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712B1 -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 Google Patents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712B1
KR101261712B1 KR1020110020077A KR20110020077A KR101261712B1 KR 101261712 B1 KR101261712 B1 KR 101261712B1 KR 1020110020077 A KR1020110020077 A KR 1020110020077A KR 20110020077 A KR20110020077 A KR 20110020077A KR 101261712 B1 KR101261712 B1 KR 10126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r
recessed
lead ba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1935A (en
Inventor
허승헌
Original Assignee
유림가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림가설(주) filed Critical 유림가설(주)
Priority to KR102011002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12B1/en
Publication of KR2012010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써포트 파이프의 일측이 찌그러지거나 함몰된 경우 그 부위를 펴주기 위한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가설작업 중 많이 사용되는 써포트를 건설현장에서 던지거나 낙하시키는 등 취급부주의의 원인으로 그 일측이 찌그러져 강도가 약해지고, 그에 따라 다음의 가설작업에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써포트 파이프의 내경으로 실린더를 통해서 작동하는 가압구를 밀어 넣어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진 부위를 펴주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a hypothetical support for straightening the site when one side of the support pipe is crushed or recessed. In particular, one side is crushed due to carelessness such as throwing or dropping the support that is frequently used during construction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trength is weakened, so that the following construction work does not cause problems. It relates to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a hypothetical support that pushes a pressurizing port operated through a cylinder into an inner diameter of a pipe to straighten a crushed or distorted portion.

Description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s for temporary support

본 발명은 써포트 파이프의 일측이 찌그러지거나 함몰된 경우 그 부위를 펴주기 위한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가설작업 중 많이 사용되는 써포트가 취급 부주의나 낙하등의 충격이나 가압 등을 원인으로 그 일측이 찌그러져 강도가 약해지고, 그에 따라 다음의 가설작업에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써포트 파이프의 내경으로 실린더를 통해서 작동하는 가압구를 밀어 넣어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진 부위를 펴주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a hypothetical support for straightening the site when one side of the support pipe is crushed or recessed. In particular, the support used frequently during construction work in construction sites is crushed on one side due to inadvertent handling, impact or pressure, such as falling, and the strength is weakened, so that the following construction work does not cause problems. It relates to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a hypothetical support that pushes a pressurizing port operated through a cylinder into an inner diameter of a pipe to straighten a crushed or distorted portion.

일반적으로 써포트란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작업자를 건설물의 외측에 지지시켜 건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구이다.
In general, the support is a mechanism that supports the formwork or to support the worker on the outside of the construction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work.

이러한 써포트는 건설현장 즉, 증축, 개축 또는 신축 현장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써포트를 던지거나 낙하시키는 등의 취급부주의로 써포트와 써포트가 충돌할 경우가 생기고, 또는 거푸집과 충돌할 경우도 발생되기에 한 번 사용된 써포트는 이곳 저곳이 찌그러지고 일그러지는 경우도 발생되고, 간혹 휘어지는 써포트도 발생된다.
These supports are used at construction sites, ie, extension, renovation or new construction. However, due to careless handling such as throwing or dropping the support, the support and the support collide, or the form may also collide with the form. Occasionally, support is bent.

이 써포트는 도시된 도 1처럼, 다양한 길이로 생산되어 수직으로 세워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길이는 모든 건설현장에서는 규격화된 것으로 P4의 경우 432mm의 길이를 가지고, P8의 경우 863mm를 가지며, P12는 1,291mm를 가지고 있다. 또한 P17의 경우 1,725mm로 생산된다. 이 길이는 건설현장의 표준을 위해서 모두 정확하게 일치시키고 있는 것이다.
This support is produced in various lengths, as shown in FIG. 1, and used vertically in the field. This length is standardized at all construction sites, with a length of 432mm for the P4, 863mm for the P8, and 1,291mm for the P12. In the case of the P17 it is also produced in 1725 mm. These lengths are all exactly the same for the construction site standards.

이 써포트는 원형의 파이프(A)의 일측에 도시된 플렌지부(A-1)가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플렌지부(A-1)는 수평재의 핀을 통해서 거푸집이나 다른 건설자재와 체결될 수 있는 형태이고, 서로 연장되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써포트에서 파이프(A)가 함몰되거나 찌그러진다면 다음의 작업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위해서 작업자가 자신의 물리적인힘을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A)의 내측으로 가압구를 밀어 넣어 함몰된 부위(P)를 펴는 작업을 선행하고 있었다. 이는 아주 어려운 작업으로 까다롭고 작업자에게 무리한 노동을 가하는 것이었다.
The support is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A-1 shown on one side of the circular pipe A is integrally fastened, and the flange portion A-1 is formed through a pin of a horizontal member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It is a form that can be fastened with, it is possible to use even if extended to each other. However, if the pipe (A) is depressed or crushed in this support, many problems arise in the following work. Therefore, conventionally, for this purpose, the worker pushes the pressure port into the inside of the pipe A by using his physical force to spread the recessed part P. This was a very difficult task, demanding and overwhelming labor.

본 발명은 써포트 파이프의 일측이 찌그러지거나 함몰된 경우 그 부위를 펴주기 위한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ssed pipe restorer of the hypothetical support for straightening the site when one side of the support pipe is crushed or recessed.

특히,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가설작업 중 많이 사용되는 써포트가 충격이나 가압 등을 원인으로 그 일측이 찌그러져 강도가 약해지고, 그에 따라 다음의 가설작업에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써포트 파이프의 내경으로 실린더를 통해서 작동하는 가압구를 밀어 넣어 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진 부위를 펴주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pport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construction site, the strength of the one side is crushed due to the impact or pressure is weakened, so that in order not to cause problems in the next construction work,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pipe It is to provide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the hypothesis support that pushes the pressure port operating through the cylinder to straighten the crushed or distort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는 길이가 서로 다른 장형의 함몰 파이프(A)를 위치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수단; 상기 파이프고정수단의 전방에서, 함몰된 파이프(A)의 내경을 향해 리드바(80)를 연동시키는 실린더(90); 리드바(80)의 끝단에 고정하되, 파이프(A)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진 가압구(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90)가 리드바(80)를 연동시키면, 상기 가압구(81)는 함몰된 파이프(A)의 내부로 들어가며 함몰된 부위를 펴준다.
The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temporary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pip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ecessed pipes A having different lengths; In front of the pipe fixing means, the cylinder 90 for interlocking the lead bar 80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ipe (A); It is fixed to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 pressure port 81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is configured to include, when the cylinder 90 interlocks the lead bar 80, the The pressure port 81 enters the inside of the recessed pipe A and straightens the recessed portion.

또한 본 발명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따른, 파이프고정수단은, 함몰된 파이프(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프레임(20);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며, 2개의 판으로 형성하되 중심부에 파이프(A)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31)이 성형되는 플렌지홀더(30); 실린더(90)측과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함몰된 파이프(A)를 가압하여 연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부(40);로 이루어져 함몰된 파이프(A)의 플렌지부(A-1)가 플렌지홀더(30)에 끼워지며, 클램프부(40)를 통해 파이프(A)의 첫 단이 고정되고 : 클램프부(40)는, 외부프레임(20)의 일측에 힌지(67) 고정되고, 내측으로 파이프(A)의 내경과 대응되는 라운드진 가압홈(41)이 형성된 클램프바(42); 외부프레임(20)의 타측으로 힌지(43) 고정되고, 끝단에 절곡된 후크(44)를 가진 후크바(45);가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바(42)가 가압홈(41)을 이용하여 파이프(A)의 외경을 가압하면, 그 끝단을 후크바(45)가 후크(44)로 걸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 후크바(45)는, 탄성력을 통해서 후크바(45)가 항상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 탄성스프링(48)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pip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hypothesi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20 is installed with the upper opening so that the recessed pipe (A) is accommodated; A flange holder 30 which is fasten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is formed of two plates,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3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accommodat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Clamp portion 40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ylinder 90 side to block the interlocking by pressing the recessed pipe (A); consisting of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recessed pipe (A) is flanged Fitted to the holder 30, the first end of the pipe (A) is fixed through the clamp portion 40: the clamp portion 40, the hinge 6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frame 20, inward A clamp bar 42 having a rounded pressing groove 41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Hinge 43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the hook bar having a hook 44 bent at the end; 45 is coupled to the clamp bar 42 using the pressure groove 41 pipe When the outer diameter of (A) is pressed, the end of the hook bar 45 is not caught by the hook 44, and the hook bar 45 is hel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bar 45 is alway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It has an elastic spring 48 to receive.

또한 본 발명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따른, 외부프레임(20)은, 그 길이가 연장되어 실린더(90)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 외부프레임(20)은, 실린더(90)를 수용하여, 파이프고정부(21), 리드바수용부(22), 실린더장착부(23)로 이루어져 리드바(80)와 실린더로드(95)는 소켓(96)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 리드바(80)의 끝단에는, 리드바(80)를 관통한 상태로 가압구(81)의 연동을 제한하며, 리드바(80)의 연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84)가 체결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hypothesi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20 is extended so that the cylinder 90 can be accommodated and fixed: the outer frame 20, the cylinder 90 To accommodate, it consists of a pipe fixing part 21, the lead bar receiving portion 22, the cylinder mounting portion 23 so that the lead bar 80 and the cylinder rod 95 can be connected to the socket 96, and lead bar ( At the end of the guide 80, the guider 84 which guides the linkage of the lead bar 80 is fastened by restricting the linkage of the pressure port 81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lead bar 80.

또한 본 발명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따른, 리드바수용부(22)에는, 플렌지홀더(30)의 간격에 대응하는 리미트스위치(11)를 형성하여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 리미트스위치(11)는, 컨트롤러(15)를 통해서 감지되며, 컨트롤러(15)의 조작부(16)를 통해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 외부프레임(20)은, 유압모터(E), 유압펌프 및 유압탱크(F)로 이루어진 유압시스템을 장착한 지지프레임(K)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또는 유압시스템과는 별도로 분리된다.
In addition, in the lead bar receiving portion 22 according to the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temporary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mit switch 11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lange holder 30 is formed to control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The limit switch 11 may be sensed through the controller 15 and control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6 of the controller 15. )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K) equipped with a hydraulic system consisting of the hydraulic motor (E), hydraulic pump and hydraulic tank (F) or separated from the hydraulic system.

본 발명에 따라 써포트가 함몰되어도 가압구를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하여 함몰된 부위를 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upport is reces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essure por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ipe to expand the recessed portion.

본 발명에 따라 써포트의 길이에 상관없이, 규격에 따른 외부프레임을 설치하여 생산된 모든 길이의 써포트 함몰부위를 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ort recesses of all lengths produced by installing the outer frame according to the standard can be expanded.

본 발명에 따라 기존에 써포트의 파이프를 펴기 위해서 작업자가 무리하게 노동을 할 필요가 없이, 실린더의 작동만으로 함몰 파이프를 펼 수 있으며, 그 작업도 빨라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labor excessively to straighten the pipe of the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ecessed pipe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and its operation is fast,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recycling.

도 1은 일반적인 함몰된 써포트를 규격별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시스템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기능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클램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린더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시스템을 결합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린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depressed support by standard,
2 is a front view of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unc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clamp part,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only the outer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only the cylind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8 is a view showing a cylinder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8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for temporary suppor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길이가 서로 다른 장형의 함몰 파이프(A)를 위치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수단이 있고, 상기 파이프고정수단의 전방에서, 함몰된 파이프(A)의 내경을 향해 리드바(80)를 연동시키는 실린더(90)이 있으며, 리드바(80)의 끝단에 고정하되, 파이프(A)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진 가압구(81)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서로 상호 작동한다. 즉, 상기 실린더(90)가 리드바(80)를 연동시키면, 상기 가압구(81)는 함몰된 파이프(A)의 내부로 들어가며 함몰된 부위를 펴주는 것이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p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long recessed pipe (A) of different lengths, in front of the pipe fixing means, the lead bar 80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ipe (A) There is a cylinder 90 for interlocking, fixed to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re is a pressure port 81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Thus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cylinder 90 interlocks the lead bar 80, the pressure port 81 enters the inside of the recessed pipe A and straightens the recessed portion.

본 발명은 함몰된 써포트 파이프(A)를 펴주기 위한 기계이다. 주요한 특징으로는 써포트 파이프(A)의 굵기는 모두 동일하기에 상기 파이프(A)의 내경에 대응하는 굵기의 가압구(81)를 끼워넣어 파이프(A)의 함몰된 부위를 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우선 파이프(A)를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고정수단이 있다. 이 파이프고정수단은 파이프(A)가 가압구(81)로 밀어줄 때, 파이프(A)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을 칭한다. 파이프고정수단에 결합되는 써포트 파이프(A)는 일측이 함몰된 상태의 파이프(A)이다. 도 1에서는 함몰된 부위를 "P"로 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chine for straightening a recessed support pipe (A). The main feature is tha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ipe (A) is the same, so that the pressure port (81)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is inserted to extend the recessed portion of the pipe (A).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ipe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pipe (A) first. This pipe fixing means refers to a means for fixing the pipe A so as not to shake when the pipe A is pushed to the pressure port 81. The support pipe A coupled to the pipe fixing means is a pipe A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In FIG. 1, the recessed part is marked with "P".

파이프(A)를 파이프고정수단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파이프(A)의 개구된 내경으로 리드바(80)를 밀어 넣게 된다. 이 리드바(80)는 실린더로드일 수도 있지만, 실린더로드가 모래나 시멘트 가루에 의해 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로드에 별도의 바를 연장시킨 것이 목적이다. 이 리드바(80)의 끝단에는 가압구(81)가 고정되는데, 이 가압구(81)의 외경은 파이프(A)의 내경에 대응되어 서로 유사한 지름을 가지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파이프(A)의 내경에 비하여 가압구(81)의 외경이 다소 작은 상태여서 가압구(81)가 파이프(A) 내경을 용이하게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ipe A is fitted to the pipe fixing means, and the lead bar 80 is pushed into the opened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Although this lead bar 80 may be a cylinder rod, it aims at preventing a cylinder rod from bending by sand or cement powder, The purpose of which extended the bar further to a cylinder rod. The pressurizing port 81 is fixed to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urizing port 81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and has a similar diameter to each other. More precisely,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ure port 8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so that the pressure port 81 can easily reciprocate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이 리드바(80)의 연동작용의 동력이 되는 것은 실린더(90)이다.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90)가 강한 힘을 발휘하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별도의 수단을 통해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It is the cylinder 90 that powers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lead bar 80. The cylinder 90 using hydraulic pressure is easy to use because it exerts a strong force. However, it can also be operated by separate means.

결국 본 발명의 함몰 파이프(A) 복원기의 작동상황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90)가 그 리드바(80)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연동시키게 되면, 파이프고정수단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는 써포트 파이프(A)의 내부로 가압구(81)가 삽입되어 연동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A)의 일측이 함몰되어 찌그러진 부위가 있다면, 이 가압구(81)가 지나가며 그 부분을 펴주는 것이다. 아주 간단하지만, 그동안 많은 노동자들에게 안겨주었던 고된 노동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 준 것이다.
As a result, the operating situation of the recessed pipe (A) rest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hen the cylinder 90 interlocks the lead bar 80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the pressure port 81 is inserted into and interlocked with the support pipe A which is firmly fastened to the pipe fixing means. At this time, if one side of the pipe (A) is depressed and crushed portion, this pressing hole 81 is to pass through to straighten the portion. It's very simple, but it allows us to solve the hard work that many workers have been doing.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복원기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 3과 5와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전술된 파이프고정수단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함몰된 파이프(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프레임(20)이 있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며, 2개의 판으로 형성하되 중심부에 파이프(A)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31)이 성형되는 플렌지홀더(30)가 있으며, 실린더(90)측과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함몰된 파이프(A)를 가압하여 연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부(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이 함몰된 파이프(A)의 플렌지부(A-1)가 플렌지홀더(30)에 끼워지며, 클램프부(40)를 통해 파이프(A)의 첫 단이 고정되는 것이다.
A more detailed embodiment of such a rest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The pip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is formed as follows. That is, there is an outer frame 20 which is installed with the upper portion opened so that the recessed pipe A can be accommodated, and fasten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formed of two plates. However, the flange holder 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31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ylinder 90 side to press the recessed pipe (A) It consists of a clamp portion 40 to block the interlocking. Therefore,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pipe A in which they are recessed is fitted into the flange holder 30, and the first end of the pipe A is fixed through the clamp portion 40.

함몰된 파이프(A)가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4각의 금속프레임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가 개구되어 파이프(A)를 삽입하기 유리한 형태이며, 그 단면의 형태는 어떠해도 무방하다. 단지 내측에는 파이프(A)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플렌지홀더(30)가 비치되며, 일측단에는 파이프(A)를 외부프레임(20)에 체결할 수 있는 플렌지부(A-1)가 형성된다. 도 2, 3, 5에서는 장형의 외부프레임(20)을 도시하고 있지만 파이프(A)만 수용할 수 있는 짧은 길이의 형태도 가능하다.
It is to form a frame in which the recessed pipe A can be accommodated. The illustrated figure shows a four-sided metal frame with an upper ope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it is advantageous form for inserting the pipe A, and the cross section may be any form. Only the inner side is provided with a flange holder 30 to insert the pipe (A), one side end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A-1) for fastening the pipe (A) to the outer frame 20. 2, 3, and 5, the long outer frame 20 is illustrated, but a short length that can accommodate only the pipe A is also possible.

플렌지홀더(30)란 파이프(A)의 플렌지부(A-1)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곳을 칭한다. 써포트 파이프(A)는 설명된 것처럼 규격화되어 생산된다. 그 길이, 두께 및 구성요소들이 모두 규격화되어 어느 제작사에서 제작을 해도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그 길이가 있을 것인데, 이 길이도 몇 개로 규격화되어 항상 서로 다른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다. 그리고 그 형태는 도시된 도 1과 동일하다. 원형의 내부가 빈 파이프(A)의 외주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플렌지부(A-1)가 형성되는데, 그 길이에 따라 플렌지부(A-1)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어떤 파이프(A)에는 하나의 플렌지부(A-1)가 형성되고, 어떤 파이프(A)에는 2개의 플렌지부(A-1)가 형성된다. 그러나 그 형성 위치는 항상 규격화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외부프레임(20) 플렌지홀더(30)는 이 규격을 따라 위치를 설정한다. 어떤 길이의 파이프(A)를 끼워도 다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The flange holder 30 refers to a place where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pipe A can be inserted. The support pipe A is standardized and produced as described. Its length, thickness and components are all standardized to produce the same shape no matter what manufacturer makes it. If there is a difference, there will be a length, which is also standardized into several lengths and is always the same length. And the form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The flange portion A-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A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lange portion A-1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length. In one pipe A, one flange portion A-1 is formed, and in one pipe A, two flange portions A-1 are formed. However, the formation position is always formed at the normalized position. Therefore, the flange holder 30 of the outer fra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position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pipe (A) of any length is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파이프(A)는 원형의 몸체를 가지고 있고, 일정한 위치에 그 외주면에 체결되는 플렌지부(A-1)는 외주면에 삽입된 형태이기에 서로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렌지홀더(30)는 2개의 플레이트가 외부프레임(2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워 체결된 것인데, 이 플렌지홀더(30)의 사이에 파이프(A)의 플렌지부(A-1)가 끼워져 전후방으로 연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플렌지홀더(30)의 상단은 파이프(A)가 놓여질 때 그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홈(31)이 형성되어 파이프(A)의 일부가 삽입홈(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Pipe (A) has a circular body, the flange portion (A-1) is faste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perfectly coupled to each other because i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lange holder 30 has two plates fasten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outer frame 20, and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pipe A is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 holders 30. Do not interlock forward and backwar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lange holder 3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31 to accommodat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en the pipe (A) is placed so that a portion of the pipe (A)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

결국 본 발명의 파이프고정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파이프(A)를 체결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pip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to fasten the pipe (A).

외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규격화된 길이의 파이프(A)가 올려질 때, 파이프(A)의 플렌지부(A-1)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플렌지홀더(30)에 끼워진다. 플렌지부(A-1)는 2장의 플렌지홀더(30)의 사이에 끼워지며, 파이프(A)의 외주면 중 일부는 플렌지홀더(30)에 형성된 삽입홈(31)에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파이프(A)가 파이프고정수단에 위치가 확보되면, 그 끝단은 클램프부(40)를 통해서 완벽하게 체결되어 파이프(A)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한다.
When the pipe A of the length normaliz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20 is raised,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pipe A is fitted to the flange holder 30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flange portion A-1 is fitted between the two flange holders 30, a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 formed in the flange holder 30. When the pipe (A) is secured to the pipe fixing means in this way, the end is completely fastened through the clamp portion 40 so that the pipe (A) does not shake or fall out.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클램프부(40)를 도시된 도 3과 4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외부프레임(20)의 일측에 힌지(67) 고정되고, 내측으로 파이프(A)의 내경과 대응되는 라운드진 가압홈(41)이 형성된 클램프바(42)가 있고, 외부프레임(20)의 타측으로 힌지(43) 고정되고, 끝단에 절곡된 후크(44)를 가진 후크바(45)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바(42)가 가압홈(41)을 이용하여 파이프(A)의 외경을 가압하면, 그 끝단을 후크바(45)가 후크(44)로 걸어 빠지지 않도록 한다.
Then, the clamp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 clamp bar 42 having a hinge 67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having a rounded pressing groove 41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There is a hook bar 45 having the hinge 4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20 and having a hook 44 bent at the end. Therefore, when the clamp bar 42 pres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by using the pressing groove 41, the hook bar 45 is prevented from walking out of the hook 44 by the end thereof.

즉, 클램프부(40)는 파이프(A)의 끝단을 완벽하게 가압하여 눌러서 외부프레임(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외부프레임(20)의 일측에 힌지(67)를 통해서 연동할 수 있는 클램프바(42)를 장착하는데, 이 클램프바(42)는 힌지(67)로 회동되어 외부프레임(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프레임(20)의 플렌지홀더(30) 사이에 플렌지부(A-1)를 끼운 상태로 파이프(A)를 장착하고 나서는 상기 클램프바(42)를 내려 파이프(A)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것이다. 클램프바(42)의 내측에는 파이프(A)의 외경과 대응하는 가압홈(41)이 형성되어 있기에 이 가압홈(41)이 파이프(A)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강하게 누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 클램프바(42)의 끝단은 별도의 후크바(45)를 통해서 체결하여 상기 클램프바(42)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후크바(45)의 끝단은 후크(44)가 형성되어 있기에 이 후크(44)를 클램프바(42)에 걸어 진동을 통해서도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작동의 도면은 도 4에 도시해 놓았다.
That is, the clamp portion 40 is in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20 by pressing the end of the pipe (A) completely press. On one side of the outer frame 20 is mounted a clamp bar 42 which can be interlocked through the hinge 67, the clamp bar 42 is rotated by the hinge 67 can press the outer frame 20. Make sure After mounting the pipe A with the flange portion A-1 sandwiched between the flange holders 30 of the outer frame 20, the clamp bar 42 is lowered to press the pipe A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is. Since the pressing groove 41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is formed inside the clamp bar 42, the pressing groove 41 presses strongly while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A. And the end of the clamp bar 42 is fastened through a separate hook bar 45 so that the clamp bar 42 does not fall out. Since the hook 4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ok bar 45, the hook 44 is hooked to the clamp bar 42 so as not to fall out through vibration. A drawing of this detailed operation is shown in FIG.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리드바(80)를 통해 파이프(A)의 내부로 가압구(81)를 밀어 넣어야 한다. 따라서 강한 힘이 필요하다. 이때 파이프(A)가 흔들리거나 이동하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안전조치로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부(40)를 형성하여 파이프(A)를 가압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push the pressure port 81 into the inside of the pipe (A) through the lead bar 80 using a hydraulic cylinder. Therefore, strong force is needed. In this case, if the pipe A is shaken or moved, a problem may occu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afety measure to form a clamp portion 40 to press the pipe (A).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크바(45)는 클램프바(42)를 체결하여 클램프바(42)가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따라서 항상 클램프바(42)에 후크(44)를 걸어주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해야만 한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bar 45 should fasten the clamp bar 42 so that the clamp bar 42 does not move in an unintended state. Therefore, the force should always be applied in the direction to hook the hook 44 to the clamp bar 42.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후크바(45)에 탄성력을 부여하였다. 도시된 것처럼, 후크바(45)는, 탄성력을 통해서 후크바(45)가 항상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 탄성스프링(48)을 가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bar 45 is given an elastic force. As shown, the hook bar 45 has an elastic spring 48 that is forced through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bar 45 is always closed.

즉, 탄성력이 후크바(45)를 밀고 있기에 클램프바(42)가 연동되지 않도록 걸고 있으며, 도 4에서처럼 클램프바(42)가 하향하여 후크바(45)의 상단을 가압할 때에는 스스로 힌지(43)를 통해 연동하여 클램프바(42)를 받아들이고 다시 복원하여 걸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since the elastic force pushes the hook bar 45, the clamp bar 42 is hung so as not to interlock, and when the clamp bar 42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hook bar 45 downward as shown in FIG. ) To receive the clamp bar 42 by interlocking and restoring again to walk.

다른 실시형태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은, 도시된 도 2, 3, 5에서처럼, 그 길이가 연장되어 실린더(90)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프레임(20)을 장형으로 형성하여, 파이프고정수단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실린더(90)를 수용하면서 서로 견고히 체결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린더(90)와 파이프(A)가 서로 강한 힘을 주고 받을 때 일체로 형성된 외부프레임(20) 전체적으로 이들을 지지하며 서로 연동함이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fram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3, 5, the length is preferably extended to accommodate and secure the cylinder (90). That is, the outer frame 20 is formed in a long shape, not only used as the pipe fixing means, but also to accommodate the cylinder 90 to be firmly fastened to each other to operate. When the cylinder 90 and the pipe A exert a strong force to each other, the outer frame 20 formed integrally supports them as a whole and can be operated without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결국, 본 발명의 상기 외부프레임(20)은, 도시된 도 2, 3, 5에서처럼, 실린더(90)를 수용하여, 파이프고정부(21), 리드바수용부(22), 실린더장착부(23)로 이루어져 리드바(80)와 실린더로드(95)는 소켓(96)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복원기는 실린더로드(95)의 끝단에 가압구(81)를 체결하여 로드의 연동작용을 통해서 함몰된 파이프(A)를 펼 수 있다. 실린더로드가 리드바가 되는 것이다. 이때는 사실상 파이프고정부(21)와 실린더장착부(23)만 있어도 무방하다.
As a result, the outer fra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3, and 5, accommodates the cylinder 90, the pipe fixing portion 21, the lead bar receiving portion 22, the cylinder mounting portion 23 It is preferred that the lead bar 80 and the cylinder rod 95 can be connected to the socket (96). That is, the res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end the pipe A recessed through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rod by fastening the pressure port 81 to the end of the cylinder rod 95. The cylinder rod becomes the lead bar. In this case, only the pipe fixing part 21 and the cylinder mounting part 23 may be sufficient.

그러나 본 발명의 복원기를 더 길게 형성하여 실린더로드(95)에 리드바(80)를 소켓(96)으로 연결하고, 이를 모두 외부프레임(20)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프레임(20)은 파이프고정부(21), 리드바수용부(22), 실린더장착부(23)로 구획되며, 상기 파이프고정부(21)는 함몰된 부위가 펴질 파이프(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리드바수용부(22)는 실린더로드(95)에 의해서 연동될 리드바(8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실린더장착부(23)에는 실린더(90)가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의 표시된 부호 23은 실린더장착부를 도시한 것으로 그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음을 설명한다.
However, the res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longer to connect the lead bar 80 to the cylinder rod 95 with the socket 96, and all of them may be mounted in the outer frame 20. Accordingly, the outer frame 20 is divided into a pipe fixing part 21, a lead bar receiving part 22, and a cylinder mounting part 23, and the pipe fixing part 21 fixes the pipe A on which the recessed part is to be unfolded. The lead bar accommodating part 22 allows the lead bar 80 to be interlocked by the cylinder rod 95 to be positioned. Of course, the cylinder mounting portion 23 is to be equipped with a cylinder 90 to provide power. Reference numeral 23 in Fig. 2 shows the cylinder mounting portion, and explains that the length can be extended.

다음으로 리드바(80)의 끝단에는, 리드바(80)를 관통한 상태로 가압구(81)의 연동을 제한하며, 리드바(80)의 연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84)가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구(81)는 리드바(80)의 끝단에 장착되어 파이프(A)의 내부로 들어가며 함몰된 부위를 펴주게 된다. 따라서 리드바(80)는 곧은 직선운동만을 해야만 한다. 이리저리 흔들린다면 함몰된 부위를 펴기 힘들고, 큰 부하가 발생되어 기체가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리드바(80)의 연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84)를 장착한 것이다. 가이더(84)를 관통하여 연동하는 리드바(80)는 전방의 파이프(A)의 내측으로 들어가 곧은 직선운동을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더(84)에 형성되는 리드바연동구(=리드바가 관통된 가이더의 구멍)는 가압구(81)에 비하여 작은 지름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압구(81)가 가이더(84)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정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Next, at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 guider 84 which guides the linkage of the lead bar 80 is fastened by restricting the interlocking of the pressure port 81 in the state of penetrating the lead bar 80. desirable. That is, the pressure port 81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lead bar 80 to enter the inside of the pipe (A) to straighten the recessed portion. Therefore, the lead bar 80 should only have a straight linear motion. If you shake it around, it will be difficult to straighten the recessed part, and a large load may be generated to break the ga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guider 84 for guiding the linkage of the lead bar 80 is mounted. The lead bar 80 which interlocks through the guider 84 will enter the inside of the pipe A in front and make a straight linear motion. In addition, the lead bar interlocking holes (= holes of the guiders through which the lead bars penetrate) formed in the guider 84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ressing holes 81. Therefore, the pressure port 81 prevents the phenomenon of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r 84 so as to always hold the posi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리드바수용부(22)에는, 플렌지홀더(30)의 간격에 대응하는 리미트스위치(11)를 형성하여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리드바수용부(2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리미트스위치(11)를 갖고 있다. 이는 함몰된 부위를 펴기 위한 파이프(A)의 길이에 맞춘 것이다. 파이프(A)의 길이는 규격에 따라 제작되고 있기에 규격화된 다수의 길이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 길이도 확정적이다. 따라서 작은 길이의 파이프(A)는 작은 길이 만큼만 리드바(80)가 연동하며 파이프(A)를 펴주고, 긴 길이의 파이프(A)는 그 길이에 따른 연동거리를 갖고 함몰된 부위를 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바로 이러한 한계와 제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리미트스위치(11)를 리드바수용부(22)에 비치하였다. 리미트스위치(11)는 리드바(80)와 연동한 거리를 실질적으로 감지하게 되는데, 실린더로드(95)와 리드바(80)를 연결하는 소켓(96)을 그 대상으로 삼을 수 있겠다. 소켓(96)이 리미트스위치(11)에 근접하면 이를 신호로 잡는 것이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bar accommodating part 22 may include a limit switch 11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lange holder 30 to control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lead bar receiving portion 22 has a limit switch 11 at regular intervals. This fits the length of the pipe A to straighten the recessed area. Although the length of the pipe A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lthough it has many standardized lengths, the length is also definite. Therefore, the small length of the pipe (A) is only a small length lead bar 80 is interlocking and straightening the pipe (A), the long length of pipe (A) has an interlock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length to extend the recessed site It is important. For this limitation and contro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switch 11 is provided in the lead bar accommodating part 22. The limit switch 11 substantially detects a distance interlocked with the lead bar 80, and may be a socket 96 connecting the cylinder rod 95 and the lead bar 80 as an object. If the socket 96 is close to the limit switch 11 is to take this signal.

다음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1)는, 컨트롤러(15)를 통해서 감지되며, 컨트롤러(15)의 조작부(16)를 통해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limit switch 11 is sensed through the controller 15, and controls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6 of the controller 15.

즉, 작업자는 외부하우징(20)에 장착되는 파이프(A)를 길이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연동거리를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의 조작부(16)에 연동거리에 따른 조작부(16)를 가압하게 되면, 실린더(90)는 그 실린더로드(95)와 리드바(80)를 조작된 연동거리만큼 이동시키려 할 것이고, 그 한계를 대응되는 리미트스위치(11)가 담당하는 것이다. 대응되는 리미트스위치(11)가 리드바(80)의 연동을 감지하고, 더 이상의 전진을 제어하게 되면, 컨트롤러(15)는 실린더로드(95)를 다시 수축시켜 다음의 작업을 대비하는 것이다.
That is, the operator grasps the length of the pipe (A) mounted on the outer housing 20, and calculates the interlocking distance corresponding thereto. When the operation unit 16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distance is pressed on the operation unit 16 of the controller 15, the cylinder 90 tries to move the cylinder rod 95 and the lead bar 80 by the operated interlocking distance. The limit switch 11 corresponds to the limit. When the corresponding limit switch 11 detects the interlock of the lead bar 80 and controls further advancement, the controller 15 contracts the cylinder rod 95 again to prepare for the next opera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은, 유압모터(E), 유압펌프 및 유압탱크(F)로 이루어진 유압시스템을 장착한 지지프레임(K)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또는 유압시스템과는 별도로 분리된다.
Fi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frame 2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K) equipped with a hydraulic system consisting of a hydraulic motor (E),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tank (F) or separately from the hydraulic system Are separated.

이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은 도 2와 5이다. 도면의 (a)에서는 지지프레임(K)을 별도로 가지지 않는 외부프레임(20)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의 (b)에서는 지지프레임(K)을 별도로 가진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복원기는 (b)에서처럼 유압시스템이 장착된 별도의 지지프레임(K)의 상단에 외부프레임(20)을 체결하고, 작업자가 선 자세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a)에서처럼 지지프레임(K) 없이 지면이나 선반 위에 외부프레임(20)을 장착하고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시스템을 위치시키고 작업을 해도 무방하다.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Figures 2 and 5 illustrate this in detail. (A) of the figure shows an outer frame 20 that does not have a support frame (K) separately, and (b) of the figure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support frame (K) separately. The restor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asten the outer frame 20 to the top of the separate support frame (K) equipped with a hydraulic system, as in (b), to allow the operator to work in a standing position. In addition, as shown in (a), the external frame 20 may be mounted on a ground or a shelf without a supporting frame K, and a hydraulic system provided separately may be located and operated. Both can be used.

20; 외부프레임 21; 파이프고정부
22; 리드바수용부 23; 실린더장착부
30; 플렌지홀더 31; 삽입홈
40; 클램프부 41; 가압홈
42; 클램프바 43; 힌지
44; 후크 45; 후크바
48; 탄성스프링 80; 리드바
81; 가압구 84; 가이더
90; 실린더 95; 실린더로드
96; 소켓
20; Outer frame 21; Pipe
22; Lead bar receiving portion 23; Cylinder Mount
30; Flange holder 31; Insert groove
40; Clamp portion 41; Pressurized Groove
42; Clamp bar 43; Hinge
44; Hook 45; Hook bar
48; Elastic spring 80; Lead bar
81; Pressure port 84; Guider
90; Cylinder 95; Cylinder rod
96; socket

Claims (10)

길이가 서로 다른 장형의 함몰 파이프(A)를 위치 고정시키는 파이프고정수단;
상기 파이프고정수단의 전방에서, 함몰된 파이프(A)의 내경을 향해 리드바(80)를 연동시키는 실린더(90);
리드바(80)의 끝단에 고정하되, 파이프(A)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진 가압구(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90)가 리드바(80)를 연동시키면, 상기 가압구(81)는 함몰된 파이프(A)의 내부로 들어가며 함몰된 부위를 펴주며,
상기 파이프고정수단은,
함몰된 파이프(A)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프레임(20);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되며, 2개의 판으로 형성하되 중심부에 파이프(A)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31)이 성형되는 플렌지홀더(30);
실린더(90)측과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함몰된 파이프(A)를 가압하여 연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클램프부(40);로 이루어져 함몰된 파이프(A)의 플렌지부(A-1)가 플렌지홀더(30)에 끼워지며, 클램프부(40)를 통해 파이프(A)의 첫 단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부(40)는,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일측에 힌지(67) 고정되고, 내측으로 파이프(A)의 외경과 대응되는 라운드진 가압홈(41)이 형성된 클램프바(42);
상기 외부프레임(20)의 타측으로 힌지(43) 고정되고, 끝단에 절곡된 후크(44)를 가진 후크바(45);가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바(42)가 가압홈(41)을 이용하여 파이프(A)의 외경을 가압하면, 그 끝단을 후크바(45)가 후크(44)로 걸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후크바(45)는,
탄성력을 통해서 후크바(45)가 항상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 탄성스프링(48)을 가지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은,
그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90)를 수용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파이프고정부(21), 리드바수용부(22), 실린더장착부(23)로 이루어져 리드바(80)와 실린더로드(95)는 소켓(96)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리드바(80)의 끝단에는, 리드바(80)를 관통한 상태로 가압구(81)의 연동을 제한하며, 리드바(80)의 연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84)가 체결되며,
상기 리드바수용부(22)에는,
상기 플렌지홀더(30)의 간격에 대응하는 리미트스위치(11)를 형성하여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
Pip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recessed pipe (A) of different lengths;
In front of the pipe fixing means, the cylinder 90 for interlocking the lead bar 80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ipe (A);
It is fixed to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 pressure port 81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A); is configured to include, when the cylinder 90 interlocks the lead bar 80, the The pressure port 81 enters the inside of the recessed pipe A and straightens the recessed portion,
The pipe fixing means,
An outer frame 20 installed with an upper portion opened to accommodate the recessed pipe A;
A flange holder 30 which is fasten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is formed of two plates,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31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accommodat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Clamp portion 40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ylinder 90 side to block the interlocking by pressing the recessed pipe (A); consisting of the flange portion (A-1) of the recessed pipe (A) is flanged Inserted into the holder 30, the first end of the pipe (A) is fixed through the clamp portion 40,
The clamp portion 40,
A clamp bar 42 having a hinge 67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having a round pressurized groove 41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inwardly;
Hinge 43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the hook bar 45 having a hook 44 bent at the end; is coupled to the clamp bar 42 using the pressing groove 41 When pressuriz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 the end of the hook bar 45 is prevented from hooking the hook 44,
The hook bar 45,
With an elastic spring 48 so that the hook bar 45 is always forced through the elastic force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outer frame 20,
The length thereof is extended to accommodate and fix the cylinder 90, and includes a pipe fixing part 21, a lead bar accommodating part 22, and a cylinder mounting part 23. 95) allows the connection to the socket 96,
To the end of the lead bar 80, the guider 84 for limiting the interlocking of the pressure port 81 in the state penetrating the lead bar 80, guides the interlocking of the lead bar 80 is fastened,
In the lead bar accommodating part 22,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hypothesi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imit switch (11)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lange holder 30 to control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1)는,
컨트롤러(15)를 통해서 감지되며, 컨트롤러(15)의 조작부(16)를 통해 상기 리드바(80)의 연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mit switch 11,
Detected by the controller 15, the recessed pipe restoring device of the hypothesis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interlocking distance of the lead bar 8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6 of the controller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은,
유압모터(E), 유압펌프 및 유압탱크(F)로 이루어진 유압시스템을 장착한 지지프레임(K)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또는 유압시스템과는 별도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frame 20,
Restoration of the recessed pipe of the hypothetical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K) equipped with a hydraulic system consisting of a hydraulic motor (E), hydraulic pump and hydraulic tank (F) or separated from the hydraulic system. group.
KR1020110020077A 2011-03-07 2011-03-07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KR101261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77A KR101261712B1 (en) 2011-03-07 2011-03-07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77A KR101261712B1 (en) 2011-03-07 2011-03-07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35A KR20120101935A (en) 2012-09-17
KR101261712B1 true KR101261712B1 (en) 2013-05-09

Family

ID=4711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77A KR101261712B1 (en) 2011-03-07 2011-03-07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2112A (en) * 2021-09-15 2021-12-03 桑尼泰克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Stamping and shaping equip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75B1 (en) * 2007-05-29 2009-03-04 주식회사 한영기계 Apparatus for steel pipe correc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75B1 (en) * 2007-05-29 2009-03-04 주식회사 한영기계 Apparatus for steel pipe correc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35A (en) 201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19Y1 (en) System scaffold
EP3443180B1 (en) Safety railing for formwork for floor slabs
KR101261712B1 (en) reshaping machine of support pipe
WO2017178459A1 (en) Anti-fall safety structure for formwork with load-bearing panels for floor slabs
KR102210482B1 (en) Flat tie cutting apparatus and its cutting method
KR102128700B1 (en) Cable hanger apparatus
KR101555815B1 (en) Clamping apparatus for connecting rope of post bar
KR101784397B1 (en) holder for installing fore detector
KR100742595B1 (en) Fixing clip for communication fiber optic cable
KR101283137B1 (en) A clamp for euro form
KR101643398B1 (en) Breast wall sleeve
EP2314796A1 (en) Cradle
KR101184249B1 (en) A rebar anchoring device anchoring method for reinforcing rod using of thereof
KR200481132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assembly of framework
KR20130035441A (en) Chain pin disassembling zig
KR101648698B1 (en) Plumbing supporter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KR20180002412U (en) Clamp for clamping formworks
KR20100137230A (en) Concrete placing leveler
KR101196778B1 (en) Rebar automatic binding device
KR101446009B1 (en) Concrete Form Contact Structure of Reclaiming Electric Box
KR101420378B1 (en) Supporting scaffold
KR101808107B1 (en) Fit Up Jig for Fin Plate
KR101779063B1 (en) Clamp for form
KR101619772B1 (en) Aluminum die retaining pin
KR101066289B1 (en) A mold fix flat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