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69B1 -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69B1
KR101267769B1 KR1020110039834A KR20110039834A KR101267769B1 KR 101267769 B1 KR101267769 B1 KR 101267769B1 KR 1020110039834 A KR1020110039834 A KR 1020110039834A KR 20110039834 A KR20110039834 A KR 20110039834A KR 101267769 B1 KR101267769 B1 KR 10126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joint
reinforcing
rib por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1805A (en
Inventor
홍석우
김명식
김상하
박유진
박철우
손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69B1/en
Publication of KR2012012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의 철근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측으로 경사단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철근 이음구는 상기의 철근 한 쌍을 양측으로 삽입시키도록, 양단으로부터 내측중심까지 철근삽입공을 구비하는 이음부와, 철근삽입공의 입측으로부터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시 리브부의 가압에 의해 철근삽입공의 직경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는 이음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ib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loped cross-section at one side and a vertical cross-section at the other side. The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portion having a reinforcing steel insert hole from both ends to an inner center thereof so as to insert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into both sides thereof and a joint portion formed along the wall surface from the side of the reinforcing steel insert hole, And a joint fix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displac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ing of the rib portion.

Description

철근 및 철근 이음구{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 및 철근 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철근 간의 이음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원터치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및 철근 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having a one-touch fastening structure so as to more quickly and simply perform the joining operation between reinforcing bars.

철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보강부재로서, 필요에 따라 요구하는 길이만큼 다수의 철근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Reinforcing bars are basically reinforcing members used to form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or steel concrete structures, and many reinforcing bars may be used as long as required to meet the requirements.

일반적인 철근 이음방식으로는, 겹침이음 방식, 가스압접 방식, 기계적이음 방식, 나사이음 방식 등이 소개되어 있다.
Typical reinforcement methods include lap joints, gas pressure joints, mechanical joints, and screw joints.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철근 이음 작업을 실사할 수 있는 형상의 철근 및 철근 이음구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joint having a shape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performing a reinforcing bar joint operation by a one-touch fasten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측으로 경사단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철근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axial extruder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ib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rib portion having an inclined cross section at one side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at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의 경사단면과 타측의 수직단면이 직접 연결되는 직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ribs may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may have a right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n inclined end of one side and a vertical end of the other side are direct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리브부는, 일측의 경사단면과 타측의 수직단면 사이에 평탄한 중앙단면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일측의 경사단면과, 평탄한 중앙단면 및 타측의 수직단면이 연결되는 직각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rib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lat central cross section between an inclined end face of one side and a vertical end face of the other side, and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sloped end face of one side, a flat central end fac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으로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철근 한 쌍을 양측으로 삽입시키도록, 양단으로부터 내측중심까지 철근삽입공을 구비하는 이음부; 및 상기 철근삽입공의 입측으로부터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시 상기 리브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철근삽입공의 직경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가져 삽입된 철근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이음고정부;를 포함하는 철근 이음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nding machine comprising: a body; and a pair of reinforcing bars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rib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and a vertical section on the other side, A joint portion having a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from an inner side to an inner side; And a joint which is formed along the wall surface from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to support and fix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with elastic displac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ing of the rib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a reinforcing joint including a fix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철근삽입공을 중공으로 갖는 원형 관부재일 수 있다. Here, the joint portion may be a circular tube member having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as a hollow.

그리고 상기 철근삽입공은, 상기 이음부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중심까지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되되, 상기 철근삽입공 각각의 말단에는 서로 간을 격리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s may be form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shapes from both ends of the joint portion to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and barrier ribs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s.

상기 이음고정부는, 철근의 삽입 시, 상기 리브부의 가압 및 해제에 연동하여 직경이 확장 및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고정편; 및 상기 이동식 고정편과 상기 이음부 사이에서 탄설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joint fixing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a diameter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association with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rib por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an elastic body elastically interposed between the movable fastener and the joint portion.

그리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리브부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에서의 단면 형상이 상기 이음부의 양단에서 내측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확장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완료 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변위된 위치가 복원됨에 따라 상기 리브부의 수직단면을 직접 면접하여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iece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shape at a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rib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both ends of the joint portion toward the inner centr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displaced by the elastic body is restored upon completion of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rib portion can be directly held and supported.

본 발명의 철근 및 철근 이음구에 따르면, 철근 이음을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함에 따라 철근 이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reinforcing bars and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improving the structure to be able to fasten the reinforcing bars in a one-touch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구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철근 이음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전, 후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철근 이음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전, 후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by using the reinforcing joints.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및 철근 이음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철근(100)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곽으로 돌출하여 일측으로 경사단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inforcing bar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body 110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dy portion 11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the outer surface, And a rib portion 120 having a cross section.

본 제1실시예에서의 철근(100)의 바디부(110)는, 길이 방향(또는 축 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봉(또는 와이어) 형상의 부재이다. The body portion 110 of the reinforcing bar 100 in the first embodiment is a rod (or wir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이러한 바디부(110)는 철근(100) 내에 구조적으로 강성을 발휘하는 부재로서, 재질로는 고강도 특성을 갖는 탄소강(carbon steel) 또는 탄소강 합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바디부(110)의 단면은 도1을 통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1의 (b)를 참조하면 바디부(110)는 중실(中實)의 내부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활용되는 목적에 따라 중공(中空)의 내부 단면을 갖는 것으로도 다양하게 실시 변형될 수 있다.The body 110 is a member that exhibits structural rigidity within the reinforcing bar 100. As the material, carbon steel or carbon steel alloy having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may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art 110 is shown as a circle in FIG. 1, such a shape is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 Also, referring to FIG. 1B, the body 110 is shown to have a solid internal cross-section, but may be variously shaped to have an intern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which it is used. It can be deformed.

본 제1실시예에서의 철근(100)의 리브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디 부재이다. 이러한 리브부(120)는 바디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The rib portion 120 of the reinforcing bar 100 in the first embodiment is a nod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ribs 120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특히, 도 1의 (a), (b)를 참조하면 그 특유한 형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리브부(120)의 일측으로는 경사단면(120a)이 구비되며, 이의 타측(즉, 반대편)으로는 수직단면(120b)이 구비된다.  Particularly, referring to FIGS. 1 (a) and 1 (b), a specific shape can be confirmed. The rib portion 120 has a sloped surface 120a at one side thereof, A vertical cross section 120b is provided.

여기서, 양측 단면이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은 본 제1실시예(100)에 따른 특징으로서, 이는 후술될 철근 이음구와의 원터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Here, it is a fea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0 that both end faces have different shapes, which enables one-touch fastening with a reinforcing joint to be described later.

다시 말해서, 리브부(120)의 경사단면(120a)은 후술될 철근 이음구에 선행 진입되는 부위이며, 리브부(120)의 수직단면(120b)은 철근 이음구에 진입된 후 철근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발휘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경사단면(120a) 및 수직단면(120b)의 연결을 통해 상기 리브부(120)의 전체 단면 형상은 직각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In other words, the inclined end face 120a of the rib portion 120 is a portion that enters the reinforcement join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vertical end face 120b of the rib portion 120 prevents the reinforcement bar from being detached after entering the reinforcement joint The stopper is a part that exerts the function of the stopper. The entir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b portion 120 has a right-angled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inclined end face 120a and the vertical end face 120b.

이러한 철근(100)의 리브부(120)는 전술한 바디부(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 고강도의 탄소강이나 탄소강 합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rib portion 120 of the reinforcing bar 1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1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carbon steel or carbon steel alloy having high strength may be used.

또한, 여기서 본 제1실시예의 철근(100)을 구성하는 바디부(110) 및 리브부(120)는 각각의 부재 형태로서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일련의 구성으로서 각각에 따른 형상, 구조 및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구분하여 나눈 개념이다.The body portion 110 and the rib portion 120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ba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not in the form of separate members but are a series of configurations, The concept is divided into two.

따라서 철근(100)의 제작 시 상기 바디부(110) 및 리브부(120)의 형상을 동시 성형 가능함은 물론, 그 강도 특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Therefore, the shape of the body 110 and the rib 120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hen the reinforcing bars 100 are manufactured, and the reinforcing bars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ir strength characteristics.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제2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디부의 바디부(110)의 형태를 갖는다. 다만, 본 제2실시예의 리브부(120) 형상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는,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리브부(120)에 대해서 그 차이점만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of the body portion 110 of the body por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hape of the rib portion 12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 in order to omit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b portion 120 and the rib portion 120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리브부(120)는, 바디부(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디 부재로서, 바디부(11)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다만, 도 2를 살펴보면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ib portion 120 is formed as a plurality of rib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It should be noted that FIG. 2 shows a different shape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이러한 리브부(120)의 구체적인 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2의 (b)를 살펴보면, 리브부(120)의 일측으로는 경사단면(120a)이 구비되며, 타측으로는 수직단면(120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단면(120a)과 상기 수직단면(120b)의 사이에는 평탄한 중앙단면(120c)이 더 구비된다. 그 결과 리브부(120)의 전체 형상은 상기 경사단면(120a), 중앙단면(120c) 및 수직단면(b)이 순차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이어서 바디부(110)와의 경계를 통해 직각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rder to confirm the specific shape of the rib part 120, the rib part 120 has an inclined end face 120a and the other end has a vertical end face 120b. do. Further, a flat central section 120c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clined section 120a and the vertical section 120b. As a result, the overall shape of the rib portion 120 is such that the inclined end face 120a, the central end face 120c, and the vertical end face b are directly connected in order, and then, through the boundary with the body portion 110, Lt; / RTI >

이러한 리브부(120)의 전체 단면 형상에 의해 후술될 철근 이음구와의 원터치 체결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서의 리브부(120) 역시, 경사단면(120a)을 통해 철근 이음구에 삽입되며, 수직단면(120b)을 통해 철근이 철근 이음구에 진입된 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entir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b portion 120 enables one-touch fastening with a reinforcing bar joint to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the rib portion 120 here is also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steel joint through the inclined end face 120a,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reinforcing bar from being detached after entering the reinforcing steel joint through the vertical end face 120b .

그리고 본 제2실시예에서의 바디부(110)는 물론 리브부(120)의 재질까지 고강도의 탄소강이나 탄소강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The high strength carbon steel or carbon steel alloy may be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rib portion 120 as well as the body portion 110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구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이음구(200)는 철근 한 쌍을 양측으로 삽입시키도록 철근삽입공(213)을 구비하는 이음부(210)와, 이음부(210 내측에서 삽입된 철근을 고정하는 이음고정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inforcement joint 200 includes a joint 210 having a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for inser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on both sides thereof, a joint portion 210 for fixing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joint 210, (220).

여기서의 철근 이음구(20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았던 본 발명의 제1, 2실시예에 따른 철근(도 1, 도2의 100) 한 쌍을 연결하여 이어주는 장치이다. The reinforcement joint 200 here is a device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100 of FIG. 1 and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uss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이음부(210)는 양단을 통해 한 쌍의 철근을 삽입시켜 연결해주는 부재이다. 도 3을 통해서는 이러한 이음부(210)의 단면 형상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음부(210)의 외형 형상에는 특별하게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철근의 바디부(도 1의 110)와 유사한 원형 관부재일 수 있으며,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외형을 갖는 관부재이어도 무방하다.The joint part 210 is a member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through both ends. 3, onl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joint 210 is shown, but the outer shape of the joint 210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110, and may be a tubular member having a square or regular hexagonal outer shape.

이러한 이음부(210)는 양단을 통해 한 쌍의 철근을 삽입 연결하기 위하여 철근이 삽입되는 구멍, 즉 철근삽입공(213)을 양단으로부터 개방 형성된 내측 중심까지 구비한다. The joint portion 210 has a hole for inserting a reinforcing bar, that is, a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from both ends to an inner center portion formed to be open, for inserting and connecting a pair of reinforcing bars through both ends.

철근삽입공(213)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음부(210) 양단 각각으로부터 좌우 대칭되어 한 쌍이 형성되며, 철근삽입공(213) 각각의 말단, 즉 이음부의 내측 중심에서는 서로 구획되어 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3, a pair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both ends of the joint 210, and the ends of each of the reinforcing bars 213, i.e., the inner center of the joint,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logged.

이를 위해, 한 쌍의 철근삽입공(213)의 말단 대향부위에 해당하는 이음부(210)의 내측 중심에는 좌, 우 철근삽입공(213) 각각이 서로 연통되는 것을 제한하는 격벽(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211)은 양단으로부터 철근의 삽입 길이를 동일하게 제한함에 따라 철근끼리의 이음 작업이 원활하게 해준다. For this purpose, a partition wall 211 for restri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inforcing bars 213 is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joint 210 corresponding to the end opposite portion of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213 . The partition walls 211 restric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from both ends equally, thereby facilitating the joining opera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이음고정부(220)는, 이러한 철근삽입공(213)의 입측(213a)으로부터 벽면(도면에서, 상하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삽입된 철근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철근고정수단이다.The joint fixing portion 220 is a reinforcing bar fixing means formed along the wall surface (upper and lower wall surfaces in the drawing) from the entrance 213a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to support and fix the inserted reinforcing bars.

특히, 이음고정부(220)는 철근 삽입 시 철근 리브부(도 1, 2의 120)의 가압에 의해 철근삽입공(213)의 직경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갖도록 하여, 삽입 후의 철근이 후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음 상태를 고정시킨다. Particularly, the joint fixing part 220 has an elastic displac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ing of the reinforcing rib part (120 in FIGS. 1 and 2) The reinforcing bar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xed.

이를 위해 이음고정부(220)는 이동식 고정편(221)과, 탄성체(223)의 세부 구성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joint fixing part 220 includes a movable fixing piece 221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ody 223.

이동식 고정편(221)은 철근삽입공(213)의 외곽을 따라 철근의 삽입 시 리브부의 가압 및 해제에 연동하여 철근삽입공의 직경이 확장 및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다.The movable fixing piece 221 is a member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rib por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그리고 탄성체(223)는 상기 이동식 고정편의 외향단부와 이음부 내주면 사이에 탄설 개재되는 스프링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이동식 고정편(221)이 삽입되는 철근의 리브부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 수축되며, 철근의 완전 삽입될 때 탄성 복원되는 제한된 유동 자세를 취한다.The elastic body 223 is a spring-shaped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utward end of the movable fastening pie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oint. The movable fixing piece 221 is elastically contracted when it is pressed by the rib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and assumes a limited flow pos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elastically restored when the reinforcing bar is fully inserted.

이러한 탄성체(223)의 탄성 수축 및 탄성 복원에 따라, 이와 연결된 이동식 고정편(221)은 철근삽입공(213)의 직경이 확장 및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ith the elastic shrinkage and elastic restoration of the elastic body 223, the movable fastening piece 221 connected thereto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is expanded and contracted.

다만, 이러한 이동식 고정편(221)은 철근의 리브부(도 1, 2의 120)의 가압 및 해제에 따라 탄성체(223)에 의해 지탱되어 수축 및 확장되는 움직임을 갖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삽입 후의 철근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vable fixing piece 221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223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rib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20 in FIGS. 1 and 2) and has a motion to contract and expand. Further, So that it can have a cross-sectional shape fixed more firmly.

이를 위해 이동식 고정편(221)은 철근의 리브부(도 1, 2의 120)와 접촉 대면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이, 이음부(210)의 양단에서 내측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더 경사지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철근의 삽입 완료 시, 이동식 고정편(221)은 탄성체(223)에 의해 변위된 위치가 복원되어 철근의 리브부의 수직단면을 직접 면접하여 지탱할 수 있다. 이로써, 철근 이음 작업 후에 철근이 스스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ovable fixing piece 221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ib portion (120 of FIGS. 1 and 2)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joint portion 210 toward the inner center . As a result, when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leted, the movable fixing piece 221 can be restored to its position displaced by the elastic body 223 and directly supported by the vertical section of the rib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s from being separated by themselves after the reinforcing bar joining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구(200)의 경우, 이음부(210) 및 이음고정부(220)는 이음 연결되는 철근의 강도에 따라 탄소강, 열처리강 및 합금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 중인 철근이 인장응력을 받을 때 철근 이음구(200) 역시 구조적인 강성 확보가 가능해 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reinforced concrete joint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210 and the joint 220 may use any one of carbon steel, heat treated steel and alloy steel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steel to which the joint is connected . Thus, when the reinforcing bar in use is subjected to tensile stress, the reinforcing bar 200 can also be structurally secur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철근 이음구를 이용하여 이어주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이러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철근 이음구의 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4 and FIG. 5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einforcing bar. 4 and 5,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bar joint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철근 이음구(200)를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서 한 쌍의 철근(100)을 이음 연결한다. 이때, 사용되는 한 쌍의 철근은 앞서 도 1을 통해 살펴보았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바디부(110)와, 일측으로 경사단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12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a pair of reinforcing bars 100 are connected at both sides of one reinforcing joint 200.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used in this case is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includes a body 110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ib portion 120 having a vertical cross section at the other side.

먼저, 한 쌍의 철근(100)이 철근 이음구(200) 내의 철근삽입공(213) 쪽으로 각각 삽입될 때, 삽입되는 리브부(120)의 돌출에 가압되어 이동식 고정편(221)이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때, 이동식 고정편(221)의 반대편에서 탄설 지지하는 탄성체(223)는 탄성 수축되어 압축된 변위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철근삽입공(213)의 선단부 직경이 확장되어(이때, 확장된 직경은 d2), 철근(100)이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First, when a pair of reinforcing bars 100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s 213 in the reinforcing bar 200, the movable reinforcing bars 221 are pushed outward by being pressed by the protrusions of the inserted ribs 120 I will go.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223 which is supported elastical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vable fixing piece 221 is elastically contracted to have a compressed displacement. The diameter of the tip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13 is enlarged (the expanded diameter is d2),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00 is inserted smoothly.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철근(1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삽입되는 동안 리브부(120)에 의해 탄성 수축되었던 탄성체(223)가 원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이동식 고정편(221) 역시 초기 자세로 유동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식 고정편(221)의 전방단부(221a)는 삽입된 리브부(120)의 수직단면(120b)에 면접하여 지지된다. 이로 인하여, 삽입 완료된 철근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며, 한 쌍의 철근은 견고한 이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5, when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0 is completed, as the elastic body 223 elastically contracted by the rib 120 during the insertion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It also flows in the initial posture. As a result, the front end portion 221a of the movable fastening piece 221 is held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end surface 120b of the inserted rib portion 120. As a result,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s is prevented, and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maintains a firm joint stat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을 철근 이음구를 이용하여 이어주는 전, 후 과정을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다. 이러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도 2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100)이 삽입되는 과정 및 삽입 후 견고하게 이음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본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einforcing joint. FIG. Referring to FIGS. 6 and 7,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the process of maintaining a firm connection state after the insertion. This is because the process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S. 4 and 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및 철근 이음구에 따르면, 철근 이음 작업의 속도 및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철근의 구조를 달리 적용함은 물론, 이러한 철근이 단 한차례의 삽입 작업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이음 연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peed and workability of reinforcing bars, it is possible to apply different structures of reinforcing bars,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및 철근 이음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철근
110: 바디부
120: 리브부
200: 철금 이음구
210: 이음부
211: 격벽 213: 철근삽입공
220: 이음고정부
221: 고정편 223: 탄성체
100: Rebar
110:
120: rib portion
200: Iron wire connection
210:
211: partition wall 213: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20:
221: Fixing piece 223: Elastic body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으로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측으로 수직단면을 구비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철근 한 쌍을 양측으로 삽입시키도록, 양단으로부터 내측중심까지 철근삽입공을 구비하는 이음부; 및
상기 철근삽입공의 입측으로부터 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시 상기 리브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철근삽입공의 직경이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가져 삽입된 철근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이음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고정부는, 철근의 삽입 시, 상기 리브부의 가압 및 해제에 연동하여 직경이 확장 및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고정편; 및 상기 이동식 고정편과 상기 이음부 사이에서 탄설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고정편은, 상기 리브부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에서의 단면 형상이 상기 이음부의 양단에서 내측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확장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완료 시, 상기 탄성체에 의해 변위된 위치가 복원됨에 따라 상기 리브부의 수직단면을 직접 면접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
And a rib portion projecting out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lope on one side and a rib portion having a vertical cross section on the other side, ; And
Wherein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with a resilient displac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pressing of the rib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from the entranc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Government,
Wherein the joint fixing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a diameter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association with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rib por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an elastic body elastically interposed between the movable fastener and the joint,
The movable fixing piece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shape at a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rib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gradually from both ends of the joint portion toward an inner central direction, and a position displaced by the elastic body is restored upon completion of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rib portion is directly contacted and suppor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철근삽입공을 중공으로 갖는 원형 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joint,
Wherein the reinforcing bar is a circular pipe member having a hollow reinforcing bar ho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공은,
상기 이음부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중심까지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되되, 상기 철근삽입공 각각의 말단에는 서로 간을 격리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Wherein a pair of ribs are formed symmetrically from both ends of the joint to the inner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s, and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ribs from each other is formed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 및 상기 이음고정부는, 철근의 강도에 따라 탄소강, 열처리강 및 합금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joint portion and the joint fixing portion are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arbon steel, heat-treated steel and alloy steel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teel reinforcing bar.
KR1020110039834A 2011-04-27 2011-04-27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KR10126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4A KR101267769B1 (en) 2011-04-27 2011-04-27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834A KR101267769B1 (en) 2011-04-27 2011-04-27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05A KR20120121805A (en) 2012-11-06
KR101267769B1 true KR101267769B1 (en) 2013-05-27

Family

ID=4750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834A KR101267769B1 (en) 2011-04-27 2011-04-27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896B1 (en) * 2021-02-24 2022-03-03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A reinforcing bar coupl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1B1 (en) 2006-07-19 2008-01-31 (주)윈윈개발 Device for connecting steel-reinforcements
KR101003302B1 (en) *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71B1 (en) 2006-07-19 2008-01-31 (주)윈윈개발 Device for connecting steel-reinforcements
KR101003302B1 (en) *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05A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20B1 (en)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KR102193033B1 (en) Coupler For Rebar Connect
KR101926130B1 (en)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N110832151A (en) One touch type steel bar connector
KR101565468B1 (en) one-touch rebar coupling apparatus
KR102453525B1 (en) Structural coupler
KR101613429B1 (en) Joint apparatus for reinforcing bar
KR101368377B1 (en)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unify jointing process of anchor and drainage sheet
KR101340955B1 (en) Coupler
KR101708477B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KR101267769B1 (en)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KR101498662B1 (en) Reinforced seams coupling
KR102083652B1 (en)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JP6783611B2 (en) Band-shaped member for forming a spiral tube
KR20130134330A (en) Steel bar and coupling device the same
KR10232813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Reinforcing Coupler
CN210421649U (en) Steel bar connector
KR200491962Y1 (en) One-touch type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2083942B1 (en)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JP2016061038A (en) Joint metal fitting
KR200211394Y1 (en) coupler for reinforcement steel bar
WO2010002049A1 (en) Reinforcing rod, reinforcing rod coupler and coupling method thereby
KR100386333B1 (en) A connector of concrete bar
KR100792556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JP6815823B2 (en) Band-shaped member for l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