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999B1 -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999B1
KR101261999B1 KR1020070012200A KR20070012200A KR101261999B1 KR 101261999 B1 KR101261999 B1 KR 101261999B1 KR 1020070012200 A KR1020070012200 A KR 1020070012200A KR 20070012200 A KR20070012200 A KR 20070012200A KR 101261999 B1 KR101261999 B1 KR 10126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decoration body
decoration
button suppor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501A (ko
Inventor
고진석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9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키버튼과, 상기 제1키버튼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몸체와, 상기 제1키버튼이 안착·지지되어 상기 제1키버튼 클릭시 상기 제1키버튼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키버튼 지지부와,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 및 제1키버튼 지지부가 탑재되며, 하면에 압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키버튼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을 데코레이션 구조물에 접착시킨 뒤, 제1키버튼과 데코레이션 구조물의 결합체를 키버튼 받침부에 부착시키게 되므로, 그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데코레이션 몸체 폭을 좁게 형성하여도 키버튼 받침부와의 최소한의 접촉면적이 확보된다.
데코레이션 구조물, 이동단말기, 키버튼 받침부, 돔 스위치

Description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A DECORATION STRUCTURE AND A MOBILE TERMINAL}
도1은 실시예1의 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사시도.
도3은 도1의 키버튼 받침부의 배면 사시도.
도4는 도1의 제1키버튼의 배면 사시도.
도5는 도1의 제1키버튼 지지부의 평면도.
도6은 도2의 AA'의 단면을 포함하는 실시예1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키버튼 받침부 110:제2키버튼
120:압박돌기 200:제1키버튼
210:절단면 300:데코레이션 구조물
310:데코레이션 몸체 320:제1키버튼 지지부
400:제3키버튼 500:인쇄회로기판
510:돔스위치
본 발명은 키버튼을 보호하며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키버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향키버튼을 감싸는 데코레이션 구조물의 폭은 외관 및 이동단말기의 소형화를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에 있다. 그러나, 방향키버튼이 압박돌기가 형성된 키버튼 받침부에 부착되기 위하여는 키버튼 받침부와의 접착을 위한 최소한의 접착면적을 확보해야 하므로, 데코레이션 구조물의 폭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데코레이션 구조물이 방향키버튼 클릭시 함께 연동되지 않으므로, 방향키버튼 클릭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키버튼 받침부와 접착을 위한 최소한의 접착면적을 확보하면서도 데코레이션 폭을 줄일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이러한 데코레이션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키버튼 클릭시 이를 감싸는 데코레이션 구조물이 함께 연동함으로써, 키버튼 클릭시 클릭감이 부드러운 이동단말기 및 이러한 데코레이션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과, 상기 제1키버튼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몸체와, 상기 제1키버튼이 안착·지지되어 상기 제1키버튼 클릭시 상기 제1키 버튼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키버튼 지지부와,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 및 제1키버튼 지지부가 탑재되며, 하면에 압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키버튼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에는, 그 둘레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소정 부위가 절단되어 상기 키버튼 받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제1키버튼이 상기 절단면을 통하여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에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절단면의 소정 부위와 형합하는 형상을 갖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키버튼의 바닥면을 일주하며 형성되고,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는 고리형태이며,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를 일주하며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키버튼의 굴곡부에서 상기 제1키버튼의 바닥면을 더 크게 절단하고,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절단면의 전부와 형합하는 형상을 갖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의 단면은 'ㄱ'자 형태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은 2 이상의 입력부를 갖는 멀티키버튼이고,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소정부위는 상기 압박돌기의 상부에 위치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받침부 상면에는 제2키버튼이 부착되고, 상기 제1키버튼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키버튼이 끼워지는 관통홈이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키버튼의 둘레부를 감싸는 데코레이션 몸체와, 상기 제1 키버튼이 안착·지지되어 상기 제1키버튼 클릭시 상기 제1키버튼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키버튼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제1키버튼이 그 둘레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도록 절단 형성된 절단면을 통하여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절단면에 형합하는 형상을 갖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의 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2는 도1의 조립 사시도를, 도3은 도1의 키버튼 받침부의 배면 사시도를, 도4는 도1의 제1키버튼의 배면 사시도를, 도5는 도1의 제1키버튼 지지부의 평면도를, 도6은 도2의 AA'의 단면을 포함하는 실시예1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키버튼 받침부(100), 제1키버튼(200), 제2키버튼(110), 제3키버튼(400) 및 데코레이션 구조물(300)로 구성되는 키버튼 어셈블리(도면부호 미부여)를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키버튼 받침부(100)의 상면에는 제2키버튼(110)이 구비된다. 제2키버튼(110)은 접착테이프 등을 통하여 키버튼 받침부(100)에 부착된다. 제2키버튼(110)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키버튼이다. 한편, 키버튼 받침부(100)의 재질은 ABS수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이고, 제2키버튼(11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이다.
도3을 참조하면 키버는 받침부(100)의 배면에는 압박돌기(120)가 돌출 형성된다. 압박돌기(120)는 압박돌기(120)의 상부에 위치한 제1키버튼(200), 제2키버튼(110) 등의 키버튼이 클릭된 경우 이들 키버튼과 연동하여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키버튼 받침부(100)의 하부에 위치한 돔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압박돌기(120)는 제1키버튼(200), 제2키버튼(110) 등이 탑재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키버튼(200)은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안착, 지지된 뒤, 데코레이션 구조물(300)과 함께 키버튼 받침부(100)에 탑재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키버튼(200)은 직사각형 형태로 제조된다. 제1키버튼(200)의 중앙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관통홈(도면부호 미부여)은 제2키버튼(110)이 끼워지도록, 제2키버튼(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키버튼(200)은 4개 입력부를 갖는 멀티키버튼인 방향키버튼이다. 따라서, 제1키버튼(200)의 상면에는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을 표시하는 폰트(font)가 형성된다. 멀티키버튼이란 하나의 키버튼이 클릭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스위치, 이를 테면 서로 다른 돔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키버튼을 말한다. 한편, 제1키버튼(200)의 재질은 제2키버튼(110)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1키버튼(200)에는 절단면(210)이 형성된다. 절단면(210)은 제1키버튼(200)의 둘레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소정 부위가 절단되어 형성된다. 절단면(210)은 제1키버튼(200)의 상하단면을 기준으로 'ㄱ'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절단면(210)은 제1키버튼(200)의 굴곡부에서 제1키버튼(200)의 바닥면을 더 크게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키버튼(200)의 배면 꼭지점 부근에서 더 큰 절단면(210)이 형성된다. 한편, 제1키버튼(200)의 바닥면 중 절단되지 않은 부분은 키버튼 받침부(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은 데코레이션 몸체(310) 및 제1키버튼 지지부(320)를 갖는다.
도2를 참조하면 데코레이션 몸체(310)는 제1키버튼(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데코레이션 몸체(310)는 직사각형의 고리테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하단부로부터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제1키버튼(200)이 절단면(210)을 통하여 제1키버튼 지지부(320)에 안착·지지되도록 형성되는데, 안착된 제1키버튼(200)이 클릭되는 경우 제1키버튼(200)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그 상면이 제1키버튼(200)의 절단면(210)의 상면과 형합하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의 연장·형성된 길이는 절단면(210)의 수평면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제1키버튼(200)의 절단면(210) 형성을 위하여 절단된 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안착된 제1키버튼(200)이 클릭되는 경우 제1키버튼(200)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형성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키버튼(200)이 절단면(210)을 통하여 제1키버튼 지지부(320)에 안착된 경우,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바닥면과 제1키버튼(200)의 바닥면이 키버튼 받침부(100) 상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키버튼(200)은 절단면(210)과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탑재된다. 또한, 도6을 참조하면 제1키버튼(200) 및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결합체는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바닥면 및 데코레이션 구조물(300) 하단부로 노출된 제1키버튼(200)의 바닥면이 키버튼 받침부(100)에 접착됨으로써, 키버튼 받침부(100)에 탑재된다.
도6을 참조하면 키버튼 어셈블리(도면부호 미부여)는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소정부위가 제1키버튼(200)에 대응하는 압박돌기(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키버튼(200)의 좌측방향 폰트(font)가 형성된 입력부를 클릭하면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함께 하부로 연동하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압박돌기(120)를 함께 가압하게 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3키버튼(400)을 갖는다. 제3키버튼(400)은 데코레이션 구조물(300) 외측에 위치하도록 키버튼 받침부(100)에 탑재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이동단말기의 작동을 위한 부품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500)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500)에는 돔 스위치(510)가 탑재된다. 돔 스위치(500)는 압박돌기(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압박돌기(120)의 하단부와 접 촉하도록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키버튼(200)을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접착시킨 뒤, 제1키버튼(200)과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결합체를 키버튼 받침부(100)에 부착시키게 되므로, 그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즉,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몸체(320)만을 키버튼 받침부(100)에 접착해야 하므로, 그 접착공정이 어렵고,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는 데코레이션 몸체(310)를 키버튼 받침부(100)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폭을 소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하여야 하고, 이는 이동단말기의 소형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실시예1은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구비되므로,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도 키버튼 받침부(100)와의 최소한의 접촉면적이 확보된다. 따라서,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어, 데코레이션 몸체(310)의 폭이 이동단말기의 외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그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일부는 압박돌기(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만약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없다면 제1키버튼 지지부(320) 압박시 데코레이션 구조물(300) 부분은 압박돌기(120)를 압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압박돌기(120)의 상부에 대응하는 키버튼 받침 부(100)의 상면에 대한 압박점이 편중되어 압력이 크게 작용하고, 이는 제1키버튼(200)의 클릭감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제1키버튼 지지부(320)가 구비되어 있어,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이 제1키버튼(200)과 함께 연동한다. 따라서, 제1키버튼(200) 클릭시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의 바닥면 및 제1키버튼(200)의 바닥면이 압박돌기(120)를 함께 가압하게 되므로, 압박돌기(120)의 상부에 대응하는 키버튼 받침부(100)의 상면에 대한 압박점이 고르게 분포되어 키버튼 받침부(100)의 상면에 대한 압력이 작고 고르게 분포된다. 따라서, 압박돌기(120)의 중심부와 접촉하는 돔 스위치(510)를 압박하는 경우 제1키버튼(200)의 클릭감이 부드러워진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데코레이션 몸체(310)는 고리형태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데코레이션 몸체는 'ㄷ'자 형의 몸체와 이의 거울상 형태의 몸체가 제1키버튼을 감싸며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통공이 형성되지 않는 평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키버튼에는 절단면이 형성되지 않고 그 바닥면 전부가 제1키버튼 지지부에 부착·지지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키버튼 지지부(320)는 절단면(210)의 전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절단면(21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1의 경우 제1키버튼의 바닥면 노출을 위해 제1키버튼 지지부(320)에 형성된 통공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1키버튼 멀티키버튼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문자 키버튼 등 단일키버튼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키버튼 받침부 하면에는 압박돌기(1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압박돌기가 돌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키버튼 받침부 중 제1키버튼(200), 제2키버튼(110), 제3키버튼(400) 등에 대응하는 부위의 둘레에는 이들 키버튼 클릭에 의한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들을 구획하는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에 관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데코레이션 구조물(300)은 데코레이션 몸체(310)와 제1키버튼 지지부(320)를 갖는다. 이에 관한 설명은 실시예1에서 기술한 바에 준한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을 데코레이션 구조물에 접착시킨 뒤, 제1키버튼과 데코레이션 구조물의 결합체를 키버튼 받침부에 부착시키게 되므로, 그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데코레이션 몸체 폭을 좁게 형성하여도 키버튼 받침부와의 최소한의 접촉면적이 확보된다. 따라서, 데코레이션 몸 체의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동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키버튼 클릭시 데코레이션 구조물의 바닥면 및 제1키버튼의 바닥면이 압박돌기를 함께 가압하게 되므로, 압박돌기의 상부에 대응하는 키버튼 받침부(100)의 상면에 대한 압박점이 고르게 분포되어 키버튼 받침부의 상면에 대한 압력이 작고 고르게 분포되어 제1키버튼의 클릭감이 부드러워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9)

  1. 제1키버튼;
    상기 제1키버튼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데코레이션 몸체;
    상기 제1키버튼이 안착·지지되어 상기 제1키버튼 클릭시 상기 제1키버튼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키버튼 지지부; 및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 및 제1키버튼 지지부가 탑재되는 키버튼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키버튼에는, 그 둘레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소정 부위가 절단되어 상기 키버튼 받침부와 접촉하지 않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제1키버튼이 상기 절단면을 통하여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에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절단면의 소정 부위와 형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키버튼의 바닥면을 일주하며 형성되고,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는 고리형태이며,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를 일주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키버튼의 굴곡부에서 상기 제1키버튼의 바닥면을 더 크게 절단하고,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절단면의 전부와 형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의 단면은 'ㄱ'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버튼은 2 이상의 입력부를 갖는 멀티키버튼이고,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소정부위는 상기 키버튼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압박돌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 받침부 상면에는 제2키버튼이 부착되고,
    상기 제1키버튼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키버튼이 끼워지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8. 제1키버튼의 둘레부를 감싸는 데코레이션 몸체; 및
    상기 제1키버튼이 안착·지지되어 상기 제1키버튼 클릭시 상기 제1키버튼과 일체로 클릭되도록, 상기 데코레이션 몸체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키버튼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키버튼 지지부는, 상기 제1키버튼이 그 둘레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도록 절단 형성된 절단면을 통하여 안착·지지되도록, 상기 절단면에 형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구조물.
  9. 삭제
KR1020070012200A 2007-02-06 2007-02-06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KR10126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00A KR101261999B1 (ko) 2007-02-06 2007-02-06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200A KR101261999B1 (ko) 2007-02-06 2007-02-06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01A KR20080073501A (ko) 2008-08-11
KR101261999B1 true KR101261999B1 (ko) 2013-05-08

Family

ID=3988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00A KR101261999B1 (ko) 2007-02-06 2007-02-06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9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278A (ja) * 2000-09-19 2002-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4047338A (ja) * 2002-07-15 2004-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278A (ja) * 2000-09-19 2002-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4047338A (ja) * 2002-07-15 2004-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501A (ko)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7499B (zh) 电子装置的埋入式按键
CN101238532B (zh) 具有显示功能的键输入装置和具有该装置的便携式电子设备
US9852854B1 (en) Slim-type keyboard
US7129435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US20140186085A1 (en) Press key
CN107735848A (zh) 按钮开关用部件
CN101345150A (zh) 按键板
US20080023312A1 (en) Keyboard and key assembly thereon
JP2007141076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キーシート
KR101261999B1 (ko) 데코레이션 구조물 및 이동단말기
US7679015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TWM503646U (zh) 薄型按鍵裝置
CN211308493U (zh) 车用无钥匙进入与启动系统
JP4312004B2 (ja) 多機能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8779780B (zh) 电风扇
JP2001273834A (ja) フィルム一体キートップ
JP2001357750A (ja) 積層キーシート
US20030042121A1 (en) Push switch
JP2009016208A (ja) 押釦スイッチ
CN212434512U (zh) 新型按键开关
US20120007810A1 (e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KR100779066B1 (ko)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KR100944286B1 (ko) 휴대폰 키패드용 돔시트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JP2002050258A (ja) 押釦シ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