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10B1 - 복합 부식시험기 - Google Patents

복합 부식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10B1
KR101267710B1 KR1020110098136A KR20110098136A KR101267710B1 KR 101267710 B1 KR101267710 B1 KR 101267710B1 KR 1020110098136 A KR1020110098136 A KR 1020110098136A KR 20110098136 A KR20110098136 A KR 20110098136A KR 101267710 B1 KR101267710 B1 KR 10126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quantity
supply unit
unit
ultraviolet lamp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238A (ko
Inventor
양원석
김민수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는, 내부 공간부에 강판이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염수 분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분무구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사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의 바닥 면에 밀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측정부 및, 상기 광량 측정부의 광량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광량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광량 정보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부식시험기{TEST INSTRUMENT OF DUAL CHAMBER TYPE}
본 발명은 복합 부식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완전 밀폐형 광량 측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외선 램프의 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복합 부식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자동차 강판이나 내후성강판의 내식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외선(UV) 램프가 장착된 부식시험기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부식시험기는, 고농도의 염수와 건습과 고온 및 저온의 반복에 의해 센서가 부식될 염려가 있었다.
때문에, 종래의 부식 시험기를 구동시키기 이전에 별도의 센서를 내부에 위치시키고, 자외선 램프의 초기 광량을 확인한 후에 광량을 조정하였다. 이후 센서를 외부로 분리시킨 후에 부식실험을 하였다.
즉, 종래의 부식시험기는 부식 시험 중, 경시적 자외선(UV) 광량을 확인하지 못하였고, 시험중의 일정한 광량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5808호(2011년 06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일체형 시료 내환경 복합부식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 완전 밀폐형 광량 측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외선 램프의 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복합 부식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부식 시험 중에도 광량 측정장치의 감시창을 세척할 수 있어, 광량 감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복합 부식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부에 강판이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염수 분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분무구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사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의 바닥 면에 밀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측정부 및, 상기 광량 측정부의 광량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광량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광량 정보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량 측정부는 상부에 감시창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시창을 통해 전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감시창의 상단에 적치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양측으로 왕복회전되는 와이퍼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퍼를 왕복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내에는 상기 감시창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강판의 종류, 두께 및 형상에 따른 기준 광량 정보가 각각 기설정되며,선택된 기준 광량 정보에 따르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램프의 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부식 시험의 정밀도가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부식 시험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광량 측정장치의 감시창을 신속히 세척할 수 있어, 감지의 정확성이 확보되는 복합 부식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의 노즐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와이퍼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게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의 노즐부(600)에서 세척수가 분사됨과 동시에 와이퍼(430)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식시험기는 하우징(100)과, 염수 공급부와, 자외선 램프(200)와, 전원 공급부(300)와, 광량 측정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부(600) 및 세척수 공급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부에 강판(10)이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염수 분무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염수 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 공급부는 염수 분무구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 상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사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광량 측정부(400)는, 자외선 램프(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의 바닥 면에 밀폐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광량 측정부(400)는 전원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200)의 광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광량 측정부(400)는 상부에 감시창(411)이 형성되는 본체(410) 및,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창(411)을 통해 전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광센서(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량 측정부(400)의 본체(410)는, 내부가 밀폐되게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본체(410)의 내부로 염수, 세척수 및, 이물질 등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410)의 상단에는 감시창(411)의 상단에 적치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양측으로 왕복회전되는 와이퍼(43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4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퍼(430)를 수평으로 왕복회전시키는 구동모터(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6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감시창(411)에 세척수를 하향 분사한다.
즉, 세척수 공급부(700)로부터 일정 수압으로 전달되는 세척수는 감시창(411)에 안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감시창(411)의 상부에 적치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전술한 와이퍼(430)를 이용해 이물질 및 세척수를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광량 측정부(4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광량 측정부(400)의 광량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광량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광량 정보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에는, 강판(10)의 종류, 두께 및 형상에 따른 기준 광량 정보가 각각 기설정되며,선택된 기준 광량 정보에 따르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자외선 램프(200)의 광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부식 시험의 정밀도가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부식 시험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광량 측정장치의 감시창(411)을 신속히 세척할 수 있어, 감지의 정확성이 확보되는 복합 부식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복합 부식시험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강판 100: 하우징
200: 자외선 램프 300: 전원 공급부
400: 광량 측정부 410: 본체
411: 감시창 420: 광센서
430: 와이퍼 440: 구동모터
500: 제어부 600: 노즐부
700: 세척수 공급부

Claims (5)

  1. 내부 공간부에 강판이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염수 분무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분무구로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상측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사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의 바닥 면에 밀폐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발광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측정부 및, 상기 광량 측정부의 광량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광량 감지신호가 기설정된 기준 광량 정보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량 측정부는, 상부에 감시창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시창을 통해 전달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광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식시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감시창의 상단에 적치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양측으로 왕복회전되는 와이퍼;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구동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퍼를 왕복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식시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내에는,
    상기 감시창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식시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강판의 종류, 두께 및 형상에 따른 기준 광량 정보가 각각 기설정되며,선택된 기준 광량 정보에 따르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식시험기.










KR1020110098136A 2011-09-28 2011-09-28 복합 부식시험기 KR10126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36A KR101267710B1 (ko) 2011-09-28 2011-09-28 복합 부식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36A KR101267710B1 (ko) 2011-09-28 2011-09-28 복합 부식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38A KR20130034238A (ko) 2013-04-05
KR101267710B1 true KR101267710B1 (ko) 2013-05-24

Family

ID=4843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36A KR101267710B1 (ko) 2011-09-28 2011-09-28 복합 부식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834A (ko) * 2016-07-29 2018-02-07 김선미 광조사면의 균일성을 개선한 내후성 시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815B1 (ko) * 2016-07-29 2022-02-22 김선미 펄스자외선을 이용한 내후성 시험기
KR102268368B1 (ko) * 2019-10-25 2021-06-24 주식회사 테스트원 염수 시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7108A2 (en) 1988-04-11 1989-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ally obtaining accurate opacity monitor readings of an exhaust gas stream
JP2005077220A (ja) 2003-08-29 2005-03-24 Sekisui House Ltd 複合劣化促進装置
JP2006023169A (ja) * 2004-07-07 2006-01-26 Daipura Uintesu Kk 耐候性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7108A2 (en) 1988-04-11 1989-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ally obtaining accurate opacity monitor readings of an exhaust gas stream
JP2005077220A (ja) 2003-08-29 2005-03-24 Sekisui House Ltd 複合劣化促進装置
JP2006023169A (ja) * 2004-07-07 2006-01-26 Daipura Uintesu Kk 耐候性試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834A (ko) * 2016-07-29 2018-02-07 김선미 광조사면의 균일성을 개선한 내후성 시험기
KR102397540B1 (ko) 2016-07-29 2022-05-12 김선미 광조사면의 균일성을 개선한 내후성 시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38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710B1 (ko) 복합 부식시험기
WO2008132247A3 (de) Behälter und verfahren zum nachweis von fluoreszenz
JP3004558B2 (ja) 水質測定装置
CN108778858A (zh) 控制用于清洁车辆窗户的装置的系统和方法
JP2001246339A (ja) 部品・ユニットの洗浄方法
US10247665B2 (en) Device for determining a concentration of a chemical substance
CN107051979B (zh) 一种紫外光清洗基板的方法及系统
KR20130064849A (ko) 배관세척장치
JP2019533172A (ja) 水質検出
WO2009157057A1 (ja) 紫外線吸光度測定装置
KR20160089967A (ko) 클로로필 측정 센서프로브
ATE507760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endoskops
EP3284393B1 (en) Endoscope reprocessor
ATE384647T1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wischers und wischersteuerung
US20140346364A1 (en) Fluid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30184754A1 (en) Measuring method and system and use of the method and system
JP4761270B2 (ja) 水質測定器、水質測定システム、水質測定方法、水質管理システム、および水質管理方法
WO2007091280A8 (en)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spection of nucleic acid probes by polarized radiation
ATE538710T1 (de) Verfahren zum anpassen eines spülprogramms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und geschirrspülmaschine
EP3289962B1 (en) Endoscope reprocessor
KR100327125B1 (ko) 부유고형물 자동측정 장치
JP2005227274A5 (ko)
JP2006023169A (ja) 耐候性試験装置
KR20150111538A (ko) 가습기 내 오염도 측정 장치 및 방법
JP5497720B2 (ja) 試料表面温度センサ及び該センサを用いた腐食試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