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77B1 -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77B1
KR101260677B1 KR1020120097980A KR20120097980A KR101260677B1 KR 101260677 B1 KR101260677 B1 KR 101260677B1 KR 1020120097980 A KR1020120097980 A KR 1020120097980A KR 20120097980 A KR20120097980 A KR 20120097980A KR 101260677 B1 KR101260677 B1 KR 10126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er
canvas
paper
inf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창
이창진
Original Assignee
대양제지공업(주)
(주)태광피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제지공업(주), (주)태광피엠씨 filed Critical 대양제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09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18Drying webs by hot air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공정 중에서 건조부의 지필을 건조함에 있어 건조그룹과 건조그룹의 사이 하단 유휴공간에 인피니티 드라이어,열풍공급기 및 캔바스를 설치하여 지필을 이중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한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제2건조그룹(100)(200) 사이의 하단 메인프레임(F)에 대형 인피니티 드라이어(10)를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 지필(A)을 감싸는 캔버스(20)를 다수의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시키되 하단 일측에는 텐션 롤(22)를 설치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캔버스(20)는 터치 롤(30)에 의해 인피니티 드라이어(10)에 밀착되고 제2건조그룹(200)의 하단에 설치된 버큠 롤(40)을 통과하면서 캔버스(20)가 함유한 수분을 흡착하게 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캠버스(20)의 외부 일측에 열풍건조기(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Paper machine of dual drying system}
본 발명은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공정 중에서 건조부(Dryer Part)의 지필을 이중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한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Dryer Cylinder)로 형성되는 다수의 건조그룹을 이루어 지필를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에서 상기 건조그룹과 건조그룹의 사이 하단 유휴공간에 인피니티 드라이어(Infinity Dryer),열풍공급기 및 캔바스(Canvas)를 설치하여 지필을 이중으로 건조시켜 지필의 건조량,속도 및 제품 성능을 향상시키고 건조공정의 라인을 축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제조하는 초지공정은 원료를 도입하여 헤드박스(Head Box)를 통하여 습 지필을 형성하고 금망부(Wire Part)로 구성되는 초조부과 습 지필의 수분을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탈수시키는 압착부(Press Part)와 압착부에서 가압 착수된 지필을 원통형 실린더로 구성된 드라이어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실린더의 표면열로 지필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드라이어를 통과한 건조된 지필을 캘린더(Calender)를 통과하면서 압력과 마찰로 균일한 두께와 광택을 형성하는 광택부(CAlender Part)와 캘린더를 통과한 완성된 종이를 포프 릴(Pope Rell)과 스프로 롤(Spllo Roll)에 권취되고 재권취(Rewinding),포장 및 마킹되는 완정을 통한 권취 및 완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스에서 가압 착수된 지필은 50%전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 지필은 구성면이 손상되지 않는 한 그 이상의 가압착수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습 지필은 열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를 통하여 건조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드라이어(Dryer)라 한다.
상기 드라이어는 원통형의 실린더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여 실린더의 표면을 가열하여 습 지필이 실린더의 표면열에 의하여 건조되는 것으로 프레스를 통과한 습 지필은 드라이어에서 서서히 가열되어야 하고 지필과 실린더의 온도차가 크게 되면 실린더 표면에 지필표면이 부착(지필표면 뜯김)됨은 물론 섬유가 약화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두꺼운 종이의 경우에는 층 분리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초기 지필 유입부는 약 70℃를 유지하고 점차 상승시켜 100-130℃를 유지하고 말단에서는 지필의 과열이 없도록 약간 저온을 유지하여 지필의 최종단계인 포프 릴에서는 약 7-9%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의 초지공정에서 건조부는 프레스를 통과한 지필을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로 형성된 다수의 건조그룹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지필을 건조하였다.
즉,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원통형)로 구성된 제1건조그룹을 통과한 지필을 역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제2건조그룹,제3건조그룹.....등으로 순차적으로 드라이어 실린더의 온도를 상향조정하면서 통과시켜 건조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건조공정은 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로 형성된 제1,제2,제3,제4건조그룹...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자동화 공정이 길어져서 공장의 점유면적이 증대되고 종이의 건조량과 건조속도가 저하되고 종이제품의 양면성과 광택성이 떨어지며 드라이어 표면에 피치(Pitch:지필 뜯김,이물질부착)가 부착되는 등으로 인한 드라이어 표면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로 형성된 각 군의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유휴공간에 대형 인피니피티 드라이어,열풍건조기 및 캔버스를 설치하여 기존에 형성된 드라이어 실린더군과 함께 건조작업을 수행하므로 지필의 건조량과 속도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한 제품의 양면성과 광택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드라이어 실린더 표면에 부착되던 피치의 량이 감소되며 상기 인피니피티 드라이어,열풍건조기 및 캔버스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이 기존 프레임의 하단 유휴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설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축비,설비비 및 이설비 등이 절약되고 각각의 건조그룹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종이의 건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제1,제2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메인프레임에 대형 인피니티 드라이어를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 지필을 감싸는 캔버스를 다수의 캔버스 롤에 의해 회전시키되 하단 일측에는 텐션 롤를 설치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캔버스는 터치 롤에 의해 인피니티 드라이어에 밀착되고 제2건조그룹의 하단에 설치된 버큠 롤을 통과하면서 캔버스가 함유한 수분을 흡착하게 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캠버스의 외부 일측에 열풍건조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중 건조장치는 제1,제2건조그룹의 사이뿐만 아니라 연속되는 후단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공간에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인피니티 드라이어의 상부 중앙에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치하고 내부로 스팀 압을 공급하며 그 지름은 3400-4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초지기의 건조부에서 기존 건조그룹 사이의 공간 하단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인피니티 드라이어,캔버스 및 열풍건조기로 구성된 이중 건조장치를 설치하여 지필의 건조량과 속도를 증대하고 제품의 양면성과 광택성을 향상시키며 드라이어 실린더 표면에 부착되던 피치의 량이 감소되고 이중 건조장치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고 기존설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축비,설비비 및 이설비 등이 절약되며 건조그룹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종이 건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개념도로 초지기의 건조부에 있어 각각의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공간에 인피니피티 드라이어,열풍건조기 및 캔버스를 설치하여 프레스를 통과한 지필을 이중으로 건조할 수 있게 한 장치를 도시하였다.
초지기의 건조부에서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101)(101')로 구성된 제1건조그룹(100)과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201)(201')로 구성된 제2건조그룹(200) 사이의 하단 유휴공간에 설치되는 이중 건조장치(M)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건조그룹(100)(200) 사이의 하단 메인프레임(F)에 대형 인피니티 드라이어(10)를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 지필(A)을 감싸는 캔버스(20)를 다수의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시키되 하단 일측에는 텐션 롤(22)를 설치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캔버스(20)는 터치 롤(30)에 의해 인피니티 드라이어(10)에 밀착되고 제2건조그룹(200)의 하단에 설치된 버큠 롤(40)을 통과하면서 캔버스(20)가 함유한 수분을 흡착하게 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캠버스(20)의 외부 일측에 열풍건조기(50)를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이중 건조장치(M)는 제1,제2건조그룹(100)(200)의 사이뿐만 아니라 연속되는 후단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공간에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상부 중앙에는 이물질 제거장치(60)를 설치하고 내부로 스팀 압을 공급하며 그 지름은 3400-4000mm인 것으로 하였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51)은 열풍공급구,(52)(52')는 열풍배출구,(S)(S')는 프레임 서포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초지기의 건조부에서 별도의 인피니티 드라이어(10),캔버스(20) 및 열풍건조기(50)로 구성된 이중 건조장치(M)를 각각의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유휴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신규설비뿐만 아니라 기존설비에도 건축비.설비비 및 이설비용을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설치가능케 하고 지필의 건조량과 속도를 증대와 제품의 양면성과 광택성을 향상시키며 드라이어 실린더 표면에 부착되던 피치의 량이 감소되고 건조그룹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종이 건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게 이중 건조장치(M)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건조장치(M)는 크게 인피니티 드라이어(10),캔버스(20) 및 열풍건조기(50)로 구성된다.
상기 이중 건조장치(M)는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101)(101')(201)(201')로 구성된 제1,제2건조그룹(100)(200)의 사이 하단 유휴공간인 프레임(F)에 인피니티 드라이어(10)를 설치한다.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는 그 지름이 3400-4000mm의 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중앙에는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표면에 피치 또는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장치(60)가 설치되고 그 내부로는 스팀 압을 공급하여 외부표면의 열로 지필을 건조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프레임(F)에 설치된 저압의 스팀 압이 공급되는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 표면으로 제1건조그룹(100)의 드라이어 실린더(101)(101')를 통과한 지필(A)이 인입되어 건조되고 이때 지필(A)이 통과하는 외부에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하는 캔버스(20)가 지필(A)를 감싸면서 함께 회전하여 지필(A)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하는 것이다.
상기의 캔버스(20)는 다수의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하고 캔버스(20)가 회전하는 라인의 일측에는 텐션 롤(22)을 설치하여 캔버스(20)의 내측과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 표면을 사이를 타고 회전하는 지필(A)과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인피니티 드라이어(10),지필(A) 및 캔버스(20)가 함께 회전하는 외부 일측에는 터치 롤(30)을 설치하여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지필(A) 및 캔버스(20)가 밀착되게 하였다.
상기의 수분을 흡착한 캔버스(20)는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하면서 인피니티 드라이어(10) 타측단의 제2건조그릅(200)의 하단에 설치된 버큠 롤(40)을 통과시에 버큘 롤(40)이 캔버스(20)의 수분을 흡착하고 캔버스(20)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반복작동 한다.
상기의 인피니티 드라이어(10)를 통과한 지필(A)은 제2건조그룹(200)의 드라이어 실린더(201)(201')로 인입되면서 순차적으로 건조시킨다.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상부 중앙에는 이물질제거장치(60)를 설치하여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 표면에 부착된 피치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제1,제2건조그룹(100)(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인피니티 드라이어(10),캔버스(20) 및 열풍건조기(50)로 구성되는 이중 건조장치(M)는 제1,제2건조그룹(100)(200) 사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건조부의 후속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유휴공간에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이중 건조시킬 수 있게 하여 건조부의 자동화 라인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인피니티 드라이어 20: 캔버스
21,21': 캔버스 롤 22: 텐션 롤
30: 터치 롤 40: 버큠 롤
50: 열풍건조기 60: 이물질 제거장치
100: 제1건조그룹 101,101': 드라이어 실린더
200: 제2건조그룹 201,201': 드라이어 실린더
A: 지필 F: 메인프레임
M: 이중 건조장치

Claims (3)

  1. 초지기의 건조부에서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101)(101')로 구성된 제1건조그룹(100)과 다수의 드라이어 실린더(201)(201')로 구성된 제2건조그룹(200) 사이의 하단 공간에 설치되는 이중 건조장치(M)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건조그룹(100)(200) 사이의 하단 메인프레임(F)에 대형 인피니티 드라이어(10)를 설치하고 그 외주연에 지필(A)을 감싸는 캔버스(20)를 다수의 캔버스 롤(21)(21')에 의해 회전시키되 하단 일측에는 텐션 롤(22)를 설치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캔버스(20)는 터치 롤(30)에 의해 인피니티 드라이어(10)에 밀착되고 제2건조그룹(200)의 하단에 설치된 버큠 롤(40)을 통과하면서 캔버스(20)가 함유한 수분을 흡착하게 하며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외주연을 회전하는 캠버스(20)의 외부 일측에 열풍건조기(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건조장치(M)는 제1,제2건조그룹(100)(200)의 사이뿐만 아니라 연속되는 후단 건조그룹 사이의 하단 공간에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피니티 드라이어(10)의 상부 중앙에는 이물질 제거장치(60)를 설치하고 내부로 스팀 압을 공급하며 그 지름은 3400-40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KR1020120097980A 2012-09-05 2012-09-05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KR10126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80A KR101260677B1 (ko) 2012-09-05 2012-09-05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80A KR101260677B1 (ko) 2012-09-05 2012-09-05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677B1 true KR101260677B1 (ko) 2013-05-22

Family

ID=4866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80A KR101260677B1 (ko) 2012-09-05 2012-09-05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6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24A1 (en) 1996-08-20 1998-02-26 Beloit Technologies, Inc. Air caps for two tier double felted dryer
JP2005320674A (ja) 2004-05-07 2005-11-17 Voith Paper Patent Gmbh 繊維ウェブを製造する機械の乾燥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924A1 (en) 1996-08-20 1998-02-26 Beloit Technologies, Inc. Air caps for two tier double felted dryer
JP2005320674A (ja) 2004-05-07 2005-11-17 Voith Paper Patent Gmbh 繊維ウェブを製造する機械の乾燥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1466A (en) Air impingement web drying method and apparatus
US3354035A (en) Continuous process of drying uncoated fibrous webs
US430228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imprinted paper
NO823469L (no) Hurtig toerking av papir.
US2919495A (en) Process of papermaking
RU2768672C2 (ru) Способы производства бумажных продук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зорчатого цилиндра
JP2004538390A (ja) 繊維性構造体の乾燥方法
FI124698B (fi) Sovitelma paperikoneessa
US2020037806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issue paper
US20140053998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material web
US2224803A (en) Apparatus for drying paper
KR101260677B1 (ko) 초지기의 이중 건조장치
US3367035A (en) Drying on air supported belt
KR101779911B1 (ko) 한쪽면에 펠트패턴이 형성된 원지를 이용한 지관의 제조방법
US2433122A (en) Felt and drum assembly for drying webs
US5522151A (en) Single tier dryer section with dual reversing rolls
JP6445881B2 (ja) 抄紙装置
JP5901029B2 (ja) 乾燥繊維質材料を乾燥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6042013A (ja) シガレットペーパーの帯の乾燥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シガレットペーパー
US20080236776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aper Web, Especially Rotogravure Paper
CA2711045C (en) Device and process for dewatering a material web
KR100634278B1 (ko) 종이 초지공정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291366B (zh) 用于制造纤维料幅的设备
US20050086834A1 (en) Device for drying a paper web
CN103154360A (zh) 用于干燥纸浆的方法和用于干燥纸浆的吸水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