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037B1 -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037B1
KR101265037B1 KR1020110087517A KR20110087517A KR101265037B1 KR 101265037 B1 KR101265037 B1 KR 101265037B1 KR 1020110087517 A KR1020110087517 A KR 1020110087517A KR 20110087517 A KR20110087517 A KR 20110087517A KR 101265037 B1 KR101265037 B1 KR 10126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plate
display
couple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215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1008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0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깊이 요입되고 개방된 하부를 갖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내측 상면에 화면부가 대응되도록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고 수용부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 일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 이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키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대와,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 및 지지플레이트를 틸트운동시키는 틸트운동부와,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가변대의 내측을 통해 가변대의 타단부와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가변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와이어구동부와,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여 유무선으로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 및, 입력부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틸트운동부 및 와이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틸트운동과 높이조절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Display Elev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하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이고,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를 시청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강의실이나 회의실에서는 천장면에 PDP/LCD/LED 등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천장면에 매달린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모서리를 통해 머리를 다치기도 하고, 학생들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매달리기도 하며 디스플레이에 공을 던지기도 하여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장면에 수용부를 구비하고 수용부에 디스플레이를 보관하다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때에는 아래로 내려서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종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장치는 장착프레임 일단이 천장면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이 되는 구조로서 장작프레임의 힌지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장착프레임을 일방향 회전시켜서 장착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힌지구조의 엘리베이션 장치는 시청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가 수직하게 세워질 때에 장착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디스플레이 하부 공간의 활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장면에 수용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어, 미관상 안 좋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공이나 물건을 화면에 던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션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수직하게 세워지더라도 그 높이가 높아 시청만 할 수 있을 뿐 그 외의 기능으로 전혀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위를 향해 수용부에 수용되고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수용부를 커버하여 천장면과 동일면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게 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플레이트가 수용부의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디스플레이가 뒤쪽에 세워짐에 따라 하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디스플레이를 승,하강시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시청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일 관점에서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은 천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깊이 요입되고 개방된 하부를 갖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에 화면부가 대응되도록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고 수용부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 일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 이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키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 및 지지플레이트를 틸트운동시키는 틸트운동부;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가변대의 내측을 통해 가변대의 타단부와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가변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와이어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다른 관점에서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은 천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깊이 요입되고 개방된 하부를 갖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측 상면에 화면부가 대응되도록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고 수용부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 일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 이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키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 및 지지플레이트를 틸트운동시키는 틸트운동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가변대의 내측을 통해 가변대의 타단부와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가변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와이어구동부;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여 유무선으로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틸트운동부 및 와이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틸트운동과 높이조절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틸트운동부는 수용부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어 정, 역 회전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판과, 상기 수용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이동판의 양측에 결합되어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판과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링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은 천장면과 동일재질 또는 동일색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틸트운동과 승강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안정화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정화장치는 와이어구동부에 일단이 감김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타단이 결합되는 보조와이어와, 수용부 측벽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보조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지플레이트의 틸트운동에 따라 절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부측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와이어에 결합되어 보조와이어의 상승시 로드부에 걸림되는 고정캡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리모콘 또는 스위치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하부가 개방된 채널부와, 채널부에 끼움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위를 향해 수용부에 수용되고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수용부의 하부를 커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부를 커버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천장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저면이 천장면과 동일재질 또는 동일색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천장면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가 수용부의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뒤쪽에 세워지고, 지지플레이트의 전방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하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틸트운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디스플레이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시청용도 이외의 입력용도 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가 천장면의 수용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가 틸트운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지지판이 하강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이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천장면의 수용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틸트운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지지판이 하강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이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은 수용부(10)와, 디스플레이부(20)와, 지지플레이트(30)와, 가변대(40)와, 틸트운동부(50)와, 와이어구동부(60)와, 안정화장치(70)와, 지지부(80)와, 입력부(90)와, 제어부(95)를 포함한다.
수용부(10)는 천장면으로부터 천장 안측으로 소정깊이 요입되고, 개방된 하부를 갖으며, 디스플레이부(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수용부(10) 내에 수용되어 보관되되, 수용부(10)의 내측 상면과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대응되도록 화면부(21)가 위를 향해 수용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21)에는 터치를 하거나 글씨를 쓰거나 판서를 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을 장착하여 시청용도 이외에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지지플레이트(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이면 및 양측을 감싸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부(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크기를 갖으며, 수용부(10) 후방 측벽에 일단부가 힌지(31)고정되어 힌지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방향 회전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30)는 수용부(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면 천장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되므로 지지플레이트(30)의 저면을 천장면과 동일재질 또는 동일색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30)가 수용부(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게 되면,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부(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안전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0)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천장면이 깔끔하게 마감처리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가변대(40)는 지지플레이트(30)와 디스플레이부(20)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 (30)일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20) 이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30)와 디스플레이부(20)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가변대(4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중공의 바가 다단으로 수용되어 수용된 바를 펼치면 길이가 신장되고 밀어넣으면 길이가 축소되는 안테나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가변대(40)의 직경이 가장 큰 일단부측이 지지플레이트(30)의 일면 상단부에 결합되고, 직경이 가장 작은 타단부측이 디스플레이부(20)의 이면 하단부에 결합되어 가변대(40)의 길이를 축소시키면 지지플레이트(30)와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포개지고, 가변대(40)의 길이를 신장시키면 지지플레이트(30)와 디스플레이부(20)가 이격되며 길이가 길어질수록 서로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변대(40)의 길이 가변은 후술되는 와이어구동부(60)의 동작에 의해 가변된다.
틸트운동부(50)는 수용부(10)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어 정, 역 회전하는 제 1 구동부(51)와, 제 1 구동부(51)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52)와, 이송스크류(52)에 물림결합되어 이송스크류(5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판(53)과, 수용부(10)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고 이동판(53)의 양측에 결합되어 이동판(5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6)와, 이동판(53)과 지지플레이트(30)를 연결하는 링크부(57)로 구성되어 지지플레이트(30) 및 지지플레이트(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를 틸트운동시킨다. 여기서, 틸트운동은 디스플레이부(20) 및 지지플레이트(30)가 천장면과 수직이 되게 세워지도록 디스플레이부(20) 및 지지플레이트(30)를 힌지축(31)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운동을 말한다.
여기서, 이동판(53)은 중앙부에 이송스크류(52)에 맞물림되어 결합되는 결합부(54)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부(56)에 결합되어 안내되는 채널부(55)가 구비된다.
그리고, 링크부(57)는 이동판(53)의 양측 단부와 지지플레이트(30)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판(53)의 이동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0)를 밀어내거나 끌어당겨 지지플레이트(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와이어구동부(60)는 지지플레이트(30)의 일면에 장착되고 외주연에 와이어(62)가 감김되는 와이어권취드럼(61)과, 와이어권취드럼(61)을 정, 역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63)로 구성되며, 와이어권취드럼(61)에 권취된 와이어(62)의 일단이 가변대(40)의 일단부 내측을 통해 가변대(40)의 타단부 내측 단부와 결합된다. 즉, 제 2 구동부(63)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62)가 와이어권취드럼(61)에 감기고 풀림되면서 가변대(40)의 길이를 가변시키고, 가변대(40)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가변대(40)의 타단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0)가 승,하강되면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틸트운동부(50)의 구동에 의해 틸트운동되고, 와이어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승강운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부(20)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 1, 제 2 구동부(51,63)의 구동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안정화장치(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장치(70)는 와이어권취드럼(61)에 일단이 감김되고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타단이 결합되는 보조와이어(71)와, 수용부(10) 내측벽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지지플레이트(30)의 측벽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보조와이어(71)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지플레이트(30)의 틸트운동에 따라 절첩되는 로드부(72)와, 로드부(72)의 하부측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와이어(71)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보조와이어(71)의 상승시 로드부(72)에 걸림되는 고정캡(7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로드부(72)는 수용부(10)의 내측벽과 힌지결합되는 제 1 로드(73)와, 지지플레이트(30)의 측벽과 힌지연결되는 제 2 로드(74)의 양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30)의 틸트운동에 따라 펼쳐지고 접힘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30)의 틸트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1 로드(73)와 제 2 로드(74)의 양단부를 결합하는 힌지축에는 보조와이어(71)만 통과되는 관통홀(75)이 형성되는 걸림구조체(76)가 구비되고, 제 2 로드(74)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힌지축에는 롤러부(77)가 구비되어 보조와이어(71)가 롤러부(77)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와이어(71)의 상승시 보조와이어(71)에 결합된 고정캡(78)이 걸림구조체(76)에 걸림되어 보조와이어(71)가 끝까지 와이어권취드럼(61)에 감김되지 않음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의 틸트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30)의 일면 하부측에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강 폭이 커서 지지플레이트(30)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의 이면을 별도로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부(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80)는 하부가 개방된 채널부(81)와, 채널부(81)에 끼움되는 지지판(82)과, 지지판(82)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재(83)로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부재(83)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84)와, 모터축에 구비되는 피니언(85)과,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86)이 지지판(82)에 구비되어 모터(84)의 회전에 따라 랙/피니언(85,86)이 구동하여 지지판(82)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는 피스톤운동하는 실린더일 수도 있으며, 실린더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지지판을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80)의 구동부재(83)는 제어부(95)에 의해 제어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90)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틸트운동시키는 틸트기능키,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키, 지지판 높이조절키 등 다양한 기능키들이 구비되고 사용자가 터치한 기능키를 센싱하여 제어부(95)에 송신한다. 여기서, 입력부(90)는 리모콘 또는 스위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95)에는 입력부(90)의 기능키들에 대응되는 기능들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입력부(90)에서 송신된 기능키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틸트운동부(50), 와이어구동부(60), 지지부(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 내에 디스플레이부(20)가 수용되고, 지지플레이트(30)가 수용부(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0)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90)의 기능키를 선택하고, 입력부(90)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키의 신호를 제어부(95)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틸트기능키를 선택하면 입력부(90)는 틸트기능의 신호를 제어부(95)에 송신하고, 제어부(95)는 틸트운동부(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틸트운동부(50)는 제어부(95)의 구동신호를 받아 제 1 구동부(5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제 1 구동부(51)의 구동에 의해 이송스크류(52)가 회전하며, 이송스크류(52)에 맞물리고 가이드부(56)에 결합된 이동판(53)이 이송스크류(52)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53)의 이동과 함께 이동판(53)에 연결된 링크부(57)가 연동되어 지지플레이트(30)를 밀어내게 되고, 링크부(57)에 의해 밀려나는 지지플레이트(30)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천장면과 수직이 되게 세워지게 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도 지지플레이트(30)와 한 몸체가 되어 지지플레이트(30)를 따라 수직이 되게 세워진다. 또한, 지지플레이트(30)는 후방부가 힌지(31)고정되고, 전방부가 자유단이되므로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면 지지플레이트(30)가 수용부의 후방부 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0)가 지지플레이트(3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도 2의 상태가 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0)가 틸트운동된 상태에서 시청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시청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도에 맞게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를 입력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의 키에 맞게 디스플레이부(20)를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의 틸트운동과 높이조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분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틸트운동이 끝나면 제어부(95)는 와이어구동부(60)에 구동신호를 보낸다. 와이어구동부(60)는 제어부(95)의 구동신호를 받아 제 2 구동부(63)를 정방향 구동시키고, 제 2 구동부(63)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권치드럼(61)에 권취된 와이어(62)가 풀림되어 와이어(62)의 일단부가 결합된 가변대(40)의 타단부를 밀어낸다. 이어 가변대(40)는 와이어(62)의 풀림에 의해 다단으로 수용되었던 바가 펼쳐지면서 길이가 신장되고, 가변대(40)의 타단부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20)는 가변대(40)의 길이신장에 의해 하강되어 도 3의 상태가 된다.
한편, 안정화장치(70)는 제 2 구동부(63)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권치드럼(61)에 권치된 보조와이어(71)가 풀림되고, 풀림되는 보조와이어(71)는 가변대(40)의 길이신장에 따라 하강되는 디스플레이부(20)를 따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시킨다. 이때, 보조와이어(71)는 걸림구조체(76)의 관통홀(75)과 롤러부(77)에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의 하강 폭이 커서 디스플레이부(20)가 지지플레이트(30)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95)는 지지부(80)의 구동부재(83)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지지판(82)을 하강시킨다. 여기서, 지지판(82)의 하강 폭은 디스플레이부(20)가 지지플레이트(30)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조절은 제어부(95)가 제 2 구동부(6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되며, 제어부(95)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 2 구동부(63)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하강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정지시킬 수도 있고, 제어부(95)에 디스플레이부(20)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설정해놓고 사용자가 선택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로 하강된 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터치를 하거나, 글씨를 쓰거나, 판서를 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상태로 하강된 디스플레이부(20)는 보관시 하강된 역순으로 승강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제어부(95)의 제어신호에 의해 와이어구동부(60)의 제 2 구동부(6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풀림되었던 와이어(62)가 와이어권취드럼(61)에 감김되면서 가변대(40)의 타단부를 끌어올린다. 이어 가변대(40)의 타단부는 와이어(62)가 당기는 힘에 의해 직경이 큰 일단부 내측으로 단계적으로 수용되어 가변대(40)의 길이를 축소시키며, 가변대(40)의 길이 축소로 인해 가변대(4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가 상승되어 지지플레이트(30)와 포개지는 도 2의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부(80)의 지지판(82)이 하강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95)는 지지부(80)의 구동을 제어하여 지지판(82)을 채널부(81) 내측으로 수용시킨다.
와이어구동부(60)의 구동이 끝나면 제어부(95)는 틸트운동부(50)의 제 1 구동부(51)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95)의 구동신호를 받은 제 1 구동부(51)는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이송스크류(5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어 이송스크류(52)에 맞물리고 가이드부(56)에 결합된 이동판(53)이 이송스크류(52)의 역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동판(53)의 이동에 링크부(57)가 딸려가면서 지지플레이트(30)를 끌어당기게 되며, 지지플레이트(30)는 힌지축(31)으로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승하여 수용부(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도 1의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30)와 포개진 상태로 고정된 디스플레이부(20)도 지지플레이트(30)와 한 몸체가 되어 수용부(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안정화장치(70)의 보조와이어(71)도 와이어(62)와 동일하게 와이어권치드럼(61)에 감김되면서 디스플레이부(20)를 보조적으로 상승시킨다. 여기서, 보조와이어(71)는 고정캡(78)이 걸림구조체(76)에 걸림되면 더 이상 감김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이 위를 향해 수용부(10)에 수용되고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0)가 수용부(10)의 하부를 커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0) 설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부(10)를 커버하는 지지플레이트(30)가 천장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저면이 천장면과 동일재질 또는 동일색상으로 구비되어 천장면을 깔끔하게 마감처리 함으로써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30)가 수용부(10)의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뒤쪽에 세워지고, 지지플레이트(30)의 전방에 디스플레이부(2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가 설치되는 하부공간의 활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으로 세워진 디스플레이부(20)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시청용도 이외의 입력용도 또는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강된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부(80) 및 안정화장치(70)가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안정화장치(70)가 디스플레이부(20)를 보조적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 제 1, 제 2 구동부(51,63)의 구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용부 20: 디스플레이부
21: 화면부 30: 지지플레이트
31: 힌지 40: 가변대
50: 틸트운동부 51: 제 1 구동부
52: 이송스크류 53: 이동판
54: 결합부 55: 채널부
56: 가이드부 57: 링크부
60: 와이어구동부 61: 와이어권취드럼
62: 와이어 63: 제 2 구동부
70: 안정화장치 71: 보조와이어
72: 로드부 73: 제 1 로드
74: 제 2 로드 75: 관통홀
76: 걸림구조체 77: 롤러부
78: 고정캡 80: 지지부
81: 채널부 82: 지지판
83: 구동부재 84: 모터
85: 피니언 86: 랙
90: 입력부 95: 제어부

Claims (10)

  1. 삭제
  2. 천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깊이 요입되고 개방된 하부를 갖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측 상면과 화면부가 대응되도록 화면부가 위를 향해 수용부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을 지지하고,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부 후방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서 지지플레이트 일면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 이면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부를 연결시키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대;
    상기 수용부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어 정, 역 회전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구동부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 이동하는 이동판과, 상기 수용부의 상면에 설치되고 이동판의 양측에 결합되어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판과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링크부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지지플레이트를 틸트 운동시키는 틸트운동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가변대의 내측을 통해 가변대의 타단부와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가변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와이어구동부;
    상기 와이어구동부에 일단이 감김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타단이 결합되는 보조와이어와, 수용부 측벽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보조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지플레이트의 틸트운동에 따라 절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부측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와이어에 결합되어 보조와이어의 상승시 로드부에 걸림되는 고정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안정화 장치;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여 유무선으로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틸트운동부 및 와이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틸트운동과 높이조절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부는 리모콘 또는 스위치패널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은 천장면과 동일재질 또는 동일색상으로 구비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하부가 개방된 채널부와, 채널부에 끼움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87517A 2011-08-31 2011-08-31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KR10126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17A KR101265037B1 (ko) 2011-08-31 2011-08-31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17A KR101265037B1 (ko) 2011-08-31 2011-08-31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215A KR20130024215A (ko) 2013-03-08
KR101265037B1 true KR101265037B1 (ko) 2013-05-16

Family

ID=4817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517A KR101265037B1 (ko) 2011-08-31 2011-08-31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192A (zh) * 2018-09-12 2019-01-04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
KR102439985B1 (ko) * 2020-09-07 2022-09-06 (주)청도산업 티브이 승,하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131A (ja) * 2000-03-31 2001-10-12 Fujitsu General Ltd Pdp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2131A (ja) * 2000-03-31 2001-10-12 Fujitsu General Ltd Pdp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215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707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139045B1 (en) Art and a television (ARTV) mounting system
US20140069595A1 (en) Automatic roller shade
KR10121712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2728103A2 (en) Venetian blind and control device for the same
CN103549791A (zh) 一种翻转床
KR101265037B1 (ko)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CN209803664U (zh) 智能显示终端
TW200843499A (en) Elevation adjust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1207982Y (zh) 一种遮阳吊伞
KR101295986B1 (ko) 이동식 칠판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2168409B1 (ko)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JP6683341B2 (ja) 昇降式収納装置
KR20110137641A (ko) 모니터 위치 가변형 전자교탁의 구조
KR101265039B1 (ko)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CN217559519U (zh) 一种吊顶式电视支架
CN106388433A (zh) 具有无线充电功能的展示柜
CN106091523A (zh) 一种冰箱用显示板隐藏结构及冰箱
CN211130122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多媒体教学台
CN204961342U (zh) 一种可移动的新型落地扇
CN107489875A (zh) 一种钢丝绳传动的电动升降吊架
KR20080063683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70068905A (ko)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CN207246735U (zh) 一种钢丝绳传动的电动升降吊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