 눈이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의 시야각으로서, 도 4에 의하면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의 출사면(134)을 통해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 강도가 대략 ±20°의 시야각 범위 내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양(+)의 각도는 두께 중심선(L1)의 상부 쪽을 나타내고, 음(-)의 각도는 두께 중심선(L1)의 하부 쪽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은 두께 중심선(L1)의 상부 및 하부 쪽으로 각각 20° 이내의 각도로 시준 및 지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120)은 제1 반사면(122)과 제2 반사면(124)을 구비하는데, 제1 반사면(122)은 제1 반사 영역(R1)을 구비하고, 제2 반사면(124)은 제1 반사면(122)의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반사 영역(R2)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1 반사 영역(R1)의 크기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T)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고, 제2 반사면(124)의 경사 각도(θ2)는 제2 반사면(124)의 단부가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의 두께(T)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제1 반사면 및/또는 제2 반사면의 표면에는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패턴, 예컨대 산란 패턴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와 반사판(120)의 상부에는 광학 필름(140)이 배치되고, 광학 필름(140)의 상부에는 액정 표시 모듈(150)이 배치된다.
광학 필름(140)은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보호 시트 등의 시트류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112)에서 발생된 광이 빔 프로파일 변 환기(130)에 의해 시준 및 지향되어 반사판(120)의 제1 반사면(122)과 제2 반사면(124)에서 반사된 후 광학 필름(140)을 향하게 되고, 광학 필름(140)에 의해 확산 및 집광된 광에 의해 액정 표시 모듈(150)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에 있어서, 제1 반사면(122)은 제1 반사 영역(R1)에서만 광을 반사한다.
<실시예 2>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반사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이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의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220)의 제1 반사면(222)이 빔 프로파일 변환기(130)의 하부 전반사면(138)과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반사판(220)에 의하면, 제1 반사면(222)의 제1 반사 영역(R1)과 제2 반사면(224)의 제2 반사 영역(R2)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도 6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 3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빔 프로파일 변환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의 빔 프로파일 변환기(230)는 출사면(234)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출사면(234)을 100㎜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시준 및 지향 성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시준 및 지향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광원부 120, 220: 반사판
122, 222: 제1 반사면 124, 224: 제2 반사면
130, 230: 빔 프로파일 변환기 132: 입사면
134, 234: 출사면 136: 상부 전반사면
138: 하부 전반사면 140: 광학 필름
150: 액정 표시 모듈

Claims (15)

  1.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빔 프로파일 변환기;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판; 및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 및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상기 광원부와 마주하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제1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의 단부로부터 상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상기 광원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는 그의 두께 중심선에 평행한 선과 입사면과 출사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 사이의 각도가 4-20°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은 50-300㎜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의 곡률반경은 입사면의 두께와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전반사면 및 하부 전반사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에 대해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출사면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7항에서,
    상기 반사판의 제1 반사면은 상기 두께 중심선과 평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 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7항에서,
    상기 반사판의 제1 반사면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하부 전반사면과 동일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7항에서,
    상기 제1 반사 영역의 크기는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백라이트 유닛.
  11. 제7항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제2 반사면의 단부가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2. 제1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출사면은 100㎜ 이하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3. 제12항에서,
    상기 반사판의 제1 반사면은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중심선과 평행 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반사 영역의 크기는 상기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백라이트 유닛.
  15. 제13항에서,
    상기 제2 반사면의 경사 각도는 제2 반사면의 단부가 빔 프로파일 변환기의 두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80016494A 2008-02-22 2008-02-22 백라이트 유닛 KR10126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94A KR101268960B1 (ko) 2008-02-22 2008-02-22 백라이트 유닛
TW097137329A TWI460503B (zh) 2008-02-22 2008-09-26 背光單元
US12/314,963 US7946747B2 (en) 2008-02-22 2008-12-19 Backlight unit
CN2008101865889A CN101514789B (zh) 2008-02-22 2008-12-25 背光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94A KR101268960B1 (ko) 2008-02-22 2008-02-22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26A KR20090090926A (ko) 2009-08-26
KR101268960B1 true KR101268960B1 (ko) 2013-05-29

Family

ID=4099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494A KR101268960B1 (ko) 2008-02-22 2008-02-22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6747B2 (ko)
KR (1) KR101268960B1 (ko)
CN (1) CN101514789B (ko)
TW (1) TWI460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093583A1 (ja) * 2008-01-25 2011-05-26 昭和電工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発光装置
TWI403804B (zh) * 2009-03-27 2013-08-01 Au Optronics Corp 具有發光陣列之中空型側光式背光模組與顯示器
US20120106200A1 (en) * 2010-10-28 2012-05-0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anifold for collimating light
JP5533611B2 (ja) * 2010-12-03 2014-06-25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JP5717028B2 (ja) * 2011-04-21 2015-05-13 ミネベア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3012422A (ja) * 2011-06-30 2013-01-1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9752753B2 (en) 2012-03-14 2017-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I472815B (zh) 2013-05-07 2015-02-1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Light steering device
GB2566973A (en) * 2017-09-29 2019-04-03 Flexenable Ltd Display device
CN112445024B (zh) * 2019-09-03 2024-03-22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器及其背光模块与灯源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812A (ja) 2000-01-18 2001-07-27 Sharp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6093104A (ja) * 2004-08-25 2006-04-06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70165420A1 (en) 2006-01-13 2007-07-19 Coretronic Corporation Backligh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176A (ko) 1999-03-02 2001-05-25 모리시타 요이찌 조명장치 및 그 조명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
JP2004095390A (ja) * 2002-08-30 2004-03-25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488956A (zh) 2002-10-09 2004-04-14 兴隆发电子股份有限公司 光束准直装置及其准直型面光源
TW577549U (en) * 2003-01-30 2004-02-2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Back light module for flat display device
JP4705470B2 (ja) * 2003-06-16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812A (ja) 2000-01-18 2001-07-27 Sharp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6093104A (ja) * 2004-08-25 2006-04-06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70165420A1 (en) 2006-01-13 2007-07-19 Coretronic Corporation Backligh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4789B (zh) 2011-06-22
TWI460503B (zh) 2014-11-11
KR20090090926A (ko) 2009-08-26
US7946747B2 (en) 2011-05-24
TW200937085A (en) 2009-09-01
US20090213569A1 (en) 2009-08-27
CN101514789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60B1 (ko) 백라이트 유닛
JP4477600B2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4335890B2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US7275850B2 (en) Backlight unit
US7374329B2 (en) Light guide devic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7044628B2 (en) Backlight unit
US7448787B2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JP4556749B2 (ja) 導光板および表示装置
US8182131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US7380971B2 (en) Backlight module
US20060104089A1 (en) Light guide plat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7413335B2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7708445B2 (en) Light guide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070041701A1 (en) Light guide plate and a backlight system
US20090323308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060044832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employing the same
US20070121345A1 (en) Bottom-lighting type backlight module
JP2007041015A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30008270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JP464515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869335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US20090323309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459998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24065123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