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55B1 -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55B1
KR101262055B1 KR1020070060498A KR20070060498A KR101262055B1 KR 101262055 B1 KR101262055 B1 KR 101262055B1 KR 1020070060498 A KR1020070060498 A KR 1020070060498A KR 20070060498 A KR20070060498 A KR 20070060498A KR 101262055 B1 KR101262055 B1 KR 10126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cm
lock button
input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931A (ko
Inventor
곽승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55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운전자가 차량 전방에 있는지 후방에 있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헤드램프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은, 운전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록 버튼과 언록 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컨과, 차량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되는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1:1로 연결되는 2개의 리시버와, 상기 두 개의 리시버에서 출력되는 록 버튼 신호의 입력 시간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지 후방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전후방 위치에 따라 록 버튼 신호의 1회 입력시 헤드램프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B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스코트, 듀얼 리시버, 시간차, BCM.

Description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Escort System using Dual Reciv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에스코트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컨 12: 록 버튼
14: 언록 버튼 20a,20b: 리시버
22a,22b: 안테나 30: BCM
40a,40b: 헤드램프
본 발명은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운전자가 차량 전방에 있는지 후방에 있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헤드램프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각 부품 또는 장치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ECU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은 해당 부품의 제어시스템에 따라 상이하지만, 상기 ECU내부의 각 처리회로는 차량의 어느 시스템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유사한 구성이 있는바, 따라서, 상기 각 부품 또는 장치의 ECU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여 차량의 각 부분을 통합제어할 수 있는 차체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의 개발이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BCM 기능 중에서 차량의 헤드램프를 이용한 에스코트 기능은 야간 주차 후 운전자의 보행이 수월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즉, 헤드램프를 이용한 차량의 에스코트 기능은 어두운 곳에서 차량을 주차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헤드램프가 점등 상태에서 키를 뽑아 도어를 닫고 차량 밖으로 나갔을 경우 BCM의 제어에 의해 헤드램프를 소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점등시켜 주는 기능이다.
상기한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점등된 헤드램프는 도어를 닫은 후 소정시간(예를 들어 30초)이 경과한 후 BCM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소등되거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록(LOCK) 버튼을 2회 누르는 경우에 BCM 제어에 의해 소등된다.
그런데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무의미하므로 록 버튼을 2회 눌러 소등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또 운전자가 헤드램프가 점등된 상태인지 모르고 주차한 후 록 버튼을 1회만 누르고 차량에서 멀어지는 경우 헤드램프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운전자가 차량 전방에 있는지 후방에 있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헤드램프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거나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함으로써 록 버튼의 불필요한 2회 동작을 없앨 수 있고, 배터리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은, 운전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록 버튼과 언록 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컨과, 차량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컨에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록 버튼 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1:1로 연결되어 안테나의 아날로그 록 버튼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2개의 리시버와, 상기 두 개의 리시버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록 버튼 신호의 입력 시간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지 후방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차량 전방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록 버튼 신호의 1회 입력시 헤드램프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후방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록 버튼 신호의 1회 입 력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BCM 및 상기 BCM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소등되어 야간 주차시 하차한 운전자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에스코트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방법은, 차량의 BCM에서 에스코트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와, 운전자가 1회 누른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차량에 앞뒤에 설치된 두 개의 안테나와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BCM에 1회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BCM에서 1회 입력되는 록 버튼 신호의 상대적 입력 시간차를 이용해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컨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운전자가 1회 더 누른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차량에 두 개의 안테나와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BCM에 1회 더 입력되는지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BCM에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1회 더 입력되는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단계 및 상기 BCM에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1회 더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운전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헤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10), 두 개의 안테나(22a,22b), 두 개의 리시 버(20a,20b), BCM(30), 차량 전방 좌우의 헤드램프(40a,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모컨(10)은 운전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로, 록 버튼(12), 언록 버튼(14), 트렁크 언록 버튼(16) 등이 구비된다.
두 개의 안테나(22a,22b)는 차량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되어 리모컨(10)에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두 개의 리시버(20a,20b)에 각각 입력한다.
두 개의 리시버(20a,20b)는 상기 두 개의 안테나(22a,22b)와 각각 연결되어, 각 안테나(22a,22b)에서 보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BCM(30)에 입력한다.
상기 BCM(30)은 두 개의 리시버(20a,20b)를 통해 입력되는 두 안테나(22a,22b)의 입력 시간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먼저 입력된 신호의 안테나 쪽에 리모컨을 휴대한 운전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1안테나(22a)가 차량의 앞쪽에 설치되고, 제2안테나(22b)가 차량의 뒤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있는 경우에 제1안테나(22a)와 리모컨(10) 사이의 거리가 제2안테나(22b)와 리모컨(1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리모컨(10)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제1안테나(22a)에서 먼저 수신하여 제1안테나(22a)에 연결된 제1리시버(20a)를 통해 BCM(30)에 입력하게 되고, 제2안테나(22b)에서 나중에 수신하여 제2안테나(22b)에 연결된 제2리시버(20b)를 통해 BCM(30)에 입력하게 된다.
BCM(30)은 이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의 상대적인 시간차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있는지, 후방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BCM(30)에서 운전자의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 개의 리시버(20a,20b) 중 어느 하나의 리시버로부터 BCM(30)이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그 시점부터 BCM(30)의 내부 클록(clock)이 0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어 BCM(30)은 제1리시버(20a)를 기준으로 하여 제1리시버(20a) 입력이 제2리시버(20b)보다 빠르면 아래와 같은 연산을 통해 리모컨을 휴대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1리시버(20a)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내부 클록이 시작하여 0이 되고 제2리시버(20b)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내부 클록이 1이 되어, 제1리시버(20a)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제2리시버(20b)의 신호 입력 시점을 빼서 음의 값(0-1=-1)의 값이 되면 리모컨(10)을 휴대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서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2리시버(20b) 입력이 제1리시버(20a)보다 빠르면 아래와 같은 연산을 통해 리모컨을 휴대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2리시버(20b)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내부 클록이 시작하여 0이 되고 제1리시버(20a)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내부 클록이 1이 되어, 제1리시버(20a)의 신호 입력 시점에서 제2리시버(20b)의 신호 입력 시점을 빼서 양의 값(1-0=+1)의 값이 되면 리모컨(10)을 휴대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에서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술한 연산을 통해 BCM(30)은 운전자가 차량 전방에 있다고 판단하면 에스코트 작동 중에 리모컨(10)의 록 버튼 신호가 1회 입력되는 경우에 헤드램 프(40a,40b)를 즉시 소등하지 않고, 운전자가 차량 후방에 있다고 판단하면 록 버튼 신호가 1회 입력되는 경우에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에스코트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의 전방 좌우 헤드램프(40a,40b)를 점등한 상태에서 키를 탈거하고 난 후 운전석 도어를 열고 운전자가 하차하여 운전석 도어를 닫으면, BCM(30)은 에스코트 동작 조건으로 판단하여 에스코트 동작을 시작한다(S202).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리모컨(10)의 록 버튼(12)을 1회 눌러 무선통신을 통해 두 개의 안테나(22a,22b)로 송신하고 이 록 버튼 신호가 각각의 리시버(20a,20b)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BCM에 입력되면(S204), 상기 BCM은 이 디지털 록 버튼 신호의 상대적 입력 시간차를 이용해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206).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무의미하므로 BCM(30)은 헤드램프(40a,40b)를 즉시 소등한다(S208).
상기 S206단계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에스코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헤드램프(S212)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운전자가 헤드램프가 소등된 상태에서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리모컨(10)의 록 버튼(12)을 1회 더 눌러 무선통신을 통해 두 개의 안테나(22a,22b)로 송신하고 이 록 버튼 신호가 각각의 리시버(20a,20b)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BCM(30)에 1회 더 입력되면(S214), BCM(30)은 헤드램프(40a,40b)를 즉시 소등한다(S216).
그리고 운전자가 리모컨(10)의 록 버튼(12)을 더 이상 누르지 않아 BCM(30)에 디지털 록 버튼 신호가 1회 더 입력되지 않으면(S214), BCM(30)은 운전석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헤드램프(40a,40b)를 소등한다(S222).
이와 같이 BCM(30) 기능 중 하나인 에스코트 기능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헤드램프(40a,40b)가 점등된 상태인지 모르고 주차한 후, 리모컨(10)의 록 버튼(12)을 1회만 누르고 차량을 떠날 경우 헤드램프(40a,40b)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을 낭비하게 되나, 이때 운전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불필요한 2회 록 버튼(120) 동작을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운전자가 차량 전방에 있는지 후방에 있는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헤드램프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드램프를 즉시 소등함으로써 록 버튼의 불필요한 2회 동작을 없앨 수 있고, 배터리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운전자가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록 버튼과 언록 버튼이 구비되는 리모컨;
    차량의 앞쪽과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컨에서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록 버튼 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1:1로 연결되어 안테나의 아날로그 록 버튼 신호를 디지털 록 버튼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2개의 리시버;
    상기 두 개의 리시버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록 버튼 신호의 입력 시간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지 후방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며, 차량의 에스코트 동작 중에 차량 전방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록 버튼 신호의 1회 입력시 헤드램프의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차량 후방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록 버튼 신호의 1회 입력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BCM; 및
    상기 BCM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소등되어 야간 주차시 하차한 운전자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에스코트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램프를 포함하는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CM은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리시버를 통해 1회 더 입력되어 2회 입 력되는 경우에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1회만 입력되는 경우에 운전석 도어가 닫힌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헤드램프를 소등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3. 차량의 BCM에서 에스코트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
    운전자가 1회 누른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차량에 앞뒤에 설치된 두 개의 안테나와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BCM에 1회 입력되는 단계;
    상기 BCM에서 1회 입력되는 록 버튼 신호의 상대적 입력 시간차를 이용해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모컨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단계;
    상기 리모컨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운전자가 1회 더 누른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차량에 두 개의 안테나와 두 개의 리시버를 통해 BCM에 1회 더 입력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BCM에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1회 더 입력되는 경우에 BCM에서 헤드램프를 즉시 소등하는 단계; 및
    상기 BCM에 리모컨의 록 버튼 신호가 1회 더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운전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헤드램프를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CM은 헤드램프를 점등한 상태에서 키를 탈거하고 난 후 운전석 도어를 열고 운전자가 하차하여 운전석 도어를 닫은 경우에, 에스코트 동작 조건으로 판단하여 에스코트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방법.
KR1020070060498A 2007-06-20 2007-06-20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26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98A KR101262055B1 (ko) 2007-06-20 2007-06-20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98A KR101262055B1 (ko) 2007-06-20 2007-06-20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931A KR20080111931A (ko) 2008-12-24
KR101262055B1 true KR101262055B1 (ko) 2013-05-08

Family

ID=4036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98A KR101262055B1 (ko) 2007-06-20 2007-06-20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378A (ko) 2012-09-28 2014-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KR101438445B1 (ko) * 2012-12-20 2014-09-0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램프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296A (ja) 2004-08-31 2006-03-16 Denso Corp 自動車用ユーザもてなしシステム
JP2008015839A (ja)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296A (ja) 2004-08-31 2006-03-16 Denso Corp 自動車用ユーザもてなしシステム
JP2008015839A (ja) 2006-07-06 2008-01-24 Toyota Motor Corp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931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666B1 (ko) 측후방 주시 카메라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FR2859681A1 (fr) Procede et dispositif d&#39;activation d&#39;un systeme d&#39;acces par telecommande
KR20150042476A (ko)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CN102407803A (zh) 一种车辆智能大灯照明寻车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64294B1 (ko) 적응적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2055B1 (ko) 듀얼 리시버를 이용한 차량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JP2010064510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US20100102924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
US2011006309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portable device, portable device search system
US8212482B2 (en) Automotive illumination device with welcome illumination feature
US8368522B1 (en) Car alert device
CN209719398U (zh) 一种用于车外延时照明的控制结构
JP2013119369A (ja) センサーに連動してドライブレコーダーを動作させるためのタイマーを内蔵したアダプター
KR101759138B1 (ko) 차량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50099067A1 (en) Ligh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CN104015664A (zh) 一种带有辅助灯光的倒车镜
KR200409659Y1 (ko) 차량 조명 원격 제어장치
KR100957014B1 (ko) 와이퍼와 와셔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1123B1 (ko) 자동차의 라이트 자동 제어방법
CN113002480A (zh) 用于对机动车的访问进行控制的方法和访问控制系统
KR200397864Y1 (ko) 차량의 주변 조명장치
KR100872326B1 (ko) 스마트키 이시유를 이용한 비에스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533720A (zh) 一种光感应化妆照明灯自动开启的控制方法与装置
JPH045662Y2 (ko)
JP6999249B2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