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636B1 -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636B1
KR101268636B1 KR1020110105647A KR20110105647A KR101268636B1 KR 101268636 B1 KR101268636 B1 KR 101268636B1 KR 1020110105647 A KR1020110105647 A KR 1020110105647A KR 20110105647 A KR20110105647 A KR 20110105647A KR 101268636 B1 KR101268636 B1 KR 10126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odes
distributed
dipole antenna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425A (ko
Inventor
정세영
전원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0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01Q21/245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provided with means for varying the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거점 노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2 거점 노드; 및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ANCHOR NODE OF USING POLARMETRIC ANTENNA AND METHOD OF ENSURING INDEPENDENCY OF CHANNEL BETWEEN ANCHOR NODES USING DISTRIBUTED NODE}
아래의 실시예들은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증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요 증가로 인해, 노드들 간의 통신 용량을 증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용량 증대를 위해 여러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MIMO 시스템)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MIMO 시스템은, 기지국과 같은 공간 제약 조건이 있는 환경에서 안테나들의 개수를 늘리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로 다른 편파 성분을 갖는 안테나를 이용하는 편파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현재 많은 연구와 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 분산 노드를 적절히 활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작게함으로써, 통신 용량을 극대화한다.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거점 노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2 거점 노드; 및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 및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증폭 및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한다.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한다.
본 발명은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 분산 노드를 적절히 활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통신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컨트롤 평면 및 사용자 평면 상에서 바라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협력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두 개의 거점 노드들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거점 노드들 사이의 거리에 따른 고유값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사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송신단과 제2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수신단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작아지도록 분산 노드를 선택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점 노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컨트롤 평면 및 사용자 평면 상에서 바라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들, 단말들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들은 스마트폰, PC, 노트북, 스마트 TV 등일 수 있으며, 분산 노드들은 비교적 좁은 범위의 커버리지를 갖는 마이크로 셀(기지국), 피코 셀, 펨토 셀 등으로서 억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분산 노드들은 L2 계층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거점 노드들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커버리지를 갖는 노드들(예를 들어, 매크로 셀)로서, L3 계층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노드들이 수 m 에서 수 백 미터의 커버리지를 갖는다면, 거점 노드들은 수 백 m에서 수 km의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거점 노드들은 협력 클러스터를 적응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트래픽 집중 노드는 거점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수집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거점 노드들에게 전송한다.
또한,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는 트래픽 집중 노드,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 사이의 라우팅을 담당하며, 협력 클러스터들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단말들의 위치들도 관리할 수 있다. 트래픽 집중 노드와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컨트롤 평면 상에서 바라보면,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Organic Topology Controller: OTC)과 거점 노드들(Anchor Node: AN)은 컨트롤 채널(AN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그러한 제어 정보는 컨트롤 채널(DN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거점 노드들과 분산 노드들(Distributed Node: DN)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사용자 평면 상에서 바라보면, 트래픽 집중 노드(Traffic Aggregation Node: TAN)는 트래픽을 거점 노드들을 통하여 분산 노드들로 전송하며, 분산 노드들로부터 송신되는 트래픽 역시 거점 노드들을 통하여 트래픽 집중 노드로 집중된다.
도 2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는 둘 이상의 트래픽 집중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집중 노드들 각각으로부터의 트래픽은 Link-12를 통하여 거점 노드들로 전송되며, 거점 노드들 각각은 해당 협력 클러스터에 속하는 분산 노드들로 Link-23을 통하여 트래픽을 전송한다. 분산 노드들은 Link-34를 통하여 단말로 트래픽을 전송하며, 단말은 분산 노드들뿐만 아니라 거점 노드들로부터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과 거점 노드 사이의 링크는 도 2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Link-24로 불려질 수 있다.
이러한 링크들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ink-12, 23는 유선 케이블로 구현되거나, 폴라메트릭 안테나 기반의 MIMO 빔포밍, BDMA(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링크로 구현될 수 있다. Link-34는 무선 링크이다. 여기서, MIMO 빔포밍 기술에 따르면, 채널에서 산란이 발생하는 경우, 채널 정보(채널 상수값)는 송신단으로 통지되고, 송신단은 수신단 방향으로 빔포밍을 수행한다. 특히, 폴라메트릭 안테나 기반의 MIMO 빔포밍 기술에 따르면, 전기적 다이폴 또는 자기적 다이폴을 사용하여 채널의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다수의 스트림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협력 클러스터들을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는 복수의 협력 클러스터들을 포함한다. 협력 클러스터들 각각은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해 협력한다.
분산 노드들 중 일부는 협력 클러스터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협력 클러스터에 포함된 분산 노드들은 해당 거점 노드들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 협력 클러스터는 적응적으로 생성되거나, 소멸되거나, 그것의 사이즈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협력 클러스터를 제어함으로써, 분산 노드들 각각의 지능을 낮춤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이 협력 클러스터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만을 협력 클러스터 내에서 변경함으로써, 핸드오버를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노드들은 서로 협력할 수 있으므로, 셀 에지에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두 개의 거점 노드들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점 노드들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 가정한다. 예를 들어,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매크로 기지국들은 펨토 셀들 혹은 피코 셀들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거리에 위치한다.
거점 노드들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거점 노드들은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거점 노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편파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및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다이폴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세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과 서로 직교하는 세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점 노드들 사이에서는 6 개의 0이 아닌 고유값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하나의 고유값이 존재하는 경우보다 이론적으로 6 배의 용량 향상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거점 노드들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거점 노드들 사이의 패스들 중 유효한 패스들의 개수가 적고, 상대적으로 패스들 사이의 상관도가 높은 경우,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증가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매크로 기지국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세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과 세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사용하더라도, 6 배의 용량 향상을 기대하기 힘들 수 있다.
도 5는 거점 노드들 사이의 거리에 따른 고유값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점 노드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고, 이것은 용량 향상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문제를 분산 노드를 적절히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사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 포함된 거점 노드들 혹은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는 거점 노드들 사이의 주변 환경(분산 환경, 장애 환경, 채널 정보 등)을 수집한다. 아래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거점 노드를 제1 거점 노드라고 칭하고,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거점 노드를 제2 거점 노드라고 칭한다.
상기 거점 노드들 또는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는 제1 거점 노드 및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한다. 특히, 상기 거점 노드들 또는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는 상기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증폭 및 전달 방식에 따라 동작한다.
결국, 제2 거점 노드는 제1 거점 노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제1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송신단과 제2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수신단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는 그것의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게 유지된다.
도 7은 제1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송신단과 제2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포함하는 수신단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작아지도록 분산 노드를 선택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세 개의 고유값들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그래프에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플롯은 동일한 두 개의 고유값들을 나타내므로, 6 개의 고유값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제1 거점 노드 및 제2 거점 노드가 3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 및 3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갖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본 발명은 고유값들의 분포가 도 7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분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점 노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점 노드(800)는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이 다이폴 안테나들은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혹은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다.
거점 노드(800)가 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선택/식별 모듈(800)은 상기 거점 노드(800) 및 상기 다른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한다. 물론, 상기 선택이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선택/식별 모듈(812)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식별한다.
신호 제공 모듈(813)은 전송 신호를 다이폴 안테나(811)로 제공한다. 다이폴 안테나(811)를 통하여 다른 거점 노드 및 선택된 분산 노드로 신호가 전송된다.
거점 노드(800)가 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 거점 노드(800)는 송신기 및 선택된 분산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선택/식별 모듈(812)에 의해 상기 분산 노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식별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처리 모듈(81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경우, 주어진 편파 상황에서 최적의 용량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삭제
  2.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거점 노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2 거점 노드; 및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3.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거점 노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2 거점 노드; 및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 및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4.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거점 노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2 거점 노드; 및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증폭 및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제2 거점 노드로 전달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점 노드 및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들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마이크로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점 노드는
    상기 제1 거점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
  8.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거점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어느 하나의 거점 노드에 있어서,
    고유의 편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고유의 편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
    상기 거점 노드 및 상기 다른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식별하는 선택 및 식별 모듈; 및
    전송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로 제공하는 신호 제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증폭 및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신호를 상기 다른 거점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점 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및 식별 모듈은
    상기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하는 거점 노드.
  10.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거점 노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거점 노드에 있어서,
    고유의 편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고유의 편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
    상기 분산 노드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식별하는 선택 및 식별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상기 거점 노드 및 상기 다른 거점 노드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는 증폭 및 전달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점 노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는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전기적 다이폴 안테나들 및 서로 다른 편파를 갖는 세 개의 자기적 다이폴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거점 노드.
  12.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을 서빙하는 분산 노드들, 상기 분산 노드들을 관리하는 거점 노드들 및 상기 거점 노드들에 대한 트래픽을 관리하는 트래픽 집중 노드 및 상기 분산 노드들, 상기 거점 노드들 중 상기 트래픽 집중 노드를 제어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점 노드들 또는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에 의하여 상기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거점 노드들 또는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에 의하여 상기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 매트릭스가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분산 노드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거점 노드들 또는 상기 유기적 토폴로지 관리 장치에 의하여 상기 거점 노드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경유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상기 거점 노드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매트릭스가 갖는 고유값들 사이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산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인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14.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05647A 2011-10-17 2011-10-17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KR10126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7A KR101268636B1 (ko) 2011-10-17 2011-10-17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7A KR101268636B1 (ko) 2011-10-17 2011-10-17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25A KR20130041425A (ko) 2013-04-25
KR101268636B1 true KR101268636B1 (ko) 2013-05-29

Family

ID=484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47A KR101268636B1 (ko) 2011-10-17 2011-10-17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7093A1 (en) 2008-02-15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ple antenna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7093A1 (en) 2008-02-15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multiple antenna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25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49422B (zh) 用于执行波束成形优化的方法、装置以及介质
US102982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xed broadband communication and backhaul access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KR20110026914A (ko) 복수의 송/수신 페어들의 송/수신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6634982B2 (ja)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CN101933252A (zh) 自适应地控制信道的带宽的方法和装置
US9357505B2 (en) Processing digital signal
US10476128B1 (en) Mounting platform for network devices in a reconfigurable network
Koda et al.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on overhead messenger wire: Deep reinforcement learning-based predictive beam tracking
KR101415670B1 (ko) 편파 특성을 이용한 빔/편파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6593A (ko) 네트워크 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코딩을 수행하는 릴레이
KR101268636B1 (ko)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거점 노드 및 분산 노드를 이용하여 거점 노드들 사이의 채널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
Rezaei et al. Optimal energy beamforming under per‐antenna power constraint
CN112005564B (zh) 增强通信
US20230361825A1 (en) Providing a first radio beam and a second radio beam
KR20110035555A (ko) 간섭 채널에서의 선형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371997B1 (ko) 분산 노드를 활용한 편파 안테나 전송 방법
KR101306551B1 (ko) 클러스터들을 이용하는 유기적 토폴로지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KR101340964B1 (ko) 전자기장 편파 안테나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110493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밀리미터파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들
US104473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uplink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115101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83692A (ko) 무선 백홀 형성 장치와 무선 백홀 형성 시스템, 및 무선 백홀 형성 방법
CN111512563B (zh) 用于朝向用户实体传送数据流的基站系统
KR101155505B1 (ko) 유기적 토폴로지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N112751593B (zh)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