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526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526B1
KR101259526B1 KR1020110026675A KR20110026675A KR101259526B1 KR 101259526 B1 KR101259526 B1 KR 101259526B1 KR 1020110026675 A KR1020110026675 A KR 1020110026675A KR 20110026675 A KR20110026675 A KR 20110026675A KR 101259526 B1 KR101259526 B1 KR 10125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ejector
tray
partitio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679A (ko
Inventor
지준동
탁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100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526B1/ko
Priority to PCT/KR2012/002170 priority patent/WO2012134129A2/ko
Publication of KR2012010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가 개시된다. 상기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여 제빙하는 트레이, 이젝터 축,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격벽을 구비하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제빙 시 상기 제 1 격벽이 상기 제빙수에 잠긴 상태에서 제빙수가 결빙된다. 상기 제빙기는 이젝터를 이용하여 아이스 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아이스 뱅크까지 직접 전달하므로, 종래의 제빙기에서 이빙에 관여했던 구성 부분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빙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젝터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이빙을 수행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음식물이 수납 및 취출되도록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냉장고 본체 또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제빙기 내에는 냉기에 의해 제빙수가 얼음으로 응고되는 과정이 일어나는 아이스 트레이(ice tray)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의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ejector)(110), 동력부(112), 측면 가이드(114) 및 아이스 뱅크(116)를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그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지며, 그 내면에는 제빙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104)이 형성된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급수관(106)과 급수컵(108)을 통해 제빙수를 급수받게 된다. 제빙 공간에 수용된 제빙수는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 제빙된다.
한편, 아이스 트레이(102)의 제빙 공간 내에는 이젝터(110)가 제빙 공간의 중앙을 가로질러 위치하는데, 이젝터(110)는 이젝터 축(110a)과 이젝터 축(110a)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이젝터 핀(110b)들로 구성된다.
동력부(11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젝터 축(110a)은 동력부(112)의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동력부(112)는 제빙 공간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면, 히터를 가동시켜 아이스 트레이(102) 내면에 단단히 붙어있는 얼음의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모터에 의해 이젝터(110)를 회전시켜 제빙 공간 내의 얼음이 회전하는 이젝터 핀(110b)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게 한다. 이때, 외부로 취출된 얼음은 측면 가이드(114)를 타고 아이스 뱅크(116)로 떨어져 아이스 뱅크(116)에 취합된다.
그런데, 아이스 트레이(102) 외부로 배출된 얼음을 아이스 뱅크(116)까지 가이드하기 위해 측면 가이드(114)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품을 구비하는 것은 제빙기의 구성을 복잡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제빙기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이에 따라 경량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더 간소화되고 경량화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얼음의 이빙 및 취합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여 제빙하는 트레이, 이젝터 축,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격벽을 구비하는 이젝터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제빙 시 상기 제 1 격벽이 상기 제빙수에 잠긴 상태에서 제빙수가 결빙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격벽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이용하여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에서 아이스 뱅크까지 직접 전달하므로, 종래에 비해 안정적으로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취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젝터의 격벽을 이용하여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에서 아이스 뱅크까지 직접 전달하므로, 종래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에서 배출된 얼음을 아이스 뱅크까지 가이드 하는 측면 가이드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빙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도1은 종래의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넘침 방지부를 구비하는 이젝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젝터의 제2 격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젝터의 제2 격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제빙기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우측면도이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200)는 아이스 트레이(202), 트레이 수납부(204), 이젝터(ejector)(206), 동력부(210) 및 아이스 뱅크(212)를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202)는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포함하며, 그 내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제1 격벽(203)이 형성된다. 제1 격벽(203)은 제빙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가 복수의 얼음으로 제빙되도록 제빙 공간을 분리한다. 여기서, 아이스 트레이(202)는 금속 박판을 재질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트레이 수납부(204)는 내부에 아이스 트레이(202)를 수납하여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202)는 트레이 수납부(204)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제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이스 트레이(202)는 트레이 수납부(204)의 수납 공간 내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스 트레이(202))가 트레이 수납부(204)의 수납 공간 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이스 트레이(202)와 트레이 수납부(204)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트레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젝터(206)는 트레이 수납부(204)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젝터 축(206a) 및 이젝터 축(206a)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격벽(206b)을 포함한다.
이젝터(206)의 제2 격벽(206b)은 제빙 시 아이스 트레이(202)의 제빙 공간 내에서 제1 격벽(203)들 사이에 위치하여 제1 격벽(203)들과 함께 제빙 공간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 격벽(206b)은 제빙 공간에 수용되는 제빙수에 일부 또는 전부가 잠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빙 시 제1 격벽(203)은 물론 제2 격벽(206b)에도 제빙수가 얼어붙어 결합된다.
동력부(210)는 내부에 모터(미도시)를 구비하며, 이 모터는 이젝터 축(206a)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빙 시 동력부(210)는 모터를 회전시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206)의 제2 격벽(206b)들을 제빙 공간 내에 위치시킨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202)의 제1 격벽(203) 및 이젝터(206)의 제2 격벽(206b)은 교대로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제빙수가 완빙되면, 동력부(210)는 아이스 트레이(202)의 측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히터(미도시)로 아이스 트레이(202)를 가열하여 아이스 트레이(202)와 얼음이 결합되어 있는 접촉면을 녹여 결합을 느슨하게 해준다. 이후, 동력부(210)는 이젝터(206a)를 제빙 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얼음은 이젝터(206)의 제2 격벽(206b)에 결합된 상태로 아이스 트레이(202)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제2 격벽(206a)을 따라 회전하는 얼음은 트레이 수납부(204)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얼음 분리용 돌기(208)에 의해 제2 격벽(206a)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는 동력부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동력부(210)의 케이스는 아이스 트레이(202)와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고, 트레이 수납부(204)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동력부(210) 케이스의 일면에는 트레이 수납부(204)에 수납되는 아이스 트레이(202)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해 부싱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아이스 뱅크(212)는 트레이 수납부(204)와 동력부(2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이젝터(206)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202)로부터 배출되는 얼음들을 취합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넘침 방지부를 구비하는 이젝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이젝터(606)는 이젝터 축(606a), 제2 격벽(606b) 및 물넘침 방지부(607)를 포함한다.
물넘침 방지부(607)는 아이스 트레이의 진동 등으로 인해 제빙수가 제2 격벽(806a)들 사이로 튀어올라 아이스 트레이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넘침 방지부(607)는 이젝터 축(606a) 방향으로 제2 격벽(606a)들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물넘침 방지부(607)는 아이스 트레이의 제빙 공간 상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물넘침 방지부(607)는 플라스틱 재질, 고무 재질 또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7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젝터의 제2 격벽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8은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젝터의 제2 격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706,806)는 이젝터 축(706a,806a) 및 이젝터 축(706a,806a)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격벽(706b,806b)을 포함한다. 이젝터(706,806)의 제2 격벽(706b,806b)은 제빙수(705,805)를 제빙하기 위해 아이스 트레이(702,802)의 제빙 공간 내에 위치한다.
아이스 트레이(702,802) 내면에는 복수의 제1 격벽(703,803)이 형성되며, 제1 격벽(703,803)들 사이에는 이젝터(706,806)의 제2 격벽(706b,806b)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 격벽(706b,806b)의 높이 보다 낮은 제 2 격벽 지지부(704, 804)가 형성된다.
제2 격벽 지지부(704, 804)는 제2 격벽(706b,806b)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제2 격벽 지지부(704,804)는 이젝터(706,806)의 제2 격벽(706b,806b)과 함께 제빙 공간을 밀폐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격벽 지지부(704,804)의 길이(또는, 높이)는 이젝터(706,806)의 제2 격벽(706b,806b)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격벽(706b,806b)과 제2 격벽 지지부(704,804)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 내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대부분은 제2 격벽(706b,806b) 양측에 결합되며, 일부만 제2 격벽 지지부(704,804)에 결합된다. 그런데, 완빙 시 히터로 아이스 트레이(702,802)를 가열하는 경우 얼음은 제2 격벽 지지부(704,804)의 결합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격벽(706b,806b)의 양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이빙된다. 따라서, 이젝터(706,806)를 회전시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702,802) 외부로 이빙하는 경우 제2 격벽(706b,806b)들 각각의 사이에 결합된 얼음이 하나의 덩어리로 이빙된다.
한편,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702,802) 외부로 안정적으로 이빙하기 위해서는 얼음과 제2 격벽(706b,806b)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제2 격벽(706b,806b)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과 같이 제2 격벽(706b)의 두께가 이젝터 축(706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도8과 같이 제2 격벽(806b)의 길이 방향으로 말단에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고정부(807)를 형성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도8에서는 고정부(807)가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807)는 제2 격벽(806b)과 얼음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므로, 고정부(807)의 위치가 제2 격벽(806b)의 말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격벽(806b)의 길이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제2 격벽(706b,806b)의 형상은 일 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제2 격벽(706b,806b)의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이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제빙기의 우측면도이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902), 트레이 수납부(904), 이젝터(906), 동력부(910) 및 아이스 뱅크(912)를 포함한다.
도9와 도10의 제빙기는 도2의 제빙기와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이젝터(906)에 의한 이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9의 제빙기는 도2의 제빙기에 비해 이젝터(906)가 아이스 뱅크(912)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2의 제빙기와 중복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아이스 트레이(902)에서 제빙수가 완빙되면, 동력부(910)는 이젝터(906)를 이빙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얼음(909)은 이젝터(906)의 제2 격벽(906b)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로 아이스 트레이(902)에서 아이스 뱅크(912) 상부까지 이빙된다.
그리고, 이젝터(906)의 회전을 따라 아이스 뱅크(912)로 전달되던 얼음(909)은 트레이 수납부(904)의 일측에 형성된 얼음 분리용 돌기(908)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면서 제2 격벽(906b)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얼음(909)을 아이스 뱅크(912)로 분리할 때, 얼음 분리용 돌기(908)는 제2 격벽(906b)의 양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얼음 분리용 돌기(908)는 제2 격벽(906b)를 기준으로 얼음의 양측면에 저지력을 가하여 얼음(909)을 제2 격벽(906b)으로부터 분리시켜 아이스 뱅크(912)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젝터(906)를 이용하여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902)에서 아이스 뱅크(912)까지 이빙하고, 트레이 수납부(904) 측면의 얼음 분리용 돌기(908)에 의해 이젝터(906)에 결합된 얼음(909)을 분리하여 아이스 뱅크(912)로 취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스 트레이(902))와 트레이 수납부(904)를 별개의 구성요소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이스 트레이(902)와 트레이 수납부(904)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트레이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에는 이빙 시의 이젝터의 역할은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 외부까지 밀어올리는 것까지였으며, 아이스 트레이 외부로 배출된 얼음은 측면 가이드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부분들에 의해 아이스 뱅크까지 가이드 되었다. 이때, 얼음의 가이드 방향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얼음을 제2 격벽(906b)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젝터(906)가 직접 아이스 트레이(902)에서 아이스 뱅크(912)까지 얼음을 전달하므로, 측면 가이드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부분이 없어도 안정적으로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취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는 격벽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이용하여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아이스 뱅크까지 안정적으로 이빙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제빙기에 구비되는 측면 가이드와 같은 별도의 구성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빙기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제빙기 202: 아이스 트레이
203: 제1 격벽 204: 트레이 수납부
206: 이젝터 206a: 이젝터 축
206b: 제2 격벽 208: 얼음 분리용 돌기
210: 동력부 212: 아이스 뱅크
607: 물넘침 방지부 704: 제2 격벽 지지부
705: 제빙수 807: 고정부
909: 얼음

Claims (10)

  1. 제빙수를 수용하여 제빙하는 트레이;
    이젝터 축,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형성되고 제빙 시 상기 제빙수에 잠기는 복수의 제2 격벽을 구비하는 이젝터;
    상기 트레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를 따라 회전하는 얼음의 진행을 저지하여 상기 얼음을 상기 제2 격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얼음 분리용 돌기; 및
    상기 이젝터 축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수납부; 및
    상기 트레이 수납부의 수납 공간 내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빙수를 수용하여 제빙하는 아이스 트레이;
    를 포함하는, 제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내면에 복수의 제1 격벽, 및 상기 복수의 제1 격벽 보다 높이가 낮은 복수의 제2 격벽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격벽과 상기 복수의 제2 격벽 지지부는 교대로 배열되는, 제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 지지부는 상기 제2 격벽들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제빙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의 두께는 상기 이젝터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빙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2 격벽에 얼음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트레이로부터 상기 얼음을 이빙하는, 제빙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이젝터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격벽들 상부에 결합되는 물넘침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이젝터 축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10026675A 2011-03-25 2011-03-25 제빙기 KR10125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675A KR101259526B1 (ko) 2011-03-25 2011-03-25 제빙기
PCT/KR2012/002170 WO2012134129A2 (ko) 2011-03-25 2012-03-26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675A KR101259526B1 (ko) 2011-03-25 2011-03-25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679A KR20120109679A (ko) 2012-10-09
KR101259526B1 true KR101259526B1 (ko) 2013-05-06

Family

ID=4728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675A KR101259526B1 (ko) 2011-03-25 2011-03-25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18B1 (ko) * 2015-09-16 2021-02-10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KR102392197B1 (ko) * 2020-09-18 2022-04-2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469B1 (ko) * 1997-12-13 2000-05-01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2001041621A (ja) * 1999-07-30 2001-02-16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冷蔵庫
KR100565603B1 (ko)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814686B1 (ko) * 2006-09-2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469B1 (ko) * 1997-12-13 2000-05-01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2001041621A (ja) * 1999-07-30 2001-02-16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冷蔵庫
KR100565603B1 (ko)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814686B1 (ko) * 2006-09-2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679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64588B (zh) 冰箱
KR101437983B1 (ko) 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130009332A (ko) 아이스 메이커
EP3295099B1 (en) Refrigerator
EP2054680B1 (en) Ice maker
JP5052277B2 (ja) 自動製氷機の製氷水タンク
KR2010002089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80106771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2730864A2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er with flexible ice mold and method for harvesting ice
KR20120064026A (ko) 제빙기 및 이를 사용한 얼음제조방법
KR101259526B1 (ko) 제빙기
US10746454B2 (en)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multiple-part external housing of an icemaker
KR101260374B1 (ko) 제빙기
KR20080006235U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2002130883A (ja) 自動製氷装置及び自動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1315101B1 (ko) 제빙기
KR101691226B1 (ko) 냉장고
WO2017211407A1 (en) Ice maker for use in a refrigerator
WO2023139653A1 (ja) 冷蔵庫
KR20130140384A (ko) 제빙 장치
KR10135610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JP2007017050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20180020767A (ko) 제빙 장치
KR101381670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200471371Y1 (ko) 신속 출빙이 가능한 제빙기의 저빙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