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03B1 -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 Google Patents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03B1
KR101260503B1 KR1020130003132A KR20130003132A KR101260503B1 KR 101260503 B1 KR101260503 B1 KR 101260503B1 KR 1020130003132 A KR1020130003132 A KR 1020130003132A KR 20130003132 A KR20130003132 A KR 20130003132A KR 101260503 B1 KR101260503 B1 KR 10126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lar cell
cell module
mounting por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이행
Original Assignee
김이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행 filed Critical 김이행
Priority to KR102013000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5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03B1/en
Priority to PCT/KR2014/000186 priority patent/WO20141095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3Energy storage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a capacitor integrated with a PV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02S20/25Roof til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including a solar cell module is provided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between panels, to serially connect the panels, and to omit an electrical wiring process. CONSTITUTION: A conducting block(20) includes a body part(21), a wing part(22), and a protrusion part(23)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The wing part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part of a panel. A pair of combining parts(24)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conducting block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ion block(30) is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art of the panel. A corresponding connection part(34)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and electrically connects a positive electrode to a negative electrode.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with solar cell module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장재, 특히 지붕 대용으로 사용가능한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에 이용될 수 있는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상호 결합하여 건축물 외장재를 이루는 패널의 연결부에 패널의 태양전지 모듈을 상호 통전시킴과 동시에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ng assembly that can be used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 building, in particular, a roof, and a panel forming a building exterior by combining the first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that blocks the penetration of moisture while simultaneously energizing a solar cell module of a panel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panel.

우선 건축물의 내외장용 패널, 특히 지붕에 설치되는 패널은 단열 및 방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데, 종래에 석재 패널 또는 금속패널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First of all, the interior and exterior panels of a building, especially a panel installed on a roof, are configured to realize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and stone panels or metal panels have been used in the past.

그리고 기술의 발전을 통한 다양한 전자제품의 활용과 지구 온난화 등에 의한 이상 기후 발생으로 인하여 하절기 및 동절기에 냉난방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전력 소비량 역시 급증하여 이에 따른 국가적인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use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occurrence of abnormal climat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 use of air conditioners in summer and winter soared, leading to the rapid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력 소비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 바로 태양 전지를 활용한 방안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reduce the burden of power consumption for the user, the solar cell is an alternative.

태양전지라 함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무제한의 전력을 자가 발전시켜 건축물의 전력 소비에 이용함으로써, 전력 소비 급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The solar cell is a representative way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by using the solar power to generate unlimited power by self-generation.

이러한 태양전지는 많은 기술 발전으로 발전 효율이 많이 상승하였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루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 태양전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Such solar cells have increase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many technological developments, but have not yet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the current solar cell, a lot of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이러한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건축물이 지붕이나 외벽에 태양전지 모듈을 일체화하여 외장재로써 활용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space limitations, many buildings have solved the above problems by integrating solar cell modules on roofs or exterior walls and using them as exterior materials.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을 활용한 패널 또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을 구성하는 외장재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9655호(2008.11.12.)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태양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건물의 지붕 패널 등에 설치되는 지붕 패널용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태양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Conventional technology for exterior materials constituting a roof or an outer wall of a panel or a building using such a solar cell module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69655 (2008.11.12.) The invention can collect solar ener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panel module for a roof panel installed in a roof panel of a building, and a solar energy collection device using the same.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1069호(2000.01.10.)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광기전력 소자는 보강 판에 고정되고, 상기 광기전력 소자로부터 외부로 전력을 인출하는 복수의 접합 상자는 보강 판의 반광 수용면 측 상에 제공되고, 접합 상자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 제1 스페이서 부재는 보강 판의 2개의 반대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제2 스페이서부재는 상기 복수의 접합 상자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이 지붕에 적용될 때, 제1 스페이서 부재는 지붕 기판 재료 상에 고정되고, 지붕 재료 및 지붕 기판 재료 사이에 한정된 공간은 외부 공기에 개방되고, 그 공간은 리지에서 집 내부와 연통되는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합체된 지붕 재료에 관한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251069 (2000.01.10.), The invention is a photovoltaic device is fixed to the reinforcing plate, a plurality of junctions for drawing power to the outside from the photovoltaic device The box is provided on the semi-light receiving surfac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the first spacer member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junction box is disposed along two opposite sides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spac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junctions. It is configured to be placed between the boxes. When the solar cell module is applied to the roof, the first spacer member is fixed on the roof substrate material, the space defined between the roof material and the roof substrate material is open to the outside air, and the spa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house at the ridge. A battery module and a roofing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112호(2009.08.06.)가 있는데,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5112 (2009.08.06.),

상기 발명은 지붕 시스템 구성요소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판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물에 배치되는 에너지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 전지판은 지붕 시스템 구성요소와 일체형일 수 있는 후크 및 루프 체결구로 지붕 시스템 구성요소에 고정되는 지붕 멤브레인에 대한 태양 전지판의 후크 및 루프 부착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generating system disposed in a roof structure, comprising one or more solar panels secured to the roof system component, wherein the solar panel comprises a roof system configuration with hook and loop fasteners that can be integral with the roof system component. A hook and loop attachment of a solar panel to a roof membrane secured to an element.

그 밖에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0989599호(2010.10.25.)가 있는데,In addition, the prior art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89599 (2010.10.25.),

상기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배선,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와 합착되어 있고 상기 배선이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붕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재는 이웃하는 지붕재와 암, 수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출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한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지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roof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solar cells, and a junction box bonded to the solar cells and the wires embedded therein. Including, the roofing material is coupled to the neighboring roofing material and the male, male coupling method and electrically connected, so as to improve the output as well as to a roof including a solar cell easy to install.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모두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위한 복수의 배선 등을 위하여 별도의 정션박스(스페이스부재) 등이 필요하여 공간적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 또한 난해하고, 복잡한 배선에 따른 연결 등에 의하여 지붕재(이하에서는 패널이라 통칭함)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l of the above inventions require a separate junction box (space member) or the like for a plurality of wirings for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a solar cell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roof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nel) is not easy due to the connection according to.

상기 발명들과 다른 건축물의 외장재용 금속패널로써, 거멀접기형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거멀접기형 패널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및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되고, 네 변 중 인접한 두변이 상면을 향하여 절곡되고 나머지 두변이 하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As metal panels for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different from the above inventions, a mulberry folding panel is used. The foldable panel is composed of a square, rectangular and rhombus shape, and has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wo adjacent sides of four sides are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the remaining two sides are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이 건축물 외장용 거멀접기형 패널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각각 클립이나 고정 못 등에 의하여 지붕이나 외벽에 고정 설치된다.The exterior folding panels for building exteriors are fixed to the roof or the outer wall by clips or fixing nails, respectively, wit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그런데 이 건축물 내외장용 거멀접기형 패널에 태양전지 모듈을 도입할 경우 패널 상호간에 태양전지 모듈을 통전시키기 위하여 전선 등의 부자재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빗물 등이 침투하여 누전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when the solar cell module is introduced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exterior folding panels of the building, the panels must be connected with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electric wires in order to energize the solar cell modules. This is not only complicated and difficult, but also formed between the panels. Rainwater or the like penetrates into the gap, causing a short circui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호 연결되는 패널의 연결부에 패널의 태양전지 모듈을 상호 연결하여 통전시킴과 동시에 빗물 등의 수분이 패널 내부로 역류하여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하여 패널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통전블록과 연결블록 및 태양전지 모듈을 통전시키는 통전수단을 구비한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nergizing block that connects the solar cell modules of the panel to each other and connects them to each other to prevent electricity from flowing back into the pane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having an electricity supply means for energizing a connection block and a solar cell module.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통전 방향이 패널 바디의 대각선방향 또는 바디의 일변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져 패널의 직렬 연결이 가능하도록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연결된 연결블록의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와 결합하는 통전블록의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통전수단을 구비한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rection of the energization of the panel in a straight direction along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panel body or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block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to enable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pane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having an energization means consisting of a coupling portion of an energization block to be coupled.

나아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외장재 작업 중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의 설치 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including a detachable connection block in order for a worker to provide convenience of work during installation of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during exterior 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모서리에 고정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바디의 두변에서 상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1장착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된 두변에서 하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2장착부로 이루어진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패널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 패널의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A body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fixing portion at one corner,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at two sides of the body adjacent to the fixing portion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at two sides spaced from the fixing portion. In comprising a plurality of panels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and a solar cell modul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ntinuously connec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each panel,

상호 연결되는 패널의 양전극과 음전극을 연결하여 통전시킴과 동시에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하여 패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In order to connect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to be interconnected and to conduct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panel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panel,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양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제1장착부에 삽입되는 날개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통전블록; An energizing block formed of a body part, wing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part of the panel, and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상기 제2장착부와 고정되고, 상기 통전블록과 결합하는 연결블록; 및A connection block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energization block; And

연결되는 패널들 상호간 통전되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comprises a; conducting means for energizing the panel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에서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통전블록의 몸통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In addition, in the panel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ization means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a pair of coupling parts are energized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양전극 또는 상기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that is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에서 상기 통전수단은Further, in the panel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with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means

상기 통전블록의 몸통부의 하측면과 상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A pair of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electrically conducting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의 하측면 결합부와 대응되는 대응결합부 및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and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and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1장착부에서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편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 상측면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formed on a connection piece extending from the first mounting part toward the fixing part to be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an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이어서 본 발명에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에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제2장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bsequently, in the moisture barrier preventing assembly for solar panel module provid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는 구조를 단순화 시킨 통전패널과 이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및 통전수단을 구비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패널 설치를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며, 패널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패널간의 직렬연결을 보장하여 전기 배선 작업 등을 부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rrent carrying panel which has a simplified structure, and a connection block and a current carrying means coupled thereto, so that the production is easy and the operator can install the panel very simply. In addition, it prevents wa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panels and at the same time ensures a series connection between the panels, eliminating the need for electrical wiring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에서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통전블록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대응하고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된 연결블록의 대응결합부로 이루어지거나,In addition, in the panel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izing means corresponds to a pair of coupling portion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ductive block and the coupling portion and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Consists of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of the connection block,

통전블록의 하측면과 상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통전블록의 하측면 결합부에 대응하고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는 연결블록의 대응결합부 및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상측면 결합부에 대응하는 연결편의 대응결합부로 이루어지도록 하고,A pair of coupling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coupling portion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anel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or It is made of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ece that is energiz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coupling portion,

상기 연결블록을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By forming the connection block to be detachable,

태양전지 모듈과 연결된 별도의 배선 및 이를 위한 여유 공간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 및 설치 단가의 저감과 패널 설치 및 조립 시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wiring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odule and free space for it,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 and to ensure convenience for the operator when installing and assembling the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활용한 패널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활용한 전류의 통전을 개략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활용한 전류의 통전을 개략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with a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nel combination utilizing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energization of current utiliz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energization of current utiliz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4 및 도 6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In describing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provided with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strict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S. 1, 4, and 6 for convenience. Determ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건축물 외장재라 함은 건축물의 건축 시 지붕 또는 외벽으로 직접 활용되거나 완성된 건축물에 추가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붕재를 대표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본 상세한 설명에 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may be used directly as a roof or an outer wall when building a building or in addition to a completed building to use a solar cell module. By including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on behalf of the roofing material,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presented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10)은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모서리에 고정부(12)를 갖는 바디(11), 상기 고정부(12)와 인접한 바디(11)의 두변에서 상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1장착부(13)와 상기 고정부(12)와 이격된 두변에서 하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2장착부(14)로 이루어진 장착부 및 상기 바디(11)의 상면에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15; 도 4 및 도 6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anel 10 including the solar cell module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body 11 having a fixing part 12 at one corner thereof, and a body adjacent to the fixing part 12. 11, a mounting portion consisting of a first mounting portion 13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at two sides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4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at two side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ortion 12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11. It comprises a solar cell module 15 (see FIGS. 4 and 6) coupled to.

상기 바디 및 장착부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27057호(2003.09.05.)의 건축물 내외장용 거멀접기형 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used for the interior and exterior exterior folding panel of the building of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7057 (2003.09.05.)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below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우선 상기 바디(11)는 패널(10)의 전체적인 구성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써 마름모 또는 정사각형과 같이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여 직사각형으로도 변형 가능하다.First, the body 11 is a part form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nel 10, and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such as a rhombus or a square, and may be deformed into a rectangle.

또한 상기 바디는 사각판의 형태뿐만 아니라, 다각형의 모든 형태(예를 들어 정삼각형 또는 육각형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형상이 아닌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1장착부 및 제2장착부의 개수(예를 들어 삼각 형태일 경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양변에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각각 형성) In addition, the body may be formed not only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but also in any shape of a polygon (for example, an equilateral triangle or a hexagon), and in the case of a polygon other than a rectangular shape, the number of the first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riangular shape, the first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fixing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또는 형성 위치(예를 들어 육각 형태일 경우에는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양변에 제1장착부를 형성하고 제1장착부와 반대 방향의 양변에 제2장착부를 형성)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수정, 변경, 치환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varying the forming pos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exagonal shape, form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on both sides with the fix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orm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This can be modified, changed and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sufficient prediction.

상기 바디(11)는 그 대각선 방향을 건축물의 지붕이나 외벽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일치시킴으로써, 바디(11)의 대각선 방향으로 다른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The body 11 may be coupled to the other panel 10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11 by matching the diagon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roof 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바디(11)의 대각선 방향이 아닌 일렬 배열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uilding it is also possible to be coupled in a line arrangement rather tha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11).

그리고 상기 바디(11)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부(12)에는 별도의 고정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통공(12a)이 구비되어 있어, 패널(10) 설치 시 지붕에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12 provided at one edge of the body 1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2a that can be combined with a separate fix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roof by screws or nails when the panel 10 is installed. Can be combined.

이어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를 구성하는 제1장착부(13)는 패널(10)의 네 꼭지점을 적절히 절단(점선 부분)한 후, 고정부(1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두 변 즉, 고정부(12)와 인접한 두 변에서 바디(11)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상면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A] of FIG. 1,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constituting the mounting portion appropriately cuts (dotted lines) four vertices of the panel 10 and then sandwiches the fixing portion 12 therebetween. Two sides that are formed, that is,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 on two sides adjacent to the fixing portion 12 is formed.

그리고 장착부를 구성하는 제2장착부(14)는 상기 제1장착부(13)의 반대측 즉, 상기 고정부(12)와 이격된 두 변에서 하면과 평행하도록 하면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constituting the mounting portion is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to b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at two side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at is, the fixing portion 12.

도 1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의 제1장착부(13)는 다른 패널(10A)의 제2장착부(14)와 결합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건축물 외장재가 형성된다. As shown in [C] of FIG. 1,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of the panel 10 is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of the other panel 10A. These structures are repeatedly connected to form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상기 패널(10)은 철재,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anel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stainless steel,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ome elasticity.

이때 상기 패널(10)의 태양전지 모듈(15)은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olar cell modules 15 of the panel 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or in parallel to supply electrical energy.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모듈(15)은 상기 바디(11)의 고정부(12)를 사이에 두는 양 모서리와 인접한 제1장착부(13)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양전극 및 음전극과 연결되고,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 4, the solar cell module 15 has a first mounting portion adjacent to both corners between the fixing portion 12 of the body 11 therebetween (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respectively formed at the ends of 13),

상기 패널(10)들 상호간에 각 태양전지 모듈(15)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상호 직렬 연결되어 통전 방향이 패널(10) 바디(11)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each solar cell module 15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ergization direction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panel 10.

즉,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패널(10),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10)에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15)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최외측에 구비된 하나의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모이게 되고, 이 양전극과 음전극을 별도의 에너지 공급 장치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등과 전선 등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전기에너지의 통전이 이루어진다.That is, as shown by the arrow in Figure 5,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in each panel 10, more specifically, the solar cell module 15 provided in the panel 10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the outermost One positive electrode and one negative electrode provided are gathered, and the electrical energy is energized b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by using a separate energy supply device or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the like.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태양전지 패널(10)의 상세 구성을 생략하고 양전극(+)과 음전극(-)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전지 모듈(15)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수광부(15a)와 발생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공급부(15b)가 별도로 구비되어 직, 병렬 연결될 수 있으므로(도 3은 대표적으로 수광부(15a)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양전극 및 음전극 표시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전기 에너지 전달을 위한 도시가 혼동되어서는 안된다.In FIG. 5, only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are illustrat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 is omitted. As shown in FIG. 4, the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light receiving unit 15a for generating energy and the energy supply unit 15b for delivering the generated energy can be directly and parallelly connected (FIG. 3 shows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s 15a are typically connected in series.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markings of FIG. 2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illustration for the electrical energy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양전극(+) 및 음전극(-)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시이며, 패널(10)의 바디(11) 및 장착부 중 어느 한 곳에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illustrated in FIG. 5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body 11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anel 10.

더 나아가 본 발명이 활용되는 건축물 외장재는 전기 에너지 배선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생략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의 편의성 또는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므로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은 상기 바디(11)의 고정부(12)를 사이에 두는 양 모서리와 인접한 제1장착부(13)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more, since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r eas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by omitt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electrical energy wiring,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are the body (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12 of 11) and the end of the adjacent first mounting part 13.

또한 도 4에 도시된 전기에너지의 통전 방향(전류 이동 방향)은 양전극(+) 및 음전극(-)의 반대 구성을 통하여 반대 방향으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nergization direction (electric current movement direction) of the electrical energy shown in Figure 4 can be ch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opposite configur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15)을 구비한 패널(10)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는 패널(10)의 태양전지 모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선 등의 전기 배선을 생략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이에 따른 제작 단가 저감과 설치,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the panel 10 having the solar cell module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tructure by omitting electrical wiring such as wires for interconnecting the solar cell modules of the panel 10. Accordingly,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and eas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maximiz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는 패널들,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들을 서로 통전시킬 뿐만 아니라, 패널(10)들이 결합되는 장착부(13)에 발생되는 간극(틈)을 통하여 빗물 등의 수분이 외장재 내로 침투하여 건축물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한 화재 등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침투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ergizes the panels, more specifically the solar cell modules provided in the panel, but also a gap (gap) generated in the mounting portion 13 to which the panels 10 are coupled. Moisture such as rain water penetrates into the exterior material through it, it is preferable to have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problems such as leakage of water inside the building or fire caused by a short circui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1)와, 상기 몸통부(21) 양측에 형성되어 패널(10)의 제1장착부(13)에 삽입되는 날개부(22)와, 상기 몸통부(21)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로 이루어지는 통전블록(20); 및To this end,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ody portion 21 and the body portion 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nel 10 1, an energization block 20 comprising a wing portion 22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3 and a protrusion 2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And

패널(10)의 제2장착부(14)에 고정되고, 상기 통전블록(20)에 결합되는 연결블록(30); 및A connection block 30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of the panel 10 and coupled to the energization block 20; And

연결되는 패널(10)들 상호간에 통전되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mprises a; conduction means for energizing the panel 1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을 생략한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만을 도시하였으며, 패널과의 결합관계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FIG. 2, only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ng assembly, which omits the pane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shown in FIG. 3.

상기 통전블록(20)은 방수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패널(10)들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패널(10)들의 제작 오차에 따라 간극의 차가 발생하여도 상기 통전블록(20)을 소정 부피만큼 크게 형성하고 결합 시 억지끼움 시켜 미세한 틈까지도 완벽하게 차단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ergization block 20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panels 10 when the gap between the gap occur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error of the panel 10 to the predetermined volume of the energizing block 20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so as to form as large as possible and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combined to completely block even minute gaps.

상기 몸통부(21)의 하측면은 중앙을 향하여 절곡된 "V"자 형으로 이루어져 패널(10)의 제2장착부(14)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연결블록(30)과의 접촉면(몸통부(21)의 하측면과 연결블록(30)의 상측일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is formed of a "V" shape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onnection block 3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of the panel 10 (body portion ( The lower side of the 21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block 30) may not be a minute gap.

또 상기 돌출부(23)는 통전블록(20)의 억지 끼움 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압할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통전블록(20)이 결합된 패널(10)보다 상측에 조립되는 패널(10)과의 간극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23 functions as a handle that the operator can grip and press by hand when forcibly inserting the energizing block 20 and at the same time is assembled above the panel 10 to which the energizing block 20 is coupled. It has a function of blocking a gap with the panel 10.

그리고 패널(10) 상호간에 통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통전블록(20)의 몸통부(21)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24)와,In addition, the energization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nergizing the panel 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energization block 20 is a pair of coupling parts ( 24) with,

상기 연결블록(30)에 형성되어 상기 양전극(+) 또는 상기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대응결합부(34)로 이루어진다.I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30 is made of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34 that is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an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 결합부와 대응결합부는 상호 통전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루어짐은 당연하다.Naturally,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nergiz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결합부와 대응결합부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암결합부(24)와 이에 대응하는 수결합부(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in various ways, preferably, the female coupling portion 24 and the male coupling portion 34 corresponding thereto.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몸통부(21)의 하측면에 한 쌍의 암결합부(24)가 구비되고, 연결블록(30)에 상기 암결합부(24)에 대응하는 수결합부(3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2 and 3, a pair of female coupling portions 24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male coupling portion 34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upling portion 24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block 30. It can be seen that is provided, and the revers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상기 한 쌍의 암결합부(24)는 상기 몸통부(21) 내에서 상호 통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 4의 요부 확대도에서 개략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결합부(24)를 통전시키는 통전리본(24A)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air of female coupling portions 24 should be energized with each other in the body portion 21. For this purpose, as shown schematically in the enlarged main portion of FIG. An energizing ribbon 24A may be provided.

상기 통전리본(24A)은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써 구리 등의 전선 또는 얇은 금속 재질의 기판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ribbon 24A may be formed of various wires such as copper or a thin metal substrate as a conductive material.

그리고 상기 대응결합부와 패널(10)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의 통전 역시 상술한 통전리본을 활용하여 연결블록(30) 내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ergization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and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panel 10 is also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onnection block 30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nergizing ribbon.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에 결합되는 패널(10) 상호간에는 미통전구간(S)이 존재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non-conduction section S may exist between the panels 10 coupled to the outermost sides.

상기 미통전구간(S)은 별도의 전선 등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킬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패널(10)들 중 일부에 있어서(특히, 통전패널이 결합될 수 있는 미통전구간을 포함하는 패널에 있어서) 패널(10)의 제1장착부(13)에 대응되도록 즉, 제1장착부(13)의 틈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상기 연결블록(30)을 변형하여 고정시키되 수결합부(34)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하고,The non-conduction section 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separate wire or the like, and more preferably in some of the panels 10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ide (in particular, the non-conduction panel may be coupled to the energization panel). In a panel including a section, the connection block 30 is modified and fix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of the panel 10, that i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p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e portion 34 is formed to face downward,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 날개부(22)를 제거하고 몸통부(21)를 상기 변형 연결 블록과 대응하도록 연장형성한 후 상측면에 상기 수결합부(34)와 결합되는 암결합부(24)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변형 통전 블록의 결합만으로 미통전 구간의 통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분침투방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fter removing the wing portion 22 of the fixed block and extending the body portion 21 to correspond to the deformable connection block, the female coupling portion 24 is coupled to the male coupling portion 34 on the upper side. It is more preferable to ensure that the energization of the non-energized section only by the combination of the deformed energizing block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상기 변형된 통전블록(20) 및 연결블록(3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통전블록(20) 및 연결블록(30)의 간단한 구조 및 모양 변경으로 수정, 치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라 칭함)라면 충분히 재현할 수 있고,Although the modified energization block 20 and the connection block 30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simple structure and shape change of the energization block 20 and the connection block 30 as described abov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sufficiently reproduce the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활용할 경우 더욱 간단하게 미통전구간의 배선 연결을 행할 수 있다.When utilizing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more simply connect the wiring between the non-conduction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 등의 배선을 최소화하여 태양전지 모듈(15)을 구비한 패널(10)로 이루어진 건축물 외장재의 설치 시공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wiring of the electric wire,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consisting of the panel 10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15 can be carried out very simply.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모듈(15)은 상기 바디(11)의 고정부(12)에 인접하는 제1장착부(13) 중 어느 하나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양전극(+) 및 음전극(-)과 연결되고,As shown in FIG. 6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module 15 has both ends of any on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adjacent to the fixing portion 12 of the body 11.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respectively formed in the

상기 패널(10)들 상호간에 각 태양전지 모듈(15)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상호 직렬 연결되어 통전 방향이 패널(10) 바디(11)의 일변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of each solar cell module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ergization direction is formed in a linear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body 11 of the panel 10. It is preferabl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예가 통전수단을 구비한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통하여 하나의 패널(10)에 결합되는 다른 패널(10A)들 상호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는데 반하여,That is, as shown in FIG. 3, whil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energized between the other panels 10A coupled to one panel 10 through a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provided with an energization means,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패널(10)에 결합되는 두 개의 패널(10) 중 어느 하나(10A)와 설치된 패널(10)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발생하는 미통전구간(S; 도 7참고)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nergization between any one 10A of the two panels 10 coupled to the installed panel 10 and the installed panel 10. The non-conduction section S (refer to FIG. 7) generated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minimized.

이를 위하여 상기 통전수단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블록(20)의 몸통부(21)의 하측면과 상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and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6, the energization means are formed on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energization block 20, respectively. Wealth,

상기 연결블록(30)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21)의 하측면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결합부 및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30 and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panel 10 and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upling part of the body part 21;

상기 제1장착부(13)에서 상기 고정부(1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편(31)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10)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21) 상측면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결합부로 이루어진다.The first mounting part 13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iece 31 extending toward the fixing part 12 to be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panel 10 and the body portion 21 It consists of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side.

도 6의 요부확대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을 생략하였으며,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도 9의 B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되는 다른 패널을 생략하였고, 도 9에서 탈착되는 연결블록의 구성에 관한 것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enlarged main part of FIG. 6, the panel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n FIG. 9B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another panel coupl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s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lock detachable from FIG. 9 is illustrat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즉, 상기 패널(10)은 제1장착부(13) 중 하나(도 9에서 우축 제1장착부(13))에 상기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연결편(31)이 형성되어 상기 통전블록(20)을 상기 패널(10)에 결합 시 상기 결합부들이 상호 연결되어 통전되고,That is, the panel 10 has a connecting piece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which is energized with one of the first mounting parts 13 (the right first mounting part 13 in FIG. 9) or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panel ( 31 is formed so that when the coupling block 20 is coupled to the panel 10 and the coupl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패널(10)에 다른 패널(10A)(도 9에서 좌측 패널)이 결합되면서 제2장착부(14)의 연결블록(30)의 대응결합부가 상기 통전블록(20)의 몸통부(21) 하측면 결합부에 결합되어 패널(10)의 일변에 인접한 패널들 간에 통전이 가능해짐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널(10) 상호 간에 바디의 일변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직렬 연결이 가능해진다.The other panel 10A (the left panel in FIG. 9) is coupled to the panel 10 while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block 30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is lower than the body portion 21 of the energization block 20. It is coupled to the side coupling portion to enable energization between the panel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anel 10, it is possible to connect in series in a linear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body between the panel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

상기 연결편(31)의 대응결합부와 상기 패널(10)의 제1장착부(13)에 형성되는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의 통전은 상술한 통전리본을 이용하여 가능하고,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상기 결합부들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암결합부(24)와 수결합부(34)로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energiz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ece 31 and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of the panel 10 can be performed using the energizing ribbon described above, and FIG. 6. 9 to 9,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parts are illustrated as the female coupling part 24 and the male coupling part 34 as in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구체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And the remaining specif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록(30)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bloc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록(30)은 상기 제2장착부(14)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Connection bloc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탈착 가능한 연결블록(30)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전기 에너지의 통전 방향 즉, 패널 설치 시 설치 방향에 따라 연결블록(30)의 결합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By providing a detachable connecting block 30,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perform the coupling of the connecting block 30 according to the energiz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energy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at is, the installation direction when the panel is installed. It can guarantee the operator's convenience.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연결편(31) 역시 패널(10)의 제1장착부(13)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ing piece 31 may also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of the panel 10.

이때 상기 연결블록(30)은 상술한 통전블록(20)과 같이 탄성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lock 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plastic, etc. having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연결블록(30)의 대응결합부와 상기 패널(10)의 제1장착부(13)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의 통전 방식은 접촉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In addition, a method of energizing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of the connection block 30 and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first mounting part 13 of the panel 1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ontact typ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블록(30)에 상기 제2장착부(14)에 구속시키면서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 되도록 하는 연결부재(3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connection block 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32 for constrain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It is preferable.

상기 연결부재(32)는 결합의 용이성과 통전기능을 감안하여 전선 등의 별도 부재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도성,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member 32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member such as an electric wire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coupling and the conduction function, and mo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and flexible material.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방지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isture perme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패널 11 : 바디
12 : 고정부 13 : 제1장착부
14 : 제2장착부 15 : 태양전지모듈
16 : 양전극 17 : 음전극
20 : 통전블록 21 : 몸통부
22 : 날개부 23 : 돌출부
24 : 결합부 30 : 연결블록
31 : 연결편 32 : 연결부재
34 : 대응결합부
10: panel 11: body
12: fixing part 13: first mounting part
14: second mounting part 15: solar cell module
16: positive electrode 17: negative electrode
20: energization block 21: body
22: wing 23: protrusion
24: coupling part 30: connection block
31: connecting piece 32: connecting member
34: counterpart

Claims (4)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모서리에 고정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고정부와 인접한 바디의 두변에서 상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1장착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격된 두변에서 하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2장착부로 이루어진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패널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 패널의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는 패널의 태양전지 모듈간에 양전극과 음전극을 연결하여 통전시킴과 동시에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하여 패널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양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제1장착부에 삽입되는 날개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통전블록;
패널의 제2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전블록과 결합하는 연결블록; 및
연결되는 패널들 상호간에 통전되도록 하는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
A body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fixing portion at one corner,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at two sides of the body adjacent to the fixing portion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at two sides spaced from the fixing portion. In comprising a plurality of panels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and a solar cell modul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ntinuously connec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each panel,
In order to connect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between the solar cell modules of the panel to be interconnected to conduct electricity,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panel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panels.
An energizing block formed of a body part, wing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part of the panel, and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 connection block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the panel and coupled to the energization block; And
An electricity penetrating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electricity supply means for energizing between the connected pan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통전블록의 몸통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양전극 또는 상기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 수단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means
A pair of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energized with each other;
And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connection block and electrically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olar cell module is provided with a solar cell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수단은
상기 통전블록의 몸통부의 하측면과 상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통전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의 하측면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결합부 및
상기 제1장착부에서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결편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양전극 또는 음전극과 통전되고 상기 몸통부 상측면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means
A pair of coupling part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energization block and electrically conducting with each other;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and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and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solar cell module which is formed on a connection piece extending from the first mounting part toward the fixing part to be energiz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anel and includes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the panel provid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제2장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패널용 수분침투 방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nnection block is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assembly for a panel having a solar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detachable.
KR1020130003132A 2013-01-10 2013-01-10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KR101260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132A KR101260503B1 (en) 2013-01-10 2013-01-10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PCT/KR2014/000186 WO2014109536A1 (en) 2013-01-10 2014-01-08 Moisture penetration-prevention assembly for solar cell module-equipped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132A KR101260503B1 (en) 2013-01-10 2013-01-10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503B1 true KR101260503B1 (en) 2013-05-06

Family

ID=4866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132A KR101260503B1 (en) 2013-01-10 2013-01-10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0503B1 (en)
WO (1) WO201410953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57Y1 (en) 2003-06-26 2003-09-19 (주)로자 cramp type panel for deco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building
KR100867655B1 (en) 2007-05-23 2008-11-12 김현민 Solar cell module for roof panel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solar energ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582B2 (en) * 1991-02-20 2000-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Solar cell
WO2008041298A1 (en) * 2006-09-29 2008-04-1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olar cell panel
EP1953305B1 (en) * 2007-01-31 2013-04-03 Posnansky, André Weather-proof building clad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57Y1 (en) 2003-06-26 2003-09-19 (주)로자 cramp type panel for deco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building
KR100867655B1 (en) 2007-05-23 2008-11-12 김현민 Solar cell module for roof panel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solar energ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536A1 (en)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648B1 (en)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and outer of building thereof
JP4801505B2 (en) Combined photovoltaic panel for curtain wall glass
EP2180525A2 (en) Photovoltaic tile
US8833005B1 (en) Base sheet integrated photovoltaic roofing assemblies
JP6935199B2 (en) Panel with photovoltaic device
CA2893726C (en) Modular solar panel roof system
KR20120116065A (e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JP2007019140A (en) Solar cell module, its connection method,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US20110162693A1 (en) Connection System for a Solar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JP5137892B2 (en) Solar cell unit
KR101016793B1 (en) Roof unit including solar cell and roof connecting the same
WO2011046512A1 (en) Photovoltaic cell support assembly
KR101260503B1 (en) Water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for panel equipped with solar cell module
JP5131527B2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solar cells on the roof
JP6511269B2 (en) Roof structure
JP5827071B2 (en) ROOF OR WALL INTEGRATED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ARRA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4132123A (en) Roofing material integrated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wiring the same
JP4326990B2 (en) Roof material integrated solar cell module
JP6594626B2 (en) Roof structure
JP2001177139A (en) Method of installing solar battery module, terminal box, and solar battery, and structure and film structure installed with solar battery
JPH1027919A (en) Solar cell module, connection thereof, and building using the same
JPH08226210A (en) Roofing material for solar energy generation of electricity, and method for laying such material
WO2024073840A1 (en) Coupling assembly for a solar panel, solar panel structure and solar panel system
JP2003213865A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solar battery module
PL68245Y1 (en) Laminated board with insulating core, with integrated photovoltaic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