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67B1 - Hands free device - Google Patents

Hands fre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67B1
KR101260067B1 KR1020100083285A KR20100083285A KR101260067B1 KR 101260067 B1 KR101260067 B1 KR 101260067B1 KR 1020100083285 A KR1020100083285 A KR 1020100083285A KR 20100083285 A KR20100083285 A KR 20100083285A KR 101260067 B1 KR101260067 B1 KR 10126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protruding
moving block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9816A (en
Inventor
이영옥
Original Assignee
이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옥 filed Critical 이영옥
Priority to KR102010008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067B1/en
Publication of KR20120019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환경 및 용도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이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여, 출력수단인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에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and applications, and which includes an upper and a lower earphone, the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n earphone pull-out unit which is formed in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ulls out at least one of an upper earphone and a lower ear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response to a pull- And the earphone as the output means is easily placed on the user's ea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d use the desired system when necessary by using various methods by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hands- have.

Description

핸즈프리 장치{HANDS FREE DEVICE}[0001] HANDS FREE DEVICE [0002]

본 발명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환경 및 용도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and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applied variously according to a use environment and a use.

일반적으로, 핸즈프리 장치는 전자기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 본체의 직접적인 조작이 없이도, 사용자의 음성신호등과 같은 송신데이터를 전자기기 본체에 전달하고, 전자기기 본체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등과 같은 수신데이터를 전달받는 기능을 수행한다.Generally, a hands-free device is connected to a main body of an electronic device by wire or wireless, and transmits transmission data such as a user's voice signal to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direct manipul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like.

보통, 핸즈프리 장치는 내부에 수신받은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회로 및 이어폰과 같은 출력수단을 포함하며, 발신하는 음성신호를 수신 및 신호처리하여 전달하는 마이크 및 회로와 같은 입력수단이 구비된다.Usually, the hands-free apparatus includes an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and 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including a circuit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received therein and an output means such as an earphone.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는, 이어폰과 같은 출력수단이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고, 마이크 같은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입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a hands-free device is generally configured such that an output means such as an earphone is placed in the user's ear and an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is positioned in proximity to the mouth of the user.

위와 같은 핸즈프리 장치가 가지는 기본적인 구조 특성상,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는 기본적인 입력과 출력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서 정형화되어 있었다. Due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hands-free device, the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has been standardized as a structure for performing basic input and output functions.

하지만, 최근 전자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 기인하여, 전자기기의 휴대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귀와 입을 커버하여야 하는 기능적 제약을 가지는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는 그 구조의 정형화로 인하여 휴대성이 떨어지고,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와의 연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ortabi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very important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conventional handsfree device having a functional restriction that necessarily covers the user's ears and mouth needs to be structured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with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are being released.

때문에, 본래의 사용자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강화하면서도,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계가 용이하며,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여,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의 제안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propose a hands-free device which can be easily used in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in response to various situations while enhancing convenience and portability of the original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면서도 휴대하기가 용이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in various ways and is portable.

또한, 휴대성이 높은 핸즈프리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휴대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when carry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ly portable hand-free device.

본 발명의 제 1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an earphone, the handsfree apparatus comprising: a handsfree main body;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ands-free device including the above-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An earphone protruding hole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earphone.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 하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includes a protruding guide portion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otruding moving block having a lower portion linearly movably coupled to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pplying a linear motion to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mo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상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project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horizontally extended to be opposed inward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 And a rail groove portion for restraining the protruding moving block upward and making the movable block linear can be formed.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돌출가이드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rotation of the motor into rectilinear movement, .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 할 수 있다. The decorating means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일측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 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may be re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본 발명의 제 2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개방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an earphone, the handsfree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pper face and the lower face of the lowe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response to the pull-ou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hands-free device can be provided.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 상기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연장부와, 상기 측면연장부와 수직하게 결합하며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arphone pull-out means comprises: a lead-out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front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ithdrawal moving block including a side extension portion that is linearly movably coupled with the withdrawing guide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so as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 side extension portion; And a vertical driving unit that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unit and receives a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o apply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drawing movement block.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vertically extended to be opposed inward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 rail groove portion for restraining the side extension portion to be movable linearly can be formed.

상기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The earphone boss unit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인출가이드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vertic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nd a vertical rack ba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rawing guide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to switch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a linear movement. have.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ing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ull-out means may further comprise a telescopic means which is formed in the pull-out guide portion and which extends and retracts the pull-out guid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게 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telescopic means is fixed to the body of the handsfree a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ad-out guide portion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 rack bar which is formed by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draw- The rack ba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and the drawing guide part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multi-end portion can be stretched and expanded or contracted.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decorating means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본 발명의 제 3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이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upper and lower earphones, the handsfree apparatus comprising: a handsfree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pulling out at least one of an upper earphone and a lower ear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hands- Device can be provided.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상부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An earphone protrusion hol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earphone protrudes through the earphone protrusion hole.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 하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includes a protruding guide portion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otruding moving block having a lower portion linearly movably coupled to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pplying a linear motion to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mo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상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project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horizontally extended to be opposed inward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 And a rail groove portion for restraining the protruding moving block upward and making the movable block linear can be formed.

상기 돌출가이드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방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The protrusion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at the front end thereof with the rail removed to release upward restraint of the protrusion moving block.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돌출가이드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rotation of the motor into rectilinear movement, .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 또는 결합할 수 있다.     The earphone pull-out means may be vertically arranged or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상방 인출가이드부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연장부와, 상기 측면연장부와 수직하게 결합하며 상부 이어폰 보스부 또는 하부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arphone pull-out means comprises: an upper draw-out guide portion and a lower draw-out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or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so as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or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the side extension portion being linearly movably engaged with the upwardly- A moving block; And a vertical driving unit that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unit and receives a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o apply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drawing movement block.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draw-out guide portion or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vertically extended and opposed inward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being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 rail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to allow the rail to be inserted and to restrain the side extension portion to be linearly movable.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연장부의 후방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rail is remove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to release rearward restraint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측면연장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the 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withdrawing moving block may be vertically form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the body portion of the retrieving moving block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하부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earphone boss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vertic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pinion gear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or the downwardly exten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Vertical rack bars may be included.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ing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하방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ull-out means may further comprise a telescopic means formed in the downwardly-pulling-out guide portion and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downwardly-pulling-out guid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게 할 수 있다. A lower end of the telescopic means is fixed to the body of the handsfree and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and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lower end; A rack bar which is configured to be bent with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nding portion alo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lower side of the downwardly extending guide portion, The rack ba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and the lower draw-out guide unit is also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ulti-end portion can be stretched and expanded and contracte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에 상부 이어폰이 돌출되도록 돌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protrusion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rotrusion means so that the upper earphone protrudes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nd apply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이 각각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struction,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pull-out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upper earphone and the lower earphone are respectively drawn out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에 하방 인출가이드부가 신장되도록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상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pplies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downward pull- The upper earphone can be pulled out.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decorating means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본 발명의 제 4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하면을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ourth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an earphone, the handsfree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through the lowe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response to the pull-ou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An earphone protruding hole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through the earphone.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상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 상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includes: a protruding guide portion horizontally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otruding moving block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and a lower portion coupled with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formed on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pplying a linear motion to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mo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하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to be opposed inward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 And a rail groove portion for restraining the protruding moving block downward and making linear movement possible can be formed.

상기 돌출가이드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방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The protruding guide portion may have a cutout portion at the front end thereof with the rail removed to release the downward restraint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돌출가이드부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horizont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inserted horizontally inside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ry rod at a center portion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vement.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 또는 결합할 수 있다.The earphone pull-out means may be vertically arranged or coupled below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 측면연장부는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몸체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ull-out means includes a draw-out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the front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drawing guide portion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and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in a detachable manner; And a vertical driving unit that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unit and receives a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o apply a linear driving force to the drawing movement block.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formed so as to extend inward oppositely from both sides there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being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 rail groove portion for restricting the portion to the rear and making linear movement possible can be formed.

상기 인출가이드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연장부의 후방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The draw-out guide portion may have a cut-out portion from which the rail is removed, thereby releasing the rearward restraint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측면연장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the 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withdrawal moving block may be formed verticall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the body portion of the withdrawing moving block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The earphone boss unit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인출가이드부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vertical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nd a vertical rack bar which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keout guide and engages with the pinion gear to switch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a linear movement can do.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may have a gear tooth protruding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phone pull-out means may further comprise a telescopic means formed in the pull-out guide portion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pull-out guid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게 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telescopic means is fixed to the body of the handsfree a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ad-out guide portion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 rack bar which is formed by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draw- The rack ba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and the drawing guide part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multi-end portion can be stretched and expanded or contracte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에 이어폰이 돌출되도록 돌출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pply a protrusion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earphone protrudes to the earphone protrusion means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struction.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the control unit may apply the pull-out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earphone is pulled out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에 인출가이드부가 신장되도록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pply a pulling operation signal to pull ou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nd apply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pull-out guide portion is extended to the telescopic means.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decorating means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출력수단인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에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핸즈프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The hands-fre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select and use a desired method when necessary by moving the earphone as output means in a variety of ways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so as to easily mount the earphone on the user's ear, .

또한, 출력수단인 이어폰을 신축하여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케이블을 외부에 보이지 않게 이어폰 내부에 권취하여 무선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어, 핸즈프리의 소형화 및 높은 휴대성을 확보하고, 권취된 케이블을 필요시에 신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핸즈프리 장치를 신체나 옷등의 다양한 위치에 착용가능하게 한다. 특히, 마이크가 이어폰에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이어폰의 케이블을 신장하여 사용하므로써 착용과 휴대와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the earphone as the output means to move and store the earphone in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to wind up the cable inside the earphone invisibly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wireless, , And the wound cable can be stretched and used when necessary so that the handsfree device can be worn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ody or clothes. Especially, the microphone is provided in the earphone, and the earphone cable is extended and used,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wearing, carrying and using.

핸즈프리 자체에 탈장착 가능한 장식수단이나 체결수단을 장착하여 헤어용 액서서리나 옷 등에 착용하는 액서서리로도 활용가능하게 구성되어 하나의 고정된 디자인의 기계적 형태의 기기의 틀을 벗어나서, 사용자가 취향이나 복장, 상황에 알맞게 선택하여 언제든지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의 액서서리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핸즈프리의 활용도를 극대화 한 이점이 있다. And can be used as an accessory for attaching a decoration means or a fastening means capable of being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handsfree itself and worn on an accessory for a hair or clothes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get out of the frame of a mechanical type device of a fixed design,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forms and designs of accessory at any time by select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handsfre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체결수단과 이어폰 인출수단과 케이블 신장이 가능한 구성, 텔레스코픽 수단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인해 핸즈프리 장치를 신체나 옷 등의 원하는 위치에 착용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바로 이를 사용하기 편리하므로 핸즈프리 장치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s-fre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hands-free apparatus is worn at a desired position such as a body or clothes, because of the constitution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the earphone pullout means, the cable stretchable configuration, the telescopic means,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store the hands-free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인출되는 이어폰에 입력수단인 마이크를 형성시키고 텔레스코픽수단으로 확장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수단을 장착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범위를 더욱 확장한 이점이 있다. Meanwhile, the hands-fre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microphone as an input means is formed in an earphone to be drawn out and expanded to a telescopic means, thereby expanding the range that can be utilized by mounting the faste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소형화된 본 핸즈프리 장치는 다양한 전자기기와 연계하여 일체화 또는 모듈화를 통해 그 활용도를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miniaturized hands-free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in a large amount through integration or modulariza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즉, 본 핸즈프리 장치는 제어부와 이어폰부를 각각의 모듈로 나누어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다양한 전자기기의 제어모듈과 다양한 형태의 이어폰 모듈의 조합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가 스스로 원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그 변경이 용이하여 경제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hands-free apparatus can be configured by dividing the control unit and the earphone unit into respective modules, thereby enabling a combination of various control module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various types of earphone modules. Therefore, It is easy and economical to constr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핸즈프리 본체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어폰 돌출수단 및 이어폰 인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돌출가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돌출이동블록, 수평구동부, 인출이동블록 및 수직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상방 인출가이드부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텔레스코픽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고정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돌출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케이블 확장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슬라이딩 확장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어폰 돌출수단 및 이어폰 인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되고 텔레스코픽 수단에 의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를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하고, 케이블 확장모드로 이어폰의 케이블을 확장하여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거치하고, 장식수단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hap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hown conceptually in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and earphone pullout means conceptually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shown in Fig.
FIG.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the horizontal driving unit, the drawing-out moving block, and the vertical driving unit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and the downwardly-pulling-out guide portion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lescopic means conceptually shown i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xed mode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truding mode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and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able expansion mode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liding extension mode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14 is a block diagram for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earphone projecting means and earphone pullout means conceptually shown in Fig. 14;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1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FIG. 14 is coupled to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Fig. 14 coupled to a hairband type fastening means and expanded by telescopic means.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14 is coupled to a hairband type fastening means, a cable of an earphone is extended in a cable extension mode, the hairband type fastening means is mounted, It is a conceptual diagra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My 1실시예1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핸즈프리 본체 (110)와 제어부(120)와 이어폰 돌출수단(130)과 이어폰 인출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embodiment 100 includes a handsfree main body 110, a control unit 120, an earphone protruding unit 130, and an earphone pullout unit 140.

본 실시예(100)는 출력수단으로서, 내부에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부” 및 “하부”의 표현은 본 실시예(100)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이어폰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이어폰의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며, 사용자의 양 귀에 삽입되거나 인접하여 거치되는 스테레오 방식의 출력수단을 의미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100 relates to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earphone S1 and a lower earphone S2 as an output means, wherein the expression "upper" and "low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earphone for convenience, and does not mean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earphone, but means a stereo type output means that is inserted into or held adjacent to the user's ear.

먼저, 핸즈프리 본체 (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handsfree main body 110 will be described.

핸즈프리 본체 (110)는 기본적으로 후술될 제어부(120), 이어폰 돌출수단(130) 및 이어폰 인출수단(140) 그리고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등을 포함하는 하우징 역할을 담당한다.The handsfree main body 110 basically serves as a housing including a control unit 120, an earphone protruding means 130 and earphone pullout means 140 and an upper earphone S1 and a lower earphone S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의 (a)는 핸즈프리 본체 (110)의 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의 (b)는 핸즈프리 본체 (110)의 후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2 (a) schematically shows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FIG. 2 (b) schematically shows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FIG.

도 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즈프리 본체(110)는 장방향의 블록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핸즈프리 본체(110)의 외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S. 2 (a) and 2 (b), the handsfree main body 110 has a block-shaped oute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empty structure such that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핸즈프리 본체(110)는 상면(111) 및 하면(112)이 개방 형성되고,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에는 이어폰 돌출공(113)이 형성된다.The upper face 111 and the lower 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re opened and an earphone projection hole 113 is formed on the back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

개방 형성된 상기 상면(111) 및 하면(112)은 후술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이 핸즈프리 본체(110) 내부에서 인출되는 통로역활을 하는 것으로,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 및 이를 지지하는 이어폰 보스부(이하 언급할 도 3의 B), 돌출이동블록(이하 언급할 도 3의 132), 인출이동블록(이하 언급할 도 3의 142)이 통과되도록, 소정의 개구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lower surface 112 formed as a result of the opening serve as passages through which the upper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ar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by the earphone pull- 3). The upper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and the earphone boss portion (B in Fig. 3 to be referred to later) supporting the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opening area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142 of the first through-hole.

그리고, 도 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본체(110)의 측면부에는 후술될 제어부(120)에 돌출동작신호, 인출동작신호, 확장동작신호에 대한 인가를 지령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직/간접적인 조작을 통한 선택지시를 수신하는 모드 결정부(G)가 형성될 수 있다.2 (a), in order to instruct a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apply a projection operation signal, a drawing operation signal, and an extension operation signal to the side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 mode determination unit G for receiving a selection instruction through direct / indirect operation can be formed.

상기 모드 결정부(G)는 도 2의 (a)에서는 단계별 이동에 대응하여 제어부(120)에 지령을 하는 스위치방식의 버튼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방식, 음성인식방식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2A, the mode determination unit G is a switch-type button for instructing the control unit 120 in response to the stepwise mov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like.

이러한, 상기 모드 결정부(G)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따라, 후술될 본 실시예의 4가지 작동상태 -고정모드, 돌출모드, 케이블 확장모드, 슬라이딩 확장모드- 를 구분하여 제어부(120)에 각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가한다.The mode determining unit G divides the four operating modes-fixed mode, protruding mode, cable expansion mode, and sliding extension m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direct operation of the user, And applies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e.

한편, 핸즈프리 본체(110)의 전면에는 제어부(120)와 연결된 +/- 등의 조작버튼들을 배치하고,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가락 등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각 버튼들의 크기와 모양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operation buttons such as +/- and the lik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configure the size and shape of each button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a finger without looking at the eyes.

또한, 핸즈프리 본체(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전자기기들과 데이터 및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포트(PORT)들이 구비되기 위한 개구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hands-free main body 110 may have openings for providing port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power to and from other electronic devices.

그리고, 핸즈프리 본체 (110)의 전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열로 홈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는 후술될 장식수단(이하 언급할 도 19의 P)이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홈부(114)의 일단은 핸즈프리 본체 (110)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핸즈프리 본체(110) 하단부로부터 장식수단(이하 언급할 도 19의 P)이 끼워지도록 하고, 홈부(114)의 타단은 핸즈프리 본체(110) 상단부에 미치지 않도록 형상하여 끼워진 장식수단이 핸즈프리 본체(110) 상단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roove 114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a vertical direction. One end of the groove portion 114 is formed up to the low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groove 114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such a manner that it does not extend beyond the upp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부에도 상하방향으로 복열로 홈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5)는 후술될 체결수단(이하 언급할 도 17의 200)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홈부(115)의 일단은 핸즈프리 본체 (110) 상단부까지 형성되어 핸즈프리 본체 (110) 상단부로부터 체결수단(이하 언급할 도 17의 200)이 끼워지도록 하고, 홈부(115)의 타단은 핸즈프리 본체(110) 하단부에 미치지 않도록 형성하여 끼워진 체결수단이 핸즈프리 본체(110) 하단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ove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a vertical direction. One end of the groove 115 is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be fasten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the fastening body 115. [ And the other end of the groove 115 is formed so as not to fall below the low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not separa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위와 같은, 홈부(114,115)의 형성구조에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장식수단과 체결수단을 핸즈프리 본체(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성구조를 가지는 홈부(114,115)로 제안 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ation of the grooves 114 and 115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proposed as the grooves 114 and 115 having various forming structures for coupling the decorating means and the fastening means to the handsfree main body 110.

한편,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본체(110) 측면에는 별도의 출력수단인 스피커(SH)가 장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b), a speaker SH which is a separate output means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다음으로, 제어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제어부(120)는 상술한 핸즈프리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돌출동작신호, 인출동작신호,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control unit 120 is mounted inside the above-described handsfree main body 110 and is responsible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protrusion operation signal, a pull-out operation signal, and an extension operation signal.

여기서, 돌출동작신호란, 후술될 돌출이동블록(132)을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부 이어폰(S1)을 이어폰 돌출공(113)으로 돌출시키거나, 다시 삽입시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어신호이다.Here, the projecting operation signal is a signal for causing the upper earphone S1 to protrude or re-inserted into the earphone projecting hole 113 by advancing or retracting the projecting moving block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back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Lt; / RTI >

그리고, 인출동작신호란, 후술될 인출이동블록(142)을 핸즈프리 본체(110)의 상면(111) 및 하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 중 어느 하나를 개방형성된 상면(111) 및 하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거나, 다시 삽입시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어신호이다.The pull-out operation signal means that the pull-out moving block 142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he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that draws one of the earphones S2 through at least one of the open top surface 111 and the bottom surface 112 and inserts the earphone S2 again.

마지막으로, 확장동작신호란, 후술될 다단으로 형성되는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방으로 개방형성된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면(112)을 통하여 신장 및 신축시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제어신호이다.Finally,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xtended and retrac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which is opened downwardly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이러한 제어부(120)는, 구체적으로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등에 전자소자들이 실장되어 데이터 처리되는 곳으로, 후술될 수평구동부(133) 및 수직구동부(143)의 모터(133a,143a)의 위치,속도,토크를 제어하는 모터제어 구동부가 구비된다.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orizontal driving unit 133 and the motors 133a and 143a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1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which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on a predetermined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otor control driv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speed, and torque of the motor.

이러한 모터제어 구동부는 상술한 모드 결정부(G)의 조작에 따라, 모터(133a,143a)의 위치,속도,토크를 오픈 루프(open loop)방식으로 제어하게 된다.The motor control driver controls the positions, speeds, and torques of the motors 133a and 143a in an open loop mann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determination unit G described above.

즉, 상기 제어부(120)는 모드 결정부(G)를 조작수단으로 하여 오픈 루프(open loop)방식으로, 동작신호-돌출동작신호, 인출동작신호, 확장동작신호-가 가지는 내용으로 모터(133a,143a)를 제어하게 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uses the mode determination unit G as an operating means and outputs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signal-protrusion operation signal, the extraction operation signal, and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in an open loop manner, , And 143a.

본 실시예(100)에서 상기 제어부(120)에는 통신모듈이나, MP3와 같은 음악파일 재생모듈이 부가되거나 이와 연동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 및 데이터 처리부가 마련되어, 본 실시예(100) 자체가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활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100, 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that can add or operate a communication module or a music file reproducing module such as MP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이어폰 돌출수단(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13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어폰 돌출수단 및 이어폰 인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돌출가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돌출이동블록, 수평구동부, 인출이동블록 및 수직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and earphone pullout means conceptually shown in Fig. 1, 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jecting guide portion shown in Fig. 3, and Fig. And FIG.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the horizontal driving portion, the drawing-out moving block, and the vertical driving portion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FIG. 3 shows only the features that are shown in order to conceptually clearly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expe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There is no.

이어폰 돌출수단(130)은 상술한 제어부(120)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이어폰(S1)을 상술한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에 형성된 이어폰 돌출공(113)을 통하여 돌출 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130 serves to protrude the upper earphone S1 through the earphone protrusion hole 113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response to the protrus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do.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130)은 돌출가이드부(131)와 돌출이동블록(132)과 수평구동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130 includes a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a protrusion moving block 132, and a horizontal driving portion 133. As shown in FIG.

상기 돌출가이드부(131)는 핸즈프리 본체(110)의 내부 중심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131a)이 형성된다.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is horizontally formed at the inner cente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rail 131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돌출가이드부(131)는, 도 4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향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며, 도 4의 (b)의 A-A’ 단면도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131a)이 형성된다. 4 (a), 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is formed in a block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 can be seen from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b) A rail 131a is formed which is opened upward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horizontally extended from both sides to face inward.

그리고, 돌출가이드부(131)의 수용공간 내측 하면에는 후술될 수평랙바(133d)가 장착된다.A horizontal rack bar 133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projecting guide portion 131. [

한편, 상기 돌출가이드부(131)의 전단부(도 3의 좌측방향, 도 4의 (a)의 상측방향)에는 레일(131a)을 제거한 절개부(131c)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cutout portion 131c with the rail 131a removed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rojecting guide portion 131 (the leftward direction in Fig. 3, the upward direction in Fig. 4 (a)).

상기 절개부(131c)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될 돌출이동블록(132)이 핸즈프리 본체(110)의 전면방향(도 3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가이드부(131)의 전단부에 위치한 경우, 레일(131a)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이 구속되어 있던 돌출이동블록(1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3,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is moved in the front direction (left direction in FIG. 3)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is formed so as to move upwardly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n which the upward movement is restrained by the rail 131a when it is located at the front end.

때문에, 절개부(131c)의 크기는 돌출이동블록(132)이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돌출이동블록(132)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다.The size of the cutout portion 131c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so that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can be pulled out upward.

이러한, 돌출가이드부(131)는 일단부가 후술될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와 수직하게 결합하여 형성되거나, 하나의 몸체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end of 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perpendicular to the upwardly protrud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ly protruding guide portion 141b, or may extend integrally from one body.

상기 돌출이동블록(132)은 상기 돌출가이드부(131)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부재로, 이어폰 보스부(B)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s a member that linearly moves along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131, and is removably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B.

상기 돌출이동블록(132)은 도 5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장방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B)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수평구동부(133)가 구성된다.5,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s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B in a detachable mann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driving portion 133. As shown in FIG.

여기서, 돌출이동블록(132)과 후술될 인출이동블록(142)은 형상 및 기능적 특성으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하나의 블록형태에서 연장되거나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and the outgoing moving block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described by being divided into shap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an be formed by extending or joining in one block form.

상기 돌출이동블록(132)의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B)와 결합한다.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engages with the earphone boss portion B.

상기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부는 돌출가이드부(131)의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돌출이동블록(132)의 측면에는 레일(131a)이 끼워지는 레일홈부(132a)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131a)과 레일홈부(132a)의 결합으로, 돌출이동블록(132)은 돌출가이드부(13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된다.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131 and a rail groove portion 132a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to receive the rail 131a.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can be linearly moved along 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rail 131a and the rail groove portion 132a.

그리고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부에는 수평구동부(133)가 마련된다. A horizontal driving part 133 is provided below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상기 수평구동부(133)는 돌출이동블록(132)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모터(133a)와 회전로드(133b)와 피니언기어(133c)와 수평랙바(13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rizontal driving part 133 appli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linearly and includes a motor 133a, a rotating rod 133b, a pinion gear 133c and a horizontal rack bar 133d do.

상기 모터(133a)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된다. 상기 모터(133a)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4mm이하인 초소형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motor 133a horizontally inserts the rotation shaft in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The motor 133a provides a rotational forc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small-sized motor having a thickness of 4 mm or less.

상기 회전로드(133b)는 일단이 모터(133a)의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모터(133a)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회전로드(133b)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홈등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rotation rod 133b is engaged with the shaft of the motor 133a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33a. 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or the like is form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so that the rotation rod 133b can be rotatably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피니언기어(133c)는 중심부에 회전로드(133b)가 결합되어 모터(133a)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재이다.The pinion gear 133c is a member that is coupled to a rotary rod 133b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33a.

이때, 피니언기어(133c)의 기어 치(齒)가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모터(133a) 및 회전로드(133b)의 배치위치 또는 피니언기어(133c)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otor 133a and the rotation rod 133b or the position of the pinion gear 133c is set such that the gear teeth of the pinion gear 133c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It is desirable that the size is determined.

이는 후술될 수평랙바(133d)와 치합관계를 고려하여 돌출이동블록(132)의 하단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from interfering with the horizontal rack bar 133d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피니언기어(133c)는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로드(133b)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pinion gear 133c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33b to effectively transmit rotational force.

상기 수평랙바(133d)는 상면에 피니언기어(133c)의 기어 치(齒)와 치합관계에 있는 기어 치(齒)가 형성되어, 모터(133a)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부재이다.The horizontal rack bar 133d is a member for forming a gear tooth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ack bar 133d so as to engage with the gear teeth of the pinion gear 133c to switch the rotation of the motor 133a to linear movement.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돌출가이드부(131)의 내부 하면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4,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131.

수평랙바(133d)의 폭은 피니언기어(133c)가 충분히 여유를 두고 치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133c)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horizontal rack bar 133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inion gear 133c so that the pinion gear 133c can be meshed with sufficient clearance.

이러한 상기 수평랙바(133d)는 피니언기어(133c)와 치합하여, 모터(133a)의 회전에 연동하여 돌출이동블록(132)을 돌출가이드부(131)를 따라 직선이동시킨다.The horizontal rack bar 133d meshes with the pinion gear 133c to linearly move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along 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motor 133a.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평구동부(133)는 상술한 제어부(120)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돌출이동블록(132)을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orizontal driving unit 133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performs the function of advancing or retracting the protrusion moving block 132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response to the protrus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described above.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돌출이동블록(132)이 핸즈프리 본체(110)의 후면방향으로 전진한 후에 상기 상부 이어폰(S1)이 확장되어 돌출되고, 후퇴시에는 먼저 상부 이어폰(S1)이 신축되고 돌출이동블록(132)이 후퇴되어 상부 이어폰(S1)이 핸즈프리 본체(110) 내부로 내장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어폰의 부피를 소형화시켜서 휴대하기 편하게 하면서, 사용시에는 귀에 꽂아 사용하기 좋은 구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The upper earphone S1 is extended and protruded after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advances toward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motion signal and when the upper earphone S1 is retracted, The movable block 132 may be retracted so that the upper earphone S1 is embedd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This makes it possible to miniaturize the volume of the earphone to make it portable, while allowing the earphone to be modified and us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when used.

다음으로,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shown in FIG. 3,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to be.

이어폰 인출수단(140)은 상술한 제어부(120)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을 각각 상술한 핸즈프리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111) 및 하면(112)을 통하여 인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earphone lead-out means 140 connects the upper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to the upper face 111 and the lowe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outgo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112).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140)은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와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와 인출이동블록(142)과 수직구동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includes an upper draw-out guide portion 141a, a lower draw-out guide portion 141b, a draw-out moving block 142, and a vertical drive portion 143 .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는 핸즈프리 본체(110)의 내부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141c)이 형성된다.The upwardly directed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ly drawn guide portion 141b are form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inner cente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rail 141c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향의 블록형태로 형성되며, 도 7의 B-B’ 단면도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141c)이 형성된다. 6, the up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blo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can be seen from the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form the receiving space, and the rails 141c, which are horizontally extended and opposed inward from both sides, are formed.

그리고,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수용공간 내측 하면에는 후술될 수직랙바(143d)가 장착된다.A vertical rack bar 143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lower side drawing guide portion 141b.

한편,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하단부(도 3 및 도 6의 중심방향)에는 레일(141c)을 제거한 절개부(141f)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cutout 141f with the rail 141c remov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the center of FIG. 3 and FIG. 6).

상기 절개부(141f)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될 인출이동블록(142)이 핸즈프리 본체(110)의 중심방향(도 3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의 하단부에 위치한 경우, 레일(141c)에 의해 후방(도 3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어 있던 인출이동블록(14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3, the cutout portion 141f moves in the center direction (the center direction in FIG. 3)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The moving block 142 is moved rearward (rightward in FIG. 3) by the rail 141c to move backward.

때문에, 절개부(141f)의 크기는 인출이동블록(142)이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이동블록(142)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다.Therefore, the size of the cutout portion 141f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raw-out moving block 142 so that the draw-out moving block 142 can be pulled backward.

한편, 상기 인출이동블록(142)은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부재로, 이어폰 보스부(B)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drawing movement block 142 is a member that linearly moves along the upward 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 drawing guide portion 141b and is removably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B. [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이동블록(142)은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연장부(142a)와 상부 이어폰 보스부(B) 또는 하부 이어폰 보스부(B)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부(1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utward movement block 142 includes a side extension portion 142a that is linearly movably coupled to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ly outgoing guide portion 141b and an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And a body portion 142b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ss portion (B).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 보스부(B)에 결합하는 인출이동블록(142)은 상술한 돌출이동블록(132)과 한블록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인출이동블록(142)의 몸체부(142b)는 돌출이동블록(132)과 기능적으로 구분되어 설명된 것일 뿐 하나의 블록에서 형성되어 상부 이어폰 보스부(B)에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3, the outward movement block 142 coupled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movement block 132 in one block, and the body of the outflow movement block 142 The portion 142b has a structure that is formed in one block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which is described as being functionally separated from the protruding moving block 132. [

하부 이어폰 보스부(B)에 결합하는 인출이동블록(142)은 ㄱ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연장부(142a)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몸체부(142b)로 구분되어 형성된다.The outward movement block 142 coupled to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142a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body portion 142b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몸체부(142b)는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 보스부(B)와 결합하는데, 이어폰 보스부(B)에는 이어폰(S1,S2)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보관되는 구성을 가진다.The body portion 142b is coupled to the upper earphone and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The earphone boss portion B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ble for transmitting signals to the earphones S1 and S2 is wound and stored.

후술할 작동례를 통해서도 언급하겠지만,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탈착하여 당겼다 놓으면 케이블이 신장 및 신축되는 구성으로, 이어폰(S1,S2)의 착용범위를 늘리는 구성이다. As the earphone boss portion B is detached from the drawer moving block 142 and pulled and pulled out, the cable is stretched and expanded and contracted to increase the wearing range of the earphones S1 and S2.

상기 인출이동블록(142)의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는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측면연장부(142a)의 측면에는 도 5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41c)이 끼워지는 레일홈부(142c)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141c)과 레일홈부(142c)의 결합으로, 인출이동블록(142)은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가능하게 된다.The end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142a of the drawing and moving block 142 is inter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upward 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 drawing guide portion 141b, A rail groove portion 142c into which the rail 141c is fitted is formed as shown in Fig. With the combination of the rail 141c and the rail groove portion 142c, the withdrawal movement block 142 can be linear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그리고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에는 수직구동부(143)가 마련된다. A vertical driving part 143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part 142a.

상기 수직구동부(143)는 인출이동블록(142)이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모터(143a)와 회전로드(143b)와 피니언기어(143c)와 수직랙바(14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rtical driving part 143 appli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drawing movement block 142 can linearly move and includes a motor 143a, a rotating rod 143b, a pinion gear 143c, and a vertical rack bar 143d. do.

이하, 상기 모터(143a)와 회전로드(143b)와 피니언기어(143c)와 수직랙바(143d)의 특징 및 구성은 앞서 언급한 수평구동부(133)와 동일함으로,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The characteristics and configuration of the motor 143a, the rotary rod 143b, the pinion gear 143c and the vertical rack bar 143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orizontal drive unit 133 described above. do.

상기 모터(143a)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이동블록(142)의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로드(143b)는 일단이 모터(143a)의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모터(143a)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 내측에 상기 회전로드(143b)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홈등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motor 143a horizontally inserts the rotation shaft into the end portion of the side extension 142a of the drawing movement block 142. One end of the rotation rod 143b is engaged with the shaft of the motor 143a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142a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3a. 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or the like is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142a so that the rotation rod 143b can be rotatably inserted and supported.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43c)의 기어 치(齒)가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모터(143a) 및 회전로드(143b)의 배치위치 또는 피니언기어(143c)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of the motor 143a and the rotation rod 143b or the position of the pinion gear 143c is set such that the gear teeth of the pinion gear 143c project laterally from the end of the side extension 142a. Is determined.

이는 후술될 수직랙바(143d)와 치합관계를 고려하여 측면연장부(142a)의 단부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end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142a from interfering with the vertical rack bar 143d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직랙바(143d)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내부 하면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vertical rack bar 143d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rack bar 143d is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ward draw guide portion 141a and the downward draw guide portion 141b. do.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구동부(143)는 상술한 제어부(120)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인출이동블록(142)을 핸즈프리 본체(110)의 상면(111) 및 하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vertical driving part 143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move the drawing movement block 142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in response to the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To move forward or backward.

다음으로, 상기 상술한 이어폰 인출수단(140)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텔레스코픽수단(14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telescopic means 144 will be described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described above.

도 8은 도 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텔레스코픽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lescopic means conceptually shown in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텔레스코픽수단(144)은 상술한 제어부(120)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lescopic means 144 functions to extend and retract the downwardly extending guide portion 141b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

이러한 상기 텔레스코픽수단(144)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부(144a)와 랙바(144b)와 확장구동부(14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lescopic means 144 includes a multi-stage portion 144a, a rack bar 144b, and an extended driving portion 144c, as shown in FIG.

도 8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부(144a)는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하면을 최상부로 하여 상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재들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둘레면을 따라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다단부(144a) 최하단부재는 핸즈프리 본체(110)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최상단부재는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하면으로 구성된다.8 and 9, the multi-stepped portion 144a has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as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members vertically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ar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And are stacked and formed. That is, the lowermost member of the multi-end portion 144a is fixed to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uppermost member is compose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상기 랙바(144b)는 상기 다단부(144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상하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단부(144a)를 신장시키거나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ack bar 144b is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downwardly extending guide portion 141b by vertically pushing or pulling the downwardly extending guide portion 141b slidably coupled to the multi-end portion 144a in the up- To extend or retract the multi-end portion 144a.

이러한 랙바(144b)는 굽힙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면에 확장구동부(144c)와 치합하도록 기어 치(齒)가 형성된다.The rack bar 144b is made of a bendable material, and a gear toot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 bar 144b to engage with the extended drive portion 144c.

상기 랙바(144b)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110)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한다.The rack bar 144b is formed with a bent portion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downward outgoing guide portion 141b.

상기 랙바(144b)의 일방은 별도의 가이드 부재나 레일 또는 도 8의 144d와 같은 안내 하우징부재에 의하여 핸즈프리 본체(110)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rack bars 144b may be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by a separate guide member or a rail or a guide housing member such as 144d of FIG.

상기 랙바(144b)의 타방은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데, 이를 위하여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 상면에 랙바(144b)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랙바수용부(141bf)가 형성된다. The other end of the rack bar 144b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inside of the lower draw guide part 141b. To this end, a rack receiving part 141bf, which can receive and fix the rack bar 144b, .

상기 랙바수용부(141bf)에 랙바(144b)의 타방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랙바(144b)의 움짐임에 연동하여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가 움직이는 구성을 가진다.The other end of the rack bar 144b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ack receiving portion 141bf so that the downward pullout guide portion 141b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144b.

상기 확장구동부(144c)는 랙바(144b)의 절곡부에서 랙바(144b)와 치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확장구동부(144c)는 도면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와 기어 조립체로 구성되어, 랙바(144b)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ension driving unit 144c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rack bar 144b at the bent portion of the rack bar 144b.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extension driving unit 144c is constituted by a motor and a gear assembly, and serves to impart rotational force to the rack bar 144b.

이로써, 상기 확장구동부(144c)의 모터가 제어부(120)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랙바(144b)의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110) 내측면을 따라 상향이동하고, 랙바(144b)의 타방은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하향으로 밀면서 하향이동하게된다.When the motor of the extension driving unit 144c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one side of the rack bar 144b moves upwar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144b are moved downward while pushing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downward.

이러한,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하향이동에 대응하여 다단부(144a)가 확장하게 되고, 핸즈프리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112)을 통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가 신장되어 인출된다.The lower end drawing guide portion 141b is extended through the opened lower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be extended do.

이후, 제어부(120)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110) 내측면을 따라 하향이동하고, 랙바(144b)의 타방은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상향으로 당기면서 상향이동하게된다.The other one of the rack bars 144b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so that the lower draw guide portion 141b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And moves upward while pulling upward.

이러한,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의 상향이동에 대응하여 다단부(144a)가 축소하고, 핸즈프리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112)을 통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가 신축되어 삽입된다.In response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the multi-end portion 144a is contracted and the downwardly-pulling-out guide portion 141b is expanded and inserted through the opened lower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이하,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작동례를 구분하여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Fig.

먼저, 고정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fixed mode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고정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xed mode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고정모드란, 상부 이어폰(S1)은 핸즈프리 본체(110)에 포함된 상태로 이어후크와 같은 보조수단을 사용하여, 실시예를 한쪽 귀에 거치하여 상부 이어폰(S1)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The fixed mode means that the upper earphone S1 is contained in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is used with an auxiliary ear such as a hook and the upper earphone S1 is used by mounting the embodiment to one ear.

이후, +/-버튼 조작등 사용자의 추가적 선택지시에 따라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이어폰(S2)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하부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장탈시키고, 케이블(W)을 신장시켜 반대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10, the lower earphone S2 is pulled out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pulled out of the drawer moving block 142 (see FIG. 10) And the cable W may be stretched to be mounted on the opposite ear.

이때, 도 10의 (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하부 이어폰(S2)이, 도 10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면으로 인출된다.10 (d),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unit 140, and the lower earphone S2 is rotated by the earphone pull- (b), it is moved downward along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to be drawn ou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한편, 도 10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이어폰(S2)이 반대측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부 이어폰 보스부(B)로부터 하부 이어폰(S2)이 확장되어 돌출될 수도 있다.
10 (c), the lower earphone S2 may be extended from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so that the lower earphone S2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opposite ear.

*이러한 이어폰 보스부(B)로부터 이어폰(S1,S2)이 확장되어 돌출되는 구조는 제어부(120)와 연결된 전기적, 기구적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외부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earphone S1 and S2 are extended and protruded from the earphone boss unit B may be implemented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election instruction of the user through an electrical or mechanic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돌출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otruding mode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돌출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truding mode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돌출모드란, 상부 이어폰(S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핸즈프리 본체(110)의 이어폰 돌출공(113)으로 돌출시켜, 실시예를 한쪽 귀에 거치하여 상부 이어폰(S1)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The protruding mode means that the upper earphone S1 is horizontally moved to protrude from the earphone protrusion hole 113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upper earphone S1 is used by mounting the embodiment to one ear.

돌출모드는, 이어후크와 같은 거치수단 없이, 직접 이어폰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기 위한 작동상태이다.The protruding mode is an operating state for wearing the earphone directly to the user's ear without a mounting means such as an ear hook.

이후, +/-버튼 조작등 사용자의 추가적 선택지시에 따라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이어폰(S2)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하부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장탈시키고, 케이블(W)을 신장시켜 반대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11, the lower earphone S2 is pulled out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pulled out of the drawer moving block 142 And the cable W may be stretched to be mounted on the opposite ear.

이때, 도 11의 (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120)는 이어폰 돌출수단(130)에 돌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돌출수단(130)에 의해 상부 이어폰(S1)이, 도 1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가이드부(131)를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이어폰 돌출공(113)으로 인출된다.11 (e),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rojecting unit 130 and the upper earphone S1 is projected by the earphone projecting unit 130, (b), it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protrusion guide portion 131 and is drawn out to the earphone projection hole 113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하부 이어폰(S2)이, 도 11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면으로 인출된다.11 (c),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and the lower earphone S2 is pulled out by the earphone pull- And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141b to be drawn ou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

한편, 도 11의 (b)와 (c)와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S1)이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상부 이어폰 보스부(B)로부터 상부 이어폰(S1)이 확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1 (b), 11 (c) and 11 (d), the upper earphone S1 is extended from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to the upper earphone S1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다음으로, 케이블 확장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able extension mode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케이블 확장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and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able expansion mode in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케이블 확장모드란, 마이크가 포함되어 있는 하부 이어폰(S2)을 하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핸즈프리 본체(110)의 개방된 하면(112)을 통해 인출하여, 하부 이어폰(S2)을 일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The cable extension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lower earphone S2 including a microphone is moved downward to be drawn out through an open bottom surface 112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a lower earphone S2 is mounted on one ear It says.

이를 위하여, 도 12의 (b) 및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이어폰(S2)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하부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장탈시키고, 케이블(W)을 신장시켜 일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하부 이어폰(S2)에 마이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핸즈프리 장치(100)를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 착용하고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12 (b) and 12 (c), the lower earphone S2 is pulled out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o disengage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from the pull-out moving block 142 , And the cable (W) is stretched to be mounted on one ear. Since the microphone is included in the lower earphone S2, it is possible to use the handsfree device 100 even when wearing it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ody.

+/- 버튼 조작등 사용자의 추가적 선택지시에 따라, 도 1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S1)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상부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장탈시키고, 케이블(W)을 신장시켜 반대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upper earphone S1 is pulled out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pulled out as shown in Figure 12 (d) The block 142 may be detached and the cable W may be stretched to be mounted on the opposite ear.

케이블 확장모드는, 옷핀과 같은 옷에 장착되는 액서서리나 후술될 헤어밴드에 결합되어 액서서리로 활용 될 때 유용한 작동모드로, 사용자의 옷이나, 헤어 어느 부분에 본 실시예가 위치하여도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을 사용자의 양측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cable extens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is useful when it is combined with an accessory mounted on a clothes such as a clothes pin or a hair band to be described later and utilized as an accessory. Even if this embodiment is located in a part of the user's clothes or hair, And the lower earphone S2 are easily mounted on the user's both ears.

도 12의 (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하부 이어폰(S2)이, 도 1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면으로 인출된다. 12 (e),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and the lower earphone S2 is rotated by the earphone pull- Downward along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and is drawn ou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그리고, 추가의 버튼 조작 등에 따라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상부 이어폰(S1)이, 도 12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상면으로 인출된다.The control unit 120 then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so that the upper earphone S1 is pulled out by the earphone pull- Up guide portion 141a and is pulled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한편, 도 12의 (c)와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이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상.하부 이어폰 보스부(B)로부터 상부 이어폰(S1) 및 하부 이어폰(S2)이 확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c) and 12 (d), the upper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are inserted from the upper and lower earphone bosses B to the upper earphone S1 And the lower earphone S2 are extended and protruded.

다음으로, 슬라이딩 확장모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liding extension mode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중 슬라이딩 확장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 및 블록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liding extension mode in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슬라이딩 확장모드란, 하부 이어폰(S2)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확장시킴으로써, 하부 이어폰(S2)과 함께, 하부 이어폰 보스부(B)에 위치한 마이크(M)를 하향시키는 것을 말한다.The sliding extens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ower earphone S2 is moved downward and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141b is extended to lower the microphone M located in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B together with the lower earphone S2 It is said.

슬라이딩 확장모드는 실시예를 헤어밴드에 결합하거나 헤어핀 형태로 머리에 착용한 경우에, 마이크(M)가 연결된 하부 이어폰(S2)을 일측 귀구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sliding extension mode is for moving the lower earphone S2 to which the microphone M is connected to the one ear hole position when the embodiment is combined with the hair band or worn on the head in the form of a hair pin.

이를 위하여, 도 13의 (b)및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이어폰(S2)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고 다단부(144a)로부터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확장시켜, 마이크(M)가 연결된 하부 이어폰(S2)을 하향이동시킨다.13 (b) and 13 (c), the lower earphone S2 is drawn out from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141b is extended from the multi-end portion 144a, The lower earphone S2 to which the microphone M is connected is moved downward.

이후, +/-버튼 조작등 사용자의 추가적 선택지시에 따라 도 13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S1)을 핸즈프리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상부 이어폰 보스부(B)를 인출이동블록(142)으로부터 장탈시키고, 케이블(W)을 신장시켜 반대측 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13 (d), the upper earphone S1 is taken out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is taken ou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able from the moving block 142 and stretch the cable W to mount it on the opposite ear.

도 13의 (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하부 이어폰(S2)이, 도 13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하면으로 인출된다.13 (e),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and the lower earphone S2 is rotated by the earphone pull- Downward along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and is drawn ou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13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텔레스코픽수단(144)에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하고, 텔레스코픽수단(144)에 의해 하방 인출가이드부(141b)가 신장된다.13 (c),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to the telescopic means 144, and the down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 is extended by the telescopic means 144. [

또한, 추가의 버튼 조작 등에 따라, 도 13의 (e)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120)는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이어폰 인출수단(140)에 의해 상부 이어폰(S1)이, 도 13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인출가이드부(141a)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여 핸즈프리 본체(110)의 상면으로 인출된다13 (e), the control unit 120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and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0 causes the earphone pull- S1 move upward along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a and are drawn ou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 13 (d)

한편, 도 13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이어폰(S1)이 귀에 용이하게 거치되도록, 상부 이어폰 보스부(B)로부터 상부 이어폰(S1)이 확장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arphone S1 extends from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B so that the upper earphone S1 can easily be mounted on the ear.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2실시예 * A second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5는 도 14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어폰 돌출수단 및 이어폰 인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6은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14 is a block diagram for conceptually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earphone projecting means and earphone pull- 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 Fig.

본 실시예(10)는 출력수단으로 단독의 이어폰(S3)을 가지는 구성이다.The present embodiment 10 is a configuration having a single earphone S3 as output means.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10)는 핸즈프리 본체 (11)와 제어부(12)와 이어폰 돌출수단(13)과 이어폰 인출수단(14)과 텔레스코픽수단(14d)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4 and 15, the present embodiment 10 include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handsfree main body 11, the control unit 12,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13,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 and the telescopic means 14d Lt; / RTI >

본 실시예(10)는 단독의 이어폰(S3)을 조작하는 이어폰 돌출수단(13)과 이어폰 인출수단(14)과 텔레스코픽수단(14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위와 같은, 본 실시예(10)의 구성요소의 구성 및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10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13 for operating the single earphone S3 and the earphone pullout means 14 and the telescopic means 14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독의 이어폰(S3)의 작동 모드 또한, 도 16의 (a)에서 나타낸 고정모드, 도 16의 (b)에서 나타낸 돌출모드, 도 16의 (c)에서 나타낸 케이블 확장모드, 도 16의 (d)에서 나타낸 슬라이딩 확장모드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6,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gle earphone S3 is also the same as the fixed mode shown in Fig. 16 (a), the protruding mode shown in Fig. 16 (b) The cable extension mode shown in FIG. 16D and the sliding extension mode shown in FIG. 16D are also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7은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되고 텔레스코픽 수단에 의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9는 도 1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실시예를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결합하고, 케이블 확장모드로 이어폰의 케이블을 확장하여 헤어밴드형 체결수단에 거치하고, 장식수단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1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FIG. 14 is coupled to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FIG.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14 is combined with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FIG. 1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tension of the earphone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or FIG. 14 to the hairband type fastening means, And a decorative means is mounted.

앞서 설명한 실시예(100,10)를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결합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0 and 10 can be coupled to the hairband-type fastening means 200 as shown in Fig.

상기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탈착용 레일(210)이 다수 구비될 수 있는데, 핸즈프리 본체(110,11) 후면에 형성된 홈부(115)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형성된 탈착용 레일(210)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호결합된다.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wearing rails 210. The hair raising body 2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115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the rails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그러나 위와 같은 상호 결합관계는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abov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is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7, 도 18, 도 19에서 도시한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은 핸즈프리 장치(100,10)를 신체나 옷등의 다양한 위치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의 하나의 예이며, 헤어핀, 옷핀, 클립 등의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핸즈프리 장치(100,10)와 결합하여 사용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shown in Figs. 17, 18, and 19 is an example of a fastening means that enables the handsfree devices 100 and 10 to be worn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ody or cloth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ans such as clothes pins, clips and the like to be selectively used by the user in combination with the handsfree apparatuses 100 and 10.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00,10)를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결합시키고, 텔레스코픽 수단에 의해 마이크(M)와 연결된 이어폰(S2,S3)을 하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일측 귀에 이어폰(S2,S3)을 위치시킬 수 있다.18, the earphones S2 and S3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 are moved downward by the telescopic means, so that the user 200 The earphones S2 and S3 can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earphone.

한편,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본체(110,11) 전면에 형성된 홈부(114)와 장식수단(P)이 끼움결합됨으로써 상호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9, the groove 114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11 and the decoration means P can be fitted together by being fitted together.

그러나 위와 같은 상호 결합관계는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abov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is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장식수단(P)을 핸즈프리 본체(110,11)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핸즈프리 본체(110,11) 전면에 배치된 버튼들을 장식수단(P)을 통해서 조작 가능도록 구성한다.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수단(P)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 장식수단(P)을 통해서 버튼들을 탄성적으로 눌림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핸즈프리 본체(110,11)의 전면에 배치된 각각의 버튼들에 대응되게 일체형 몸체가 배제되어 구성된 각각의 장식버튼들을 덧 끼우거나, 핸즈프리 본체(110,11)의 버튼들을 장식버튼들로 교체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buttons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11 are configured to be operable through the decorating means P even when the decorating means P is coupled to the handsfree main bodies 110 and 11. [ The decorating means P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19 and the buttons may be resiliently pressed and operated by the decorating means P or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The decorative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arranged so as to exclude the integral body may be added or the buttons of the handsfree main body 110 and 11 may be replaced with decorative buttons.

도 19에서 꽃모양의 장식수단(P)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모양의 장식수단(P)을 사용자가 취향이나 복장 등에 어울리도록 선택적으로 탈장착 가능하게 하므로써 하나의 고정된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Fig. 19, a flower-like decoration means P is present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ecorating means P having various shapes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removed so as to be suitable for a user's taste, dress,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a fixed form.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실시예(100,10)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 필요시에 케이블(W)을 신장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신장된 케이블(W)을 해어밴드형 체결수단(200)의 안쪽으로 거치하므로써 외부에서 케이블(W)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에 구성된 홀들로 케이블(W)을 끼워 넣고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의 안쪽면에 있는 레일홈을 따라 케이블(W)을 거치하여 이어폰을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의 양쪽 끝단으로 위치시키게 구성할 수 있다. 이 홀들은 헤어밴드형 체결수단(200)의 전면에 구성된 탈착용 레일(210)들의 위치와 갯수 등에 따라서 그 위치와 갯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mbodiments 100 and 10, the cable W is stretched and used when necessary. At this time, the elongated cable W is separated from the band type fastening means The cable W is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and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of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The earphone can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hair band type fastening means 200 by mounting the cable W along the rail groove.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hole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wear-off rails 21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air band-type fastening means 200.

이와같이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과 장식수단(P)을 핸즈프리 본체(110,11)에 탈장착 가능하게 하는 결합구조를 가지므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는 전자기기로서뿐만 아니라, 그 휴대성에 기인하여 변형 가능한 액서서리로도 활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ans and decorating means P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andsfree main bodies 110 and 11 is provided,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n electronic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as an accessory.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개시한 내용은 전자기기들을 원격제어하는 일반적인 핸즈프리 기기에만 국한되어 적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자기기의 기능과 핸즈프리 기능을 결합하여 하나의 핸즈프리형 전자기기로 구성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general hands-free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ut also to a configuration of one hands-free type electronic device by combining functio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with hands- can do.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 1실시예 10: 제 2실시예
S1: 상부 이어폰 S2: 하부 이어폰
S3: 이어폰(모노)
110,11: 핸즈프리 본체 111: 개방된 핸즈프리 본체 상면
112: 개방된 핸즈프리 본체 하면 113: 이어폰 돌출공
114,115: 홈부 120,12: 제어부
130,13: 이어폰 돌출수단 131: 돌출가이드부
131a,141c: 레일 132a, 142c: 레일홈부
131c,141f: 절개부
132: 돌출이동블록 133: 수평구동부
133a,143a: 모터 133b,143b: 회전로드
133c,143c: 피니언기어 133d: 수평랙바
140,14: 이어폰인출수단 141a: 상방 인출가이드부
141b: 하방 인출가이드부 141bf: 랙바수용부
142: 인출이동블록
142a: 측면연장부 142b: 몸체부
143: 수직구동부 143d: 수직랙바
144,14d: 텔레스코픽 수단 144a: 다단부
144b: 랙바 144c: 확장구동부
200: 체결수단(헤어밴드) 210: 탈착용 레일
P: 장식수단 G: 모드 결정부
B: 이어폰 보스부 W: 케이블
M: 마이크
100: First embodiment 10: Second embodiment
S1: Upper earphone S2: Lower earphone
S3: earphone (mono)
110, 11: Handsfree main body 111: Opened handsfree main body top surface
112: Open handsfree body 113: Earphone protrusion ball
114, 115: grooves 120, 12:
130, 13: Earphone protruding means 131:
131a, 141c: rails 132a, 142c: rail grooves
131c, 141f:
132: protruding moving block 133: horizontal driving part
133a, 143a: motor 133b, 143b:
133c, 143c: Pinion gear 133d: Horizontal rack bar
140, 14: earphone drawing means 141a: upper draw-
141b: downward withdrawing guide portion 141bf:
142: withdrawal movement block
142a: side extension part 142b:
143: vertical drive part 143d: vertical rack bar
144, 14d: telescopic means 144a: multi-
144b: Rack bar 144c:
200: fastening means (hair band) 210: de-wearing rail
P: decoration means G: mode decision unit
B: Earphone boss W: Cable
M: Mike

Claims (63)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와, 하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과,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In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earphones,
Handsfree main body;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nd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earphone-
A protrusion moving block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protruding moving block having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ck and adapted to receive a project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to apply a linear force to the projection moving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arphone protruding hole is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that the earphone protrudes through the earphon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상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the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opposite to the inside at both sides thereof,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 rail groove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il to allow the protruding moving block to be upwardly restrained and linearly mov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돌출가이드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driver comprises:
A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ry rod at a central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vemen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inion gear has a gear tooth protruded down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개방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와, 상기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연장부와, 상기 측면연장부와 수직하게 결합하며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출이동블록과,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In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earphones,
Wherei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s opened;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pper face and the lower face of the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correspondence with the pull-ou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earphone pull-
A pulling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front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ide extension portion that is linearly movably coupled with the pullout guide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The vertical movement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portion and receiv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pplies a linear power to the pul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ands-free device.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vertically extended opposite to the inside at both sides,
Wherein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has a rail groove portion for inserting the rail in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restraining the side extending portion to be linearly movab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arphone boss unit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인출가이드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rtical driver may include: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ting rod at a central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vertical rack bar which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rawing guide portion and meshes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vemen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inion gear is formed such that a gear tooth protrudes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arphone pull-
Further comprising a telescopic means formed in the draw-out guide portion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draw-out guide por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elescopic means comprises:
A lower end fixed to the handsfree main body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out guide and slidably coupl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 rack bar which is configured to be bent with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lded portion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ull-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mating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rack bar to provide a driving force,
Wherein the rack guid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thereby extending and expanding the multi-end part.
상부 및 하부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이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및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와, 하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과,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upper and lower earphones,
A handsfree main body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med in the hands-free main body for pulling out at least one of an upper earphone and a lower ear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an upper face and a lower face of the hands-
The earphone-
A protruding moving block which is horizontally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s a rail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whose upper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which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receives a projectio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pplies a straight line to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상부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n earphone protruding hole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earphone protrudes through the earphone protruding hole.
삭제delet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상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the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opposite to the inside at both sides thereof,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 rail groove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il to allow the protruding moving block to be upwardly restrained and linearly movable.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방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rail is removed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to release upward restraint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돌출가이드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horizontal driver comprises:
A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ry rod at a central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vement.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pinion gear has a gear tooth protruded down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arphone pull-out means is arranged vertically or vertically in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상방 인출가이드부 및 하방 인출가이드부;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연장부와, 상기 측면연장부와 수직하게 결합하며 상부 이어폰 보스부 또는 하부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arphone pull-
An upper draw-out guide portion and a lower draw-out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or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so as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 upper earphone boss portion or the lower earphone boss portion, the side extension portion being linearly movably engaged with the upwardly- A moving block;
And a vertical driving unit which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nd receives a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pplies a straight line to the drawing movement block.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upper draw-out guide portion or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Wherein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has a rail groove portion for inserting the rail in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restraining the side extending portion to be linearly movable.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하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연장부의 후방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rail is removed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upwardly withdrawing guide portion to release rearward restraint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측면연장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 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outgoing moving block are vertically form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 body portion of the retrieving moving block are integrally formed.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lower earphone boss unit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상방 인출가이드부 또는 하방 인출가이드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vertical driver may include: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ting rod at a central portion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vertical rack ba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or the downwardly-pulling-out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switch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linear movement.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pinion gear is formed such that a gear tooth protrudes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portion.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하방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earphone pull-
Further comprising telescopic means formed on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downwardly-withdrawing guide portion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하방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telescopic means comprises:
A lower end fixed to the handsfree main body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 rack bar which is formed by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round the ben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wer draw-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mating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rack bar to provide a driving force,
And the lower draw-out guide portion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thereby extending and expanding the multi-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pplies a pull-out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에 상부 이어폰이 돌출되도록 돌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Wherein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so that the upper earphone protrudes and a pullout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상부 이어폰 및 하부 이어폰이 각각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nd a pull-out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uch that the upper earphone and the lower earphone are respectively drawn out.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하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에 하방 인출가이드부가 신장되도록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상부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 pull-out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o that the lower earphone is pulled out, an extensio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so that the downward pull-out guide portion is extended to the telescopic means, and the pull-out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ull- And a second antenna.
이어폰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개방 형성되는 핸즈프리 본체;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을 통하여 돌출시키는 이어폰 돌출수단;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이어폰을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하면을 통하여 인출시키는 이어폰 인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상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돌출가이드부와, 상부는 상기 돌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결합하는 돌출이동블록과,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돌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돌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In a hands-free apparatus including earphones,
The hands-free main body being opened when the lower surface is opened;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An earphone project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and projecting the earphone through the rea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And an earphone pull-out means formed inside the hands-free main body, for pulling out the earphone through a lower 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 pull-out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earphone-
A projecting guide block formed horizontally above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rail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protruding moving block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to be linearly movable and a lower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earphone boss portion, And a horizontal driving unit formed on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pplying a linear motion to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n response to the protruding mo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 후면에는 이어폰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이어폰 돌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an earphone protruding hole is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so that the earphone protrudes through the earphone.
삭제delete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돌출이동블록을 하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the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and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opposite to the inside at both sides thereof,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rail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o define a rail groove part for restraining the protruding moving block downward and linearly moving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가이드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방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0. The method of claim 39,
Wherein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rail is removed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to release the downward restraint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돌출가이드부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평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horizontal driver comprises:
A motor in which a rotary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rotary rod at a center portion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horizontal rack ba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ing guide portion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motor into rectilinear movement.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돌출이동블록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pinion gear has a gear tooth protrud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earphone pull-out means is disposed vertically or below the earphone protruding means.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핸즈프리 본체 내부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인출가이드부;
측면연장부는 인출가이드부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몸체부는 이어폰 보스부와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인출이동블록;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인출동작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인출이동블록에 직선이동력을 부여하는 수직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earphone pull-
A draw-out guide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a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in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and having a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drawing guide portion in a linearly movable manner, and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earphone boss portion in a detachable manner;
And a vertical driving unit which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nd receives a drawing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pplies a straight line to the drawing movement block.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연장형성되는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연장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양측면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해당 측면연장부를 후방으로 구속하며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5. The method of claim 44,
The draw-out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ail which is open at an upper por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extends i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draw-
Wherein the side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has a rail groove portion for inserting the rail into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restraining the side extending portion to be linearly movable.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부에는 상기 레일을 제거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연장부의 후방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6. The method of claim 45,
Wherein the pull-out gu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from which the rail is removed, thereby releasing the rearward restraint of the side extending portion.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상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측면연장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이동블록의 하부와 상기 인출이동블록의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the 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drawing-out moving block are vertically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moving block and a body portion of the retrieving moving block are integrally formed.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보스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earphone boss unit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 내측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연장부 단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로드;
중심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기어;및
상기 인출가이드부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하여 모터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는 수직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5. The method of claim 44,
The vertical driver may include:
A motor in which a rotation shaf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A rotary rod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and the other end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ide extension portion;
A pinion gear to which the rotary rod is coupled at a center portion and which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vertical rack ba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keout guide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to switch the rotation of the motor to linear movement.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기어 치(齒)가 상기 측면연장부의 단부보다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50. The method of claim 49,
Wherein the pinion gear is formed such that a gear tooth protrudes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ide extension portion.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은,
상기 인출가이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인출가이드부를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신축시키는 텔레스코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5. The method of claim 44,
The earphone pull-
Further comprising a telescopic means formed in the draw-out guide portion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the draw-out guid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은,
최하단은 핸즈프리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단부;
굽힘가능한 소재로 절곡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방은 핸즈프리 본체 내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방은 상기 인출가이드부 하부 내측에 고정 결합하는 랙바;및
상기 랙바의 절곡부에서 치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확장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동작신호에 대응한 확장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랙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부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단부가 신장 및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52. The method of claim 51,
The telescopic means comprises:
A lower end fixed to the handsfree main body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out guide and slidably coupl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 rack bar which is configured to be bent with a bendable material and which is mov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lded portion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handsfree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ull-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mating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rack bar to provide a driving force,
Wherein the rack guid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ack bar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thereby extending and expanding the multi-end part.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돌출수단에 이어폰이 돌출되도록 돌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And a projecting operation signal is applied so that the earphone is projected to the earphone projecting means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struction.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nd a pull-out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pull-out means so that the earphone is pulled out.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이어폰 인출수단에 이어폰이 인출되도록 인출동작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수단에 인출가이드부가 신장되도록 확장동작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52.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struction,
And applies an extension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earphone is extended to the earphone extension means and the extensio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telescopic means to extend the extension guid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corativ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일측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corativ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removab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ecorativ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removab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전면부에 장식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decorative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의 후면부에 체결수단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removably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handsfree main body.
KR1020100083285A 2010-08-27 2010-08-27 Hands free device KR101260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85A KR101260067B1 (en) 2010-08-27 2010-08-27 Hands fre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85A KR101260067B1 (en) 2010-08-27 2010-08-27 Hands fre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16A KR20120019816A (en) 2012-03-07
KR101260067B1 true KR101260067B1 (en) 2013-05-06

Family

ID=4612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285A KR101260067B1 (en) 2010-08-27 2010-08-27 Hands fre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06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41B1 (en)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Sound instru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41B1 (en)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Soun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16A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388B1 (en) Synchronized telescoping headphones
CN201480292U (en) Box frame with stretching function
CN104378706A (en) Headphone-type acoustic device
EP3085266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JP2007151127A (en)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4750028U (en) A two screen display of compact show device for vehicle
CN110300350B (en) Wrist wearing equipment
KR101260067B1 (en) Hands free device
CN113163034B (en)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3032657A (en) Flexible equipment
CN110333757A (en) Wrist terminal device
US9392356B2 (en) Hands-free device
KR102104897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CN211684799U (en) Seat headrest telescopic mechanism, seat and vehicle
CN110518741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455045Y1 (en) Cover structure of mobile phone case
CN202955429U (en) Stretching equipment
CN202949892U (en) Interchangeable moving guide wire clutch fish wire wheel
CN110913302B (en) Conveniently take and avoid winding line length controllable formula earphone rolling equipment
JP2503866B2 (en) Wireless device with antenna / earphone
CN201118960Y (en) Head-worn earphone structure with a hidden microphone
CN204291299U (en) Earpiece type acoustics
CN208693380U (en) Surgical clamp clipping mechanism
CN210381230U (en) Telescopic sound box
CN110989331B (en) Intelligent wrist-wea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