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61B1 -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 Google Patents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61B1
KR101263661B1 KR1020110060286A KR20110060286A KR101263661B1 KR 101263661 B1 KR101263661 B1 KR 101263661B1 KR 1020110060286 A KR1020110060286 A KR 1020110060286A KR 20110060286 A KR20110060286 A KR 20110060286A KR 101263661 B1 KR101263661 B1 KR 10126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pile
coupling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40506A (en
Inventor
황현만
Original Assignee
황현만
태화강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만, 태화강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현만
Priority to KR102011006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61B1/en
Publication of KR2012014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의 외측면에는 삽입부재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의 외면에는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1결합강봉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강관의 다른 외측면에는 수용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는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2결합강봉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강관널말뚝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강관널말뚝이 지반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과 결합될 때,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강관널말뚝 사이에서는 삽입부재가 수용부재에 삽입되고 삽입부재의 제1결합강봉과 수용부재의 제2결합강봉이 서로 측면이 접하게 됨으로써, 차수기능을 가지는 물막이, 흙막이 등을 위한 차수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강관널말뚝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차수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steel bar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 and the receiv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member has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steel bar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 integrally formed steel pipe piles, when a plurality of steel pipe piles are inser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oupled with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between two neighboring steel pipe piles,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of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of the accommodation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barrier, soil barrier, etc. having a degree function It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to form the order wall and the order wall constructed using the same.

Description

채널형 결합구조의 물막이용 강관널말뚝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Steel pipe pile for water barrier of channel type coupling structure and order wall using the same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본 발명은 토목 공사 또는 건축 공사에서 물막이, 흙막이 등을 위해 지반에 관입하여 사용되는 강관널말뚝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차수벽체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관의 외측면에는 삽입부재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의 외면에는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1결합강봉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강관의 다른 외측면에는 수용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는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2결합강봉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강관널말뚝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강관널말뚝이 지반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과 결합될 때,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강관널말뚝 사이에서는 삽입부재가 수용부재에 삽입되고 삽입부재의 제1결합강봉과 수용부재의 제2결합강봉이 서로 측면이 접하게 됨으로써, 차수기능을 가지는 물막이, 흙막이 등을 위한 차수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채널형 결합구조를 가지는 C-c형 강관널말뚝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차수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used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for a water barrier, a soil barrier, and the like in a civil engineering work or a building work, and an order wall constructed using the same, and specifically, an insertion member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steel bar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order,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member, the in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s a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ing agent When the steel pipe pile is formed into a structure in which two coupling steel bars are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steel pipe piles are inser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joined with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s, the insertion member is accommodated between two adjacent steel pipe piles. Inserted into the member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of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of the receiv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ide, Dam body having a function, Cc type steel pipe sheet pile having a channel-shaped coupling structure to form a wall for the order and the like and to a retaining them in the order that the wall built with.

해양이나 항만의 접안시설을 시공하거나 방파제, 인공섬, 대형 가물막이 등을 구축함에 있어서,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강관널말뚝을 그 측면이 서로 접하여 연속되는 형태로 지반에 관입 설치하여 흙막이 및 물막이용 차수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When constructing an ocean or harbor berth, or constructing a breakwater, artificial island, or large clam, etc., a plurality of steel pipe stakes made of steel pip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stalled in a continuous form, so as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order the soil and water barriers. You will build a wall.

도 1a 내지 도 1d에는 각각 종래의 강관널말뚝이 그 측면에서 서로 접하여 연속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강관널말뚝의 연결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강관널말뚝은 P-P형(도 1a에 도시된 형태), L-T형(도 1b에 도시된 형태), P-T형(도 1c에 도시된 형태), H-H형(도 1d에 도시된 형태) 등의 구조로 그 측면이 서로 접하여 연속한 상태로 지반에 수직 관입된다. 도 1a에 도시된 P-P형에서는 강관널말뚝의 외측면에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외측면에 구비된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와 서로 겹치도록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L-T형에서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부재가, L자 단면을 가지는 "L자 형강"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에는 T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T자 형강의 수평한 부분이 L자 형강의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 내에 배치된다. 도 1c에 도시된 P-T형에서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에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이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에는 T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T자 형강의 수평한 부분이 파이프 형태의 연결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1d에 도시된 H-H형에서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에 H자 형강의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이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에는 작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H자 형강의 내부에 작은H자 형강이 배치된다.Figures 1a to 1d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el pipe piles,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steel pipe pi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ide continuous. As shown in Figs. 1A to 1D, conventional steel sheet piles are made of PP type (type shown in Fig. 1A), LT type (type shown in Fig. 1B), PT type (type shown in Fig. 1C), and HH type. (The form shown in FIG. 1D), the sides thereof are vertically penetrated into the ground in a continuous s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P type shown in Figure 1a is provided with a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tube pile pile, it has a structure to mesh with the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In the LT type shown in Figure 1b, the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eel tube pile, the "L-shaped steel"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is made to face each other, the neighboring steel tube pile is made of T-shaped steel A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so that a horizontal portion of the T-shaped steel is disposed in a channel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L-shaped steel. In the PT type shown in Figure 1c is provided with a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pile pile,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made of T-shaped steel,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T-shaped steel pipe It is arrang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form. In the HH type shown in Figure 1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of the H-shaped steel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pile, and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 small H-shaped steel, small inside the H-shaped steel H-shaped steel is arranged.

그러나, 도 1a 내지 도 1d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강관널말뚝 측면 결합구조는 연결부분의 형태가 복잡하여 제작 및 시공이 어렵고, 특히 연결부재 사이에 틈이 존재하게 되므로, 단순히 연결부재가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있는 것만으로는 서로 측면이 이웃하게 되는 강관널말뚝 사이에 완벽한 차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L자 형강의 연결부재(도 1b의 경우), 또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도 1a 및 도 1c의 경우), 또는 H자 형강의 연결부재(도 1d의 경우) 내에 콘크리트나,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를 반드시 주입하여, 연결부재 사이의 공간을 채워야만 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eel pipe pile side coupling structure shown in Figures 1a to 1d, respectively,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due to the complicated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in particular, there is a gap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simply connecting members overlap each other Arrangement alone does not make perfect order between the steel pipe piles that are next to each other. Therefore, in the prior art, concrete i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L-shaped steel (in the case of Figure 1b), the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in the case of Figures 1a and 1c), or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H-shaped steel (in the case of Figure 1d),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must be inject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결국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연결부재의 기계적인 체결에 더하여 "채움재의 주입작업"이라는 추가 작업을 더 수행해야 하며, 그에 따라 비용 증가가 수반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채움재의 주입을 통해서도 완벽한 차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움재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는 차수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차수기능이 발휘될 때까지의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As a result, such a prior art has to perform additional work called "injection of the fill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fastening of the connecting member, which not only entails an increase in cost, but also a perfect order through the filling of the fill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made. Furthermore, since the order cannot be expected until the filler is completely 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order function is exhibited.

그 뿐만 아니라, 수중공사에서는 연결부재에 주입되는 채움재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수질오염을 가져오게 되고, 채움재의 소실로 인하여 채움재를 과다하게 사용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경화된 채움재가 존재하므로, 가시설 공사에 강관널말뚝을 사용한 후 이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때, 강관널말뚝을 인발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어, 강관널말뚝의 재활용이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Not only that, in underwater construction, the fill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is leak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water pollution, and the filling material must be used excessively due to the loss of the filling material. Since the filling material is present, when the steel pipe piles are used for temporary construction and then recovered and recycled, drawing the steel pipe piles becomes very difficult, and the recycling of the steel pipe piles is very disadvantageous.

더 나아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종래의 강관널말뚝에서는, 강관에 L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재,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 또는 H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용접하여 붙여야 하는데, 각각의 연결부재 형상으로 인하여 강관 측면에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용접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며, 그에 따라 용접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높아지는 등, 품질관리가 매우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강관널말뚝을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연결부재를 제거할 때, 용접 부분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고 제거시 강관의 손상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강관널말뚝의 재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steel pipe pile shown in Figures 1a to 1d,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the pipe-shaped connecting member, or the H-shaped cross section should be welded and pasted to the steel pipe. Due to the shape of each connecting member, it is very difficult to position and weld the steel pipes so that they do not move. Therefore, the quality control becomes very difficult, such as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welding quality. In order to remove the connecting member,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welded par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recyclability of the steel tube board pile is reduced becaus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steel pipe increase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강관널말뚝과,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steel pipe piles and ordered wal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강관널말뚝 간의 결합구조보다 제작이 간편하고, 결합강봉을 사용하여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이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므로, 시공시 강관널말뚝이 이탈이 되지 않아 시공성 및 차수성능이 우수하며, 연결부재간의 기계적인 체결만으로도 우수한 차수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채움재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아니하며, 재활용이 용이한 강관널말뚝과,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particular, it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between steel pipe pil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are mechan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oupling steel rods.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order performance because the steel pipe pile is not detached, and it shows excellent orderability only by mechanical fastening between connecting members so that it does not use the filling material, so it does not cause problems due to the use of the filling material, and it is easy to recy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 pile and an ordered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흙막이 또는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차수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강관널말뚝으로서, 강관, 상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재 및 상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되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널말뚝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steel pipe pile for building a water barrier wall used for earth or water barrier construction, consisting of a steel pipe,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convex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It is composed of an insertion member which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and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but has a concave space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member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is inserted It is provided with a steel pipe pile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에서, 상기 삽입부재의 외면에는 대향 가로부가 존재하며, 상기 삽입부재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는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1결합강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의 상기 오목한 공간에는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재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 중에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수용부재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에는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2결합강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the steel pipe shee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has an opposite horizontal portion,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is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 consisting of steel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It is provided,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of the neighboring steel tube pile pile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the first member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facing the coupling steel bar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steel bar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 consisting of a steel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부재는,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결합강봉은, 상기 2개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에도 상기 삽입부재의 2개의 대향 가로부와 마주하는 오목한 공간의 내면에도 각각 제2결합강봉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member is composed of a section steel having a cross-section and a vertical section having a 'c' shape,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rod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opposing horizontal sections, respectively. Second accommodating steel bar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cave space facing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에서는, 상기 수용부재의 세로부가 강관의 측면에 용접 부착됨에 있어서, 강관의 외면에 미리 봉형태로 이루어진 용접 보조부재기 미리 용접 부착된 상태에서, 수용부재의 세로부 외측면이 상기 용접 보조부재에 닿은 후, 용접 보조부재와 수용부재의 세로부와 강관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용접선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상기 수용부재가 강관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el pipe shee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rod in advan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in the state of pre-welded welding, in addition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fter the side contact with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the welding line is form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side of the steel pipe, the receiv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강관널말뚝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차수벽체가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차수벽체는,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이 서로 연결 결합될 때,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가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되고,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과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강관 사이의 간격에 상기 수용부재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제2결합강봉이 위치하되 제2결합강봉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ordered wall that is constructed by using the steel sheet pile, the ord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des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neighboring The second coupling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provided in the insert member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and the steel pipe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The steel bar is located, but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강관널말뚝을 그 측면으로 연속시켜 차수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를 이용하여 강관널말뚝의 측면을 접합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강관널말뚝에 구비된 삽입부재와 수용부재간의 결합, 특히 삽입부재의 제1결합강봉과 수용부재의 제2결합강봉 간의 측면 밀착에 의한 기계적인 결합만으로도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 사이에 충실한 차수를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채움재의 주입작업"이라는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차수벽체 구축시의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채움재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이, 강관널말뚝을 수중 또는 지반에 관입 설치하는 즉시 차수효과가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수중공사를 수행할 때, 채움재의 외부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 야기 우려도 없으며, 채움재의 사용에 따른 재료비와 공사비의 증가, 그리고 채움재 양생에 따른 시공기간의 증가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constructing the order wall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steel pipe pile to the side, unlike the conventional art of joining the side of the steel pipe pile by using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filler, but is provided in the steel pipe pile The coupling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in particular, the mechanical coupling by the sid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of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of the receiving member can achieve a substantial order between the sides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Is exer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work of "filling material filling" becomes unnecessary,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cost when constructing a water barrier, and not having to wait until the filling material is completely harden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order effect is exerted immediately when the board pile is installed in the water or the ground. Furthermore, since the filling material is not used, there is no fear of water pollution due to the external spillage of the filling material when performing the underwater construction, and the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and construction cost by using the filling material and the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filling material curing The effect which can be prevented also is exhibited.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채움재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채움재 사용시 강관널말뚝의 재활용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삽입부재와 수용부재를 강관의 측면에 용접 부착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용접 부착 작업이 더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삽입부재와 수용부재의 제거 역시 용이하게 되어, 가시설 등에서 강관널말뚝을 사용한 후 재활용하기가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filler is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iculty in recycling the steel sheet pile when the filler is used. In particular, in welding attaching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the use of an efficient structure not only facilitates the welding attachment operation, but also facilitates the removal of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It is easy to recycle after us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재, 수용부재, 제1결합강봉 및 제2결합강봉은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용접 등의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강관널말뚝의 제작이 용이하며, 별도의 특별한 절단이나 가공작업 없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성 강관제품과, 채널 형상 등의 제품을 이용해서도 용이하게 본 발명의 강관널말뚝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강관널말뚝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단축시키고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ertion member, the receiving member,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protruding shap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steel pipe pile by simple operation such as welding, and the special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steel pipe p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eady-made steel pipe products produced in the factory and the channel shape, etc., without cutting or processing work,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produce steel pipe piles. The effect of saving can be achieved.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종래의 강관널말뚝이 그 측면에서 서로 접하여 연속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강관널말뚝의 연결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을 그 단면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뉘어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을 이용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체를 구축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원 A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로서, 용접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강관과 수용부재를 용접 결합한 실시예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을 그 단면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뉘어서 도시한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의 선 C-C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도 6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s 1a to 1d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el pipe piles,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ventional steel pipe pi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ide.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pipe pil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seen in front.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teel tube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arrier wall is constructe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by using the steel pipe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4.
6A is an enlarged view of a circle A portion of FIG. 5, which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steel pipe pil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steel pipe pile pil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 6A. Is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welding is combined.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 steel sheet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viewed in front.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a line CC of the steel tube p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FIG. 9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6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steel pipe pil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eel pipe pil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described as embodiments, w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을 그 단면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뉘어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을 이용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체를 구축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차수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도 5의 원 A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상세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에 대응되는 확대도로서, 용접 보조부재(33)을 이용하여 강관(10)의 측면에 수용부재(12)가 용접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강관널말뚝 자체를 언급할 때에는 "강관널말뚝(1)"이라고 표기하였지만, 서로 이웃하게 연속 하여 결합되는 2개의 강관널말뚝 각각을 구분하여 언급할 때에는 "제1강관널말뚝(100)" 및 "제2강관널말뚝(200)"이라고 표기하였다.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seen in front,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 schematic cross section along line BB of FIG. 2 is shown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teel tube pile 1 according to an example.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arrier wall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water by using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is constructed.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barrier wall shown in FIG. 4. FIG. 6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portion of FIG. 5, and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which the steel sheet pile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G. 6B is shown in FIG. 6A. As an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member 12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using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is show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the steel pipe pile itself, it was marked as "steel pipe pile (1)", when referring to each of the two steel pipe pile piles that are continuously coupled to each other "first steel pipe pile pile (100)" And "second steel tube pile (200)".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1)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10),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재(11), 및 상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다른 외측면에 일체로 부착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방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재(11)의 외면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1결합강봉(13)이 일체로 부착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강봉(13)과 마주하게 되는 수용부재(12)의 내면에도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2결합강봉(14)이 일체로 부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steel pipe 10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s convex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sertion member 11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and the member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s provided integrally attached to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of the steel pipe pile Insertion member 11 has an open sp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iving member 12,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order consisting of a steel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s provided integrally attache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facing the (13) is also provided integrally attached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made of steel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상기 삽입부재(11)의 구성을 더 상세히 살펴보면, 삽입부재(11)는 강관(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삽입부재(11)의 돌출된 외면에는 대향 가로부가 존재하며, 이러한 대향 가로부 외면에는 제1결합강봉(13)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부재(11)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형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부재(11)를 이루는 'ㄷ'자 단면의 형강에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고 있는 2개의 대향 가로부가 존재하며, 이러한 대향 가로부 사이를 가로질러 세로부가 존재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참고적으로 삽입부재(11)의 대향 가로부에는 부재번호 110을 표시하였고, 삽입부재(11)의 세로부에는 부재번호 112를 표시하였다. 삽입부재(11)는 하나의 판부재가 절곡되어 제작되는 절곡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세로부 및 대향 가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각각 별도의 판부재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in more detail, the insertion member 1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the protruding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re is an opposite horizontal portion, such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insertion member 11 is made of a section steel having a 'c' cross section. The section steel of the 'c' cross section constituting the insertion member 11 has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facing each other side by side, and a vertical portion exists across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In FIGS. 2 and 3, the member number 110 is indicated on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and the member number 112 is indicated o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insertion member 11 may be made of a bent steel in which one plate member is bent, but all or part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are each made of a separate plate member, and are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It can be made of section steel of section.

이와 같이, 'ㄷ'자 단면을 가지는 삽입부재(11)는, 세로부(112)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1)을 향하여 위치하도록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강관(10)의 측면에 대향 가로부(110)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부착 결합된다. 도 3에서 부재번호 30은 용접선(30)이다. 상기 대향 가로부(110)와 상기 세로부(112)는 평평한 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곡선진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지만, 대향 가로부(110)의 경우 제1결합강봉(13)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the insertion member 11 having a 'c'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such that the vertical portion 112 is located toward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1. The opposing horizontal portion 110 is integrally attached and coupl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In FIG. 3, the member number 30 is a welding line 30.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110 and the vertical portion 112 is not limited to a flat surface, but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but in the cas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110,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convenient.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surface is formed.

상기 삽입부재(11)의 대향 가로부(110) 외면에는 제1결합강봉(13)이 일체로 부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강봉(13)은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강봉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재(11)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 놓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부착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강봉(13)의 표면은 수밀재 등에 의해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integral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110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made of a steel ba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t is provided on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is integrally attach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 Th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may be coated with a watertight material or the like.

위의 설명에서 상기 삽입부재(11)가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만들어진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부재(11)는 2개의 대향 가로부와 2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의 'ㅁ'자 단면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ㅁ'자 단면의 부재는 'ㄷ'자 단면의 부재에 세로부를 하나 더 추가하면 되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삽입부재(11)와 관련해서는, 'ㄷ'자 단면이라는 표현은 'ㄷ'자 형상뿐만 아니라, 'ㅁ'자 형상의 단면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삽입부재(11)와 관련해서는 'ㄷ'자 단면의 형강에는, 'ㅁ'자 형상의 속이 비어 있는 절곡 형강뿐만 아니라 'ㅁ'자의 속이 채워져 있는 각재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sertion member 11 has been exemplified an embodiment made of a section steel having a cross-section and one vertical portion having a 'c' cross sectio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member 11 has two opposite sides.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member having a square 'ㅁ' cross section having a horizontal portion and two vertical portions. Since the member of the 'ㅁ' cross section is to add one more vertical portion to the member of the 'c' cross section, in relation to the insertion member 11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c' cross sect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not only the letter 'c' but also the cross section of the 'ㅁ' shap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member 11, the section steel of the 'c' cross sec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not only the 'b' shaped hollow hollow bending steel, but also made of 'horn' filled with the inner material. do.

그러나, 이와 같이 'ㄷ'자 단면이라는 표현을, 속이 비어 있는 'ㅁ'자 형상의 단면뿐만 속이 채워져 있는 'ㅁ'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단지 삽입부재(11)에만 국한되는 것이고, 후술하는 수용부재(12)의 경우에는 'ㄷ'자 단면이라는 표현은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형상의 오목한 단면 형상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it is only to be understood that the expression 'c' cross section includes the cross section of the 'ㅁ' shape filled with only the hollow 'ㅁ' shaped cross section.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member 12 to be described later, the expression 'c' cross section should be understood to be limited to the concav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 shape having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and one vertical portion.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12)는 이웃하는 강관널말뚝(1)의 삽입부재(11)가 끼워져 수용되는 오목한 형상의 부재로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삽입부재(11)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한 공간을 가지는 단면을 가지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삽입부재(11)가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재(12)의 오목한 공간 형상도 'ㄷ'자 단면을 가진다. 이렇게 수용부재(12)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으로는 이웃한 강관널말뚝에 구비된 삽입부재(11)가 지반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출하여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수용부재(12)가 강관(10)의 외면에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의 외면이 강관(10)의 외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오목한 공간의 개방된 부분('ㄷ'자 단면 형상일 경우, 'ㄷ'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을 향하게 위치한다. 상기 수용부재(12)도 삽입부재(11)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판부재가 절곡되어 제작되는 절곡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세로부 및 대향 가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각각 별도의 판부재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로 제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member 12 is a concave shape member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neighboring steel tube pile 1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member 12 has a concave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shape of the insertion member 11. Branch may have a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As illustrated above, when the insertion member 11 has a 'c' cross section having two opposing horizontal portions and one vertical portion, the concave space shap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12 also corresponds to the 'c' cross section. Has In such a concave space formed in the receiving member 12, the insertion member 11 provided in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is inserted in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this end, the receiving member 1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such as by welding. Therefore, the open part of the concave space ('c' shaped cross section, in the case of 'c' shaped cross section) is located toward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Like the insertion member 11, the receiving member 12 may be made of a bent steel in which one plate member is bent and manufactured, but all or part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are each made of a separate plate member, and thus welded. It can be bonded to the 'c' shaped section steel can be made of.

상기 수용부재(12)의 'ㄷ'자 단면에서 대향 가로부 내면 즉, 대향 가로부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면 중에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13)과 마주하게 되는 수용부재(12)의 대향 가로부 내면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 제2결합강봉(14)이 일체로 부착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강봉(14) 역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대향 가로부 내면에 일체로 부착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표면은 수밀재 등에 의해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40은 제1결합강봉(13) 및 제2결합강봉(14)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수밀재 등으로 이루어진 코팅막(40)이다.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that is,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c'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A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12.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may also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by a method such as welding, and the surface thereof may be coated with a watertight member or the like. In the drawing, the member number 40 is a coating film 40 made of a watertight member or the like coat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상기 제1결합강봉(13) 및 제2결합강봉(14)으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강봉이나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봉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강봉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단면의 강봉으로 제1결합강봉(13) 및 제2결합강봉(14)이 제작되는 경우,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측면이 접촉할 때, 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수밀재 등의 코팅막(4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의 측면간 접촉에 따른 차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Steel rods having various cross sections, such as steel rod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steel rods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may be used as the first coupling steel rods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s 14. It is preferable to use a steel bar having a cross section. Whe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14 are manufactured by a steel ro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14 move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When contact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ating film 40, such as a watertight material that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accordingly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ides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This is becaus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한편,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진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즉, 대향 가로부를 가로지르는 세로부를 강관(10)의 측면에 용접 부착함에 있어서,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용접 보조부재(33)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강관(10)의 직경이 작은 경우, 강관(10)의 측면 곡률로 인하여,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외측과 강관(10) 외면 사이에 큰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강관(10)의 외면에 미리 봉형태로 이루어진 용접 보조부재(33)를 미리 용접해두고, 상기 용접 보조부재(33)가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외측면에 닿도록 한 후, 용접 보조부재(33)와 수용부재(12)의 세로부와 강관(10)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용접선(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접 보조부재(33)를 이용한 용접 접합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외측과 강관(10) 외면 사이에 큰 간격이 존재하더라도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고, 용접선(30)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시설 등으로 본 발명의 강관널말뚝(1)을 사용한 후, 이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용부재(12)를 강관(10)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분쇄해야 할 용접선(30)의 범위가 줄어들어 용이하게 수용부재(12)를 분리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강관(10)이나 수용부재(1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재활용에서 매우 유리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용접 보조부재(33)으로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원형 단면의 강봉을 사용하는 것이 위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B, in the welding portion 12 of the receiving member 12 having a 'c' cross section, that is, the vertical portion crossing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can also be used. Whe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10 is small, due to the side curvature of the steel pipe 10, there may be a large gap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this case,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having a rod shape is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advance, and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i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After tha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elding line 30 at the interval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and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Thus, according to the welding joint structure using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even if there exists a larg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vertical part of the accommodating member 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t can weld easily,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lding amount by preventing the excessive increase in size, and to reduce the cost, and after using the steel pipe pile pi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mporary facility, the receiving member 12 to use it for other purposes Even when separating from the steel pipe 10, the range of the welding wire 30 to be crushed is reduced, so that the receiving member 12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damage of the steel pipe 10 or the receiving member 12 in the process This can be minimized,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recycling. As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it is very advantageous to maximize the above effects by using a steel ro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다음에서는 도 4 내지 도 6a,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강관널말뚝(1)을 서로 연결하는 결합구조와,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차수벽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차수"벽체라는 표기를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차수벽체는 단순히 물막이의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토사 등을 막는 흙막이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차수"라는 것은 물막이 이외에도 흙막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6a, and 6b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teel pipe pile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rdered wall is constructed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lthough the expression "order" wall i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d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water barrier, but also can be used as a soil barrier for preventing soil, etc.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retainer.

도 4 내지 도 6a,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1)은 그 측면이 이웃하도록 연속된 상태로 지반에 수직하게 관입하여 차수벽체를 구축하게 되는데, 일측의 제2강관널말뚝(200)에 구비된 삽입부재(11)가 이웃하는 제1강관널말뚝(100)에 구비된 수용부재(12)내에 위치하되, 상기 삽입부재(11)의 제1결합강봉(13)과 상기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이 서로 측면이 접하게 된다. 즉, 일측의 제2강관널말뚝(200)이 이웃하는 제1강관널말뚝(100)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지반을 향하여 수직하게 진출하여 지반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제1강관널말뚝(100)과 결합되는데, 도 6a 및 도 6b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부재(11)의 한쪽 대향 가로부 외면은 수용부재(12)의 한쪽 대향 가로부 내면에 맞닿게 되고, 삽입부재(11)의 세로부 외면도 수용부재(12)의 세로부 내면에 맞닿게 되며, 삽입부재(11)의 다른쪽 대향 가로부 외면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13)은 수용부재(12)의 다른쪽 대향 가로부 내면에 구비된 제2결합강봉(14)의 측면에 밀착하여 접한 상태가 된다. 특히,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과 삽입부재(11)의 제1결합강봉(13)은 그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되어 있다. 즉, 일측의 제2강관널말뚝(200)의 강관 외면과 제1결합강봉(13) 사이의 간격 내에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이 위치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4 to 6a, and 6b, a plurality of steel pipe pile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netr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 continuous state so that the side is adjacent to build a water barrier wall, one side The insertion member 11 provided in the second steel tube pile 200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member 12 provided in the neighboring first steel tube pile 100,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of the insertion member 11 is provided. )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of the receiving member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steel pipe pile 200 of one side is vertically advancing toward the ground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adjacent first steel pipe pile pile 10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coupled with the neighboring first steel pipe pile 100 6A and 6B, the outer surface of one opposing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abuts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pposing horizont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outer side surface is also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provided on the other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is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12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provided on the inner portion of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In particular, the positions of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of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of the insertion member 11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of the receiving member 12 is located with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of the second steel pipe pile 200 on one 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강관널말뚝 사이에서 삽입부재(11)가 수용부재(12) 내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재(11)의 제1결합강봉(13)과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의 측면이 서로 밀착하게 되고, 더 나아가 삽입부재(11)의 한쪽 대향 가로부 외면(제1결합강봉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대향 가로부의 외면)은 수용부재(12)의 한쪽 대향 가로부 내면에 맞닿아 밀착되어 있고, 삽입부재(11)의 세로부 외면도 수용부재(12)의 세로부 내면에 맞닿아 밀착되어 있게 되므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강관널말뚝들은 그 측면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결합된 부분에서 더욱 완벽한 차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ertion member 1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12 between the steel pipe pil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and the receiving member 12 of the insertion member 11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s 1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urther, on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in which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does not exist) is formed of the receiving member 12.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While tightly integrated in one piece, a more perfect degree is achieved at the combined portion.

한편, 삽입부재(11)가 구비되어 있는 강관(10)의 외면(도 6에서는 부재번호 200으로 표시된 제2강관널말뚝을 이루는 강관의 외면)과 제1결합강봉(13) 사이에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이 위치하게 되므로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 사이에는 기계적인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강관널말뚝(100)과 제2강관널말뚝(200)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힘이 가해지게 될 때, 제2강관널말뚝(200)의 삽입부재(11)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13) 역시 제1강관널말뚝(100)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게 되는데, 제1강관널말뚝(100)의 수용부재(12)에 구비된 제2결합강봉(14)이 제2강관널말뚝(200)을 이루는 강관(10)의 외면과 제1결합강봉(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결합강봉(13)의 이동이 제2결합강봉(14)에 의해 저지되는 기계적인 체결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고 있던 2개의 강관널말뚝에 대해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위와 같은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 사이의 기계적인 체결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어, 2개 강관널말뚝(1)이 서로 멀어지지 않고 그 측면이 이웃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즉, 이웃하는 강관널말뚝 사이가 서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결합되어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member 12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member 11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forming the second steel tube pile pile indicated in the member number 200 in Figure 6)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Since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of th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is a mechanical fastening is made. For example, when th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steel pipe pile 100 and the second steel pipe pile 200 is far from each other in Figure 6,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second steel pipe pile pile (200).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also intended to move away from the first steel pipe pile 100, the second steel coupling 14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member 12 of the first steel pipe pile 100 Since it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constituting the (200)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n the mechanical fastening state that the movement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prevented by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Will be.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two adjacent steel pipe pile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14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the two steel pipe piles (1) do not move away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side is adjacent. That is,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are coupl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deviate from each other, thereby making a solid connection.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서 복수개의 강관널말뚝(1)이 그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물막이를 위한 본 발명의 차수벽체가 구축된다. Through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plurality of steel pipe piles 1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tinuously coupled to the side, thereby forming the water barri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water barrier.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을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의 선 C-C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과 연결되는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6a에 대응되는 확대도이다. 7 to 9 show a view of a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shown in Figure 2 showing a steel pipe pile pile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CC of a steel sheet pile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ond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 enlarged view corresponding to FIG. 6A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ion in which a steel pipe pile 1 is connected to a neighboring steel pipe pile.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6a,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에서는 제1결합강봉(13)이 삽입부재(11)의 2개 대향 가로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어 있었으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에서는 제1결합강봉(13)이 삽입부재(11)의 2개 대향 가로부 모두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삽입부재(11)에서 2개 대향 가로부 각각의 외면에 제1결합강봉(13)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6a,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에서는 제2결합강봉(14)이 수용부재(12)의 2개 대향 가로부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만 구비되어 있었으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에서는 제2결합강봉(14)이 수용부재(12)의 2개 대향 가로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In the steel pipe pile pi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to 6a and 6b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is disposed on one of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11. Although only provided, but in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7 to 9, the first coupling steel rods 13 on each of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11 It is provided. That is,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in the insertion member 11,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steel pipe pile pi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2 to 6a, 6b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14 of any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ceiving member 12 Although only one inner surface was provided, in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7 to 9,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s 14 are opposed to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ceiving member 12. Each is provid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부재(11)가 수용부재(12)에 위치하는 형태로 강관널말뚝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에 접하면서 지반에 수직하게 삽입될 때, 삽입부재(11)의 세로부 외면은 수용부재(12)의 세로부 내면에 맞닿아서 접하게 되지만, 삽입부재(11)의 2개 대향 가로부와 수용부재(12)의 2개 대향 가로부 사이에서는, 각각 제2강관말뚝(200)의 강관 외면과 제1결합강봉(13)의 간격 내에 제2결합강봉(14)이 위치하되 제2결합강봉(14)이 제1결합강봉(13)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insertion member 11 is inserted in the form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ile the steel pipe pile pil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in the form located in the receiving member 12,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 but between the two opposing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11 and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ceiving member 12, respectively, the second steel pipe While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is positioned with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and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of the pile 200,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It will be located.

따라서 제1결합강봉과 제2결합강봉 간의 밀착에 의한 수밀이 2중으로 형성되어 더욱 완전한 차수 기능이 발휘되며, 강관널말뚝(1)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 역시 더욱 증대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관널말뚝(1)과,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및 그 시공방법의 기타 구성 및 효과는 앞서 도 2 내지 도 6a, 도 6b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the watertight du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is formed in two times to exhibit a more complete degree of function, the effect that the steel tube pile (1) does not deviate from each other is further increased.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7 to 9, and other structures and effects of the ordere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a, 6b above Since i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관널말뚝(1)을 지반에 관입함에 있어서 관입 가이드(2)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use of the penetration guide 2 in penetration of the steel pipe p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roun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차수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강관널말뚝(1)을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에, 도 6a, 도 6b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착된 상태로 지반에 수직하게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관입 가이드(2)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constructing the water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ipe pile pile 1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already installed, as shown in Fig. 6A, 6B or 9. The penetration guide 2 can also be used for this purpose.

도 10에는 상기한 관입 가이드(2)를 이용하여 강관널말뚝(1)을 관입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관입 가이드(2)는, 2개의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빔(21)과, 상기 2개의 고정빔(21) 사이를 직교하는 이동식 가이드빔(22)과, 간격쐐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ipe sheet pile 1 is inserted and installed using the penetration guide 2, and the penetration guide 2 is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It consists of a fixed beam 21, a movable guide beam 22 orthogonal between the two fixed beams 21, and a gap wedge 23.

상기 고정빔(21)은 H형강 등의 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강관널말뚝(1)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벽체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두 개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빔(21) 사이의 나란한 간격은 강관널말뚝(1)의 강관(10) 직경에 대응된다. 즉, 상기 고정빔(21) 사이의 간격에 강관(10)이 끼워지는 것이다. 이 때, 강관(10)의 외면과 고정빔(21)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 간격을 없애서 강관(10)의 외면이 고정빔(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빔(21) 외면과 강관(10) 외면 사이의 틈에 간격쐐기(23)를 끼울 수 있다. 이러한 간격쐐기(23)는 강관널말뚝(1)의 관입을 위하여 항타할 때 발생하는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 등의 충격흡수재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xed beam 21 may be made of a beam member, such as H-shaped steel, the steel pipe piles (1) are continuously arrang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two are installed in parallel at intervals. Side by side spacing between the fixed beams 21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10 of the steel pipe pile pile (1). That is, the steel pipe 10 is fitt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fixed beam 21.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and the steel pipe 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eam 21 by eliminating the minute gap existing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and the fixed beam 21. ) The gap wedge 23 can be fitted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The gap wedge 23 may be made of a shock absorber, such as synthetic resin that can absorb the impact generated when driving for penetration of the steel pipe pile (1).

상기 고정빔(21)에는 상기 간격쐐기(23)가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미리 복수개의 쐐기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고정빔(21)이 H형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H형강의 플랜지에 위와 같은 쐐기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fixed beam 21, a plurality of wedge coupling holes may be formed in advance so that the gap wedge 23 may be coupled by a bolt or the like. When the fixed beam 21 is made of H-shaped steel, the above-described wedge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lange of the H-shaped steel.

이동식 가이드빔(22)은 한 쌍의 고정빔(21) 사이에 수직하게 가로질러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동식 가이드빔(22)에는 강관널말뚝(1)의 수용부재(12)가 끼워질 수 있는 홈(24)이 파여 있다. 강관널말뚝(1)을 수직하게 지반에 관입설치할 때, 새로 삽입되는 제2강관널말뚝(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삽입부재(11)는, 이미 설치되어 있던 제1강관널말뚝(100)의 수용부재에 끼워지고, 새로 삽입되는 제2강관널말뚝(200)에 구비된 수용부재(12)는 상기 이동식 가이드빔(22)의 홈(24)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새로 삽입되는 제2강관널말뚝(200)이 지반에 관입 설치될 때, 기울거나 이탈하지 않고 지반에 박히게 된다. 제2강관널말뚝(200)이 박히고 나면, 후속하는 강관널말뚝을 박을 수 있도록 이동식 가이드빔(22)은 분리되어 이동한 후 다시 고정빔(21)에 결합되어, 후속하는 새로운 강관널말뚝(1)을 수직 관입하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The movable guide beam 22 is installed vertically across the pair of fixed beams 21.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vable guide beam 22 is provided with a groove 24 into which the receiving member 12 of the steel tube pile pile 1 can be fitted. When the steel pipe pile pile 1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insertion member 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eel pipe pile pile 200 to be inserte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eel pipe pile pile 100 already installed. The receiving member 12 provided in the second steel tube pile 200 inserted into the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member is fitted into the groove 24 of the movable guide beam 22. Therefore, when the second steel pipe pil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t will be stuck in the ground without inclination or departure. After the second steel tube pile 200 is driven, the movable guide beam 22 is separated and moved so as to drive the subsequent steel tube pile, and then coupled to the fixed beam 21 again, subsequent new steel tube pile (1) It serves as a guide to vertical penetration.

상기 이동식 가이드빔(22)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빔(21)과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판(220)이 구비되고, 이러한 단부판(220)이 고정빔(21)의 플랜지와 볼트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빔(21)의 플랜지에는 볼트결합공이 미리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End plates 22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guide beam 22 to be coupled to the fixed beam 21, and the end plates 220 may be bolted to the flange of the fixed beam 21. .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flange of the fixed beam 21 in advance.

위에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1)이 그 측면에서 서로 연결됨에 있어서, 삽입부재(11)의 외면과 수용부재(12)의 내면에 각각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강봉(13)과 제2결합강봉(14)이 서로 그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부재(11)가 지반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수용부재(12)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종래기술처럼 채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수용부재(12)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없는 차수상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무수축 모르타르 등과 같은 채움재를 이용하여 강관널말뚝(1)의 측면을 접합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강관널말뚝에 구비된 삽입부재(11)와 수용부재(12)간의 밀착 결합, 특히 삽입부재(11)의 제1결합강봉(13)과 수용부재(12)의 제2결합강봉(14) 간의 측면 밀착에 의한 기계적인 결합만으로도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1)의 측면 사이에 충실한 차수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채움재의 주입작업"이라는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차수벽체 구축시의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채움재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이 강관널말뚝을 수중 또는 지반에 관입 설치하는 즉시 차수효과가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수중공사를 수행할 때, 채움재의 외부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 야기 우려도 없으며, 채움재의 사용에 따른 재료비 증가와 공사비 증가, 그리고 시공기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ide,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respectively; The insert member 11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and the insertion member 11 moves vertically to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are disposed to abut each other. Since i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member 12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water passes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steel pipe pile pile and the receiving member 12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without using a filler as in the prior art. A state of order that cannot be achieved is creat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at joins the side of the steel tube sheet pile (1) by using a filler such as non-shrink mortar, the close coupling between the insertion member 11 and the receiving member 12 provided in the steel tube pile pile, In particular, the mechanical coupling by the sid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 13 of the insertion member 11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rod 14 of the receiving member 12 is faithful between the sides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1). It will be able to achieve the order. Therefore, the additional work called "filling material filling" is unnecessary,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reducing costs when constructing the order wall, and injecting the steel pipe pile into the water or ground without having to wait until the filling material is completely hardene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order effect is exerted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Furthermore, since the filling material is not used, there is no fear of water pollution due to the external spillage of the filling material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nstru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rease of material cost, construction cost, and delay in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the filling material. The effect that there is is exerted.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채움재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채움재 사용시 강관널말뚝의 재활용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삽입부재와 수용부재를 강관의 측면에 용접 부착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용접 부착 작업이 더 용이하게 되며, 삽입부재와 수용부재의 제거 역시 용이하게 되어, 가시설 등에서 강관널말뚝을 사용한 후 재활용하기가 수월해지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filler is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iculty in recycling the steel sheet pile when the filler is used, and in particular, in the welding and attaching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By using it, the welding attachment operation becomes easier, and the removal of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is also facilitated, and the use of steel pipe piles in temporary facilities and the like also makes it easier to recycl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재(11), 수용부재(12), 제1결합강봉(13) 및 제2결합강봉(14)은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용접 등의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강관널말뚝의 제작이 용이하며, 별도의 특별한 절단이나 가공작업 없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기성 강관제품과, 채널 형상 등의 제품을 이용해서도 용이하게 본 발명의 강관널말뚝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강관널말뚝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단축시키고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ertion member 11, the receiving member 12,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are installed in a protruding form, they can be used for simple work such as welding.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steel pipe piles, and since the steel pipe board p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the ready-made steel pipe products produced in the factory and products such as channel shapes without any special cutting or processing work, The effect is to significantly reduce and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produce the fabrication.

1: 강관널말뚝
11: 삽입부재
12: 수용부재
2: 관입 가이드
1: steel pipe pile
11: insertion member
12: receiving member
2: intrusion guide

Claims (5)

흙막이 또는 물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차수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강관널말뚝(1)으로서;
강관(10), 상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재(11), 및 상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되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재(11)의 외면에는 대향 가로부가 존재하며, 상기 삽입부재(11)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1결합강봉(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재(12)는, 세로부가 강관(10)의 측면에 용접 부착되는데, 강관(10)의 외면에 봉형태로 이루어진 용접 보조부재(33)가 미리 용접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외측면이 상기 용접 보조부재(33)에 닿은 후, 용접 보조부재(33)와 수용부재(12)의 세로부와 강관(10)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용접선(3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상기 수용부재(12)가 강관(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재(12)의 상기 오목한 공간에는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가 끼워져 수용되는데, 상기 수용부재(12)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 중에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13)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수용부재(12)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용 제2결합강봉(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이 서로 연결 결합될 때,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가 상기 수용부재(12)에 삽입되고,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13)과 상기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강관(10) 사이의 간격에 상기 수용부재(12)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제2결합강봉(14)이 위치하되, 상기 제2결합강봉(14)은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널말뚝.
As a steel tube board pile (1) for constructing a water barrier wall used for earth or water barrier construction;
Steel pipe 10, the insertion member 11 is made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s provided in a convex protruding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and the steel pipe 10 Consists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vided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but having a concave space, including the receiving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11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Configu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re is an opposite horizontal portion,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order consisting of steel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13) is provided;
The receiving member 12, the vertical portion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in the form of a ro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a state that the welding is attached in advance, the receiving member ( After the longitudinal outer side of the 12 contacts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the welding line 30 is formed at a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and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a structure formed, the receiving member 1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In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neighboring steel tube pile pile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to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neighboring steel tube pile pi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facing the provided first coupling steel bar 13,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for prevention and separation consisting of steel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 Is provided;
When the sides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s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first member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s.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is located at a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steel bar 13 and the steel pipe 10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and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 Is a steel pipe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1)는,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강봉(13)은, 상기 2개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12)에도 상기 삽입부재(11)의 2개의 대향 가로부와 마주하는 오목한 공간의 2개 내면에도 각각 제2결합강봉(1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널말뚝.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member 11 is made of a section steel of the letter 'c' cross section having two opposing horizontal sections and one vertical sectio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s 1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opposing horizontal portions, respectively;
The receiving pipe (12) is a steel tube shee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is provided on each of the two inner surfaces of the concave space facing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11).
삭제delete 강관(10), 상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재(11), 및 상기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강관(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있되 오목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재(12)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11)의 외면에는 대향 가로부가 존재하며, 상기 삽입부재(11)의 대향 가로부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방지용 제1결합강봉(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12)는, 세로부가 강관(10)의 측면에 용접 부착되는데, 강관(10)의 외면에 봉형태로 이루어진 용접 보조부재(33)가 미리 용접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12)의 세로부 외측면이 상기 용접 보조부재(33)에 닿은 후, 용접 보조부재(33)와 수용부재(12)의 세로부와 강관(10)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용접선(3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상기 수용부재(12)가 강관(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재(12)의 상기 오목한 공간에는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는데, 상기 수용부재(12)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 중에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과 마주하게 되는 상기 수용부재(12)의 오목한 공간의 내면에는 강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및 차수방지용 제2결합강봉(14)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강관널말뚝(1)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그 측면이 연속적으로 접하여 연결 결합됨으로써 구축되며;
서로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측면이 서로 연결 결합될 때,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가 상기 수용부재(12)에 삽입되고,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과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강관(10) 사이의 간격에 상기 수용부재(12)의 내면에 구비된 상기 제2결합강봉(14)이 위치하되, 상기 제2결합강봉(14)이 이웃하는 강관널말뚝의 삽입부재에 구비된 제1결합강봉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여 차수상태를 이루어서 구축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널말뚝을 이용한 차수벽체.
Steel pipe 10, the insertion member 11 is made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is provided in a convex protruding for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and the steel pipe 10 It consists of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vided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but has a concave space includes the receiving member 12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member 11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opposite horizontal portion is present,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member 11,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order consisting of steel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 13) is provided; The receiving member 12, the vertical portion is welded to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in the form of a ro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a state that the welding is attached in advance, the receiving member ( After the longitudinal outer side of the 12 contacts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the welding line 30 is formed at a distance betwee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welding auxiliary member 33 and the receiving member 1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10. In a structure formed, the receiving member 1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10); In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facing the steel pip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for preventing departure and order consisting of a steel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10 Null pile (1) is arranged b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ide is constructed by being connected in continuous contact;
When the sides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sertion member of the adjacent steel pipe pile pi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12, the first coupling steel bar and the adjacent steel pipe provided in the insertion member of the neighboring steel pipe pile pile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12 is located at intervals between the steel pipes 10 of the board pile,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 14 to the insertion member of the steel pipe pile pile neighboring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rovided first coupling steel bar made of a degree order to form a steel wall using a steel pipe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1)는, 2개의 대향 가로부와 1개의 세로부를 가지는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강봉(13)은, 상기 2개의 대향 가로부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재(12)에도 상기 삽입부재(11)의 2개의 대향 가로부와 마주하는 오목한 공간의 2개 내면에도 각각 제2결합강봉(1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널말뚝을 이용한 차수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member 11 is made of a section steel of the letter 'c' cross section having two opposing horizontal sections and one vertical section;
The first coupling steel rods 1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opposing horizontal portions, respectively;
In the receiving member 12, the second coupling steel bars 14 are provided on two inner surfaces of the concave space facing the two opposite horizontal portions of the insertion member 11, respectively. Wall.
KR1020110060286A 2011-06-21 2011-06-21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KR101263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86A KR101263661B1 (en) 2011-06-21 2011-06-21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86A KR101263661B1 (en) 2011-06-21 2011-06-21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06A KR20120140506A (en) 2012-12-31
KR101263661B1 true KR101263661B1 (en) 2013-06-11

Family

ID=4790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286A KR101263661B1 (en) 2011-06-21 2011-06-21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66B1 (en) * 2018-04-27 2019-05-15 주식회사 천마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The wall members and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2878349B (en) * 2021-01-15 2022-05-06 北京市市政四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Underground water control method for PBA underground excavation subway station construction st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58A (en) * 2001-06-08 2003-02-26 Seibu Polymer Corp Water sealing structure of joint for steel pi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08155A (en)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은명건설 Out casing and boring apparatus using ther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58A (en) * 2001-06-08 2003-02-26 Seibu Polymer Corp Water sealing structure of joint for steel pi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08155A (en)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은명건설 Out casing and boring apparatus using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06A (en)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17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tunnel using guiding shape steel
KR101331261B1 (en)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278687B1 (en)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the box-type thrust tube structure
KR100862385B1 (en) A square shape, wall structure using 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263661B1 (en) Steel Pipe Pile and Wall using such Steel Pipe Pile
JP2014227768A (en) Tide embank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ide embankment
KR101604726B1 (en) Culvert connected by shear connect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257215B1 (en) Roof structur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2154793B1 (en) Prestressed Pile for Retaining Wall,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with such Pile,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such Method
KR101684389B1 (en) PHC Pile having Steel Bands, Retaining Wall using such PHC Pile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Retaining Wall
JP4451177B2 (en) Inter-block joint structure
EP1181418B1 (en) Method to build a waterproof, creep limit increasing cutoff
KR20220065461A (en) WIRE STRUCTURE FOR STAGGERED LAPPING IN SLURRY WALL, SLURRY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6489055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steel sheet pile wall
JP2020063640A (en) Spacer and propulsion method for box structure
KR20100068350A (en) Asymmetric h-sheet pile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with
JP2018009388A (en) End structure of preceding el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KR200459483Y1 (en)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steel pipe and h-sheet pile
KR101511172B1 (en) A joint structure of a CFT composite column and RC wide girder
KR20120054290A (en) Wall pile
JP2017145595A (en) End structure of preceding el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underground wall
JP6447669B2 (en) Sea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seawall
JP2019137991A (en) Connection structure of structural steelwork and precast concrete member, structural wall with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structural steelwork and precast concrete member
JP2019173312A (en) Earth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JP2004360241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underground continuous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