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581B1 -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581B1
KR101268581B1 KR1020090112257A KR20090112257A KR101268581B1 KR 101268581 B1 KR101268581 B1 KR 101268581B1 KR 1020090112257 A KR1020090112257 A KR 1020090112257A KR 20090112257 A KR20090112257 A KR 20090112257A KR 101268581 B1 KR101268581 B1 KR 10126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magnitude
signal
pulse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302A (ko
Inventor
오미경
이형수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581B1/ko
Priority to US12/897,144 priority patent/US20110116568A1/en
Publication of KR2011005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그룹 변조 방법은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심볼을 생성하고, 생성한 심볼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n개의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다음, 그룹 변조 방법은 n개의 구간을 통해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하고, 초기 정보 비트에 상기 추가 정보 비트를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여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는 전달받은 수신 신호를 신호의 에너지 크기의 순서를 토대로 복조한다.
그룹 변조, 신호, 에너지 크기

Description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Method of block-coded group modulation,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신호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42-02, 과제명: WBAN In-body 시스템 및 On-body 시스템 개발].
최근 임펄스 무선 초광대역(Impulse Radio Ultrawideband: IR-UWB) 방식의 무선 기술은 저전력 소모의 장점과 타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인해,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의 국제표준인 IEEE 802.15.6 On-body 통신의 물리계층의 유망한 후보기술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WBAN On-Body 통신은 신체영역 3m 이내에서 약 10Kbps급에서 10Mbps급으로확장된 데이터 전송률을 가져야 한다. 임펄스를 이용하여 무선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 및 정정하는 채널 코딩을 해야 한다. 그러나 채널 코딩은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므로, WBAN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최대 10Mbps급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송수신단을 구축하기 힘들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시, 채널 코딩을 사용하더라도 데이터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심볼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n개의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구간을 통해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초기 정보 비트에 상기 추가 정보 비트를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심볼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생성한 초기 정보 비트에 n개의 구간을 통해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의 순서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그룹화부, 상기 최종 정보 비트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와 시퀀스를 매핑하는 매핑부, 매핑한 결과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들의 에너지 크기를 가변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전송 신호들을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신호의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가 적용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가 포함하는 펄스 구간에서 펄스 에너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각 펄스 구간에서 검출된 펄스 에너지에 대한 비트를 결정하는 결정부, 결정한 비트를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여 디패핑하는 디매핑부, 그리고 디매핑한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하는 디그룹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은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늘려 데이터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에너지 크기 자체에 정보를 싣는 것이 아니고,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비트에 정보를 싣기 때문에 수신단에서는 에너지 크기 순서만 복원하면 되므로 정보를 복조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 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스 위치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임펄스(Impulse)를 사용하여 변조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변조 방법은 펄스 위치 변조(Pulse Position Modulation, 이하 "PPM"라고 함) 방법이다.
도 1을 참고하면, PPM 방법은 하나의 심볼(Ts)을 두 개의 구간으로 나눈 다음, 앞의 구간에 펄스가 있으면 해당 심볼에 비트 0(Bit 0)을 매핑하고, 뒤의 구간에 펄스가 있으면 해당 심볼에 비트 1(Bit 1)을 매핑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PPM 방법은 하나의 심볼 구간에 한 개의 비트가 매핑(Mapping)된다.
반면에, 하나의 심볼 구간을 복수 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여러 개의 비트를 하나의 심볼 구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심볼 구간을 4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2 비트를 전송 할 수 있다.
이상, PPM 방법은 임펄스를 사용하여 심볼을 변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시간 영역에서 불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임의의 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심볼을 변조할 수 있다.
또한, 그룹 펄스 위치 변조(Group Pulse Position Modulation, 이하 "GPPM"이라고 함)방법은 상기 PPM 방법에서와 같이 하나의 심볼 단위로 복수의 심볼들을 그룹화하는 방법이 아닌, n 개의 심볼 단위로 복수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방법이다. 때문에, GPPM 방법은 n 비트보다 더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률을 가지며, 동일한 시간 동안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을 PPM 방법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GPPM 방법에서 그룹화하는 개수를 n으로 일반화 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펄스를 배치하는 조합의 개수(Pn)는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1194858-pat00001
즉, GPPM 방법에서는 n비트를 그룹화하여 전송하는 경우,
Figure 112009071194858-pat00002
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펄스 위치 변조와 펄스 진폭 변조를 결합한 변조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펄스 위치 변조와 펄스 진폭 변조를 결합한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이하 "PAM"라고 함) 방법은 펄스의 폭 및 주기를 일정하게 하고 신호파에 따라서 그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변조와 복조기가 간단하지만 잡음이 혼입되면 그대로 출력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펄스 위치 변조와 펄스 진폭 변조를 결합한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PPM과 PAM을 결합한 변조 방법은 하나의 심볼(Ts) 구간을 2 개의 구간으로 나눈 경우, 2 비트(2Bit)를 전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2개의 심볼 구간동안 총 4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PPM과 PAM을 결합한 변조 방법은 수신단에서 신호 에너지 자체의 크기를 복원하여, 복원결과를 토대로 정보를 복원하는 복잡한 과정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신호 에너지 크기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서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의 크고 작음을 토대로 나열하는 차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토대로, 2 개의 심볼을 그룹 변조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토대로, 연속적인 신호를 변조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은 n비트를 그룹화하여,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를 토대로 생성한
Figure 112009071194858-pat00003
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에너지의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은 동일한 시간 구간 동안 GPPM 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2개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경우, 두 개의 심볼(Energy Group, 2-symbol)(2Ts) 구간 동안 총 3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심볼(Energy Group, 2-symbol) 구간 동안에는 PPM 방법과 동일하게, 각 심볼 구간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2 비트를 전송 할 수 있다.
다음, 첫번째 구간과 두번째 구간에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 차례를 토대로 생성한 비트에 정보를 부가적으로 실어 보낸다.
이때, 도 3의 밑줄로 표시된 정보가 에너지 크기 순서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낼 수 있는 정보 비트이다. 신호 에너지 크기가 예를 들어, E1과 E2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는 [E1, E2], [E2, E1]과 같이 2 개이다. 이로 인하여,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 비트는 1 비트(
Figure 112009071194858-pat00004
)발생한다. 즉, 두 개의 심볼(2Ts) 구간 동안에는 PPM 방법과 동일하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2비트에 상기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1비트를 추가적으로 더하여, 총 3 비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단에서는 상기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의 에너지 크기의 순서를 토대로 신호를 복원 하므로 복잡성 낮아진다.
구체적으로, 신호를 수신단에서 복원하기 위해서는 송수신단 거리나 무선 환경에 따라 수신 신호의 크기가 달라지며 이때마다 적절한 데이터 전송률을 기준으로 정보를 복원해야 하므로 수신단이 복잡해진다. 그러나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비트에 정보를 실으면, 에너지 크기 자체에 정보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룹화된 구간 동안 수신한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만 정하면 정보를 복원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단이 간단해 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의 에너지 크기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은 신호의 에너지 크기 자체에 정보를 싣는 것이 아니고, n 비트를 그룹화하여 생성한 비트에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비트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싣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3개의 심볼을 그룹화하는 경우, 세 개의 심볼(Energy Group, 3-symbol)(3Ts) 구간 동안 총 5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세 개의 심볼 구간 동안에는 PPM 방법과 동일하게, 각 심볼 구간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3비트를 전송 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는 6 개(3! 개) 이다.
신호 에너지 크기가 예를 들어, E1, E2, E3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는 [E1, E2, E3], [E1, E3, E2], [E2, E1, E3], [E2, E3, E1], [E3, E1, E2], [E3, E2, E1]와 같이 6개이다. 다음, 발생한 6개의 경우의 수 중 4개를 선택한다. 이로 인하여,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생성한 정보 비트는 2비트 발생한다. 즉, 세 개의 심볼(3Ts) 구간 동안에는 3비트에 2비트를 더하여 총 5비트를 전송한다.
다음, 신호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Payload Data Bit Stream)을 n 비트씩 그룹화(grouping)하여, n비트의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S510).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는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상기 하나의 그룹을 하나의 전송 단위 즉, 심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성한 두 개의 심볼(Energy Group, 2-symbol) 구간 동안, 각 심볼 구간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누는 경우, 송신 장치는 초기 정보 비트를 2 비트 생성한다.
다음, 송신 장치는 2 개의 구간에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 기 즉, 신호 에너지 크기를 설정한다(S520). 예를 들어, 신호 에너지 크기는 E1과 E2으로 설정한다.
송신 장치는 설정한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S530). 신호 에너지 크기가 E1과 E2 경우,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는 [E1, E2], [E2, E1]이다. 이로 인해 생성되는 정보 비트는
Figure 112009071194858-pat00005
으로 1 비트이다.
송신 장치는 상기 초기 정보 비트에 추가 정보 비트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S540).
다음, 신호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송신 장치(100)는 그룹화부(110), 매핑부(120), 처리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수신 장치(200)는 검출부(210), 결정부(220), 디매핑부(230) 및 디그룹화부(240)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00)에는 실제 정보가 들어있는 부분인,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Payload Data Bit Stream)이 입력된다
그룹화부(110)는 입력되는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Payload Data Bit Stream)을 n 비트씩 그룹화(grouping)하고, 상기 하나의 그룹을 하나의 전송 단위 즉, 심볼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그룹화부(110)는 심볼 구간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n비트의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그룹화부(110)는 n개의 구간에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 즉, 신호 에너지 크기를 설정하고, 신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다음, 그룹화부(110)는 초기 정보 비트에 추가 정보 비트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심볼을 생성한다.
매핑부(120)는 심볼을 구성하는 최종 정보 비트를 에너지 수준을 결정하는 시퀀스로 매핑하여, 심볼을 특정 시퀀스로 변환한다. 여기서, 에너지 수준을 결정하는 시퀀스는 사전에 정의된 일정한 신호의 에너지 크기를 결정하는 시퀀스들 중 하나이다.
처리부(130)는 변환된 특정 시퀀스에 대응하게 펄스를 쉐이핑(Shaping)하여 전송 신호의 에너지 크기를 가변하여 임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송신 장치는 변환된 특정 시퀀스에 대응하게 일정 시간 구간의 펄스 즉, 에너지 수준을 토대로 전송 신호의 에너지 크기를 가변한다.
통신부(140)는 처리부(130)에서 가변한 전송 신호를 서로 다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로 다른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방법은 도 7과 같이, 전송 신호의 펄스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차이를 주는 방법(A), 펄스를 반복하여 보내는 개수를 다르게 하는 방법(B) 등이 있다.
한편,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로부터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1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전송 신호가 포함하는 펄스 구간에서 펄스 에너지를 검출한다.
결정부(220)는 각 펄스 구간에서 검출된 펄스 에너지에 대한 비트 결정을 수행하여, {0,1}의 값을 추출한다.
디매핑부(230)는 결정부(220)의 결과를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여 디매핑한다.
디그룹화부(240)는 디매핑한 결과를 디그룹화하여 페이로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장치는 에너지 크기 자체에 정보를 싣는 것이 아니고,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정보를 싣는다. 따라서, 수신 장치에서는 신호의 에너지 크기 순서만 복원하면 되기 때문에 정보를 복조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은 각 심볼이 사용하는 변조 방법에 상관없이 다중 심볼을 묶어서 해당 심볼들 사이의 에너지 순서에 따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은 에너지 순서에 정보를 싣는 것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다른 변조 방식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펄스 위치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펄스 위치 변조와 펄스 진폭 변조를 결합한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토대로, 2 개의 심볼을 그룹 변조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토대로, 연속적인 신호를 변조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변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에너지 크기에 따라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1)

  1.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심볼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n개의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구간을 통해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펄스의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초기 정보 비트에 상기 추가 정보 비트를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 변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의 크고 작음을 토대로 나열하는 차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변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정보 비트가 포함하는 추가 정보 비트에 해당하는 펄스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출력하거나, 펄스를 반복하여 보내는 개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그룹 변조 방법.
  4. 그룹 변조 방법을 이용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비트열 중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심볼을 생성한 후 상기 심볼을 n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생성한 초기 정보 비트를 생성하고, 상기 n개의 구간을 통해 보내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의 설정한 후 상기 펄스의 크기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토대로 추가 정보 비트를 생성하여고, 상기 초기 정보 비트에 상기 추가 정보 비트를 삽입하여 최종 정보 비트를 생성하는 그룹화부,
    상기 최종 정보 비트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와 시퀀스를 매핑하는 매핑부,
    매핑한 결과에 대응하는 전송 신호들의 에너지 크기를 가변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전송 신호들을 에너지 크기의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는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의 크고 작음을 토대로 나열하는 차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는 일정한 신호의 에너지 크기를 결정하는 시퀀스인 송신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송 신호의 펄스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송신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송 신호에 해당하는 펄스를 반복하여 보내는 개수를 다르게 하여 출력하는 송신 장치.
  10. 신호의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는 그룹 변조가 적용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가 포함하는 펄스 구간에서 펄스 에너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각 펄스 구간에서 검출된 펄스 에너지에 대한 비트를 결정하는 결정부,
    결정한 비트를 에너지 순서에 기반하여 디매핑하는 디매핑부, 그리고
    디매핑한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비트열을 복원하는 디그룹화부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그룹화부는
    상기 디매핑한 결과를 토대로 초기 정보 비트와 추가 정보 비트를 포함하는 최종 정보 비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가 정보 비트를 토대로 크기의 순서에 따른 경우의 수를 추정하여, 상기 경우의 수를 토대로 상기 신호 에너지에 해당하는 펄스의 크기를 추정하는 수신 장치.
KR1020090112257A 2009-11-19 2009-11-19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10126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57A KR101268581B1 (ko) 2009-11-19 2009-11-19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US12/897,144 US20110116568A1 (en) 2009-11-19 2010-10-04 Block-coded group modulation method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57A KR101268581B1 (ko) 2009-11-19 2009-11-19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02A KR20110055302A (ko) 2011-05-25
KR101268581B1 true KR101268581B1 (ko) 2013-05-28

Family

ID=4401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257A KR101268581B1 (ko) 2009-11-19 2009-11-19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16568A1 (ko)
KR (1) KR101268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60B1 (ko) * 2012-01-27 2013-08-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인 바디 wban 시스템을 위한 변조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복조 방법 및 장치
KR102473495B1 (ko) * 2018-04-20 2022-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06433A1 (ko) * 2019-07-08 2021-01-1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카메라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174A (en) * 1980-03-17 1982-01-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ROM-Based parallel digital arithmetic device
US7609763B2 (en) * 2003-07-18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Advanced bi-directional predictive coding of video frames
US7353436B2 (en) * 2004-07-21 2008-04-01 Pulse-Link, Inc. Synchronization code methods
WO2006049373A1 (en) * 2004-11-02 2006-05-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 wide band communication based on multi-coded bi-orthogonal pulse position modulation
JP4781278B2 (ja) * 2004-11-24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トマッチング装置、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レートマッチング方法
US20100027704A1 (en) * 2007-09-10 2010-02-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Signal Priority and Channel Reliability
KR101176214B1 (ko) * 2008-11-18 2012-08-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 변조방법 및 복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02A (ko) 2011-05-25
US20110116568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64B1 (ko) 임베딩된 클록을 갖는 직교 차동 벡터 시그널링 코드
CN103259512B (zh) 多电平幅度信号传输接收器
US7289560B2 (en) Digit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technique for reliable wireless (both RF and IR) and wired high bandwidth data transmission
CN108234376A (zh) 无线数据通信方法及装置
US10491434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ternary sequence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to coherent and non-coherent receivers
US9509344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bi-level binary digital baseband symbols
KR101268581B1 (ko)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CN101868949A (zh) 无线通信方法、无线发送装置和无线接收装置
KR101176214B1 (ko) 데이터 변조방법 및 복조방법
US10257795B2 (en) Signal conversion apparatus, signal restor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9091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4094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パルス送受信方法
US9780975B1 (en) Faster-Than-Nyquist (FT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U2286017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умоподобными сигналами
WO2016000372A1 (zh) 序列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497805B1 (ko) 수중 초음파 모뎀을 위한 동기화 장치 및 동기화 방법
KR20100111628A (ko) 그룹 변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CN106911449A (zh) 一种重叠时分复用调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431906A (zh) 参考信号发送与接收方法及装置
Jayaprakash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differential code shifted reference encoder and decoder for UWB transceiver
US20100254486A1 (en) Method of block-coded group modulation and transmitter using the same
KR102650673B1 (ko) Css 신호를 이용하는 수중 통신 시스템 및 그 수중 통신방법
CN113872837B (zh)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2129285B1 (ko) 이원 상관기와 구간합 궤환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패킷 검출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CN101447837B (zh) 单载波信号检测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