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46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6246B1 KR101266246B1 KR1020060065632A KR20060065632A KR101266246B1 KR 101266246 B1 KR101266246 B1 KR 101266246B1 KR 1020060065632 A KR1020060065632 A KR 1020060065632A KR 20060065632 A KR20060065632 A KR 20060065632A KR 101266246 B1 KR101266246 B1 KR 101266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lamp unit
- backlight assembly
- coupling
- bottom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복수의 측벽부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를 갖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같은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의 측벽부가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된다. 상기 바닥부도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 있으며,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광학 유닛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유닛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와 바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램프 등의 소모품 교체가 용이하고, 바닥부를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여 무게가 감소되며, 광학 유닛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수납 용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절단선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측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수납 용기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수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110 : 바텀 샤시의 바닥부
120 : 바텀 샤시의 측벽부 130 : 바텀 샤시
140 : 광학 유닛 141 : 램프 유닛
150 : 제1 램프 고정 부재 160 : 제2 램프 고정 부재
170 : 제3 램프 고정 부재 200 : 디스플레이 유닛
300 : 탑 샤시 400 : 몰드 프레임
700 :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평판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이 향상되고 무게가 감소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평판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이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는 수광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유닛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에지타입과 직하타입으로 구분된다.
직하타입 액정 표시 장치는 바텀 샤시, 반사판, 램프 유닛, 확산판, 몰드 프 레임, 액정 표시 패널 및 탑 샤시 등을 포함하는데, 이 때, 바텀 샤시는 몰드 프레임의 하면에 체결되어 램프 유닛을 고정시키고, 램프 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온도를 유지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를 보호한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바텀 샤시의 사이즈도 커지는데, 바텀 샤시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므로 대형화에 따른 무게 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텀 샤시를 생산하기 위한 프레스(PRESS) 설비 등이 대형화되어야 하고, 특히, 바텀 샤시의 측벽부와 바닥부를 일체로 생산하는 경우 생산비용 및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무게가 감소된 수납 용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유닛 및 복수의 측벽부들, 바닥부 및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유닛은 광을 출사한다. 상기 바닥부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결합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시킨다. 상기 수납 용기는 상 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유닛을 수납한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측벽부는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 있으며,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상기 측벽부에 동시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램프 유닛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의 소정 위치에 그라운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1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유닛 및 제2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는 복수의 측벽부들, 바닥부 및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공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한다. 상기 램프 유닛은 광을 출사한다. 상기 바닥부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결합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2 수납 용기는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유닛을 수납한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램프 유닛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복수의 측벽부들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의 하단에 결합하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를 제작하는 단계, 결합부재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 간에 램프 유닛을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텀 샤시를 측벽부와 바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된 램프 유닛을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고장난 램프 유닛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분리 형성되는 바텀 샤시의 바닥부를 두 개 이상의 바닥부로 분리 제작한 후 결합하여 형성하거나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바텀 샤시의 대형화에 따라 일체로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재료비의 절감과 바텀 샤시를 비롯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품을 별도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가 램프 고정 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제품 생산 시간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 금형을 통해 제작되어 대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 절감 효과, 생산 시간 절감 효과 및 제품 품질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을 절단선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디스플레이 유닛(200) 및 제1 수납 용기(이하, 탑 샤 시)(3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몰드 프레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제2 수납 용기(이하, 바텀 샤시)(130) 및 광학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 샤시(130)는 복수의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 바닥부(110) 및 결합 부재들(121a, 122a)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과 상기 바닥부(110)는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상기 결합 부재들(121a, 122a)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텀 샤시(130)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은 각각이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고, 인접하는 측벽부들(120a, 120b)과 다른 측벽부들(120c, 120d) 사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이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들(121a, 122a)을 통한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볼트와 너트 결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스와 홈 또는 보스와 홀 등의 결합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c)과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일정한 수납 공간을 정의하게 되며, 상기 정의된 수납 공간에는 상기 광학 유닛(140)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 유닛(140)이 수납된 바텀 샤시(130)는 상기 탑 샤시(300) 및 몰드 프레임(400)과 결합하여 광학 유닛(140)을 지지 및 고정한다.
상기 광학 유닛(140)은 램프 유닛(141), 확산판(142), 확산 시트(143) 및 집광 시트들(144, 145)을 포함하며, 균일한 광을 액정 표시 패널(2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 유닛(141)은 상기 확산판(142)의 하부에 위치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확산판(142)과 확산 시트(143)는 상기 램프 유닛(14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 유닛(141)에서 발생한 광을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가지는 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200)에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집광 시트들(144, 145)은 상기 확산판(142) 및 확산 시트(143)를 통과하면서 휘도가 균일해 진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시켜 광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램프 유닛(141)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반사판(미도시)을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판은 확산판(320)으로 입사되지 못하고 누설된 광을 확산판(142)으로 반사한다. 상기 램프 유닛(141)은 상기 바텀 샤시(130)의 수납 공간에 수납될 때, 램프 유닛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램프 유닛 고정부(미도시)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판(142), 확산 시트(143) 및 집광 시트들(144, 145)은 상기 바텀 샤시(130)의 측벽부(120)의 모서리에 형성된 단턱(미도시)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확산판(142), 확산 시트(143) 및 집광 시트들(144, 145)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확산판 지지부(미도시)가 바텀 샤시(130)의 수납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2개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입사된 광을 통해 액정의 전기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모서리 부분이 상기 탑 샤시(300)와 상기 몰드 프레임(4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상기 탑 샤시(300)은 바닥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탑 샤시(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이 개구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몰드 프레임(400) 및 상기 바텀 샤시(130)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몰드 프레임(400)에 고정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400)은 바닥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액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몰드 프레임(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부와 상기 광학 유닛(1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탑 샤시(300)와 바텀 샤시(130)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지지하면서 수납한다.
도 3a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도 1의 제2 수납 용기의 측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텀 샤시(130)는 바닥부(110), 측벽부(120) 및 결합 부재들(121a, 122a)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120)는 제1 측벽부(120a), 제2 측벽부(120b), 제3 측벽부(120c) 및 제4 측벽부(120d)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평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램프 유닛(141)은 언급한 바와 같이 바텀 샤시(130)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바텀 샤시(130)의 바닥부(110) 상에 램프 유닛 고정부(미도시)와 함께 형 성된다. 또한, 바텀 샤시(130)는 바닥부와 측벽부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가(110) 상기 측벽부(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110) 상에 형성된 램프 유닛(141)은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고, 나아가 고장난 램프 유닛(141)의 수리 및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측벽부(120)와 분리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부(110)를 상기 측벽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들(121a, 122a)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부(110)는 평판 형상의 네 모서리 부분에 바닥부 홈들(111, 112, 114) 및 바닥부 돌기(113)들을 갖는다.
상기 바닥부(110)의 제1 모서리(110a)에는 바닥부 제1 홈(111)들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 제1 홈(111)들은 상기 측벽부(120)에 형성된 측벽부 제1 돌기(121)들과 제1 결합 부재(121a)들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 부재(121a)들은 볼트 또는 보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 제1 홈(111)들 및 상기 측벽부 제1 돌기(121)들은 상기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0)의 제2 모서리(110b)와 제4 모서리(110d)에는 바닥부 제2 홈(112)들 및 바닥부 돌기(113)들이 형성된다. 바닥부 제2 홈(112)들은 상기 측벽부(120)에 형성된 측벽부 제2 돌기(122)들과 제2 결합 부재(122a)들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121a)의 결합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바닥부 돌기(113)들은 상기 바닥부의 제2 모서리(110b) 또는 제4 모서리(110d)에서 평판 방 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20)의 제2 모서리(120b)와 제4 모서리(120d)에 형성된 측벽부 홈(123)들과 결합한다. 상기 바닥부 돌기(113)들은 평판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닥부(110)와 상기 측벽부(120)가 결합할 때, 다른 결합 부보다 먼저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바닥부(110)의 제3 모서리(110c)에는 바닥부 제3 홈(114)들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 제3 홈(114)들은 상기 측벽부(120)에 형성된 측벽부 제3 돌기(124)들과 보스-홈 결합을 한다. 상기의 보스-홈 결합은 억지 끼워 맞춤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10)와 상기 측벽부(120)를 단단하게 결합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 제3 홈(114)들 및 상기 측벽부 제3 돌기(124)들도 상기 바닥부(110)와 측벽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바닥부(110)는 다양한 결합 부재들을 통해 상기 측벽부(120)와 결합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바닥부(510)는 제1 바닥부(511) 및 제2 바닥부(512)로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 공정을 통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511)와 상기 제2 바닥부(512)는 조립을 위한 제1 바닥부 홈(511a), 제2 바닥부 돌기(512a)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바닥부 홈(511a)과 상기 제2 바닥부 돌기(512a)는 바닥부 결합 부재(513)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나사의 결합이 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스-홈 또는 보스-홀의 결합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결합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바닥부(510)가 두 개의 바닥부들(511, 512)로 형성된 후 조립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바닥부(510)는 세 개 이상의 바닥부들로 분리되어 형성된 후 조립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바닥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510)는 바텀 샤시의 대형화에 따라 일체로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한 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3c를 참조하면, 바닥부(520)는 제1 개구부(521) 또는 제2 개구부(52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521) 또는 제2 개구부(523)는 상기 바닥부(520)에서 상기 측벽부(120)와 결합되는 부분 및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램프 유닛 고정부(미도시)가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한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개구부들(521, 52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세 개 이상이 형성되거나 또는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의 형상과 위치도 측벽부와의 결합이나 램프 유닛의 고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이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닥부(520)는 바텀 샤시의 대형화에 따른 재료비의 절감과 바텀 샤시를 비롯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바닥부(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바닥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측벽부(120)는 제1 측벽부(120a), 제2 측벽부(120b), 제3 측벽부(120c) 및 제4 측벽부(120d)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측벽부들은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측벽부들(120a, 120b, 120c, 120d)이 각각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제1 측벽부(120a)와 제2 측벽부(120b), 제3 측벽부(120c)와 제4 측벽부(120d)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도 있으며, 제1 측벽부(120a)와 제3 측벽부(120c), 제2 측벽부(120b)와 제4 측벽부(120d)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측벽부들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측벽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20)의 제2 측벽부(120b)와 제4 측벽부(120d)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10)와 결합한다. 'ㄷ'자 형상의 측벽부는 수평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일정 부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수납 공간에 배치된 램프 유닛(141)을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100)가 수평 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탑 샤시(300)와 상기 몰드 프레임(400)과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결합력을 증가시켜 일체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측벽부(120)는 상기 확산판(142), 확산 시트(143) 및 집광 시트들(144, 145)을 안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단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부(110)는 상기 바닥부(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120)를 상기 바닥부(1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들(121a, 122a)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측벽부(120)는 평판 형상의 각각의 측벽부에 측벽부 돌기들(121, 122, 124) 및 측벽부 홈(123)들을 갖는다.
상기 측벽부(120)의 제1 측벽부(120a)에 형성된 측벽부 제1 돌기(121)들은 상기 바닥부(110)의 제1 바닥부(110a)에 형성된 바닥부 제1 돌기(111)와 상기 제1 결합 부재(121a)와 결합하며, 구체적인 결합 방법은 언급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상기 측벽부(120)의 제2 측벽부(120b) 및 제4 측벽부(120d)에 형성된 측벽부 제2 돌기(122)들도 상기 바닥부(110)의 제2 바닥부(110b) 및 제4 바닥부(110d)에 형성된 바닥부 제2 홈(112)들과 상기 제2 결합 부재(122a)와 결합하며, 상기 측벽부 홈(123)들도 상기 바닥부 돌기(113)들과 결합을 한다. 구체적인 결합 방법은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측벽부(120)의 제3 측벽부(120c)에 형성된 측벽부 제3 돌기(124)들은 상기 바닥부(110)의 제3 바닥부(110c)에 형성된 바닥부 제3 홈(114)과 보스-홈 결합을 하며, 구체적인 결합 방법은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측벽부(120)와 상기 바닥부(110)는 별도로 형성되지만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측벽부(120)와 상기 바닥부(110)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램프 유닛(141)의 그라운딩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같은 금속 재질로 일체로서 형성되는 바텀 샤시(130)에 비해, 상기 바닥부(110)가 필요에 따라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고장난 램프 유닛(141)의 수리 및 교환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만약, 상기 측벽부(120)와 상기 바닥부(110)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램프 유닛(141)의 그라운딩을 위하여 상기 측벽부(120)와 상기 바닥부(110) 중 어 느 하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료비를 포함한 제품의 생산성, 액정 표시 장치의 안정된 결합 및 제품의 무게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측벽부(120)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닥부(110)를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120)는 주로 프레스(PRES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부(110)는 금형 공정을 통해 사출물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바닥부(110)가 플라스틱 사출 금형을 통해 제작된다면, 대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 절감 효과, 생산 시간 절감 효과 및 제품의 품질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는 추세에서 원가 절감의 효과와 제품의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수납 용기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의 바닥부(530)는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은 상기 바닥부(530)와 일체로 상기 바닥부(5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은 램프의 길이와 개수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53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은 각각 상기 바닥부(530)의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램프 고정부(151), 적어도 하나의 제2 램프 고정부(153) 및 확산판 지지 돌기(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 각각은 예를 들어, 네 개의 제1 램프 고정부(151)들 및 제2 램프 고정부(153)들과 한 개의 확산판 지지 돌기(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는 상기 바닥부(53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유닛(14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램프 고정부(153)와 함께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하기 위한 홈(15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는 램프 유닛(14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램프 고정부(153)는 상기 바닥부(530)와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와 함께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하기 위한 홈(152)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 램프 고정부(153)는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와 연결되는 동시에 마주보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램프 유닛(141)을 고정할 수 있도록 램프의 직경을 고려하여 제1 램프 고정부(151)와 일정한 이격 간격을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램프 고정부(153)도 상기 램프 유닛(14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확산판 지지 돌기(154)는 상기 바닥부(5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 및 제2 램프 고정부(153)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142)을 지지한다. 상기 확산판(142)은 대형화될수록 중앙부가 바닥부(530) 방향으로 처지게 되는데, 상기 확산판 지지 돌기(154)는 이러한 확산판(142)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제1 램프 고정부(151) 및 제2 램프 고정부(153)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램프 유닛(141)과 확산판(142)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확산판 지지 돌기(154)는 예를 들어, 원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은 상기 바닥부(53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부(5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530)는 생산성의 측면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복수의 제1 램프 유닛 지지 부재(150)들도 플라스틱 사출 금형에 의해 상기 바닥부(5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대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 절감 효과, 생산 시간 절감 효과, 제품의 품질의 신뢰성을 유지 및 조립 공정 생략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수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의 바닥부(540)는 복수의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과 복수의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은 상기 바닥부(540)와, 상기 측벽부(1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540)와 결합되는 부분 상에 위치하며, 램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면이 원 형상으로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은 상기 개구된 면으로 삽입된 램프를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은 램프가 한 개씩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램프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은 상기 바닥부(540)의 양 끝단에 위치하여 램프를 양 끝단에서 고정하므로, 램프의 길이가 길어지는 최근의 대형화 추세에 비추어 램프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램프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은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들을 외부에서 커버하면서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540)의 양 끝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120)와 결합된다. 상기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는 램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부채꼴 단면의 일부가 개구되며, 상기 삽입된 램프는 상기 개구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개구부는 구비되는 램프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의 개구 부분들은 상기 제2 램프 유닛 지지 부재(160)의 개구 부분들과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램프가 평행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한편, 상기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은 조립 공정의 단순화와 제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 바닥부(540)의 상면에 상기 바닥부(540)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바닥부(5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은 상기 바닥부(54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부(5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540)는 생산성의 측면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복수의 제3 램프 유닛 지지 부재(170)들도 플라스틱 사출 금형에 의해 상기 바닥부(5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대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 절감 효과, 생산 시간 절감 효과, 제품의 품질의 신뢰성을 유지 및 조립 공정 생략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텀 샤시를 측벽부와 바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된 램프 유닛을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고장난 램프 유닛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분리 형성되는 바텀 샤시의 바닥부를 두 개 이상의 바닥부로 분리 제작한 후 결합하여 형성하거나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바텀 샤시의 대형화에 따라 일체로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재료비의 절감과 바텀 샤시를 비롯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품을 별도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바텀 샤시의 바닥부가 램프 고정 부재와 일체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제품 생산 시간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 금형을 통해 제작되어 대량 생산에 있어서 원가 절감 효과, 생산 시간 절감 효과 및 제품 품질의 신뢰성 향상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 광을 출사하는 램프 유닛; 및복수의 측벽부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결합하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측벽부들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체결하여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유닛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모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 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측벽부는 별도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된 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상기 측벽부에 동시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의 소정 위치에 그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정하는 제1 수납 용기를 포함하며,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광을 출사하는 램프 유닛; 및복수의 측벽부들,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결합하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측벽부들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체결하여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상기 램프 유닛을 수납하는 제2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용기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램프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홈과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램프 유닛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복수의 측벽부들을 제작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의 하단에 결합하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를 제작하는 단계;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측벽부들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제1 결합부를 제작하는 단계;상기 바닥부에 제2 결합부를 제작하는 단계;결합부재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체결하여 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상기 바닥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측벽부들과 바닥부 및 결합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수납 공간에 램프 유닛을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632A KR101266246B1 (ko) | 2006-07-13 | 2006-07-13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US11/777,400 US7690832B2 (en) | 2006-07-13 | 2007-07-13 |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ckligh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5632A KR101266246B1 (ko) | 2006-07-13 | 2006-07-13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6661A KR20080006661A (ko) | 2008-01-17 |
KR101266246B1 true KR101266246B1 (ko) | 2013-05-22 |
Family
ID=3894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5632A KR101266246B1 (ko) | 2006-07-13 | 2006-07-13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690832B2 (ko) |
KR (1) | KR1012662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49568B (zh) * | 2008-12-01 | 2013-10-02 |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 背光模组及其制造方法 |
KR102175948B1 (ko) | 2013-06-05 | 2020-11-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CN114217476B (zh) * | 2021-12-31 | 2024-02-13 |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 背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87130B (en) * | 2001-01-16 | 2007-09-21 | Au Optronics Corp | Backlight module and a frame for fixing a light guide plate |
TWI247948B (en) * | 2003-12-03 | 2006-01-21 | Quanta Display Inc | New frame structure using for back-light module |
KR20060054826A (ko) * | 2004-11-16 | 2006-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 시트, 이를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
TWI322301B (en) * | 2005-02-25 | 2010-03-21 | Au Optronics Corp | Backlight module and heat-dissipating structure thereof |
TWI366021B (en) * | 2005-04-08 | 2012-06-11 | Hon Hai Prec Ind Co Ltd | Backlight module |
-
2006
- 2006-07-13 KR KR1020060065632A patent/KR1012662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7-13 US US11/777,400 patent/US769083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690832B2 (en) | 2010-04-06 |
KR20080006661A (ko) | 2008-01-17 |
US20080013310A1 (en) | 200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3715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EP2202456B1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KR101533662B1 (ko) | 표시 장치 | |
US9140849B2 (en) |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TWI479233B (zh) | 發光二極體印刷電路板、背光總成與其製造方法及液晶顯示器 | |
US7594746B2 (en) |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502914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조립방법 | |
KR101028315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 |
JP6472634B2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 |
US20090027584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acklight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 |
US8144285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20090310288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90059995A (ko) | 액정표시장치 | |
US20180126501A1 (en) | Backlight assembly,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266246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
KR20110129073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 |
EP3502772B1 (en) | Display device | |
EP3279720B1 (en) |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supporter of light source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po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 |
JP5076637B2 (ja) | 液晶モジュール | |
KR20120090313A (ko) | 표시 장치 | |
JP7108484B2 (ja) |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JP4327110B2 (ja) | 液晶表示装置 | |
JP2000149648A (ja) | バックライト装置 | |
JP2006195224A (ja) |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KR20090004102A (ko) | 액정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