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281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281B1
KR101267281B1 KR1020060045464A KR20060045464A KR101267281B1 KR 101267281 B1 KR101267281 B1 KR 101267281B1 KR 1020060045464 A KR1020060045464 A KR 1020060045464A KR 20060045464 A KR20060045464 A KR 20060045464A KR 101267281 B1 KR101267281 B1 KR 101267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signal
tdd
signal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500A (ko
Inventor
조남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28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Time Division Duplex : 이하, TDD라 칭함)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전력증폭부의 전원인가 신호를 확인하여, 송신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증폭부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송신기를 포함하여,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상기 TDD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와 수신하는 상기 전력증폭부 사이에 보호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의 TDD 제어신호 송신기 및 주변 소자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45464
시분할복신, 보호회로, 전원확인, LVDS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OF TDD CONTROL SIGNAL GENERAT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시분할복신(Time Division Duplex : 이하, TDD라 칭함)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기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전원 잡음에 의한 TDD 제어신호 발생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쌍방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며, 이를 위해 주파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분할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 이하, FDD라 칭함)은 상기 주파수를 기준으로 송수신 채널을 나누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시분할복신(TDD)은 상기 시간을 기준으로 송수신 채널을 나누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FDD 방식은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에 상이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상기 TDD 방식은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에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송수신 구간으로 시분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상기 TDD 방식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시분할되는 송수신구간을 제어하기 위해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증폭 제어부(Amplifier Control Board)에서 TDD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전력증폭부(Power Amplifier Unit)를 제어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전력증폭 제어부(101) 및 전력증폭부(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는 TDD 신호발생기(110) 및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송신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부(103) 를 제어하기 위한 TDD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TDD 신호발생기(110)는 상위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클록을 이용하여 TDD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LVDS 송신기(120)는 상기 TDD 신호발생기(110)로부터 제공받은 TDD 제어신호를 LVDS 선로(105)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부(103)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LVDS는 디지털 신호교환 방식 중 하나로, 잡음특성이 우수하고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TDD 제어신호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LVDS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전력증폭부(103)는 송신제어부(130), 전력증폭 송신부(140) 및 전원부(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받은 TDD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송신제어부(130)는 상기 LVDS 선로(105)를 통해 LVDS 수신기(131)로 수신되는 상기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증폭 송신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 송신부(140)는 상기 송신제어부(13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TDD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전원부(150)는 스위치(151)가 연결되면 전원을 제공받아 BMP(Board Mounted type Power)(153)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부(103)의 내부 장치들에게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는 디지털 소자들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부(103)는 아날로그 수동 소자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력증폭부(103)는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사용하여 동작한다. 또한, 상기 TDD 제어신호 전송 선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 상기 전력증폭부(103)에서 발생한 높은 전압의 잡음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53)의 온/오프 시, 상기 전력증폭부(103)에서 발생한 스파이크 노이즈(Spike Noise) 및 돌입 전류(Inrush Current) 등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증폭부(103)로부터 유입된 잡음으로 인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101) 내의 상기 LVDS 송신기(120) 및 주변 소자가 빈번히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TDD 제어신호 발생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상기 TDD 제어신호 발생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회로를 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송신신호 외부 출력장치의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TDD 제어신호의 출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TDD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전력증폭부의 전원인가 신호를 확인하여, 송신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증폭부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TDD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전력증폭부의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되면, TDD 제어신호 송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원 잡음에 의한 TDD 제어신호 발생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전력증폭 제어부(201) 및 전력증폭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TDD 제어부(210), LVDS 송신기(220) 및 회로보 호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TDD 제어부(210)는 TDD 신호발생기(211) 및 LVDS 제어기(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부(103)를 제어하기 위한 TDD 제어신호의 발생 및 전송을 제어한다.
상기 TDD 신호발생기(211)는 상위단으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클록을 이용하여 TDD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LVDS 제어기(213)는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인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LVDS 송신기(220)의 동작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LVDS 제어기(213)는 카운터(217)와 비교기(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운터(217)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전원인가 신호가 수신되는 순간 리셋(Reset)되어, 상기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동작한다. 상기 비교기(219)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인가 시 유입되는 스파이크 노이즈(Spike Noise) 및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소멸 된 후 상기 LVDS 송신기(2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카운터(217)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인가 시간을 기준 값과 비교한다. 이후, 상기 전원인가 시간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LVDS 송신기(220)의 활성화(Enable)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인가 신호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생되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제공되는 신호이다.
상기 LVDS 송신기(220)는 상기 LVDS 제어기(213)로부터 활성화 신호가 인가 되면, 상기 TDD 신호발생기(211)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TDD 제어신호를 LVDS 선로(205)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부(203)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시, 상기 LVDS 송신기(220)은 비활성화되어 높은 임피던스(Impedance)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입장에서 상기 LVDS 선로(205)는 개방(Open)된 것과 같다. 따라서, 상기 LVDS 선로(205)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전류가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회로보호부(230)는 과전압 보호기(231) 및 버퍼(2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부(103)로부터 유입되는 높은 전압의 잡음으로부터 상기 TDD 제어부(210)를 보호한다.
상기 과전압 보호기(231)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 인가 시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과전압 보호기(231)는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접지(Ground)보다 낮은 전압 또는 이진 비트(Bit)의 하이(High)(예 : 3.3V)보다 높은 전압을 갖는 신호가 상기 TDD 제어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버퍼(233)는 높은 전압의 잡음으로부터 상기 TDD 제어부(210)를 보호하고, 상기 과전압 보호기(23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인가 신호를 이진 비트에 이상적인 전압 크기로 출력한다. 즉, 상기 버퍼(233)는 상기 과전압 보호기(231)를 보충하여 높은 전압의 잡음으로부터 상기 TDD 제어부(210)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원인가 신호는 긴 전송로를 통과하는 동안 전압 강하(Drop)가 일어나 신호의 전압 크기가 이진 비트 판단의 경계 값에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퍼(233)는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이진 비트에 이상적인 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부(203)는 전원부(240), 송신제어부(250) 및 전력증폭 송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240)는 스위치(241) 및 BMP(Board Mounted type Power)(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241)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에 필요한 전원을 온/오프한다. 상기 BMP(243)는 상기 스위치(241)를 통과한 전원을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내부 장치들에게 필요한 전압으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BMP(243)는 이진 비트의 하이에 해당하는 전압(예 : 3.3V)을 상기 송신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상기 송신제어부(250)는 LVDS 수신기(251) 및 전압 분배기(2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TDD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 송신부(2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LVDS 수신기(251)는 상기 LVDS 송신기(2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TDD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력증폭 송신부(260)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 분배기(253)는 전원인가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분배기(253)는 두 개의 저항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BMP(243)로부터 제공되는 이진 비트의 하이 신호가 전압 분배되어 상기 하이 신호에 근접한 전압의 신호가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출력된다. 또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하이 신호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출력 선로는 접지되어 로우(Low) 신호가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출력된다.
상기 전력증폭 송신부(260)는 상기 LVDS 수신기(251)로부터 상기 TDD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TDD 제어신호 발생기를 보호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301단계에서 상위단에서 제공되는 시스템 클록을 이용하여 TDD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전원 잡음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발생시킨 TDD 제어신호의 출력을 대기시킨다. 즉,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상기 LVDS 송신기(220)를 비활성화한다. 여기서, 상기 LVDS 송신기(220)는 비활성화되어 높은 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입장에서 상기 LVDS 선로(205)는 개방(Open)된 것과 같다. 따라서, 상기 LVDS 선로(205)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 전류가 유입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TDD 제어부(21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력증폭부(203)로부터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원인가 신호가 입력된 순간부터 시간 T동안 상기 TDD 제어신호의 출력을 대기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 T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인가 시 유입되는 스파이크 노이즈 및 돌입 전류가 소멸되는 시간으로, 시스템에서 설정하는 값이다. 즉,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시간 T가 지날 때까지 상기 LVDS 송신기(220)를 높은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로의 전원 잡음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시간 T동안 출력을 지연시킨 후,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증폭부(203)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상기 LVDS 송신기(220)를 활성화한다.
이후,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201)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원인가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TDD 제어부(210)는 상기 전력증폭부(203)의 전원이 차단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전원인가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TDD 제어부(210)는 3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TDD 제어신호의 출력을 대기시킨다. 즉, 상기 LVDS 송신기(220)를 비활성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TDD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내에서 TDD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증폭 제어부와 수신하는 전력증폭부 사이에 보호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 제어부의 TDD 제어신호 송신기 및 주변 소자들의 파 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TDD : Time Division Duplex) 제어신호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전원의 인가를 알리는 전원인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분배기와,
    상기 전원인가 신호 입력 시,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팅 값이 소정 값에 도달 시, 제어신호 송신기로 활성화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부로 출력하는 상기 제어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송신기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DD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송신기로 발생시키는 TDD 신호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 신호와 함께 상기 카운터로 유입되는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보호부는, 상기 전력 증폭부로부터 접지(Ground)보다 낮은 전압 또는 이진 비트(Bit)의 하이(High)보다 높은 전압을 갖는 신호의 유입을 차단하는 과전압보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TDD : Time Division Duplex)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력 증폭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상기 전원의 인가를 알리는 전원인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원인가 신호 입력 시,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팅 동작에 따른 카운팅 값이 소정 값에 도달 시,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 신호 발생에 따라, TDD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송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송신기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 신호와 함께 잡음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잡음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45464A 2006-05-22 2006-05-2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6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464A KR101267281B1 (ko) 2006-05-22 2006-05-2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464A KR101267281B1 (ko) 2006-05-22 2006-05-2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500A KR20070112500A (ko) 2007-11-27
KR101267281B1 true KR101267281B1 (ko) 2013-05-24

Family

ID=3909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464A KR101267281B1 (ko) 2006-05-22 2006-05-22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649B2 (ja) * 2011-02-18 2014-11-12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500A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4558B (zh) 用于总线系统的用户站和用于在用户站的电磁兼容性的范围内提高抗扰度的方法
US7936180B2 (en) Serial link transmitter
KR20080034251A (ko) 시분할 복신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회로를 보호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121114A (ko)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직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8114205A3 (en) Fast powering-up of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378896B2 (en) Single pin for multiple functional control purposes
JP2009253986A (ja) 単線式通信プロトコルにおけるマスターデバイスにより受信されるデータの検出
US9519602B2 (en) Audio jack system
US8786323B2 (en) Driver with resistance calibration capability
CN110892682A (zh) 用于总线系统的减振单元和用于减小在不同的位状态之间过渡时的振荡趋势的方法
KR10126728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제어신호 발생기를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589462B2 (ja) 入出力信号制御装置
US20050198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use of a connection device coupled to a processing system
KR101668559B1 (ko) 진폭 및 위상 변조 방식을 이용한 백스캐터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US9831949B2 (en) Modulation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ssion system
US7009827B1 (en) Voltage swing detection circuit for hot plug event or device detection via a differential link
WO2001056031A3 (en) Full swing voltage input/full swing voltage output bi-directional repeaters for high resistance or high capacitance bi-directional signal lines and methods therefor
US10224925B2 (en) Communication node
WO2006124921A3 (en) Vehicle locating unit with input voltage protection
CN105812064A (zh) 一种光模块控制方法、光模块及光通信终端
CN109768809B (zh) 无线通信设备及其放大器控制模块
JP2019505862A (ja) Usb電力送出信号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090148A1 (en) Circuit Coupling
CN112511153B (zh) Swp主接口电路及终端
JP58500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アンテナ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