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37B1 - 고글 - Google Patents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37B1
KR101258637B1 KR1020120119248A KR20120119248A KR101258637B1 KR 101258637 B1 KR101258637 B1 KR 101258637B1 KR 1020120119248 A KR1020120119248 A KR 1020120119248A KR 20120119248 A KR20120119248 A KR 20120119248A KR 101258637 B1 KR101258637 B1 KR 10125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stening
main body
protrusion
gog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윤
임경섭
Original Assignee
임경섭
한승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섭, 한승윤 filed Critical 임경섭
Priority to KR102012011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37B1/ko
Priority to PCT/KR2013/009141 priority patent/WO20140655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고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안착되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렌즈유닛; 및 상기 체결돌기에 맞물리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고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글{GOGGLE}
본 발명은 고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탈착이 가능한 고글에 관한 것이다.
고글은 먼지나 강한 빛 따위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보안용 안경으로서, 등산이나 스키와 같은 레저 활동에 사용되거나, 오토바이를 탈 때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스키와 스노우 보드와 같은 겨울 스포츠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기온이 낮은 눈이 쌓인 산지의 슬로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겨울 스포츠를 행하는 동안 안면에 부딪치는 강한 바람과 눈보라로부터 눈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 또한 눈은 반사율이 매우 높으므로, 눈에 반사되는 강렬한 햇빛으로부터도 눈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글은 상기와 같은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장비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을 강조하는 고글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001호(2011.07.2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렌즈의 탈착이 가능한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안착되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렌즈유닛; 및 상기 체결돌기에 맞물리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고글이 제공된다.
상기 고글은 상기 체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기 위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본체유닛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렌즈유닛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도록,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에는,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외곽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에는, 각각의 상기 체결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제1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본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된 안경이 수용되도록 양측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렌즈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하여,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유닛은, 상기 렌즈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유닛과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글의 렌즈가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서 분리된 고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 결합된 고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 결합된 고글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은, 본체유닛(110), 렌즈유닛(120), 체결유닛(130) 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안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굴곡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은 중량이 작으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유닛(120)은 본체유닛(1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본체유닛(110)에 안착되기 위한 체결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중량이 작으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는 볼 때는 불투명하나 내부에서 볼 때는 투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에 결합되어,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유닛(130)은, 렌즈유닛(120)에 형성된 체결돌기(121)와 맞물려 결합되는 체결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유닛(120)에 형성된 체결돌기(121)는 본체유닛(110) 측으로 돌출되고, 체결홈(131)은 렌즈유닛(120) 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에 결합되도록, 체결홈(131)은 체결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서 분리된 고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체유닛(110)에서 체결유닛(130)이 이동함에 따라, 체결홈(131)에 대한 체결돌기(121)의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의 탈착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A-A'의 단면도이며,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에 구속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체결돌기(121)는 체결홈(131)으로 삽입될 수 있고,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 체결돌기(121)는 체결홈(131)에 대해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돌기(121)와 체결홈(131)의 결합이 이루지고, 그 결과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 A-A'의 단면도이며,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에서 구속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체결돌기(121)는 체결홈(131)으로부터 구속 해제될 수 있고,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유닛(130)은,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본체유닛(110)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의 탈착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은, 탄성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체결유닛(130)과 본체유닛(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체결유닛(130)이 원래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고글(100)에 의하면,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별도의 힘을 제공하지 않고서 체결유닛(130)을 복원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에 대한 렌즈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4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의 체결유닛(130)은, 몸체부(132), 가압부(133) 및 가이드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2)는 본체유닛(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133)는 몸체부(132)에 결합되어, 몸체부(132)가 이동하기 위한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부(133)는 상측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편평한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누를 수 있을 정도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압부(133)에는 상품의 식별력을 제공하는 표장, 로고 등을 부착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4)는 몸체부(132)에 결합되어, 몸체부(132)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4)는 봉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는 고글(100)의 경우, 탄성부재(140)는 가이드돌기(134)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돌기(134)는 탄성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이 결합되는 본체유닛(110)에는 가이드돌기(134)가 수용되는 가이드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34)와 가이드홀(114)은 몸체부(132)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몸체부(132)가 이동하는 경우, 몸체부(132)에 결합된 가이드돌기(134)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홀(114)은 가이드돌기(134)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가이드돌기(134)가 봉 형태인 경우, 가이드홀(114)은 원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114)의 면적은 가이드돌기(134) 단면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다. 따라서, 가이드돌기(134)가 가이드홀(114)로 삽입되는 경우에, 가이드돌기(134)가 일정한 방향 대하여 이탈되지 않고 선형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에 결합된 후에, 본체유닛(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1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135)는 체결유닛(13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일 수 있다. 본체유닛(110)에는 상기 스톱퍼(135)를 수용하는 수용홈(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톱퍼(1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3)은 스톱퍼(135)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에 결합된 후에, 스톱퍼(135)에 의하여 본체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우므로, 스톱퍼(135)는 체결유닛(130)과 본체유닛(110)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체결유닛(13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유닛(130)은 본체유닛(11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체결유닛(1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체결유닛(130)이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므로,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유닛(130)은 고글(100)의 네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체결유닛(130)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체결유닛(130)은,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의 결합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이 더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체결유닛(130)을 가압하여 렌즈유닛(120)을 본체유닛(1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체결유닛(130)을 더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의 체결돌기(121)는 단부에 걸림부(122) 및 경사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22)는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에 삽입된 경우, 체결돌기(121)는 걸림부(122)에 의하여 체결홈(1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걸림부(122)를 포함하는 체결돌기(121)에 의하면, 체결돌기(121)와 체결홈(131) 간의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경사면(123)은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으로 삽입되는 경우,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체결유닛(130)을 가압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체결돌기(121)는 체결홈(131)으로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다. 경사면(123)을 포함하는 체결돌기(121)에 의하면, 체결돌기(121)와 체결홈(131) 간의 결합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의 본체유닛(110)은 제1 본체 프레임(111) 및 제2 본체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 프레임(111)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제2 본체 프레임(112)은 제1 본체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본체 프레임(112)은 제1 본체 프레임(111)에 삽입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본체 프레임(111)과 제2 본체 프레임(112)은, 본체유닛(110)에 체결유닛(13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본체 프레임(112)은 렌즈유닛(120)의 체결돌기(121)가 수용되도록, 체결돌기(121)에 맞물리는 체결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134)를 포함하는 체결유닛(130)이 공간부에 수용되는 경우, 제2 본체 프레임(112)은 가이드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 프레임(111)과 제2 본체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본체유닛(110)에 의하면, 본체유닛(110)의 조립이 용이한 고글(10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글(100)이 충격을 받는 경우, 제1 본체 프레임(111)과 제2 본체 프레임(112)이 서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고글(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은, 양측에 홈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6)는 사용자의 코에서부터 귀로 연결되는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된 안경의 안경다리를 수용할 수 있다. 양측에 홈부(116)가 형성된 본체유닛(110)에 의하면,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도 고글(100)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체유닛(110)에는, 오목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7)에 의하여,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체결유닛(130)과 본체유닛(110) 간의 단차가 없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렌즈유닛(120)을 감싸고, 손가락으로 체결유닛(130)을 가압하여, 체결유닛(130)을 본체유닛(110)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오목부(117)를 따라 손가락을 본체유닛(110)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렌즈유닛(120)은 본체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오목부(117)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손가락 형태와 동일하게 오목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유닛(110)으로부터의 렌즈유닛(120) 분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체유닛(110)에는, 굴곡부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의 하단의 중간 부분은 사용자의 코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코는 인체의 안면 중 가장 굴곡이 심한 부분으로서, 본체유닛(110)의 형태는 해당 부분에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본체유닛(110)이 유동적인 굴곡부를 가질 수 있도록, 굴곡부에는 굴곡부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홈(118)을 포함하는 본체유닛(110)에 의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코 형태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는 고글(10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의 렌즈유닛(120)은 렌즈 프레임(124), 렌즈부 및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는 제1 렌즈(125) 및 제2 렌즈(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는 제1 접착층(127) 및 제2 접착층(128)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프레임(124)은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결합되도록, 체결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프레임(124)은 렌즈부를 보호하도록, 렌즈부가 렌즈 프레임(124)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부가 제1 렌즈(125) 및 제2 렌즈(126)를 포함하는 경우, 렌즈 프레임(124)의 일면에 제1 렌즈(125)가 결합되고, 타면에 제2 렌즈(126)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렌즈(125) 및 제2 렌즈(126)를 포함하는 렌즈부에 의하면,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고글(100)의 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접착부는 렌즈부와 렌즈 프레임(124)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부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부재일 수 있고, 액제가 도포되고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접착부가 제1 접착층(127) 및 제2 접착층(128)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접착층(127)은 렌즈 프레임(124)과 제1 렌즈(125)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접착층(128)은 렌즈 프레임(124)과 제2 렌즈(12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유닛이 본체유닛에 결합된 고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렌즈유닛(120)은 삽입돌기(129)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129)는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밀착되어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삽입돌기(129)는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130)이 본체유닛(110)의 외곽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 본체유닛(110)의 외곽과 멀리 떨어져있는 부분에서.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 간의 결합력이, 체결유닛(130) 가까이에 있는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부분은 본체유닛(110)의 외곽과 멀리 떨어져있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돌기(129)는 해당 부분에서의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삽입돌기(129)는 본체유닛(11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유닛(110)에는 삽입돌기(129)를 수용하는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유닛(110)이 제1 본체 프레임(111) 및 제2 본체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경우, 삽입홈(115)은 제1 본체 프레임(111) 및 제2 본체 프레임(112)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유닛(120)이 본체유닛(110)에 결합되기 위하여, 체결돌기(121)가 체결홈(131)으로 수용되는 경우, 삽입돌기(129)는 삽입홈(115)에 수용될 수 있다. 삽입돌기(129)와 삽입홈(115)을 포함하는 렌즈유닛(120)에 의하면, 렌즈유닛(120)은 본체유닛(110)에 더욱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렌즈유닛(120)과 본체유닛(110) 간의 결합력이 고글(100) 전체에 대해 균등하므로, 고글(1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100)에 의하면, 본체유닛(110)에 대한 렌즈유닛(120)의 탈부착이 용이한 고글(100)이 제공될 수 있다. 렌즈유닛(120)의 탈부착이 용이한 경우,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다양한 렌즈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고, 환경에 적합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의 불량이 발생한 경우, 렌즈유닛(120)만 교체하면 고글(100)의 수리가 가능하므로, 고글(100)의 유지비 및 관리비가 절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고글 110: 본체유닛
111: 제1 본체 프레임 112: 제2 본체 프레임
113: 수용홈 114: 가이드홀
115: 삽입홈 116: 홈부
117: 오목부 118: 굴곡부홈
120: 렌즈유닛 121: 체결돌기
122: 걸림부 123: 경사면
124: 렌즈 프레임 125: 제1 렌즈
126: 제2 렌즈 127: 제1 접착층
128: 제2 접착층 129: 삽입돌기
130: 체결유닛 131: 체결홈
132: 몸체부 133: 가압부
134: 가이드돌기 135: 스톱퍼
140: 탄성부재

Claims (11)

  1.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안착되며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렌즈유닛; 및
    상기 체결돌기에 맞물리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기 위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본체유닛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렌즈유닛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도록, 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에는, 상기 체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외곽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유닛에는, 각각의 상기 체결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제1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유닛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된 안경이 수용되도록 양측에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렌즈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하여,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닛은, 상기 렌즈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유닛과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KR1020120119248A 2012-10-25 2012-10-25 고글 KR10125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48A KR101258637B1 (ko) 2012-10-25 2012-10-25 고글
PCT/KR2013/009141 WO2014065528A1 (ko) 2012-10-25 2013-10-14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48A KR101258637B1 (ko) 2012-10-25 2012-10-25 고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637B1 true KR101258637B1 (ko) 2013-05-02

Family

ID=4866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48A KR101258637B1 (ko) 2012-10-25 2012-10-25 고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8637B1 (ko)
WO (1) WO20140655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851A1 (ko) * 2013-12-04 2015-06-11 한승윤 고글
EP3153140A1 (en) * 2015-10-09 2017-04-12 Anomaly Action Sports S.r.l. Protective mask for the eyes, for sports use, comprising a removable optica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7217B1 (fr) 2014-10-16 2016-11-04 Atomic Austria Gmbh Masque a ecran amovible
GB2544294B (en) * 2015-11-11 2021-06-09 Ruroc Ip Holdings Ltd Goggles for snowsports
CN109922765B (zh) 2016-11-15 2021-10-19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插入式护目镜框架卡扣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540A1 (en) 2001-04-30 2004-05-06 John Dondero Goggle for protecting eyes with movable single-eye len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goggle
US20080155736A1 (en) * 2006-12-28 2008-07-03 Roy Paulson Goggle lense engagement system
US8176913B2 (en) 2008-12-02 2012-05-15 Rpb Safety, Llc Respirator helmet with quick release safety le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2979A1 (en) * 2008-03-05 2009-09-10 Ching-Hsiang Wang Protective Goggle Assembly
KR200465702Y1 (ko) * 2010-11-22 2013-03-06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고글의 렌즈착탈용 클립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540A1 (en) 2001-04-30 2004-05-06 John Dondero Goggle for protecting eyes with movable single-eye len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goggle
US20080155736A1 (en) * 2006-12-28 2008-07-03 Roy Paulson Goggle lense engagement system
US8176913B2 (en) 2008-12-02 2012-05-15 Rpb Safety, Llc Respirator helmet with quick release safety le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851A1 (ko) * 2013-12-04 2015-06-11 한승윤 고글
KR101531684B1 (ko) * 2013-12-04 2015-06-26 한승윤 고글
US10441466B2 (en) 2013-12-04 2019-10-15 Boardriders Ip Holdings, Llc Goggles
US11179272B2 (en) 2013-12-04 2021-11-23 Boardriders Ip Holdings, Llc Goggles
EP3153140A1 (en) * 2015-10-09 2017-04-12 Anomaly Action Sports S.r.l. Protective mask for the eyes, for sports use, comprising a removable optic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528A1 (ko)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272B2 (en) Goggles
KR101258637B1 (ko) 고글
CN102048288A (zh) 与运动头盔一起的运动护目镜
KR101639077B1 (ko) 고글
EP2965728B1 (en) Ski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nose bridge
EP2611319B1 (en) Helmet with magnetic fixing means for eyewear
CA2772604A1 (en) Helmet for leisure sports
CN102553175B (zh) 面部佩戴用具
US9720255B2 (en) Apparatus for removably attaching outer lenses to goggles
US20120320331A1 (en) Removable lens eyewear system
KR101650032B1 (ko) 고글
JP2019183363A (ja) つば交替型帽子
WO2004062401A3 (en) Protective eyewear device for sports
CN111722413B (zh) 一种眼镜
KR101501701B1 (ko) 스포츠용 헬멧
US7649700B1 (en) Peripheral vision helmet
KR102383474B1 (ko) 눈용 보호구
US20130312164A1 (en) Helmet For Leisure Sports
CN206020834U (zh) 一种可以快速更换头带的滑雪眼镜
KR101620203B1 (ko) 스포츠용 고글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KR20120004268A (ko) 코받침 없는 안경
JP2014009426A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KR101554902B1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JP3178391U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