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366B1 -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366B1
KR101263366B1 KR20120045892A KR20120045892A KR101263366B1 KR 101263366 B1 KR101263366 B1 KR 101263366B1 KR 20120045892 A KR20120045892 A KR 20120045892A KR 20120045892 A KR20120045892 A KR 20120045892A KR 101263366 B1 KR101263366 B1 KR 10126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dor
odorless
food
clean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희
변영창
Original Assignee
정천희
주식회사 대명스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천희, 주식회사 대명스틸산업 filed Critical 정천희
Priority to KR2012004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거점형 음식물쓰레기 집합시설(=클린하우스)에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자, 젤타입의 휘산형 악취제거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탈취 제거효율이 낮아 악취제거효율이 낮은 문제점과, 클린하우스내의 LED 불빛이나 악취제거제 투입장치에 공급된 전원이 상용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전력소비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태양발전기(10), 소형풍력발전기(20), 클린하우스 본체(30), 감시카메라(CCTV)부(40), LED 형광등(50), 쓰레기통(60),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 악취제거제탱크부(80), 충전배터리모듈(90), 마이컴부(100)가 구성됨으로서, LED 불빛을 통해 클린하우스 주변을 환하게 밝힐 수 있어 야간에도 음식물쓰레기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선별시켜 투입시킬 수 있고, 음식물 및 재활용쓰레기 불법 투입현장을 감시카메라(CCTV)부를 통해 감시하고 촬영한 후, 원격지의 중앙통제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어, 원격감시를 실현시킬 수 있고, 상용전원이 아닌, 태양열과 풍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클린하우스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음식물수거함에서 악취제거제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마다 수평방향으로 직접분사시킴으로서, 악취제거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THE CLEALHOUSE WITH REMOVAL OF BAD SMELL AND NEW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상용전원이 아닌, 태양열과 풍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클린하우스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고, 음식물수거함에서 악취제거제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마다 수평방향으로 직접분사시킴으로서, 악취제거효율을 기존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다가구 주택, 아파트,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실외의 일정장소에 음식물 쓰레기통을 보관하는 집하시설물이 구비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업자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수거토록 하여 퇴비화 또는 사료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집하시설물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업자가 처리하기 전까지의 보관과정에서 부패가 진행되면서 세균이나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주변 환경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자, 기존의 거점형 음식물쓰레기 집합시설(=클린하우스)에서는 젤타입의 휘산형 악취제거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탈취 제거효율이 낮아 악취제거효율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클린하우스내의 LED 불빛이나 악취제거제 투입장치에 공급된 전원이 상용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전력소비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421187호(2004년03월04일 공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LED 불빛을 통해 클린하우스 주변을 환하게 밝힐 수 있어 야간에도 음식물쓰레기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선별시켜 투입시킬 수 있고, 음식물 및 재활용쓰레기 불법 투입현장을 감시카메라(CCTV)부를 통해 감시하고 촬영한 후, 원격지의 중앙통제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어, 원격감시를 실현시킬 수 있고, 상용전원이 아닌, 태양열과 풍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클린하우스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음식물수거함에서 악취제거제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마다 수평방향으로 직접분사시킴으로서, 악취제거효율을 기존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는
클린하우스 본체 일측에 위치된 지지폴대 중단에 위치되어,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發電)을 하여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태양광발전기(10)와,
지지폴대 상단에 위치되어, 풍력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소형풍력발전기(20)와,
일측이 개통된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시키고,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는 클린하우스 본체(30)와,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음식물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촬영하고 감시하는 감시카메라(CCTV)부(40)와,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클린하우스 본체의 상단 중앙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충전배터리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LED 불빛을 발광시키는 LED 형광등(50)과,
클린하우스 본체의 설치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일반쓰레기 및 재활용쓰레기를 수납하여 보관시키는 쓰레기통(60)과,
쓰레기통 일측에 위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악취제거제를 직접분사시켜 악취를 제거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보관시키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과,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악취제거제를 수납하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는 악취제거제탱크부(70)와,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는 충전배터리모듈(90)과,
충전배터리모듈, 감시카메라(CCTV)부, LED 형광등, 무악취음식물수거함, 악취제거제탱크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음식물수거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을 구동시켜 악취제거제를 음식물쓰레기에 직접분사시키도록 제어시키고,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의 중앙통제서버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1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및 재활용쓰레기 불법 투입현장을 감시카메라(CCTV)부를 통해 감시하고 촬영한 후, 원격지의 중앙통제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어, 원격감시를 통해 불법투입방지 및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고, 태양열과 풍력을 통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클린하우스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음식물수거함에서 악취제거제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마다 수평방향으로 직접분사시킴으로서, 악취제거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와 악취제거제탱크부(8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와 악취제거제탱크부(8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의 커버에 태양광발전기가 형성되어 독립형 구조를 갖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풍력발전기(2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배터리모듈(9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의 구성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태양광발전기(10), 소형풍력발전기(20), 클린하우스 본체(30), 감시카메라(CCTV)부(40), LED 형광등(50), 쓰레기통(60),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 악취제거제탱크부(80), 충전배터리모듈(90), 마이컴부(1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기(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태양광발전기(10)는 클린하우스 본체 일측에 위치된 지지폴대 중단에 위치되어,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發電)을 하여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폴대는 길이방향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태양광발전기, 소형풍력발전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전지판은 투과율 저하가 적은 PVB(Poly Vinyl Butylol)나 내습성이 뛰어난 EVA(Ethylene Vinyl Asetate) 등으로 이루어진 충전재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부착된다.
태양전지판은 플러스 단자의 제1 단위셀과 마이너스 단자의 제2 단위셀이 다수개 상호 이격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각각의 단위셀은 알루미늄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인터커넥터에 의해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솔라셀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때, 직렬 연결되는 솔라셀의 수량은 충전배터리의 충전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각 단위셀을 연결하는 인터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 도금된 전원단자에 접속된다.
솔라셀 어레이의 상부에는 종전의 유리기판 대신, 투명 폴리카보네이트창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솔라셀 어레이 상부에 투명 폴리카보네이트창을 적층시킴으로 인해, 종래 유리기판의 표면에서 태양광이 반사됨으로 인해 광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태양전지판을 통해 생성된 전기는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기(10)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의 커버판에 형성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만 단독으로 빼서 독립형 구조로 구성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풍력발전기(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소형풍력발전기(20)는 지지폴대 상단에 위치되어, 풍력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PM 센서(21), 전압트랜스듀서(22), 전류트랜스듀서(23), 카운터부(24), 가변속제어부(25), 풍력제너레이터(26)로 구성된다.
상기 RPM센서(21)는 풍력발전기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또는 풍력제너레이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압트랜스듀서(22)는 풍력제너레이터 출력단에 연결되어 풍력에 의해 변환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류트랜스듀서(23)는 제너레이터 출력단에 연결되어 풍력에 의해 변환되는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운터부(24)는 상기 RPM센서에서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값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변속제어부(25)는 풍속데이터 및 RPM센서에서 계측된 회전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풍력발전기의 회전속도가 최적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가변시켜 최대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풍력제너레이터(26)는 가변속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린하우스 본체(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클린하우스 본체(30)는 일측이 개통된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시키고,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외부 측면 일측에 태양광발전기와 소형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지지폴대가 형성되고, 내부에 쓰레기통과 음식물수거함이 일렬로 나란히 형성되고, 쓰레기통과 음식물수거함의 상단 일측에 LED 형광등이 형성되며, 지지폴대의 반대쪽인 또 다른 외부 측면 일측에 충전배터리모듈과, 악취제거제탱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쓰레기통과 음식물수거함을 일렬로 촬영할 수 있도록 내부 측면 일측에 감시카메라(CCTV)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CCTV)부(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감시카메라(CCTV)부(40)는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음식물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촬영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촬영렌즈와 촬상소자가 내장되는 촬영부와, 그 촬영부를 구동하는 줌모터, 포커스모터, 아이리스용 모터와, 촬영부를 상하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팬(PAN : 수평방향)모터와, 촬영부를 회전시키는 틸트(Tilt : 수직방향)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줌모터, 포커스모터, 아이리스용 모터, 팬모터, 틸티모터 각각에 구동 풀리 및 벨트, 그리고 팬틸트 각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성된다.
상기 팬모터와 틸트모터는 빠르고, 조용하고, 부드럽고, 정확하게 중앙통제서버가 지정한 목표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제어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줌모터, 포커스모터, 아이리스용 모터, 팬모터, 틸티모터 일측에 각각 컨넥터 단자를 구성하고, 컨넥터 단자에 PTZ 제어모듈의 PTZ카메라구동제어부가 연결되어, PTZ 카메라의 촬영부 위치를 중앙통제서버의 위치값에 따라 상하 좌우 이동 및 회전, 줌확대, 줌축소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등(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ED 형광등(50)은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클린하우스 본체의 상단 중앙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충전배터리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LED 불빛을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형광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끝단에 LED 램프 소켓이 형성되고, 그 LED 램프 소켓을 따라 원통형의 긴 봉 구조를 갖는 확산커버가 형성되고, 그 확산커버 내부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을 따라 직사각형상의 스위치형 LED 드라이버 모듈이 슬라이드되어 끼워지고, 스위치형 LED 드라이버 모듈의 전·후면에 복수개의 고휘도 발광 LED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레기통(60)은 클린하우스 본체의 설치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일반쓰레기 및 재활용쓰레기를 수납하여 보관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구성, 경도, 항균성을 높이기 위하여, 플라스틱 음식물통(108)의 내부 면에 코팅액을 10 ~ 30㎛ 두께로 코팅하여 UV경화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코팅액은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알킬 에스테르, 크산톤, 포스핀 옥시드,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디에톡시크산톤, 클로로-티오-크산톤, N-메틸디에탄올-아민-벤조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탄온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광개시제(Photoinitiator) 2 ~ 6wt%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트 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타그릴레이트, 4-부틸싸이크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디싸이클로 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모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에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인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 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리에트, 펜타로리티올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프록시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다이트리메틸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니트로벤질 아크릴레이트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변성 모노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Monomer) 55 ~ 65wt%와,
6 내지 15 개의 관능기를 갖는 UV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Oligomer) 30 ~ 40wt%와,
실리콘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 ~ 0.9wt%의 혼합으로 조성된 UV코팅액 60 ~ 70wt%(A);와,
내마모제인 Al2O3 25 ~ 35wt%(B);와,
항균제인 은나노(Nano-Silver) 1 ~ 5wt%(C);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성된 코팅액을 10 ~ 30㎛ 두께로 코팅한 후에 UV경화하게 되며, 상기 UV경화는 보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조사량 1.5KW, 경화속도 1.5m/min, 경화횟수 1회의 조건에서 UV경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코팅액으로 코팅된 플라스틱 음식물통(108) 내부 면은 내마모성 1~2등급, 연필경도 H, 부착력 100%, 내오염성(매직 Test/먼지부착 Test) 양호, 항균성 99.9%의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UV코팅액의 사용량이 60wt% 미만인 경우에는 UV경화, 부착성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내마모성, 항균성 등의 특성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UV코팅액은 전체 코팅액에 대해 60 ~ 70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마모제인 Al2O3의 사용량이 25wt% 미만인 경우에는 내마모성, 경도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고, 3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UV경화 특성, 접착성 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Al2O3는 전체 코팅액에 대해 25 ~ 35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제인 은나노(Nano-Silver)의 사용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코팅액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은나노(Nano-Silver)는 전체 코팅액에 대해 1 ~ 5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은 쓰레기통 일측에 위치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악취제거제를 직접분사시켜 악취를 제거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보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거함몸체(71),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 액량계(74), 수위계(75), 경고음발생부(76),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로 구성된다.
상기 수거함몸체(71)는 사각박스의 직립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납하면서,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는 수거함몸체의 하단 바닥 일측에 1:1로 설치되어, 바닥에 있는 악취제거제를 수거함몸체 내부의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은 악취제거제공급펌프의 힘으로 이송된 악취제거제를 상하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수평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일측에 유압실린더에 유압의 힘을 생성시키는 유압모터(M2)가 형성된다.
상기 액량계(74)는 수거함몸체의 정면 일측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투입량을 눈금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위계(75)는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공급된 악취제거제의 수위를 측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고음발생부(76)는 수거함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꽉 찬 상태에 있을 때,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배출구에서 수거함몸체의 하단 바닥까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악취제거제공급펌프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은 수거함몸체(71),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 액량계(74), 수위계(75), 경고음발생부(76)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와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로부터 탈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을 쓰레기차에 투입시킬 때,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와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를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 액량계(74), 수위계(75), 경고음발생부(76)이 형성된 수거함몸체(71)만을 탈착시켜 쓰레기차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시킨 후, 다시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와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와 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에 태양광발전기를 형성시키고, 내부에 충전배터리모듈을 형성시킨 독립형 구조로 구성된다.
즉, 직접 태양광발전기를 통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킨 후, 충전배터리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악취제거제공급펌프를 구동시켜, 악취제거제를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독립형 구조를 갖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커버판에 형성된 태양광발전기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태양광발전기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부에 교체용 충전배터리를 사용하여 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제탱크부(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악취제거제탱크부(80)는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악취제거제를 저장시키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형 또는 사각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악취제거제를 저장시키고, 배출구 일측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어,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 제어된다.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을 뿐만 아니라 악취물질 간의 복합적인 작용이나 후각의 개인적인 차이 등으로 인하여 느끼는 정도나 피해정도를 일률적으로 나타내기가 어려워 대기오염 중에서도 가장 까다롭고 해결하기 어려운 공해 문제 중의 하나이다.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은 그 물질의 화학결합구조상의 특정한 작용기에 의해 반응성과 효능이 결정된다. 즉, 황계열(-SR), 아민(-NH2) 등과 같은 작용기를 가진 물질의 경우 계란과 생선 썩는 것과 같은 부패성 냄새, 암모니아성 냄새, 땀 냄새 등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냄새를 유발물질 및 그 원인물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파, 양배추 썩는 냄새, 계란 썩는 냄새는 황화합물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그 원인물질은 메틸머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황화수소이다.
분뇨냄새, 생선 썩는 냄새는 질소화합물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그 원인물질은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노말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노말발레르알데히드이다.
자극적인 신나 냄새, 가솔린 냄새는 탄화수소류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그 원인물질은 아세트산 에틸, 메일이소부틸케톤, 톨루엔, 스티렌, 자일렌이다.
자극적인 냄새, 땀 냄새, 젖은 구두에서 나는 냄새는 지방산류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그 원인물질은 프로피온산, 노말부티르산, 노말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 이다. 자극적인 냄새는 할로겐 원소에서 유발되는 것으로서, 그 원인물질은 염소와 불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제를 사용하며, 상기 악취제거제는 구상나무 잎, 잣나무 잎, 전나무 잎, 가문비 나무 잎, 편백 나무 잎, 향나무 잎, 약쑥, 박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1~4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중량비율로 6~8배의 증류수와 함께 수증기 증류장치에서 80~100℃의 온도 조건에서 2~5시간 동안 추출한 식물정유와,
대나무를 숯가마에서 350℃~430℃로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 냉각한 죽초액과,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니트로박터 속(Nitrobacter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치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슈도모나스 스투체리(Pseudomonas stutzeri), 슈도모나스 데니프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바실러스 아미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sp.), 셀루로모나스 비아조티아(Cellulomonas biazotea)의 미생물 배양액을 0.5~1:0.5~1:0.5~1 중량비율로 혼합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상기 미생물의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미생물1 중량부에 대하여 포도당 1~100중량부, 일인산나트륨 1~100중량부, 글루코스 1~100중량부, 유당 1~100중량부, 염화암모늄 1~100중량부, 물 10,000중량부를 넣은 후 20~35℃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20~30시간 동안 교반하여 얻은 배양액이다.
상기 식물정유는 단일 화학성분이 아닌 휘발성이 강한 terpene 계 화합물로 그 작용기에 따라 알콜, 알데히드,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 유기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기들은 악취 중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아민류 등과 반응하여 무취의 염기성 물질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식물 정유의 황화수소 탈취 반응메커니즘은 H2S + (-CH=CHCHO) → -CH=CHCOSH3 이다.
상기 식물정유의 추출에 있어서 초본과 수목을 그늘에서 건조하는 이유는 정유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수득율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80℃ 미만, 2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득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100℃ 초과, 5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득률에 변화가 없어 무의미하므로,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은 80~100℃의 온도 조건에서 2~5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죽초액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악취와 반응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악취 제거반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암모니아의 제거과정은 NH3를 수(水) 중에서 가수분해하여 NH4 +로 해리시킨 후 죽초액의 CH3COO-와 접촉시키게 되면 CH3COONH4로 전환되면서 제거된다.
CH3COOH -> CH3COO- + H+NH3 + H2O -> NH4 + + OH-
CH3COO- + NH4 + -> CH3COONH4
상기 황화수소의 제거과정은 H2S를 죽초액 중의 CH3COO-와 접촉시키게 되면 CH3COOH와 HS-의 고착된 비휘발성 염이 생성되면서 제거된다.
H2S + CH3COO- -> CH3COOH + HS-
상기 메틸메르캅탄 가스의 제거과정은 CH3SH를 죽초액 중의 CH3COO-와 접촉시키게 되면 CH3COOH와 CH3S-의 고착된 비휘발성 염이 생성되면서 제거된다.
CH3SH + CH3COO- -> CH3COOH + CH3S-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니트로박터 속(Nitrobacter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치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슈도모나스 스투체리(Pseudomonas stutzeri), 슈도모나스 데니프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바실러스 아미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sp.), 셀루로모나스 비아조티아(Cellulomonas biazote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사용하며, 상기 미생물에 따른 악취발생물질 제거 기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미생물 중 Nitrosomonas, Nitrobacter, Pseudomonas stutzeri, Pseudomonas denitrificans, Rhodopseudomonas palustris은 암모니아(NH3)를 제거하게 되며 하며 그 반응기작은 다음과 같다.
NH4 + + 2O2 → NO3 - + H2O + 2H+
5CH3COOH + 8NO3 - →4N2 + 10CO2 + 6H2O + 8OH-
그리고, 상기 Bacillus Sp., Thiobacillus Sp.은 황화수소(H2S)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 기작은 다음과 같다.
H2S + 2O2 → H2SO4
그리고, 상기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 Thiobacillus Sp.은 황화메틸((CH3)2S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 기작은 다음과 같다.
(CH3)2S + 5O2 → H2SO4 + 2CO2 + 2H2O
그리고,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 Thiobacillus Sp.은 메틸메르캅탄(CH3SH)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 기작은 다음과 같다.
2CH3SH + 7O2 → 2H2SO4 + 2CO2 + 2H2O
그리고,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 Nitrosomonas, Nitrobacter, Pseudomonas stutzeri, Pseudomonas denitrificans은 트리메틸아민(CH3)3N)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 기작은 다음과 같다.
4(CH3)3N + 27O2 → 4NO3 - + 12CO2 + 18H2O
그리고,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 Thiobacillus Sp.은 2황화메틸(CH3SSCH3)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기작은 다음과 같다.
2CH3SSCH3 + 13O2 → 4H2SO4 + 4CO2 +2H2O
그리고,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은 아세트알데히드(CH3CHO)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기작은 다음과 같다.
2CH3CHO +5O2 → 4CO2 + 4H2O
또한, Bacillus Sp.,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omonas sp., Cellulomonas biazotea은 스틸렌(C6H5CH=CH2)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반응기작은 다음과 같다.
2(C6H5CH=CH2) + 20O2 →16CO2 + 8H2O
상기 악취제거제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정유;죽초액;미생물배양액의 혼합비율이 각각 0.5 미만이거나 1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 간의 배합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악취제거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악취제거제는 식물정유;죽초액;미생물배양액을 중량비율로 0.5~1:0.5~1:0.5~1의 비율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전배터리모듈(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충전배터리모듈(90)은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변환부(Power Control)(91), 충전배터리제어부(92), 충전배터리부(93)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변환부(Power Control)는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부의 용량에 따라 다운시켜 공급되도록 전력을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배터리제어부는 전력변환부(Power Control)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공급받아, 마이컴부에 전송된 설정타이밍에 따른 기준설정치로 샘플링을 행하고, 충전배터리를 급속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배터리부는 리튬이온전지로 이루어져, 충전배터리부의 현재 충전전압을 레퍼런스 전압과 비교 연산하여, 레퍼런스 전압이하일 경우에만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컴부(100)는 충전배터리모듈, 감시카메라(CCTV)부, LED 형광등, 무악취음식물수거함, 악취제거제탱크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음식물수거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을 구동시켜 악취제거제를 음식물쓰레기에 직접분사시키도록 제어시키고,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중앙통제서버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16C711원칩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액량계가 연결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에 투입되는 음식쓰레기의 투입량이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수위계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공급된 악취제거제의 수위량이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충전배터리모듈이 연결되어, 충전배터리모듈로 설정타이밍에 따른 기준설정치신호를 보내, 충전배터리를 급속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무선통신모듈(100a)이 연결되어, 외부의 중앙통제서버로 감시카메라(CCTV)부로부터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전송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LED 형광등이 연결되어, 어두워졌을 때 LED 형광등의 불빛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가 연결되어, 액량계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투입되면,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를 구동시켜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태양광발전기(10)에서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發電)을 하여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킨다.
이어서, 소형풍력발전기(20)에서 풍력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킨다.
이어서, 충전배터리모듈(90)에서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킨다.
이어서, 감시카메라(CCTV)부(40)를 통해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음식물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촬영하고 감시한다.
이어서, LED 형광등(50)이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LED 불빛을 발광시킨다.
이어서, 악취제거제탱크부(80)에서 악취제거제를 저장시키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킨다.
끝으로,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에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악취제거제를 직접분사시켜 악취를 제거시킨다.
10 : 태양광발전기 20 : 소형풍력발전기
30 : 클린하우스 본체 40 : 감시카메라(CCTV)부
50 : LED 형광등 60 : 쓰레기통
70 : 무악취음식물수거함 80 : 악취제거제탱크부
90 : 충전배터리모듈 100 : 마이컴부

Claims (5)

  1. 클린하우스 본체 일측에 위치된 지지폴대 중단에 위치되어, 태양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모으고 발전(發電)을 하여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태양광발전기(10)와,
    지지폴대 상단에 위치되어, 풍력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모듈에 충전시키는 소형풍력발전기(20)와,
    일측이 개통된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시키고,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는 클린하우스 본체(30)와,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음식물 및 일반쓰레기, 재활용쓰레기를 촬영하고 감시하는 감시카메라(CCTV)부(40)와,
    무악취음식물수거함 및 쓰레기통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클린하우스 본체의 상단 중앙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충전배터리모듈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LED 불빛을 발광시키는 LED 형광등(50)과,
    클린하우스 본체의 설치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일반쓰레기 및 재활용쓰레기를 수납하여 보관시키는 쓰레기통(60)과,
    쓰레기통 일측에 위치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악취제거제를 직접분사시켜 악취를 제거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보관시키는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과,
    클린하우스 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악취제거제를 저장시키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는 악취제거제탱크부(80)와,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는 충전배터리모듈(90)과,
    충전배터리모듈, 감시카메라(CCTV)부, LED 형광등, 무악취음식물수거함, 악취제거제탱크부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태양광발전기 및 소형풍력발전기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충전배터리의 정격 충전 전압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급속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음식물수거함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을 구동시켜 악취제거제를 음식물쓰레기에 직접분사시키도록 제어시키고, 감시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외부의 중앙통제서버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100)가 구성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무악취음식물수거함(70)은
    사각박스의 직립구조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납하면서,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는 수거함몸체(71)와,
    수거함 몸체의 하단 바닥 일측에 1:1로 설치되어, 바닥에 있는 악취제거제를 수거함몸체 내부의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이송시키는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와,
    악취제거제공급펌프의 힘으로 이송된 악취제거제를 상하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수평분사시키는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과,
    수거함몸체의 정면 일측에 위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투입량을 눈금으로 표시하는 액량계(74)와,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공급된 악취제거제의 수위를 측량하는 수위계(75)와,
    수거함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꽉 찬 상태에 있을 때,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76)와,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배출구에서 수거함몸체의 하단 바닥까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악취제거제공급펌프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는 악취제거제공급파이프(77)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제는 구상나무 잎, 잣나무 잎, 전나무 잎, 가문비 나무 잎, 편백 나무 잎, 향나무 잎, 약쑥, 박하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1~4cm의 길이로 분쇄한 후 중량비율로 6~8배의 증류수와 함께 수증기 증류장치에서 80~100℃의 온도 조건에서 2~5시간 동안 추출한 식물정유;와,
    대나무를 숯가마에서 350℃~430℃로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 냉각한 죽초액;과,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니트로박터 속(Nitrobacter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치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슈도모나스 스투체리(Pseudomonas stutzeri), 슈도모나스 데니프리피칸스(Pseudomonas denitrificans),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바실러스 아미로리퀴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라이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sp.) 또는 셀루로모나스 비아조티아(Cellulomonas biazote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 배양액;을 0.5~1:0.5~1:0.5~1 중량비율로 혼합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부(100)는
    입력단자 일측에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액량계가 연결되어, 무악취음식물수거함에 투입되는 음식쓰레기의 투입량이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수위계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로 공급된 악취제거제의 수위량이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충전배터리모듈이 연결되어, 충전배터리모듈로 설정타이밍에 따른 기준설정치신호를 보내, 충전배터리를 급속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무선통신모듈(100a)이 연결되어, 외부의 중앙통제서버로 감시카메라(CCTV)부로부터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전송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LED 형광등이 연결되어, 어두워졌을 때 LED 형광등의 불빛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무악취음식물수거함의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가 연결되어, 액량계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무악취음식물수거함으로 투입되면, 악취제거제공급펌프(72)를 구동시켜 유압실린더형분사노즐(73)로 악취제거제를 공급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5. 삭제
KR20120045892A 2012-05-01 2012-05-01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KR10126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5892A KR101263366B1 (ko) 2012-05-01 2012-05-01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5892A KR101263366B1 (ko) 2012-05-01 2012-05-01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366B1 true KR101263366B1 (ko) 2013-05-21

Family

ID=4866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5892A KR101263366B1 (ko) 2012-05-01 2012-05-01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36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962B1 (ko)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468619A (zh) * 2013-09-26 2013-12-25 青岛蔚蓝生物集团有限公司 一种净化空气的微生物制剂
KR101759866B1 (ko) * 2017-01-17 2017-07-20 바다정수산업(주) 쓰레기통의 탈취구조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통 집하시설물
KR101864696B1 (ko) * 2018-01-15 2018-06-05 바다정수산업(주) 클린하우스용 탈취장치
CN108355672A (zh) * 2018-02-08 2018-08-03 北京科技大学 一种废旧稀土荧光粉制备脱硝催化剂的方法
CN108861230A (zh) * 2018-07-20 2018-11-23 浙江精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垃圾箱
CN111217047A (zh) * 2020-02-25 2020-06-02 陕西科技大学 基于ic卡管理的人工智能垃圾分类装置及方法
CN113353496A (zh) * 2021-05-11 2021-09-07 福建辉龙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用环保型垃圾分类回收装置
KR102360305B1 (ko) 2021-06-15 2022-02-08 이기복 태양광을 이용하는 다기능 탈취장치
KR20220081039A (ko)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783A (ja) * 2001-02-06 2002-08-23 Matsushita Seiko Co Ltd 堆肥化システム
KR200439064Y1 (ko) 2008-01-03 2008-03-18 고봉찬 악취제거 쓰레기 수집장
KR200451944Y1 (ko) 2008-10-17 2011-01-20 안기풍 옥외용 차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783A (ja) * 2001-02-06 2002-08-23 Matsushita Seiko Co Ltd 堆肥化システム
KR200439064Y1 (ko) 2008-01-03 2008-03-18 고봉찬 악취제거 쓰레기 수집장
KR200451944Y1 (ko) 2008-10-17 2011-01-20 안기풍 옥외용 차양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962B1 (ko)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468619A (zh) * 2013-09-26 2013-12-25 青岛蔚蓝生物集团有限公司 一种净化空气的微生物制剂
KR101759866B1 (ko) * 2017-01-17 2017-07-20 바다정수산업(주) 쓰레기통의 탈취구조 및 이를 구비한 쓰레기통 집하시설물
KR101864696B1 (ko) * 2018-01-15 2018-06-05 바다정수산업(주) 클린하우스용 탈취장치
CN108355672A (zh) * 2018-02-08 2018-08-03 北京科技大学 一种废旧稀土荧光粉制备脱硝催化剂的方法
CN108861230A (zh) * 2018-07-20 2018-11-23 浙江精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垃圾箱
CN108861230B (zh) * 2018-07-20 2024-02-20 奕智星(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垃圾箱
CN111217047A (zh) * 2020-02-25 2020-06-02 陕西科技大学 基于ic卡管理的人工智能垃圾分类装置及方法
KR20220081039A (ko)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CN113353496A (zh) * 2021-05-11 2021-09-07 福建辉龙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用环保型垃圾分类回收装置
KR102360305B1 (ko) 2021-06-15 2022-02-08 이기복 태양광을 이용하는 다기능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366B1 (ko) 신재생에너지 전원공급·음식물쓰레기 악취제거형 클린하우스
CN105173477B (zh) 一种垃圾箱和基于网络平台的垃圾分类收集系统及方法
CN204399867U (zh) 一种太阳能消毒灭蚊垃圾箱
CN107098459B (zh) 一种处理高浓度氨氮有机废水的电化学装置及处理方法
CN205180003U (zh) 一种自动集粪养殖猪舍
CN203975666U (zh) 可自动换桶的垃圾处理机
CN109024976A (zh) 一种绿色环保建筑外墙系统控制方法
CN108623011A (zh) 一种生态浮岛与微生物燃料电池的耦合装置
CN109052668A (zh) 一种太阳能光电场协同藻菌代谢的养殖沼液处理装置和沼液处理方法
CN109113208A (zh) 一种绿色环保建筑墙体系统
CN105233665A (zh) 一种污水处理厂生物除臭用填料组合
CN205010841U (zh) 太阳能照明除臭、除虫环保垃圾箱
CN205150806U (zh) 一种新型垃圾桶
CN107878967A (zh) 一种市政道路垃圾箱
CN205052583U (zh) 一种太阳能灭蚊灯
CN206547691U (zh) 一种新型智能灭蚊灯
CN208545192U (zh) 一种生态浮岛与微生物燃料电池的耦合装置
Davies et al.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fate of pedal mucus produced by the common limpet Patella vulgata
CN203714521U (zh) 可自动换桶的垃圾处理设备
CN205312337U (zh) 一种带灭虫装置的垃圾桶
CN1724183A (zh) 环保生态节能循环系统
CN204151116U (zh) 太阳能光电催化协同消减重金属离子与有机污染物的污水处理装置
CN203884504U (zh) 趋光昆虫采集器
CN202722315U (zh) 一种太阳能灭蚊灯
TWI434449B (zh) 結合微生物燃料電池及照明裝置之生物輔生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