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881B1 -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881B1
KR101263881B1 KR1020120079431A KR20120079431A KR101263881B1 KR 101263881 B1 KR101263881 B1 KR 101263881B1 KR 1020120079431 A KR1020120079431 A KR 1020120079431A KR 20120079431 A KR20120079431 A KR 20120079431A KR 101263881 B1 KR101263881 B1 KR 101263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augmented reality
broadcast control
virtual objec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7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마커를 소지한 방송 진행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 및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마커의 위치가 가상 객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상 객체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BROADCAST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튜디오(10) 내에 메인 카메라(11), 서브 카메라(13), 모니터(15), 조명(17) 등과 같은 방송 장비를 설치하하여 방송 진행자(19)를 촬영하고, 스튜디오(10) 밖의 방송 운영실(20)에서 스튜디오(10) 내의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며, 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스튜디오(10) 내의 방송 장비들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방송 운영실(20)에서는 방송 중 필요에 따라 카메라(11, 13)의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초점(Focus), 팬(Pan), 틸트(Tilt) 등을 제어할 수 있고, 메인 카메라(11)에서 서브 카메라(13)로 카메라를 전환할 수 있으며, 조명(17)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 의하면, 방송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방송 운영실(20) 내에 방송 장비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송 관리자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학교, 학원, 직장, 교회 등의 소규모 방송국이나 간이 방송국에 있어서는 이런 방송 관리자를 둘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이 안되는 경우가 많고, 방송 관리자 없이 방송을 진행해야 할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방송 관리자 없이도 방송 진행자 스스로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제어까지 수행할 수 있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송 진행자가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제어도 수행할 수 있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마커를 소지한 방송 진행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 및 상기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가 상기 가상 객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상 객체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하는 방송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송 진행자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제어 메뉴들을 조작하여 방송 관리자 없이 스스로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진행자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보조 자료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원활하게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방송 진행자가 보게 되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 및 방송 모니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서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되는 증강 현실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방송 진행자가 보게 되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 및 방송 모니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100)은 촬영부(102), 모션 감지부(104),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방송 모니터(108), 증강 현실 제공부(110),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112), 메모리(114), 및 방송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촬영부(102)는 방송 진행자(150)를 촬영한다. 촬영부(10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촬영부(102)가 3대의 카메라(102-1, 102-2, 102-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촬영부(102)가 포함하는 카메라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소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촬영부(102)가 촬영한 영상에는 방송 진행자(150) 뿐만 아니라 마커(160)도 포함되게 된다. 마커(160)는 방송 진행자(150)가 손에 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물품(예를 들어, 볼펜과 같은 필기구 또는 카드 등)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마커(160)는 반드시 물품일 필요는 없으며 방송 진행자(150)의 손에 일정 형태의 마크를 표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통해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방송 제어를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모션 감지부(104)는 방송 진행자(15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모션 감지부(104)는 3대의 카메라(102-1, 102-2, 102-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104)는 방송 진행자(150)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방송 제어부(116)로 모션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모션 감지부(104)는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즉, 모션)을 감지하는 경우, 방송 진행자(150)가 해당 움직임을 보였다는 내용의 모션 감지 신호를 방송 제어부(116)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진행자(150)는 미리 약속된 움직임을 통해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를 편집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증강 현실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화면(즉, 현실 화면)에 미리 제작해 놓은 가상 객체를 합성하여, 촬영 영상 이외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현실을 보다 풍부하게 묘화하는 비전 기술을 말한다.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들이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제어 메뉴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 줌 인 및 줌 아웃, 카메라 포커스 조절, 카메라 팬/틸트 조절, 방송 녹화 시작, 방송 녹화 정지, 방송 송출, 조명 밝기 조절, 카메라 선택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제어 메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방송 제어를 위한 다양한 메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보조 자료들이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보조 자료는 방송 진행자(150)의 원활한 방송 진행을 돕기 위한 보조 자료들을 말한다. 방송 보조 자료는 예를 들어, 방송 대본, 방송 내용의 요약 자료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보조 자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방송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모니터로,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제어 메뉴들을 조작하여 방송 관리자 없이 스스로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 중 방송 보조 자료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원활하게 방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는 방송 진행자(150)자가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화면을 잘 볼 수 있도록 방송 진행자(15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방송 모니터(108)는 촬영부(102)가 촬영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방송 모니터(108)는 촬영부(102)가 촬영하는 영상 중 녹화되는 영상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진행자(150)는 실제 녹화되는 방송 화면을 방송 모니터(108)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방송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112)의 가상 객체를 합성한 증강 현실 영상을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합성한 증강 현실 영상을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를 합성할 때, 각 가상 객체가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각 가상 객체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방송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소정 가상 객체(예를 들어,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방송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 소정 가상 객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112)에서 해당 가상 객체를 추출한 후, 추출한 가상 객체를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방송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소정 가상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증강 현실 제공부(110)는 방송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 화면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소정 가상 객체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112)는 기 제작된 가상 객체를 저장한다.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112)는 가상 객체로 제작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를 저장한다.
방송 제어부(116)는 사용자(예를 들어, 방송 진행자(1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입력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도록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진행자(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방송 제어부(116)를 조작하여 방송 진행을 시작하기 전에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부(116)는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각 가상 객체들의 위치(즉, 좌표)를 메모리(114)에 저장할 수 있다.
방송 제어부(116)는 촬영부(102)가 촬영한 영상에서 마커(160)의 위치(즉, 좌표)를 추적하여 마커(160)의 위치가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증강 현실 영상 중 소정 가상 객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상 객체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한다. 즉,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자신이 소지한 마커(160)를 해당 가상 객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를 통해 자신의 촬영 영상과 가상 객체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보게 된다. 여기서,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증강 현실 영상에서 마커(160)가 소정 가상 객체에 위치하도록 자신이 소지한 마커(160)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부(11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서 마커(160)의 위치가 증강 현실 영상에서 소정 가상 객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상 객체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한다.
방송 제어부(116)는 모션 감지부(104)의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가상 객체를 편집(예를 들어, 삭제, 추가, 위치 이동, 확대, 축소 등)하도록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객체의 편집은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제어부(116)는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들에 따라 발생하는 각 모션 감지 신호와 해당 모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의 편집 내용을 매핑하여 메모리(114)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제어부(116)는 모션 감지부(104)가 발생한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편집하도록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에서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되는 증강 현실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되는 증강 현실 영상에는 방송 진행자(150) 뿐만 아니라 방송 제어 메뉴(170) 및 방송 보조 자료(180)가 포함된다. 여기서, 방송 제어 메뉴(170) 및 방송 보조 자료(180)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 합성된 가상 객체들이다.
방송 제어 메뉴(170)는 증강 현실 영상에서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방송 보조 자료(180)는 증강 현실 영상에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 메뉴(170) 및 방송 보조 자료(18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화면에서 방송 진행자가 표시되는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제어 메뉴(170)는 카메라 팬/틸트 조절 버튼(171), 카메라 줌 인 버튼(172), 카메라 줌 아웃 버튼(173), 방송 녹화 시작 버튼(174), 방송 녹화 정지 버튼(175), 조명 밝기 조절 버튼(176), 카메라 선택 버튼(177), 및 방송 송출 버튼(178)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보조 자료(180)는 방송 내용을 요약한 파워 포인트 자료들이 증강 현실 영상의 좌측에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증강 현실 영상에서 방송 제어 메뉴(170) 및 방송 보조 자료(18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진행자(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방송 제어부(116)를 조작하여 방송 진행을 시작하기 전에 방송 제어 메뉴(170) 및 방송 보조 자료(180)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영상을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을 진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바로 방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증강 현실 영상에서 마커(160)를 방송 제어 메뉴(170)의 소정 버튼(즉, 가상 객체)의 위치에 위치시켜 방송 제어를 수행 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부(116)는 촬영부(102)의 촬영 영상에서 마커(160)의 위치(즉, 좌표)를 추적하여 마커(160)의 위치가 방송 제어 메뉴(170)의 소정 버튼의 위치(즉, 좌표)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버튼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방송 제어부(116)는 마커(160)의 위치가 방송 제어 메뉴(170)의 소정 버튼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통해 증강 현실 영상에서 해당 버튼을 활성화 시키고, 마커(160)의 위치가 다시 해당 버튼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버튼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증강 현실 영상에서 카메라 팬/틸트 조절 버튼(171)의 위치에 위치시켜 촬영 중인 카메라의 팬/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카메라 줌 인 버튼(172) 또는 카메라 줌 아웃 버튼(173)의 위치에 위치시켜 촬영 중인 카메라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부(116)는 마커(160)가 카메라 줌 인 버튼(172) 또는 카메라 줌 아웃 버튼(173)의 위치에 위치하는 시간에 따라 카메라 줌 인 또는 카메라 줌 아웃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조명 밝기 조절 버튼(176)의 위치에 위치시켜 조명(118)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제어부(116)는 마커(160)의 위치가 조명 밝기 조절 버튼(176)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조명 밝기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메뉴 버튼을 증강 현실 영상에 추가로 표시하여 방송 진행자(150)가 조명 밝기를 세부적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카메라 선택 버튼(177)의 위치에 위치시켜 카메라를 선택하거나 촬영 카메라를 다른 카메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진행자(150)가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카메라 선택 버튼(177) 중 "1" 버튼에 위치시키는 경우, 방송 제어부(116)는 제1 카메라(102-1)가 방송 진행자(150)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방송 진행자(150)가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카메라 선택 버튼(177) 중 "2" 버튼에 위치시키는 경우, 방송 제어부(116)는 촬영 카메라를 제1 카메라(102-1)에서 제2 카메라(102-2)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방송 녹화 시작 버튼(174)의 위치에 위치시켜 촬영부(102)가 촬영한 영상을 녹화 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모니터(108)를 통해 녹화 영상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방송 송출 버튼(178)의 위치에 위치시켜 녹화 영상을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방송 녹화 정지 버튼(175)의 위치에 위치시켜 방송 녹화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때,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녹화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미리 약속된 움직임 등을 통해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가상 객체를 편집할 수 있으며, 그 후 다시 방송 녹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녹화가 정지된 상태에서 방송 진행자(150)가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에서 소정 버튼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가상 객체를 삭제하는 것으로 미리 약속된 행동(예를 들어, 왼손 손바닥을 펼쳤다가 다시 쥐는 행동)을 취하여 해당 버튼을 증강 현실 영상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때, 모션 감지부(104)는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송 진행자(150)가 가상 객체를 삭제하도록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는 내용의 모션 감지 신호를 방송 제어부(116)로 발송할 수 있다. 그러면, 방송 제어부(116)는 증강 현실 영상에서 방송 진행자(150)가 선택한 버튼에 해당하는 가상 객체를 삭제하도록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녹화가 정지된 상태에서 가상 객체를 추가하는 것으로 미리 약속된 행동을 취하여 해당 가상 객체를 증강 현실 영상에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방송 진행자(150)는 추가하고자 하는 가상 객체에 따라 서로 다른 행동의 미리 약속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모션 감지부(104)는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송 진행자(150)가 소정 가상 객체를 추가하도록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는 내용의 모션 감지 신호를 방송 제어부(116)로 발송할 수 있다. 그러면, 방송 제어부(116)는 방송 진행자(150)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에 따른 가상 객체를 증강 현실 영상에 추가하도록 증강 현실 제공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방송 진행자(150)는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방송 보조 자료(180)의 소정 가상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진행자(150)는 마커(160)를 증강 현실 영상의 좌측에 위치한 방송 보조 자료(180) 중 소정 가상 객체에 위치시켜 해당 가상 객체를 활성화 시킨 후, 마커(160)를 이동시켜 증강 현실 영상에서 해당 가상 객체의 위치를 화면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증강 현실 영상의 좌측에는 방송 내용을 요약한 파워 포인트 자료(이때, 파워 포인트 자료들은 가상 객체로 미리 제작됨)들이 방송 보조 자료(180)로 배열될 수 있는데, 방송 진행자(150)는 여러 개의 파워 포인트 자료 중 현재 방송 진행에 필요한 파워 포인트 자료를 선택한 후, 증강 현실 영상에서 해당 파워 포인트 자료의 위치를 화면 중심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진행자(150)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106)의 화면 중심부에 표시된 방송 보조 자료(180)를 보면서 방송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원활하게 방송 진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방송 진행자(150)가 방송 녹화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가상 객체를 편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송 진행자(150)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송 시점(예를 들어, 방송 시작 전 또는 방송 녹화 중)에서 가상 객체를 편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102 : 촬영부
102-1 : 제1 카메라 102-2 : 제2 카메라
102-3 : 제3 카메라 104 : 모션 감지부
106 : 방송 제어용 모니터 108 : 방송 모니터
110 : 증강 현실 제공부 112 :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
114 : 메모리 116 : 방송 제어부
118 : 조명 150 : 방송 진행자
160 : 마커 170 : 방송 제어 메뉴
180 : 방송 보조 자료

Claims (7)

  1. 마커를 소지한 방송 진행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가상 객체로 제작된 카메라 팬/틸트 조절 버튼, 카메라 줌 인 버튼, 카메라 줌 아웃 버튼, 방송 녹화 시작 버튼, 방송 녹화 정지 버튼, 조명 밝기 조절 버튼, 카메라 선택 버튼, 및 방송 송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를 저장하는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 후, 추출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를 상기 촬영부의 촬영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형성하는 증강 현실 제공부;
    상기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가 상기 방송 진행자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제어용 모니터;
    상기 방송 진행자의 미리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션 감지부;
    방송 진행 전에 상기 방송 진행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객체 데이터베이스에서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제공부를 제어하고, 상기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의 방송 제어 메뉴 및 방송 보조 자료가 상기 방송 진행자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방송 제어용 모니터를 제어하며, 방송 진행 중에 상기 방송 제어용 모니터에 표시된 증강 현실 영상에서 상기 마커의 위치가 상기 가상 객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가상 객체에 따른 방송 제어를 수행하며, 방송 진행 중 방송 녹화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영상에 포함된 가상 객체를 삭제, 추가, 위치 이동, 확대, 및 축소 중 어느 하나의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방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여 녹화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송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KR1020120079431A 2012-07-20 2012-07-2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26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31A KR101263881B1 (ko) 2012-07-20 2012-07-2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31A KR101263881B1 (ko) 2012-07-20 2012-07-2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881B1 true KR101263881B1 (ko) 2013-05-13

Family

ID=4866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431A KR101263881B1 (ko) 2012-07-20 2012-07-20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37B1 (ko)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37B1 (ko)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785B2 (e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US11361542B2 (en)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method
JP74982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3316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150130801A1 (en) Controlling a virtual camera
US99286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scene in three-dimensional space
US9129657B2 (en)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video image display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video image processing/display system for video images of an object shot from multiple angles
US20060114251A1 (en) Methods for simulating movement of a computer user through a remote environment
JP20191396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59765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110707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689854A (zh) 动画合成装置、动画合成方法以及记录介质
US2021034962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954045A (zh) 增强现实的装置及方法
US20190155465A1 (en) Augmented media
CN112740284A (zh) 动画合成装置、动画合成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60344946A1 (en) Screen System
JP6635573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63881B1 (ko) 무인 방송 제어 시스템
CN111064946A (zh) 基于室内场景的视频融合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JP2020102687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473224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086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30396874A1 (en) Virtual indicator for capturing a sequence of images
WO202407076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