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987B1 -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987B1
KR101266987B1 KR1020060053787A KR20060053787A KR101266987B1 KR 101266987 B1 KR101266987 B1 KR 101266987B1 KR 1020060053787 A KR1020060053787 A KR 1020060053787A KR 20060053787 A KR20060053787 A KR 20060053787A KR 101266987 B1 KR101266987 B1 KR 10126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uoyancy
gear
pow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311A (ko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김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웅 filed Critical 김세웅
Priority to KR102006005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98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 주변의 조류(潮流)나 또는 폭이 적은 샛강이나 강의 지류인 천(川)에 설치하여 물과 바람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동력을 얻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부력부재의 사이에 다수개의 발전터빈을 설치하고 부력부재의 본체의 상단에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풍력부재를 설치하여 강물의 수량이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도 항상 본체가 물 위에 터 있는 상태에서 수력과 풍력에 의해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발전터빈의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큰 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된 발전장치의 회전축과 발전장치의 외체를 각각 역회전방향( 예를 들어 1차 회전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빈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 회전시켜 적은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부력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Figure R1020060053787
수력, 풍력. 발전기, 발전터빈, 부력부재, 발전장치,

Description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Wind force and water power generator using a buoyancy}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한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본체의 상부에 풍력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에서 계략적으로 단면 상태로 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체의 상면에 본 발명의 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를 예시한 평면예시도.
도 6a,b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a, b는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풍력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풍력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풍력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본체 101.101-1...부력부재
102...발전터빈 103. 103-1...수평회전축
104...부력통 105...헬리컬기어
110, 110-1... 체인큰기어 111. 111-1. 111-2...체인
200...풍력부재 201...프로펠러
202...수직회전축 203...베벨기어
204.204-1...베어링 205...삼각고정지지대
206.206-1...상,하측고정판 207.207-1...영구자석
208.208-1...상,하측프로펠러고정부재
209.209-1...영구자석
300...발전장치. 301.301-1...베어링.
302...발전기 회전축. 303...보빈.
304...체인기어. 305. 315...래칫베어링.
307.317...키 308. 318...클러치.
309.319 ...스프링 310.320...핸들
311.321...체인기어 312. 316...평기어
313.314...회전축
본 발명은 섬 주변의 조류(潮流)나 또는 폭이 적은 샛강이나 강의 지류인 천(川)에 설치하여 물과 바람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동력을 얻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부력부재의 사이에 다수개의 발전터빈을 설치하고 부력부재의 같은 수평회전축에는 본체의 상단에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풍력부재의 수직회전축과 기어시스템으로 연설 설치하여, 강물의 수량이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도 항상 본체가 물 위에 터 있는 상태에서 수력에 의해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상단에 설치된 풍력부재에 의해 병행으로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발전터빈의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큰 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된 발전장치의 회전축과 발전장치의 외체를 각각 역회전방향( 예를 들어 1차 회전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빈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회전시켜 적은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단산업의 발전으로 원자력, 댐을 이용한 수력발전, 그리고 화력발전 등 여러 종류의 발전과 또는 이동하기 간편하고 들고다닐 수 있는 무게가 은 발전기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산간 오지나 섬 등에서는 전기를 얻기 위해서는 가스 또는 디젤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많은 전기를 얻기 위해서는 발전기의 용량이 커야 하고 이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원료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흐르는 물과 수위변동에 의한 물의 흐름, 그리고 바람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측에 부력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부력부재의 사이에 다수개의 발전터빈을 설치하여 수위에 관계없이 수력에 의해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얻을 수 있는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상단에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성한 풍력부재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풍력부재를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바람을 더욱 이용할 수 있게 한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터빈의 회전축에 체인으로 연결된 발전장치의 회전축과 발전장치의 외체를 각각 역회전방향( 예를 들어 1차회전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빈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 회전시켜 적은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한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도 1은 본 발명이 적용한 발전장치인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본체의 상부에 풍력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상부에서 계략적으로 단면 상태로 본 평면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풍력장치 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풍력장치의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6a,b는 본 발명의 풍력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체의 상면에 본 발명의 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발전장치를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 a,b는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의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00)에 설치된 부력부재(101)(101-1)의 사이에 발전터빈(102)을 다수 개 설치한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부력부재(101)(101-1)의 사이에 발전터빈(102)을 다수 개 설치하고 상기 발전터빈(102)을 축설한 수평회전축(103)(103-1)의 외부에는 부력통(104)을 설치하여, 수평회전축(103)(103-1)을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각 부력부재(101)의 상단에는 프로펠러(201)를 구성한 풍력부재(200)를 설치 구성한다.
상기 풍력부재(200)는 풍력부재에 축착된 수직회전축(202)과 발전터빈(102)에 축착된 수평회전축(103)과 축이음으로 연결설치한다.
상기 축이음으로는 발전터빈(102)의 수평회전축(103)에, 일방향 래칫베어링(106)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이의 주연에 헬리컬기어(105)를 설치한다.
상기 풍력부재(200)에 설치된 수직회전축(202)의 하단에는 베벨기어(203)를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풍력부재(200)의 상단에는 수직회전축(20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 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204)(204-1)을 설치구성하고 상기 베어링(204)의 외주연에는 베어링을 고정하는 삼각고정지지대(205)를 설치하여 풍력부재(20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풍력부재(200)는 중앙부에는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로펠러(201)를 구성한 프로펠러고정부라켓트(208)을 설치 구성한다.
상기 프로펠러고정부라켓트(208)의 상,하에는 각각 영구자석(209)(209-1)을 설치 구성설치하고 상기 영구자석(209)(209-1)과 일정간격(s)을 두고 영구자석(207)(207-1)을 고정설치한다.
상기 영구자석(207)(207-1)은 삼각고정지지대(205)의 내측부에 상부과 하부에 각각 설치구성된 상,하측 고정판(206)(206-1)에 고정설치 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된 발전장치(300)는, 양측에 베어링(301)(301-1)에 의해 축설된 발전기 회전축(302)에 순차적으로 미끄럼 회전 가능한 보빈(303)의 일측에 체인기어(304)를 관통되게 설치하고, 수평회전축(103)의 일측에 체인큰기어(110)를 축설하고 상기 체인큰기어(11)에 체인(111)으로 연결되는 일방향 래칫베어링(305)을 설치한 래칫체인기어(306), 그리고 키(307)를 내설한 클러치(308)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상기 클러치(308)는 스프링(309)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클러치는 핸들(310)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부력부재 내측에 설치된 수평회전축(103-1)의 일측에 축설된 체인큰기 어(110-1)에 연설 된 체인(111-1)과 연설 된 체인기어(311)와, 일측에는 평기어(312)를 회전축(313)에 축설한다.
상기 회전축(313)에 축설된 평기어(312)는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314)에 축설된 일방향성 래칫베어링(315)을 내설한 평기어(316)에 치합되게 설치구성 한다.
상기 평기어(316)의 일측에는 키(317)를 내설한 클러치(318)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상기 클러치(318)는 스프링(319)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클러치는 핸들(320)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축(314)에 축설된 평기어(316)의 타측에는 체인기어(321)를 축설하고, 상기 체인기어(321)는 보빈(303)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체인기어(304)와 체인(111-2))으로 연설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섬 주변 또는 산간 등에 폭이 적은 샛강 또는 강의 지류인 천에 도 11과 같이 물이 흐르는 장소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된 부력부재(101)에 의하여 흐르는 물의 수량이 적더라도 전혀 불편함이 없이 항상 발전터빈(102)을 회전시켜 전기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력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터빈(102)은 부력부재(101)에 의하여 수량이 적은 시냇물에서도 항시 물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설치된 발전터빈(102)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많은 양의 수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풍력부재(200)와 같이 발전터빈(102)과 병행으로 같이 회전하면서 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발전장치(300)를 가동시켜 전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전터빈과 풍력부재를 회전시켜 발전장치를 가동시켜 전기를 얻는 것을 실시 예에 의해 설명하면.
수력에 의해 발전터빈(102)이 회전하면 발전터빈(102)에 축설된 수평회전축(103)(103-1)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게 회전된 수평회전축(103)(103-1)의 일단에 축설된 체인큰기어(110)(110-1)이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먼저 일측에 설치된 발전기 회전축(302)의 회전상태를 살펴보면 수평회전축(103)이 회전함에 따라 축착된 체인큰기어(110)이 회전하고 상기 체인큰기어(110)에 연설 된 체인(111)이 발전기 회전축(302)에 축설된 일방향 래칫베어링(305)을 설치한 래칫체인기어(306)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래칫체인기어(306)은 회전하되 발전기 회전축(302)을 회전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310)을 작동시켜 클러치(308)를 이동 즉 래칫체인기어(306)쪽으로 이동시키면 클러치(308)에 구성된 키(307)가 래칫체인기어(306)와 맞물리게 되어 체인큰기어(110)의 동력을 래칫체인기어(306)에 전달되고 따라서 발전기 회전축(302)이 회전하게 되어 전기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전기 회전축은 시계반대방향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일측에 설치된 수평회전축(103-1)이 회전하면, 수평회전축(103-1)에 축착된 체인큰기어(110-1)이 회전하고 상기 체인큰기어(110-1)에 연설된 체인(111- 1)의 회전축(313)에 축설된 체인기어(311)을 회전시킨다 이때 체인기어의 회전방향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체인기어(31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13)이 회전하면 회전축에 축설된 평기어(312)가 회전하고 일측의 회전축(314)에 축설된 일방향성 래칫베어링(315)을내설한 평기어(316)와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314)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평기어(316)만 회전하는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축(314)을 회전시키려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 핸들(320)을 작동시켜 클러치(318)을 이동 즉 일방향성 평기어(316)쪽으로 이동시키면 클러치(318)에 구성된 키(307)가 평기어(316)와 맞물리게 되고, 체인큰기어(110-1)의 동력이 체인기어(311),평기어(312) 그리고 치합된 일방향성 평기어(316)로 전달되어 회전축(314)이 회전하게 되고 사익 회전축에 축착된 체인기어(321)가 회전함에 따라 체인기어(321)에 체인(111-2)으로 연설된 체인기어(304)를 회전시키면, 체인기어(304)와 같이 구성된 보빈(303)이 회전하게 되어 전기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빈(303)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 회전축(302)의 방향과 보빈(303)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적은 힘으로 발전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1분에 앞쪽 발전터빈(102)가 30회 회전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발전기 회전축(302)이 시계반대방향으로 1000회 회전하게 되고, 뒤쪽 발전터빈(102-1)은 1분에 28회 회전하면(물의 저항에 의해 적은 숫자로 회전함)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보빈(303)이 시계 방향으로 800회 회전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총 1800회 회전하게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발전장치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101)의 상면에 설치된 풍력부재(200)에 의해 항상 풍력을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상태는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풍력부재(200)를 지지하는 삼각고정지지대(205)의 베어링(204)에 축설된 수직회전축(202)에 다수개의 프로펠러(201)를 구성한 프로페러고정부라켓트(208)를 설치하여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부재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풍력부재(200)가 회전하면 풍력부재에 축설된 수직회전축(20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식회전축의 하단에 설치된 바벨기어(203)가 수평회전축(103)에 연결설치된 헬리컬기어(105)와 축이임으로 구성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발전터빈(102)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풍력부재(200)에 해 전달되는 동력은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풍력부재(200)가 아주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속도(풍력부재의 회전속도보다 발전터빈의 속도가 늦게 회전하는 경우)에 의한 회전력이 수평회전축에 전달되어 발전터빈(102)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너무 빠른 속도로 회전되는 동력이 수평회전축(103)에 전달하기 위해 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클러치작동을 하여야 풍력부재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클러치작동은 프로펠러고정부라켓트(208)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영구자석(209)(209-1)과, 삼각고정지지대의 내측에 설치한 상,하측 고정판에 설치된 영구자석(207)(207-1)과 일정간격(s)을 두어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한 클러치작동에 의하여 속도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풍력부재에 회전이 느리고 수력에 의해 발전터빈(102)이 빨리 회전할 경우에는 도 8 또는 도 10과 같이 발전터빈(102)에 설치된 수평회전축(103)에 수직회전축(202)과 축이임으로 설치된 헬리컬리어(105)와 같이 구성된 일방향 래칫베어링(106)에 의해 공회전하므로 회전속도를 맞출 수 있고 정방향일 때에는 래칫베어링(106)과 같이 회전하여 풍력부재(200)와 발전터빈(102)이 서로 호환성 있게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안전성 있게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섬 주변의 조류(潮流)나 또는 폭이 적은 샛강이나 강의 지류인 천(川)에 설치하여 물과 바람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동력을 얻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부력부재의 사이에 다수개의 발전터빈을 설치하고 부력부재의 본체의 상단에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풍력부재를 설치하여 강물의 수량이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에도 항상 본체가 물 위에 터 있는 상태에서 수력과 풍력에 의해 발전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발전터빈의 수평회전축에 설치된 큰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된 발전장치의 회전축과 발전장치의 외체를 각각 역회전방향( 예를 들어 1차회전축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빈 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 회전시켜 적은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지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본체에 설치된 부력부재의 사이에 발전터빈을 다수개 설치한 발전기에 있어서,
    본체(100)에 마주하게 설치된 부력부재(101)(101-1) 사이에는 다수개의 발전터빈(102)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터빈의 내부로 축설된 수평회전축(103), (103-1)의 양단은 부력부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수평회전축(103)(103-1)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부력통(104)이 설치된 부력부재(101)(101-1); 와
    상기 부력부재(101)(101-1)의 상단에는 부력부재(101)(101-1)내부로 삽입된 수평회전축(103),(103-1)과 교차되게 프로펠러(201)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중심에는 수직회전축(202)이 삽입된 풍력부재(200)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풍력부재(200)에 축착된 수직회전축(202)의 하단에는 베벨기어(203)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부력부재(101)(101-1)로 삽입된 수평회전축(103)에는 일방향 래칫베어링(106)이 삽입된 헬리컬기어(105)를 축이음으로 설치하여 베벨기어(203)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풍력부재(200);와
    상기 본체의 부력부재(101)(101-1) 상면에 풍력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발전장치(300)는 양측에 베어링(301)(301-1)에 의해 축설된 발전기 회전축(302)과, 상기 발전기 회전축(302)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보빈(303)과, 상기 보빈(303)의 일측에는 발전기 회전축(302)에 체인기어(304)를 설치하고, 상기 부력부재(101)(101-1)의 수평회전축(103)의 일측에 체인큰기어(110)를 축설한 다음 체인큰기어(11)의 일측에는 체인(111)과 연결되도록 수평회전축(103)에 일방향 래칫베어링(305)이 내부에 삽입된 래칫체인기어(306)와 키(307)를 내설한 클러치(30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재 내측에 설치된 수평회전축(103-1)과 일직선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축설된 회전축(313)에는 상기 수평회전축(103-1)의 체인큰기어(110-1)에 연설된 체인(111-1)과 연설되도록 체인기어(311)와, 평기어(312)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313)과 일렬로 위치하게 설치된 회전축(314)에는 상기 회전축(313)에 결합된 평기어(312)와 치합되도록 일방향성 래칫베어링(315)이 내설한 평기어(316)가 설치되고, 상기 평기어(316)의 일측에는 키(317)를 내설한 클러치(318)가 회전축(314)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14)에 축설된 평기어(316)의 타측에는 체인기어(321)를 축설하고, 상기 체인기어(321)는 보빈(303)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체인기어(304)와 체인(111-2)으로 연설하여 구성하고, 상기 각 클러치(308)(318)는 스프링(309)(319)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고 핸들(310)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부재(200)의 상단에는 수직회전축(20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회전축(20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204)(204-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204)의 외주연 둘레로 베어링(204)을 고정하도록 상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끝단이 부력부재(101)(101)에 결합되도록 삼각고정지지대(205)를 설치하고, 상기 삼각고정지지대(205)의 내부 중앙에는 수직회전축(202)이 삽입 관통되어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도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로펠러(201)가 수직회전축(202)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상부와 하부에는 원판형상의 상·하측 프로펠라 고정부재(208, 208-1)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회전축(202)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상·하측 프로펠라 고정부재(208, 208-1)의 상,하부에는 링형상의 영구자석(209)(209-1)이 1차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209)(209-1)과 일정간격(s)을 두고 링 형상의 2차 영구자석(207)(207-1)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영구자석(207)(207-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하측 고정판(206)(206-1)이 위치하여 수직회전축(202)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3. 삭제
KR1020060053787A 2006-06-15 2006-06-15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KR10126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787A KR101266987B1 (ko) 2006-06-15 2006-06-15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787A KR101266987B1 (ko) 2006-06-15 2006-06-15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311A KR20070119311A (ko) 2007-12-20
KR101266987B1 true KR101266987B1 (ko) 2013-05-22

Family

ID=3913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787A KR101266987B1 (ko) 2006-06-15 2006-06-15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734A2 (en) * 2008-08-22 2010-02-25 Natural Power Concepts, Inc. Platform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flowing fluid using generally prolate turbine
KR101308174B1 (ko) * 2012-06-01 2013-09-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도와 바람을 같이 이용한 발전기
KR101578537B1 (ko) 2013-10-18 2016-01-04 김유일 수면 부양식 고효율 수차 발전기
KR101717425B1 (ko) * 2015-10-15 2017-03-17 임형우 계류식 조류발전기
KR102438666B1 (ko) * 2022-04-11 2022-09-02 김남규 풍력 및 수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218A (en) 1982-09-30 1984-08-21 Walter Andruszkiw Current-driv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JP2003013839A (ja) 2001-07-02 2003-01-15 Nihon Kankyo Science Co Ltd リニア風力発電システム
JP2003247483A (ja) 2002-02-21 2003-09-05 Hiroshi Katori 垂直回転軸用重力負荷低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218A (en) 1982-09-30 1984-08-21 Walter Andruszkiw Current-driv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JP2003013839A (ja) 2001-07-02 2003-01-15 Nihon Kankyo Science Co Ltd リニア風力発電システム
JP2003247483A (ja) 2002-02-21 2003-09-05 Hiroshi Katori 垂直回転軸用重力負荷低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311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987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JP2018530704A (ja) 重力体による浮力発電装置
US11506170B1 (en) Generator device using potential energy
CN203230525U (zh) 海洋能发电装置及其框架
KR20040033160A (ko) 임펠러식 수차를 이용한 조류력 발전장치
JP2013217361A (ja) 可変翼水車発電装置
CN201504161U (zh) 磁悬浮无摩擦双转子发电机
JP3214546U (ja) ハイブリッド小型発電装置
CN116753397A (zh) 一种公转自转协同的海洋立管同步抑振与发电装置及方法
CN110778443A (zh) 水落差式动力发电装置
CN216447041U (zh) 漂浮式单体可串联海浪发电机
KR20100117467A (ko) 파력 발전장치
CN113482842A (zh) 一种双向海流发电系统
WO2010099713A1 (zh) 磁悬浮无摩擦双转子发电机
KR20070076888A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수력 및 풍력 발전장치
KR101320636B1 (ko) 유수관용 수력발전장치
KR20110063994A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조류력 발전장치
CN108561267A (zh) 潮汐能发电装置
CN210564882U (zh) 一种安装于风力发电机组塔筒的潮流能发电装置
KR101287007B1 (ko) 풍차 및 수차 겸용 회전자
CN215521123U (zh) 潮汐能和风力结合的发电装置
JP5073087B1 (ja) 水流発電機、潮流発電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潮流発電方法
KR101384123B1 (ko) 양방향터빈을 구비한 조력발전장치 및 조력발전부력선
KR101315180B1 (ko) 떠 있는 연속풍력발전장치
KR20100100564A (ko) 부유식 수력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