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780B1 - 차량용 축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축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780B1
KR101260780B1 KR1020100133979A KR20100133979A KR101260780B1 KR 101260780 B1 KR101260780 B1 KR 101260780B1 KR 1020100133979 A KR1020100133979 A KR 1020100133979A KR 20100133979 A KR20100133979 A KR 20100133979A KR 101260780 B1 KR101260780 B1 KR 10126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medium
vehicl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158A (ko
Inventor
오광헌
전영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60H1/005Regenerative cooling means, e.g. cold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2열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분한 축냉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냉방 시 열교환기의 좌ㆍ우 온도 편차를 줄여 냉방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축냉 시스템{Cold reserv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2열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분한 축냉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냉방 시 열교환기의 좌ㆍ우 온도 편차를 줄여 냉방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을 담당하는 제1열교환매체의 경우에, 도 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 응축기(2), 팽창수단(3) 및 증발기(E)를 순환하며, 난방을 담당하는 제2열교환매체의 경우에, 도 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펌프(4)에 의해 엔진(5)을 순환하면서 엔진열을 흡수하고, 밸브(6)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되어 히터코어(H)를 통과하여 난방원으로 작용하거나 라디에이터(7)로 공급되어 방열된다.
최근, 자동차 운행 시, 정차되면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하고 다시 변속기의 조작으로 엔진이 재시동되도록 하는 아이들 스톱/고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동차의 냉방장치는 엔진에 의해 작동되므로 엔진이 정지될 경우, 압축기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쾌적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 내부의 열교환매체는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되므로 압축기가 동작되지 않는 짧은 시간동안 열교환매체가 기화되어 다시 엔진이 작동되어 압축기 및 열교환기가 작동되더라도 기화된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액화해야하므로 실내에 냉풍이 공급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소요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냉재를 이용하여 냉방장치가 가동될 때 열교환기에 의한 냉기를 저장하고 아이들 상태에서는 상기 축냉재의 냉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크게 열교환기와는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축냉장치와 열교환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개별적으로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기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0, 130)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냉ㆍ난방설정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히터코어(H)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템프도어(15); 및 상기 증발기(E)와 히터코어(H) 사이에 축냉재가 내장된 축냉기(16);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종래와 비교하여 축냉재가 내장된 축냉기가 형성됨으로써 조건에 따라 증발기의 토출온도를 상기 복수개의 축냉기 내부에 장입된 축냉재의 온도에 냉기를 저장하고, 아이들 상태에서 이를 방출하여 축냉에 의해 냉방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축냉기가 별도의 구성품으로 상기 증발기와 직렬로 배열됨에 따라, 축냉기가 구비되는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소요되어 공조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게 되며, 별도의 축냉기를 형성하고 장착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냉기는 증발기와 열교환된 공기와 2차로 열교환되므로 축냉 성능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축냉 효율은 상기 축냉기를 순환하는 전체 축냉재 용량에 영향을 받는데, 축냉재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하여 소형화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냉ㆍ난방 설정에 따라 엔진 냉각용 제2열교환매체가 제1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고 전달함으로써 축냉에 의해 냉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2열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제2열교환매체의 순환량을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축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좌ㆍ우 온도편차를 줄여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으면서도 연통홀의 크기 및 개수를 한정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압축기(2100), 응축기(2200), 팽창수단(2300), 및 증발기(2400)가 형성된 제1순환라인(2000)에 구비되며, 상기 제1순환라인(2000)을 순환하는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및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열교환매체에 의해 상기 제1열교환매체의 냉기가 저장되는 축냉열교환기(100); 상기 축냉열교환기(100)의 제2유동부(102)와 연결되며, 이송수단(210)에 의해 제2열교환매체가 순환되는 제2순환라인(200);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포함하여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열교환기(300)는 한 쌍의 헤더탱크(310)와, 상기 헤더탱크(310)에 양단이 고정되며 전열 열교환부(341)와 후열 열교환부(342)를 형성하는 2열의 튜브(340)와, 상기 튜브(340) 사이에 개재되는 핀(350)과,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310) 중 일측 헤더탱크(310)의 전열 열교환부(341)와 연통되어 상기 제2순환라인(200)을 통해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31)와, 후열 열교환부(342)와 연통되어 제2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3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열 열교환부의 폭(W342)이 전열 열교환부의 폭(W34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연결하는 연통부(321)가 상기 입구파이프(331) 및 출구파이프(332)가 형성된 헤더탱크(310)의 타측 헤더탱크(3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통부(321)는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의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 위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통부(321)는 복수개의 연통홀(321a)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연통홀(321a)은 상기 튜브(340) 사이 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321a)은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의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 위치에 포함되는 튜브(340) 또는 핀(35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축냉열교환기(100)는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판형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은 사용자의 냉ㆍ난방 설정에 따라 엔진 냉각용 제2열교환매체가 제1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고 전달함으로써 축냉에 의해 냉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은 2열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제2열교환매체의 순환량을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축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은 열교환기의 좌ㆍ우 온도편차를 줄여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으면서도 연통홀의 크기 및 개수를 한정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방시스템 및 난방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 및 AA'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튜브열에 따른 유량 분배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2열교환매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의 축냉열교환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축냉열교환기(100), 제2순환라인(200), 및 열교환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축냉열교환기(100)는 제1열교환매체가 순환되는 제1순환라인(2000)에 구비되어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와, 축냉을 위한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유동부(101)와 제2유동부(102)는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유동부(101) 내부를 유동하는 제1열교환매체와 상기 제2유동부(102) 내부를 유동하는 제2열교환매체는 온도 차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제1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1열교환매체는 압축기(2100), 응축기(2200), 팽창수단(2300), 및 증발기(24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며, 상기 압축기(2100), 응축기(2200), 팽창수단(2300) 및 증발기(2400)는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어 제1순환라인(2000)을 형성한다.
상기 압축기(2100)(Compressor)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증발기(2400)로부터 토출된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한다.
상기 응축기(2200)(Condenser)는 상기 압축기(21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상기 팽창수단(2300)은 상기 응축기(22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팽창하여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교축하는 수단이다.
상기 증발기(2400)는 상기 팽창수단(2300)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한다.
이 때, 상기 축냉열교환기(100)는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증발기(2400)와 압축기(210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2400)를 통과한 제2열교환매체는 압축기(2100)로 이송되기 전 제2열교환매체와 열교환되는데,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상기 증발기(2400)의 냉방 성능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제2열교환매체가 냉기를 저장할 수 있어 축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축냉열교환기(100)는 상기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판형열교환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판형열교환기의 일 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판형열교환기는 더욱 상세하게, 판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영역 중공되며 중공된 둘레부분이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홀(121) 및 제2홀(122)과, 중공된 둘레부분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홀(123) 및 제4홀(124)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111); 및 판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영역이 중공되며 중공된 둘레 부분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홀(121) 및 제2홀(122)과, 중공된 둘레부분이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홀(123) 및 제4홀(124)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112)가 교번되어 적층된다.
이 때, 상기 제1플레이트(111) 및 제2플레이트(112)의 각 홀들은 이웃하는 플레이트(110)의 홀과 접합됨으로써 상기 제1플레이트(111)의 상측에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112)의 상측에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홀(121) 및 제2홀(122)의 일측에는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순환라인(2000)과 연통되며, 상기 제3홀(123) 및 제4홀(124)의 일측에는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순환라인(200)과 연통된다.
이 때, 상기 판형열교환기는 상기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 배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순환라인과 연결되는 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서, 상기 제1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파이프가 판형열교환기의 상측에,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파이프가 판형열교환기의 하측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2순환라인(200)은 상기 축냉열교환기(100)의 제2유동부(102)와 연결되어 이송수단(210)에 의해 제2열교환매체가 순환되는 구성이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제2순환라인(200) 상에 구비되되,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포함하여 공기와 열교환되는 구성이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제2열교환매체가 순환되는 공간으로 2열의 열교환부가 형성됨으로써 제2열교환매체의 전체 용량을 증대하여 축냉을 담당하는 제2열교환매체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300)는 냉방 시, 내기와 열교환되어 축냉을 보조하는 구성으로서, 제1열교환매체의 순환이 정지되는 아이들 상태에서 저장된 냉기를 방출하여 냉방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00)는 한 쌍의 헤더탱크(310)와, 상기 헤더탱크(3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전열 열교환부(341)와 후열 열교환부(342)를 형성하는 2열의 튜브(340)와, 상기 튜브(340) 사이에 개재되는 핀(350)과, 전열 열교환부(34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입구파이프(331) 및 후열 열교환부(34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출구파이프(3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상기 열교환기(300)의 좌ㆍ우 온도 편차를 줄이며, 열교환에 의해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전열 열교환부의 폭(W341)에 비교하여 상기 후열 열교환부의 폭(W342)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후열 열교환부의 폭(W342)이 전열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후열 열교환부(342)에서 축냉 열용량을 보다 증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되는 공기와 저장된 축냉열이 열교환되어 전체 열교환기(300)의 좌ㆍ우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전열 열교환부의 폭(W341)은 공기 흐름방향으로 전측에 위치한 튜브(340)의 폭을 의미하며, 후열 열교환부의 폭(W342)은 공기 흐름방향으로 후측에 위치한 튜브(340)의 폭을 의미한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연결하는 연통부(321)가 상기 입구파이프(331) 및 출구파이프(332)가 형성되지 않은 헤더탱크(310)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321)는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의 위치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도 6에서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하측 헤더탱크(310)의 우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헤더탱크(300) 전체의 너비에서 좌측이 100 우측이 0이 된다.
상기 열교환기(300)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의 위치는 상기 입구파이프(331)의 형성 부분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의 헤더탱크(310) 단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연통부(321)는 전열 열교환부(341)와 후열 열교환부(342)를 서로 연결하여 제2열교환매체가 연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연통홀(321a)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열교환기(300)의 튜브열에 따른 유량 분배율을 나타낸 도면으로 전체 영역에 연통부가 형성된 종래 기술과,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 위치에 연통부(321)가 형성되는 본 발명을 비교하였다.
상기 튜브열이란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3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튜브(340)를 의미하며, 상기 도 7의 X축에서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을 0 상기 출구파이프(332)가 형성된 측을 100으로 표시하였다.
아울러,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열교환기(300)를 기준으로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위치된 우측을 0으로 표시하였다.
도면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대체적으로 상기 입구파이프에 인접한 영역에서 유량이 많으며, 상기 입구파이프에서 멀어질수록 유량이 적어짐에 따라 온도 편차가 유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상기 연통부(321)가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의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300) 길이방향으로 전체 튜브(340)에서 제2열교환매체가 고르게 배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전열 열교환부(341)와 후열 열교환부(342)의 제2열교환매체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홀(321a)은 상기 튜브(340) 사이 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튜브(340) 사이 영역 중 하나를 도면부호 A로 표시하고, 빗금으로 표시하였다.)
즉, 상기 헤더탱크(310) 내부의 격벽(320)은 연통홀(321a)이 형성되되, 상기 튜브(34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튜브(340) 사이 영역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통홀(321a)의 개수 역시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의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의 위치에 포함되는 튜브(340) 또는 핀(350)의 개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열교환기(300)는 입구파이프(331)가 도면 우측 하부에, 출구파이프(332)가 도면 좌측 하부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의 제1열교환매체 및 제2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교환매체는 압축기(2100), 응축기(2200), 팽창수단(2300), 증발기(2400) 및 축냉열교환기(100)를 제1순환라인(2000)을 통해 순환하며, 상기 제2열교환매체는 상기 축냉열교환기(100) 및 열교환기(300)를 제2순환라인(200)을 통해 순환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1000)은 2열의 열교환기(300)를 이용하여 제2열교환매체에 의한 충분한 축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300)의 좌ㆍ우 온도 편차를 줄여 사용자의 냉방쾌적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차량용 축냉 시스템
100 : 축냉열교환기
101 : 제1유동부 102 : 제2유동부
110 : 플레이트
(111 : 제1플레이트, 112 : 제2플레이트)
121 : 제1홀 122 : 제2홀
123 : 제3홀 124 : 제4홀
200 : 제2순환라인
210 : 이송수단
300 : 열교환기
310 : 헤더탱크
320 : 격벽 321 : 연통부
321a : 연통홀
331 : 입구파이프 332 : 출구파이프
340 : 튜브
341 : 전열 열교환부 W341 : 전열 열교환부의 폭
342 : 후열 열교환부 W342 : 후열 열교환부의 폭
350 : 핀
2000 : 제1순환라인
2100 : 압축기 2200 : 응축기
2300 : 팽창수단 2400 : 증발기

Claims (7)

  1. 압축기(2100), 응축기(2200), 팽창수단(2300), 및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2400)가 형성된 제1순환라인(2000);
    상기 제1순환라인(2000)의 증발기(2400)와 압축기(2100) 사이에, 상기 증발기(2400)를 통과한 제1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1유동부(101) 및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유동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열교환매체에 의해 상기 제1열교환매체의 냉기가 저장되는 축냉열교환기(100);
    상기 축냉열교환기(100)의 제2유동부(102)와 연결되며, 이송수단(210)에 의해 제2열교환매체가 순환되는 제2순환라인(200); 및
    상기 제2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포함하되, 공기 흐름방향으로 상기 증발기(2400)의 전측 또는 후측에 구비되어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열교환기(300)는 한 쌍의 헤더탱크(310)와, 상기 헤더탱크(310)에 양단이 고정되며 전열 열교환부(341)와 후열 열교환부(342)를 형성하는 2열의 튜브(340)와, 상기 튜브(340) 사이에 개재되는 핀(350)과,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310) 중 일측 헤더탱크(310)의 전열 열교환부(341)와 연통되어 상기 제2순환라인(200)을 통해 제2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331)와, 후열 열교환부(342)와 연통되어 제2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33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열 열교환부의 폭(W342)이 전열 열교환부의 폭(W34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300)는 상기 전열 열교환부(341) 및 후열 열교환부(342)를 연결하는 연통부(321)가 상기 입구파이프(331) 및 출구파이프(332)가 형성된 헤더탱크(310)의 타측 헤더탱크(3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321)는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의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 위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321)는 복수개의 연통홀(321a)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연통홀(321a)은 상기 튜브(340) 사이 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321a)은 상기 입구파이프(331)가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열교환기(300)의 길이 방향의 30 내지 90 % 위치에 포함되는 튜브(340) 또는 핀(35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열교환기(100)는 플레이트(110)의 적층방향으로 상기 제1유동부(101) 및 제2유동부(102)가 교번되어 형성되는 판형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축냉 시스템.
KR1020100133979A 2010-12-23 2010-12-23 차량용 축냉 시스템 KR101260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979A KR101260780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용 축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979A KR101260780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용 축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158A KR20120072158A (ko) 2012-07-03
KR101260780B1 true KR101260780B1 (ko) 2013-05-06

Family

ID=4670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979A KR101260780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용 축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702B1 (ko) * 2022-03-28 2024-01-19 현대로템 주식회사 축냉열교환기를 적용한 발열체용 열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379A (ja) * 1999-11-11 2001-05-25 Showa Alum Corp 複式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379A (ja) * 1999-11-11 2001-05-25 Showa Alum Corp 複式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158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673B2 (en) Cold-storage heat exchanger
KR102205848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1542978B1 (ko) 차량용 쿨링모듈
US20150007971A1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US20100223949A1 (en) Evaporator with cool storage function
KR1014921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9951996B2 (en) Refrigerant evaporator
US20130292101A1 (en) Fluid/Fluid Heat Exchanger
KR20140143650A (ko) 차량용 쿨링모듈
KR101320329B1 (ko) 축냉 증발기
KR102205847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1260780B1 (ko) 차량용 축냉 시스템
KR101564350B1 (ko) 핀리스 축냉 열교환기
KR101527892B1 (ko) 축냉 열교환기
JP2005106339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02609386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91030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198639B1 (ko) 차량용 냉방 및 난방 시스템
KR20110053761A (ko) 차량냉방용 축냉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1028B1 (ko) 축냉 증발기
KR101564346B1 (ko) 축냉 열교환기
KR20110100002A (ko)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이중 증발기
KR20100056644A (ko) 축냉 열교환기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1527888B1 (ko) 축냉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