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435B1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435B1
KR101263435B1 KR1020060115311A KR20060115311A KR101263435B1 KR 101263435 B1 KR101263435 B1 KR 101263435B1 KR 1020060115311 A KR1020060115311 A KR 1020060115311A KR 20060115311 A KR20060115311 A KR 20060115311A KR 101263435 B1 KR101263435 B1 KR 10126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elastic member
main body
display devic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973A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435B1/ko
Priority to EP07111119A priority patent/EP1887273A3/en
Priority to US11/826,173 priority patent/US7694922B2/en
Publication of KR2008004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지지장치의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때 조작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본체에 마련된 지지브래킷과, 본체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와, 하부가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가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스탠드와, 스탠드의 상부와 지지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연결장치는 스탠드의 상부에 마련되며 외면이 곡면인 곡면연결부와, 곡면연결부의 결합을 위해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곡면홈과, 곡면연결부와 곡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곡면연결부와 곡면홈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요부단면도로, 본체가 직립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요부단면도로, 본체를 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요부단면도로, 본체를 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지지장치,
21: 베이스, 22: 지지브래킷,
23: 스탠드, 30: 연결장치,
31: 곡면연결부, 32: 곡면홈,
33: 탄성부재, 35a,35b: 요철부,
40: 회전제한장치, 41: 회전제한돌기,
42: 회전제한홈, 50: 보강스프링.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지지할 수 있고 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씨디(LCD)나 피디피(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갖추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74206(2006년 7월 3일 공개)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공보에 개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는 모니터본체의 후면에 결합된 피봇브래킷과, 상부가 모니터힌지부에 의해 피봇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가 베이스힌지부에 의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스탠드와, 스탠드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할 때 모니터본체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링크바를 갖추고 있다. 스탠드와 링크바의 상단은 모니터힌지부의 힌지샤프트에 의해 피봇브래킷 쪽에 결합되어 있고, 스탠드와 링크바의 하단은 베이스힌지부의 힌지샤프트에 의해 베이스 쪽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스탠드의 상단과 모니터본체가 힌지샤프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고, 스탠드 하단과 베이스도 힌지샤프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웠다. 그리고 각 연결부에 체결되는 힌지샤프트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제조원가도 높은 결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스탠드를 회전시켜 모니터본체의 각도를 조정할 때 모니터본체의 무게중심이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모니터본체의 회전모멘트가 변하지만, 힌지샤프트 쪽의 결합력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조작감이 불균일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때 조작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화면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마련되며 외면이 곡면인 곡면연결부 와, 상기 곡면연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곡면홈과,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면연결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스탠드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곡면연결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내측결합홈과 상기 곡면홈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측결합면을 갖춘 캡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결합홈은 입구의 전후방향 폭이 상기 곡면연결부의 전후방향 직경보다 작고, 깊이가 상기 곡면연결부의 상하방향 반경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과 상기 곡면홈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요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스프링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면을 가압하는 C형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강스프링의 결합을 위해 그 외면에 형성된 스프링결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마련되며 외면이 곡면인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연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곡면홈과,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예로 LCD모니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에 영상을 구현하는 화면(미도시)이 마련된 본체(10)와, 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0)를 구비한다.
지지장치(20)는 본체(10)의 지지를 위해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놓이는 평판형 베이스(21)와, 본체(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브래킷(22), 그리고 하부가 베이스(21)에 결합되고 상부가 지지브래킷(22)에 결합되는 스탠드(23)를 구비한다.
또 지지장치(20)는 본체(1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본체(10)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탠드(23)의 상부와 본체(10) 후면의 지지브래킷(2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30)를 포함한다.
본체 후면의 지지브래킷(22)은 별도로 제조된 후 고정나사 체결 등을 통하여 본체(10)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본체(10)의 케이스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된다. 스탠드(23)는 하단이 베이스(21)의 고정홈(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체결하거나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베이스(2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탠드(23)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단이 힌지장치 등에 의하여 베이스(21)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스탠드(23)의 상부와 지지브래킷(22)을 연결하는 연결장치(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23)의 상부에 마련된 곡면연결부(31)와, 곡면연결부(31)의 결합을 위해 지지브래킷(22)에 형성된 곡면홈(32), 곡면연결부(31)와 곡면홈(32) 사이에 개재되어 곡면연결부(31)와 곡면홈(32)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33), 그리고 탄성부재(33)의 탄성보강을 위해 탄성부재(33)의 외면에 결합되는 보강스프링(50)을 포함한다.
곡면연결부(31)는 스탠드(23)와 일체로 마련되며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태이다. 곡면연결부(31)는 지지브래킷(22)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곡면연결부(31)의 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직경(D1)이 전후방향의 직경(D2)보다 큰 타원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곡면연결부(31)가 원통형태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곡면연결부는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구(球)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곡면연결부(31)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지지브래킷(22)과 곡면연결부(31)의 안정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고 본체(10)를 전후로 회전시킬 때 조작감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곡면연결부(31)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브래킷(22)의 곡면홈(32)은 곡면연결부(31) 및 탄성부재(33)가 진입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반원형태의 홈이다.
탄성부재(33)는 단면이 반원형태이고, 고무, 실리콘, 연질의 수지 등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된다. 탄성부재(33)는 곡면연결부(31)의 외면에 대응하는 내측결합홈(33a)과, 곡면홈(32)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측결합면(33b)을 구비하며, 곡면연결부(31)의 외면에 씌워지는 캡형태이다.
보강스프링(50)은 소정 폭의 강판을 C형으로 벤딩한 형태로 탄성부재(33)의 외면에 밀착 결합된다. 보강스프링(50)은 탄성부재(33)의 외면을 조여 주는 방식으로 가압함으로써 탄성부재(33)의 탄성력을 보강한다. 이는 장기간 사용하여 탄성부재(33)의 탄성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도 보강스프링(50)이 탄성부재(33)의 외면을 조여 줌으로써 곡면연결부(31)의 외면과 탄성부재(33)의 내측결합홈(33a) 사이의 마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탄성부재(33)의 외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스프링(50)의 결합을 위한 스프링결합홈(33c)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3)와 보강스프링(50)을 이용하여 스탠드(23)와 지지브래킷(22)을 연결하면, 탄성부재(33)의 내측결합홈(33a)은 곡면연결부(31)의 외면에 밀착 결합되고, 탄성부재(33)의 외측결합면(33b)은 지지브래킷(22)의 곡면홈(32) 내면에 밀착 결합된다. 이처럼 결합시킬 때는 탄성부재(33)를 곡면연결부(31) 외면에 씌우고 그 위에 보강스프링(50)을 장착한 상태로 곡면연결부(31)를 지지브래 킷(22)의 곡면홈(32)으로 가압하여 진입시킨다. 이때 탄성부재(33)와 보강스프링(50)은 변형이 생기면서 곡면홈(32)으로 진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된 후에는 곡면연결부(31)의 외면과 곡면홈(32) 내면에 탄성부재(33)의 탄성력과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결합이 유지된다.
탄성부재(33)의 내측결합홈(33a)은 입구의 전후방향 폭(L1)이 곡면연결부(31)의 전후방향 직경(D2)보다 작고, 상하 깊이(L2)가 곡면연결부(31)의 상하방향 반경(R)보다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후에는 스탠드(23)의 곡면연결부(31)가 탄성부재(33)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탄성부재(33)의 외면과 곡면홈(32)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요철부(35a,35b)가 마련된다. 따라서 결합 후에는 탄성부재(33)가 곡면홈(3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탄성부재(33)를 개재시켜 곡면연결부(31)를 지지브래킷(22)의 곡면홈(32)에 가압하여 끼우는 동작만으로 지지브래킷(22)과 스탠드(23)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고정나사나 힌지샤프트 등을 체결하지 않고서도 스탠드(23)와 지지브래킷(22)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 종래보다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다.
곡면연결부(31)와 지지브래킷(22)에는 본체(10)의 전후방향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장치(40)가 마련된다. 이 회전제한장치(40)는 곡면연결부(31)의 상부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제한돌기(41)와, 회전제한돌기(41)가 진입하도록 지지브래 킷(22)에 형성되며 지지브래킷(22)의 회전방향으로 길이가 긴 회전제한홈(42)을 포함한다. 물론 탄성부재(33)에도 회전제한돌기(41)가 관통하는 홈(43)이 형성된다.
회전제한돌기(41)의 상단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걸림턱(41a)과 제2걸림턱(41b)이 형성되고, 회전제한홈(42)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걸림턱(41a,41b)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제1걸림홈(42a)과 제2걸림홈(42b)이 형성된다.
제1걸림턱(41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후방으로 회전시킬 때 제1걸림홈(42a)에 걸리고, 제2걸림턱(41b)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때 제2걸림홈(42b)에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의 화면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본체(10)를 큰 힘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도 곡면연결부(31)가 지지브래킷(2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다음은 본체의 화면각도를 조정할 때 연결장치(3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가 대체로 직립인 경우에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이 곡면연결부(31)의 외면 전체에 대체로 균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탄성부재(33)의 내면과 곡면연결부(31) 외면 전체에 마찰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본체(10)가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후방으로 회전시킬 때는 본체(10)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본체(10)를 후방으로 눕히는 각도가 클수록 본체(10)의 회전모멘트(후방으로 회전하려는 힘)가 커진다. 즉 본체(10)를 후방으로 눕힐수록 본체(10)가 쉽게 회전하려 한다. 그러나 이때는 곡면연결부(31) 단면 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곡면연결부(31)의 후방하측과 전방상측에 작용하는 탄성부재(33)의 반력(P)도 커진다. 이 반력(P)은 회전모멘트가 커짐에 따라 비례하여 커지면서 회전저항으로 작용한다. 즉 회전모멘트가 커지는 만큼 회전저항도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를 전후로 회전시킬 때 회전모멘트와 회전저항이 상반되게 작용하면서 회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므로 본체(10)를 회전시키는 동안 본체(10)의 기울기변화와 무관하게 조작감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전방으로 회전시킬 때도 마찬 가지이다. 이때는 본체(10)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전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커진다. 그러나 이때는 곡면연결부(31)의 후방상측과 전방하측에 작용하는 탄성부재(33)의 반력(P)이 커지면서 회전저항으로 작용하므로 회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때도 본체(10)를 회전시키는 동안 조작감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탄성부재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스탠드의 곡면연결부를 지지브래킷의 곡면홈에 압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지지브래킷과 스탠드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종래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종래보다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스탠드 상부의 곡면연결부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본체를 전후로 회전시켜 화면각도를 조정할 때 회전모멘트와 회전저항이 상반되게 작용하면서 본체의 기울기변화와 무관하게 회전력이 일정 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조작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보강스프링이 탄성부재를 조여 주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 탄성부재의 탄성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도 곡면연결부의 외면과 탄성부재의 내측결합홈 사이의 마찰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마련되며 외면이 곡면인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연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곡면홈과,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스탠드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결합홈은 입구의 전후방향 폭이 상기 곡면연결부의 전후방향 직경보다 작고, 깊이가 상기 곡면연결부의 상하방향 반경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과 상기 곡면홈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요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프링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면을 가압하는 C형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강스프링의 결합을 위해 그 외면에 형성된 스프링결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9. 화면을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본체의 지지를 위한 베이스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마련되며 외면이 곡면인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연결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곡면홈과,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곡면연결부와 상기 곡면홈의 연결을 매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을 보강하는 보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곡면연결부의 외면에 대응하는 내측결합홈과 상기 곡면홈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측결합면을 갖춘 캡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는 원통형이고 상기 스탠드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 스플레이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직경이 전후방향의 직경보다 큰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결합홈은 입구의 전후방향 폭이 상기 곡면연결부의 전후방향 직경보다 작고, 깊이가 상기 곡면연결부의 상하방향 반경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과 상기 곡면홈의 내면에는 상호 대응하여 결합되는 요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스프링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밀착 결합되어 외면을 가압하는 C형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강스프링의 결합을 위해 그 외면에 형성된 스프링결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115311A 2006-08-10 2006-11-21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10126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311A KR101263435B1 (ko) 2006-11-21 2006-11-21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EP07111119A EP1887273A3 (en) 2006-08-10 2007-06-27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826,173 US7694922B2 (en) 2006-08-10 2007-07-12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311A KR101263435B1 (ko) 2006-11-21 2006-11-21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973A KR20080045973A (ko) 2008-05-26
KR101263435B1 true KR101263435B1 (ko) 2013-05-10

Family

ID=3966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311A KR101263435B1 (ko) 2006-08-10 2006-11-21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4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943A (ja) 1999-10-13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テレビ用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943A (ja) 1999-10-13 2001-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テレビ用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973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22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0023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395995B2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KR100662367B1 (ko) 모니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100534119B1 (ko) 모니터장치
KR100586983B1 (ko) 모니터장치
US7578490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US7510155B2 (en) Single spring supporting device
KR100770983B1 (ko) 모니터장치
KR100596583B1 (ko) 모니터장치
US20090008518A1 (en) Monitor with adjustable screen in highness and inclination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3570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10060985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20232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10126343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GB2439920A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KR10131243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EP2557776B1 (en) Display device
JP2010226268A (ja) 表示部手動回動装置
US6011207A (en) Bearing support structure, useful for musical instrument
KR1017777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W201042171A (en) Hinge assembly and supporting ma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349236B2 (ja) 車椅子用ステップ板の支持構造
TWI355229B (en) Supporting mechanism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