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069B1 -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069B1
KR101263069B1 KR1020100048363A KR20100048363A KR101263069B1 KR 101263069 B1 KR101263069 B1 KR 101263069B1 KR 1020100048363 A KR1020100048363 A KR 1020100048363A KR 20100048363 A KR20100048363 A KR 20100048363A KR 101263069 B1 KR101263069 B1 KR 10126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gelatin
fibers
fib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990A (ko
Inventor
이병택
김양희
구엔두바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06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2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5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lcohols, polyacetals or polyke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가 개시된다. 해당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해당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는 약물 전달, 조직공학, 뼈이식재 등과 같은 정형외과와 같은 의료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Support for osseous tissue comprising polyvinyl alcohol and gelat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세하게는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는 약물 전달, 조직공학, 뼈이식재 등과 같은 정형외과와 같은 의료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기 방사법이란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전기 장을 이용하여 섬유를 방사하는 방법이다. 즉, 전기 방사법에서는 외부 정전기장에 의해 원뿔 모양의 작은 방울이 형성되는데 이 방울의 표면장력이 전기장에 의해 평형이 생기게 되며, 정전기장이 용액의 표면장력 이상의 값일 때 섬유가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정전기장이 표면장력 이상의 값일 때 불안정해진 용액방울이 방출되어 컬렉터에 마이크로 또는 나노미터 단위의 섬유가 연속적으로 집전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 방사법에 의하면 다양하고 간단하게 기공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전기 방사법은 천연고분자, 합성고분자 및 금속이나 세라믹과 같은 나노 분말을 함유하는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적용되고 있다.
미세 조직을 가지면서, 결정성, 기계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에서 모두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 및 전기 방사법을 이용한 해당 섬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전기 방사법으로 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는 메탄올로 가교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미세 조직을 가지면서, 결정성, 기계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에서 모두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 이 비율은 폴리비닐알코올 용액[폴리비닐알코올 1.2g/10ml 용매(탈이온수)] 및 젤라틴 용액[1.2g 젤라틴/10ml 용매(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중량비이다. 즉,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중량/해당 젤라틴 용액 중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 비율(중량비)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방사노즐-컬렉터 거리 10cm에서 전압을 변경하여 가하였을 때[(a) 18 kV, (b) 20 kV, (c) 22 kV 및 (d) 24 kV]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 비율(중량비)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22kV 전압에서 방사노즐-컬렉터 거리를 변경하였을 때[(a) 7cm, (b) 10cm, (c) 15cm 및 (d) 20 cm]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시차주사열량계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X선 회절 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의 인장 강도 측정 후 파단 표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 그래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MG-63 조골세포 독성평가를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광학밀도를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도 13a의 각 섬유에 대하여 면역화학염색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대조군 (a, b,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에 MG-63 조골세포를 1, 3 및 5일 동안 배양 후(각각 d, e, f)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위 대조군 a, b, c는 세포 배양시 사용하는 플레이트(멸균된 well)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를 제공한다.
폴리비닐알코올(PVA)은 반결정 및 친수성 고분자로 우수한 화학적 및 열 안정성을 보여주며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진다.
또한, 젤라틴은 많은 기능성 그룹(glycine, proline,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arginine, alanine, aspartic acid and other amino acids)을 포함하고 있는 콜라겐으로부터 유래된 천연고분자로 우수한 생체친화력 및 생분해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는 한편, 이를 특히 섬유 상으로 제조하도록 한다. 해당 섬유 복합체는 마이크로 내지 나노(100nm 이하) 사이즈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서 미세 조직을 가지면서, 결정성, 기계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에서 모두 우수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전기 방사법(micro electrospinning)으로 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한다(S1). 이 용액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우선, 폴리비닐알코올 분말을 탈이온수에서 교반하여(예컨대, 3 시간동안 80℃에 교반)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제조한다.
또한, 젤라틴은 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혼합 용매(예컨대, 탈이온수:아세트산의 비율을 1:9로 한 용매)에서 교반(예컨대,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다. 참고로, 아세트산은 전기전도도가 높은 용매이기 때문에 전기방사시에 적합한 용매이며, 탈이온수만을 가지고 방사하였을 때 보다 양호한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젤라틴 용액을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에 서서히 넣어 원하는 특정 비율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혼합 용액을 제조하도록 한다. 이 혼합액을 예컨대 15분 동안 교반한다. 기포가 관찰되면, 기포를 없애기 위해 교반을 멈추도록 한다.
이상의 각 용액을 혼합하여 후술하는 전기 방사를 수행하는 경우 용매는 증발하고 고분자 자체만 섬유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를 수행한다(S2).
전기 방사 장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공지의 전기 방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용액을 전기 방사 장치의 주사기에 넣고 전기 방사 조건을 다르게 하여 방사를 수행하여 전기 방사 조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전기 방사 조건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용액[폴리비닐알코올 1.2g/10ml 용매(탈이온수)] 및 젤라틴 용액[1.2g 젤라틴/10ml 용매(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중량비를 각각 달리하거나, 전기 방사 장치의 전압을 달리하거나, 방사 노즐 및 컬렉터 사이의 거리(TCD- tip-to-collector distance)를 달리하도록 한다. 위 전기 방사 조건 중 특히 방사 노즐 및 컬렉터 사이의 거리가 섬유 직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해당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섬유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및 젤라틴의 용액의 혼합 용액으로 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 용액[폴리비닐알코올 1.2g/10ml 용매(탈이온수)] 및 젤라틴 용액[1.2g 젤라틴/10ml 용매(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중량비는 2:8인 것이 골조직을 위한 지지체에 적합한 인장강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전기 방사 시, 방사 노즐 및 컬렉터의 거리는 7~10c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전기 방사 시, 방사 전압은 방사노즐 및 컬렉터 사이의 거리가 10cm인 경우 24kV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는 메탄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는 친수성 고분자이므로 상온 또는 체온에서의 물이나 세포 배양 배지에 쉽게 용해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섬유 복합체에 메탄올 처리하여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교한 경우에는 특히 섬유 구조가 치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강도도 증가할 수 있다.
이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에 대한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 중 하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생체 적합성 섬유 복합체 제조]
폴리비닐알코올 분말을 탈이온수에서 80℃에 용해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용액(12 wt%)을 제조하였다.
젤라틴을 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혼합 용매[탈이온수: 아세트산=1:9 (부피 비)]에 상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여 젤라틴 용액(12 w/v%)을 제조하였다.
위 젤라틴 용액을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에 각각 다른 비율[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 10/0(비교예 1), 8/2(실시예 1), 6/4(실시예 2), 2/8(실시예 3), 0/10(비교예 2), 중량비]로 넣어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혼합용액을 15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해당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를 수행하였다. 전기 방사 장치는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였다(eS-robot, Electro-spinning/Spray system, NanoNC, Korea).
10ml 주사기에 직경이 25게이지(내부직경 0.25mm)인 방사 노즐을 끼워놓고 주사기펌프(lure-lock type, Nano NC, Korea)의 방사 속도를 조절하여 전기 방사하였다. 참고로, 위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혼합용액을 교반 시 기포를 관찰한 경우 기포를 없애기 위해 교반을 멈추고 30분 후에 전기 방사를 위해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혼합용액을 주사기에 넣었다.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통형을 섬유 컬렉터로 사용하였으며 전기 방사 전압은 고전압공급기(NNC30 kilovolts 2mA portable type, Korea)로 전압 인가하였다.
후술하듯이, 전압 인가 시 인가 전압을 달리하였다. 또한, 전기 방사 시의 방사 노즐과 컬렉터 사이의 거리를 달리하였다.
또한, 후술하듯이, 가교 처리를 한 것과의 대비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얻어진 섬유 복합체를 24 시간 동안 메탄올에 넣어 가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상온의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섬유 복합체 특성 평가]
조골세포(MG-63)를 10% 송아지우태혈청(FBS, fetal bovine serum, Sigma), 5% 항생제 (penicillinstreptomycin, Sigma)를 넣은 DMEM(HyClone, Logan, UT, USA)배지에 습도 5%, 온도 37℃의 CO2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평가를 ISO 10993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복합 섬유 지지체에 대한 조골세포(MG-63)의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용출액은 DMEM 배지에 지지체를 담근 후에 72시간 동안 37℃의 진탕 인큐베이터에서 용출시켰다. 용출액과 배지를 각각 다른 비율(25%, 50%, 75%, 100%)로 하여 세포를 1, 3 및 5일로 배양하였으며 각각 다른 용출비율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EL, 312, Biokinetics reader, Bio-Tek instruments).
세포를 lysis buffer(Tris 50 mM, pH 7.4, NaCl 40 mM, EDTA 1 mM, Triton X-100 0.5%, Na3VO4 1.5mM, NaF 50mM, sodiumpyrophosphate 10mM, glycerol -phosphate 10mM, PMSF 1mM, Proteaseinhibitorcocktail 10mM)로 수세 및 수확하여 4℃에서 1300rpm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30㎍의 단백질로 1:1000 희석된 (anti-PCNA)을 사용하여 면역화학염색법을 수행하였다. anti-β actin 항체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면역복합체는 화학발광 용액 (ECL, Amersham)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 섬유 지지체를 UV로 6 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70% 에탄올에 30분 동안 두어서 멸균하였다.
수세는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한 후 조골세포(MG-63)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 섬유 지지체 및 대조군[세포 배양시 사용하는 플레이트(멸균된 well)]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JSM-5410LV, JEOL, Japan) 관찰을 위해 세포를 2 v/v% 글루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키고 에탄올 (50%, 70%, 90%, 및 100%)로 탈수시킨 후 hexamethyldisilazane (HMDS, Sigma)로 건조하였다.
[특성 평가 결과]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 이 비율은 폴리비닐알코올 용액[폴리비닐알코올 1.2g/10ml 용매(탈이온수)] 및 젤라틴 용액[1.2g 젤라틴/10ml 용매(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중량비이다. 즉,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중량/해당 젤라틴 용액 중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 방사시 전압은 22kV로 하였고, 방사노즐 및 컬렉터 간 거리는 10cm로 하였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얻어진 섬유 직경은 대략 50nm 내지 150nm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 비율(중량비)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방사노즐-컬렉터 거리 10cm에서 전압을 변경하여 가하였을 때[(a) 18 kV, (b) 20 kV, (c) 22 kV 및 (d) 24 kV]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의 섬유 형태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가장 바람직한 전압은 22kV(방사노즐과 컬렉터 사이의 거리가 10cm인 경우)임을 알 수 있었다.
도 2a 및 b의 경우, 즉 18kV 및 20kV에서 덩어리 진 부분들이 있었고, d이 경우인 24kV에서는 섬유가 끊어진 부분들이 있었지만, c의 경우인 22kV에서는 그러한 덩어리 진 부분이나 끊어진 부분 없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각각 다른 전압 인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섬유 직경이 90±20 nm으로 섬유 복합체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 비율(중량비)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22kV 전압에서 방사노즐과 컬렉터 거리를 변경하였을 때[(a) 7cm, (b) 10cm, (c) 15cm 및 (d) 20 cm]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방사노즐과 컬렉터 거리가 7cm 에서 20cm로 증가함에 따라 나노 섬유 직경이 대략 80nm에서 350nm로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방사노즐과 컬렉터 거리에 따라 제조된 섬유 복합체의 섬유 직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7cm, 10cm 인 경우에는 섬유직경이 100nm 이하로 제조되고, 15cm, 20cm인 경우에는 섬유 직경이 100nm 이상의 마이크로미터로 제조되었다. 또한 7cm와 10cm를 비교하였을 때 10cm인 경우가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보았을 때, 섬유가 덩어리 지어지지 않고 실가락처럼 되어있어서 양호하였다. 반면, 7cm인 경우에는 실가락처럼 된 부분도 있지만 덩어리 지어있는 부분도 발견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시차주사열량계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서 대략 228에서의 피크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이며, 이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녹는점을 나타낸다. 젤라틴 섬유의 흡열 피크는 95.8이다. 시차주사열량계 곡선에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 지지체의 피크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피크, 젤라틴 섬유 피크와 거의 일치하였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의 Tg (유리전이온도) 및 Tm (녹는점)은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및 젤라틴 섬유의 값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X선 회절 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XRD 패턴에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및 젤라틴 섬유의 피크는 대략 19°2 및 22°2이며 강도는 각각 ~15000 및 5000이다. 이는 고분자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섬유가 뛰어난 결정체 특성을 지니는 것을 보여준다.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의 비율을 2/8, 6/4 및 8/2로 한 경우의 복합 섬유에서는 대략 22°2에서 두드러진 피크값을 가지며 7000~ 7500 및 ~10000의 강도값을 나타냈다. 젤라틴 섬유는 전형적인 젤라틴 결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의 결정성은 젤라틴보다는 오히려 폴리비닐알코올 때문으로 생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복합체에 있어서 그 중량 비율[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량 비율]을 달리한 경우[(a) 0/10, (b) 2/8, (c) 6/4, (d) 8/2 및 (e) 10/0]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젤라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의 응력 값은 증가하고 변형률은 감소함을 보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의 인장 강도 측정 후 파단 표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에서 특히 횡단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는 탄성으로 인해 섬유가 서서히 끊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젤라틴 섬유는 취성으로 인해 갑자기 끊어짐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복합 섬유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섬유는 대략 50nm 에서 250nm의 직경으로 제조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메탄올로 가교 처리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는 치밀한 섬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 그래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는 각각 221 및 88의 녹는점을 가지며, 이는 (d) 가교한 복합체 섬유 및 (c) 가교되지 않은 복합체 섬유의 녹는점인 227 및 95와 거의 비슷한 수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가교된 후에 녹는점이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교는 고분자 간의 체인을 더 단단하기 때문에 녹는점을 상승하고 기계적 강도도 향상시킨다. 이 결과를 통하여 가교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2/8(중량비)], (d) (c) 섬유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가교 전(c) 및 가교 후(d)의 복합체 섬유의 응력값은 각각 3.6 및 4.2 MPa 보였으며 변형률은 각각 19 및 31%를 나타냈다. 따라서 메탄올의 의한 물리적 가교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MG-63 조골세포 독성평가를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독성평가 결과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생체적합성은 매우 낮으나 젤라틴 섬유나 가교 후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지지체는 80%로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섬유 지지체는 조골세포(MG-63)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MG-63 조골세포 독성평가를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b) 젤라틴 섬유,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의 광학밀도를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도 13a의 각 섬유에 대하여 면역화학염색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a에서는 1, 3 및 5일 동안 용출액을 포함한 배지에 조골세포(MG-63)를 배양시킨 후의 세포 증식률을 나타낸다. 1일 후에 모든 지지체의 초기 세포 분주양보다 증가하였으며 3일 및 5일 후에도 점차 증가함을 보였다.
세포의 증식능을 평가하기 위해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s (PCNA) 면역화학염색법으로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도 12b). 참고로, 도 12b에서 control은 세포배양시 쓰는 plate(멸균된 well)을 나타낸다.
젤라틴 지지체에서 5일 동안 배양한 조골세포(MG-63)의 경우 PCNA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도 12b, 왼쪽), 이와 반대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지지체 표면에서 증식한 조골세포에서는 PCNA 단백질 발현량이 배양 3일 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12b, 오른쪽).
이것으로 보아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지지체에서 세포증식의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 지지체에서는 배양 5일 후부터 PCNA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b, 가운데). 이로써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 섬유 지지체는 조골세포의 증식에 있어서 적합한 지지체임을 알 수 있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대조군 (a, b, c),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섬유[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율 중 2/8(중량비)]를 메탄올로 처리하여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젤라틴 복합체 섬유에 MG-63 조골세포를 1, 3 및 5일 동안 배양 후(각각 d, e, f)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위 대조군 a, b, c는 세포 배양시 사용하는 플레이트(멸균된 well)에 대한 것이다.
1, 3 및 5일 동안 배양 후 대조군 및 가교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 복합제 섬유 지지체에서 조골세포(MG-63)의 부착능 및 퍼짐을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1일 후에 조골세포는 섬유 지지체에 잘 부착됨을 보였으며 3일 후의 세포는 섬유 지지체에서 서서히 퍼지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일 동안 배양 후에는 세포의 양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는 지지체의 공간을 이미 세포가 차지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골조직용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골조직용 지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섬유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섬유 복합체는 전기 방사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의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용액의 제조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 분말을 탈이온수에 혼합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제조하고, 젤라틴을 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혼합 용매에 혼합하여 젤라틴 용액을 제조한 후, 각각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및 젤라틴 용액을 혼합하는 것이며,
    상기 전기 방사 시, 폴리비닐알코올 용액과 젤라틴 용액의 중량비는 2:8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은 탈이온수 10㎖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 1.2g을 포함하고, 상기 젤라틴 용액은 탈이온수 및 아세트산의 혼합 용매 10㎖에 대하여 젤라틴을 1.2g 포함하되,
    상기 전기 방사 시, 방사 노즐 및 컬렉터의 거리는 10㎝이고, 방사 전압은 22kV이며,
    상기 제조되는 섬유 복합체는 메탄올로 가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용 지지체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00048363A 2010-05-25 2010-05-25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63A KR10126306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63A KR10126306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90A KR20110128990A (ko) 2011-12-01
KR101263069B1 true KR101263069B1 (ko) 2013-05-09

Family

ID=4549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363A KR10126306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28B1 (ko) * 2012-02-09 2013-10-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재생을 위한 가교결합 폴리비닐알콜-젤라틴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304949B1 (ko) * 2012-04-19 2013-09-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젤라틴 용액이 로딩된 이상인산칼슘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1429857B1 (ko) * 2013-06-19 2014-08-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지혈작용을 위한 복합이중층 섬유매트의 제조방법
KR101723193B1 (ko) * 2015-08-24 2017-04-04 광주과학기술원 전기방사를 이용한 수화젤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화젤 스캐폴드
KR101991893B1 (ko) * 2017-05-26 2019-06-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크 섬유와 폴리비닐알콜의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hydrate Polymers, vol 69, 2007, pages 538-543.*
Nanotechnolgy, vol 19, 2008, pages 1-10.*
Polymer Advanced Technology, vol 21, 2010 pages 77-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90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ng et al. Electrospun fine-textured scaffolds for heart tissue constructs
Ni et al. Electrospun prepar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vitro of polyvinyl alcohol/sodium alginate/nano-hydroxyapatite composite fiber membrane
Chen et al. A novel polyurethane/cellulose fibrous scaffold for cardiac tissue engineering
Singh et al. Development of novel silk fibroin/polyvinyl alcohol/sol–gel bioactive glass composite matrix by modified layer by layer electrospinning method for bone tissue construct generation
Tong et al. Electrospinning of fibrous polymer scaffolds using positive voltage or negative voltage: a comparative study
US11696974B2 (en) 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 for guided periodontal hard and soft tissue regeneration
Torres‐Giner et al. Optimization of electrospun polylactide‐based ultrathin fibers for osteoconductive bone scaffolds
Kasuga et al. Siloxane-poly (lactic acid)-vaterite composites with 3D cotton-like structure
KR101263069B1 (ko) 폴리비닐알코올 및 젤라틴을 함유하는 골조직용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Bhattacharjee et al. Nanofibrous nonmulberry silk/PVA scaffold for osteoinduction and osseointegration
Yang et al. Membrane-reinforced three-dimensional electrospun silk fibroin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Lin et al.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nanofiber matrices made of collagen blends as potential skin substitutes
Lee et al. Electrospun nanofibrils embedded hydrogel composites for cell cultivation in a biomimetic environment
Uma Maheshwari et al. Preliminary studies of PVA/PVP blends incorporated with HAp and β-TCP bone ceramic as template for hard tissue engineering
Cheon et al. Enhanced chondrogenic responses of human articular chondrocytes onto silk fibroin/wool keratose scaffolds treated with microwave‐induced argon plasma
Liao et al. Electrospun poly (L‐lactide)/poly (ε‐caprolactone) blend fibers and their cellular response to adipose‐derived stem cells
Goyal et al. Development of hybrid scaffolds with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deposited within synthetic polymeric fibers
Sah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tudy of biocompatible fibroin hydrogel
Lee et al. Hydrophobization of silk fibroin nanofibrous membranes by fluorocarbon plasma treatment to modulate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behavior
Li et al. Bladder acellular matrix graft reinforced silk fibroin composite scaffolds loaded VEGF with aligned electrospun fibers in multiple layers
KR20160142613A (ko) 탄성 및 신축성이 강화된 관형 지지체
CN105944134A (zh) 一种静电纺高壳聚糖含量的抗菌伤口敷料的制备方法
KR101346094B1 (ko) 3차원 하이브리드 세포담체 및 그 제조방법
Zh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generated bombyx mori silk fibroin fiber containing recombinant cell‐adhesive proteins; nonwoven fiber and monofilament
Lee et al. Biocomposites electrospun with poly (ε-caprolactone) and silk fibroin powder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