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389B1 -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389B1
KR101258389B1 KR1020110036292A KR20110036292A KR101258389B1 KR 101258389 B1 KR101258389 B1 KR 101258389B1 KR 1020110036292 A KR1020110036292 A KR 1020110036292A KR 20110036292 A KR20110036292 A KR 20110036292A KR 101258389 B1 KR101258389 B1 KR 10125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mage
source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733A (ko
Inventor
홍승필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6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3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04N21/2343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가 개시된다.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여, 단말 장치 각각에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부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 및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여 개인 정보가 유출되어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제어할 수 있어 컨텐츠의 불법 복제나 무한의 재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재산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One-Source Multi-Use System having Function of Security and Authentication, Teminal Apparatus Therefor and One-Source Multi-Use Relay Apparatus}
본 발명은 원 소스 멀티 유즈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완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아날로그 방송 형태에서 디지털 방송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인터넷과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웹 컨텐츠(contents), 방송 컨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정지화상, 동화상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멀티 미디어 재생 기능 또는 방송 서비스 수신 기능을 내장한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 기기들이 보급되고,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 기기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동 통신 단말기 전용의 컨텐츠는 소수이고, 대분분의 컨텐츠들은 PC, DTV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PC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PC에 연결하여 다운로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로 동일한 컨텐츠를 중복하여 다운받아야 하고,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를 다운받아도 이동 통신 단말기는 PC와 비교하여 취급 가능한 데이터 사이즈가 작고, 컬러수, 해상도,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 등의 성능 차이가 있고,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도 성능 차이가 존재하여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는 아날로그 컨텐츠와 달리 복수번의 복제 후에도 원본과 같은 품질을 유지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특성으로 인하여, 무단으로 복제된 컨텐츠들이 급속히 전파될 수 있어 많은 비용을 투자한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막대한 재산적 손실을 입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여, 상기 단말 장치 각각에 상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와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는 단말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와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을 분석하는 단말 성능 협상부와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 및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지불 정보를 암호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와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단말 성능 협상부가 분석한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 생성부가 생성한 이미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정보 전송부와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와 상기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부터 이미지화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디코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가 생성한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따르면,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여, 단말 장치 각각에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는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송신하고,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부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컨텐츠를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 및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여 개인 정보가 유출되어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제어할 수 있어 컨텐츠의 불법 복제나 무한의 재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제작자의 재산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은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수신하고, 단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화하여 다양한 단말 장치(200)들로 제공하여 다양한 단말 장치들(2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 및 다양한 단말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들(20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 및 단말 장치(200)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며, 지정된 컨텐츠의 영상에 대한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여 단말 장치(200)에 송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의 영상을 단말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200)의 성능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화하여 단말 장치(200)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전화망, 이동통신망, 유무선 통신망, 방송 통신망, 인터넷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 다양한 단말 장치(20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의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 IEEE802.11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하여 유무선 매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한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웹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스트리밍 동영상(streaming moving picture) 및 이미지(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웹 html 문서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인 html로 작성된 문서를 의미하고, 또한, 상기 컨텐츠는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자작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or UGC: User Generated Content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서버(1000)는 웹 서버(Web Server),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단말 장치(200)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DTV(Digital Television), PC,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고,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암호화를 하여 생성한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 및 단말 장치(200)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며, 지정된 컨텐츠의 영상에 대한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여 단말 장치(200)에 송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의 영상을 단말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200)의 성능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화하여 단말 장치(200)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단말 연동부(110), 제어부(120), 단말 성능 협상부(130), 컨텐츠 수신부(140), 컨텐츠 저장부(150), 이미지 생성부(160), 전송부(170), 인증부(180) 및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연동부(110)는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연동부(110)는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인증부(18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 장치(200)가 기가입된 사용자의 기등록된 단말 장치(200)인지를 인증하기 위해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인증부(180)로부터 단말 장치(200) 및 사용자 정보 요청을 제공받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및 단말 장치 정보가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인증부(180)로부터 단말 장치 연동 승인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 단말 장치(200)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의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화번호, 제품 식별 번호(Product ID) 등과 같이 단말 장치(200)를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단말 장치(200)의 식별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아이디(ID), 패스워드, 인증서,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사용자의 식별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말 성능 협상부(130), 단말 연동부(110), 이미지 생성부(160), 컨텐츠 수신부(140), 컨텐츠 저장부(150), 전송부(170), 인증부(180) 및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19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단말 연동부(11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인증부(180)에 제공하고, 인증부(18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상기 단말 연동부(110)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 연동부(110)가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200)의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인증부(180)로 제공하고, 수신한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가 인증부(180)에 기저장된 단말 장치 및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인증부(180)로부터 단말 장치 연동 승인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 연동부(110)로 제공하고, 미가입된 사용자이거나 또는 기가입된 사용자의 등록되지 않은 단말 장치(200)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 연동 거부 정보를 인증부(180)로부터 제공받아 단말 연동부(110)에 제공,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무시 또는 사용자 가입 요청 정보와 단말 장치 등록 요청 정보를 인증부(180)로부터 제공받아 단말 연동부(1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성능 협상부(13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미지 생성부(1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 및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컨텐츠 수신부(140)에 제공하여 컨텐츠 수신부(140)가 요청받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 생성부(160)에 제공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컨텐츠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이미지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부(17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190)에서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패키징된 컨텐츠를 전송부(170)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성능 협상부(130)는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각각의 단말 장치(200)의 성능에 맞추어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요청하고,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단말 장치(200) 각각의 데이터 수신 속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표현가능한 컬러수, 단말 장치(200) 각각의 선호하는 이미지화의 타입, 프로세서의 종류,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동영상 가속 기능의 구비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속도는 단위 시간 안에 몇 비트를 수신할 수 있는 지를 의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일정한 단위 안에서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72 dpi(dots per inch)라고 하면 1인치 안에 72개의 점이 들어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이미지화의 타입은 다종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 탑재된 이미지 디코더에 따라서 이미지의 디코딩 성능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고, 이는 단말 장치(200) 별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사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는 JPG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하지만, B 사의 단말 장치(200)는 GIF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장치(200)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가능한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 타입을 고려하여 이미지화 및 전송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가속 기능은 동영상 디코딩시 프로세서가 처리해야할 과정을 대신 처리해주어 프로세스의 부담을 덜어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컨텐츠 수신부(140)는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단말 연동부(110)로부터 제공받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한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웹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스트리밍 동영상(streaming moving picture) 및 이미지(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웹 html 문서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종류인 html로 작성된 문서를 의미하고, 또한, 상기 컨텐츠는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자작 컨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 or UGC: User Generated Contents)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는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가 있는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저장부(150)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140)가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목록은 일정 기간 단위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새로운 컨텐츠가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1000)는 웹 서버(Web Server),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160)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140) 또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150)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200)의 성능 분석결과에 대응하여 단말 장치(200)의 성능에 맞춘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화하는 기능은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1000)가 웹 서버인 경우에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파서를 구비한 웹 브라우저 기능을 탑재하고, 소정의 그래픽 버퍼에 실제 웹 화면의 구성과 동일하게 렌더링(Rendering)을 수행하게 되고, 일단 렌더링이 수행된 그래픽 버퍼는 소정의 이미지 타입으로 이미지 코딩이 된다. 즉,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웹 브라우저가 소정의 그래픽 버퍼에 렌더링을 한 웹 화면을 주어진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서 스냅샷(Snap-Shot)을 촬영하듯이 이미지화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컨텐츠 서버(1000)가 스트리밍 서버인 경우에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신된 스트리밍 컨텐츠의 해당 스트리밍의 부호화방식에 대응되는 복호화를 수행하여 우선적으로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에 대하여 다시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소정의 주기로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자체를 이미지화한 전체(full) 이미지와 상기 전체 이미지 또는 앞서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파생되는 차(differential)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소정의 이미지 타입은 다종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 탑재된 이미지 디코더에 따라서 이미지의 디코딩 성능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고, 이는 단말 장치(200) 별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사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는 JPG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하지만, B 사의 단말 장치(200)는 GIF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장치(200)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가능한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 타입을 고려하여 이미지화 및 전송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면에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속도를 즉,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 의미하며, 해상도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일정한 단위 안에서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한다.
상기 전송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상기 이미지 생성부(160)로부터 이미지를 제공받아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부(180)는 단말 장치(200)의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 식별 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화번호, 제품 식별 번호(Product ID) 등과 같이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단말 장치(200)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정보 및 주민등록 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인증서, 지문 정보, 홍체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부(180)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하며,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가 인증부(180)에 기저장된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 연동 승인 정보를 제어부(120)로 제공하고, 미가입된 사용자 이거나 또는 기가입된 사용자의 등록되지 않은 단말 장치(200)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 연동 거부 정보를 제어부(120)에 제공,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무시 또는 사용자 가입 요청 정보와 단말 장치 등록 요청 정보를 제어부(1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190)는 중요 정보인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복호화하고,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는 상기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에 대응된 컨텐츠의 영상에 대한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가 패키징된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제공받아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권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의 복호화 및 지불 정보의 암호화 방식은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의 안전한 상호 통신과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은 암호화에 사용된 동일한 키(key)가 복호화에도 사용되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대칭키 방식일 수 있고, 암호화에 사용된 키(key)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key)가 다른 RSA(Rivest Shamir Adleman) 등의 비대칭 키(key)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는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로 지정된 컨텐츠에 관한 제목, 컨텐츠의 목록에 표시된 컨텐츠의 식별코드,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 제공자 및 컨텐츠 판매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불 정보는 지정된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 신용카드, 은행 지로 송금, 핸드폰 결제 등의 결제 수단 정보, 주민등록번호 등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이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 제어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드(read), 라이트(write), 수정, 삭제, 컨텐츠 재생 유효 기간, 컨텐츠 재생 횟수, 컨텐츠 재생 일수, 컨텐츠를 재생할 단말 장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 정보, 컨텐츠의 신뢰성 정보, 컨텐츠 성인정보, 유료 및 개인정보 보호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 복사 가능한 횟수 등과 같이 컨텐츠에 대한 모든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190)는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가 패키징된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부(140) 및 컨텐츠 저장부(150)로부터 제공받아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권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DTV(Digital Television), PC,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고,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중계 장치 연동부(210), 단말 정보 전송부(220), 제어부(230), 재생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암호화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계 장치 연동부(210)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해서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제어부(230)에 저장된 단말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단말 장치 연동 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정보 전송부(220)는 단말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230)로부터 제공받아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단말 장치(200) 각각의 데이터 수신 속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표현가능한 컬러수, 프로세서의 종류, 단말 장치(200) 각각의 선호하는 이미지화의 타입,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동영상 가속 기능의 구비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속도는 단위 시간 안에 몇 비트를 수신할 수 있는 지를 의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느 일정한 단위 안에서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72 dpi(dots per inch)라고 하면 1인치 안에 72개의 점이 들어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이미지화의 타입은 다종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 탑재된 이미지 디코더에 따라서 이미지의 디코딩 성능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있고, 이는 단말 장치(200) 별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사의 단말 장치(200)의 경우는 JPG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하지만, B 사의 단말 장치(200)는 GIF 타입의 이미지를 선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장치(200)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에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가능한 단말 장치(200)가 선호하는 이미지 타입을 고려하여 이미지화 및 전송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가속 기능은 동영상 디코딩시 프로세서가 처리해야할 과정을 대신 처리해주어 프로세서의 부담을 덜어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중계 장치 연동부(210), 단말 정보 전송부(220), 재생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암복호화부(26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재생부(24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화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순차적으로 수신된 이미지화된 영상을 디코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화된 영상은 소정의 주기로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자체를 이미지화한 전체(full) 이미지와 상기 전체 이미지 또는 앞서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파생되는 차(differential)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재생부(240)로부터 제공받은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컨텐츠를 시각화하는 기능을 갖는 LCD(Liqu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부(260)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암호화된 지불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의 암호화 및 지불 정보의 복호화 방식은 단말 장치(200)와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와의 안전한 상호 통신과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은 암호화에 사용된 동일한 키(key)가 복호화에도 사용되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대칭키 방식일 수 있고, 암호화에 사용된 키(key)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key)가 다른 RSA(Rivest Shamir Adleman) 등의 비대칭 키(key) 방식일 수 있다.
도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단계 301), 상기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수신한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 요청을 상기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고(단계 302),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단계 303)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기가입된 사용자인지 및 상기 단말 장치(200)가 기등록된 단말 장치(200)인지 여부를 인증하여(단계 304), 등록된 단말 장치(200) 및 기가입된 사용자라는 조건으로 단말 장치 연동 승인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305).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목록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306), 컨텐츠 서버(1000)로 컨텐츠 목록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단계 307),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상기 컨텐츠 목록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308).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목록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하고(단계 309), 상기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지정 이벤트를 획득하고(단계 310), 단말 장치(200)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하고(단계 311),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한다(단계 312).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수신한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고(단계 313), 상기 지정된 컨텐츠의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고(단계 314), 암호화된 지불 정보가 포함된 지불 요청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315).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암호화된 지불 정보가 포함된 지불 요청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고(단계 316), 사용자로부터 지불 이벤트를 획득하고(단계 317), 지불 승인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단계 318), 암호화된 상기 지불 승인 정보를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한다(단계 319).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지불 승인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여(단계 320), 결제 서버(2000)로 결제 완료 확인 요청을 송신하고(단계 321), 상기 결제 서버(2000)로부터 결제 완료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322).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지정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상기 컨텐츠 서버(1000)로 송신하고(단계 323), 상기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지정된 컨텐츠를 수신하고(단계 324), 수신된 컨텐츠에 패키징된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를 분석한다(단계 325).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상기 단말 장치(200)에 단말 장치 성능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단계 326),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 성능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327), 상기 단말 장치 성능 정보를 고려한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화한다(단계 328).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단말 장치(200)에 송신하고(단계 329), 이미지화된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는 이미지를 재생하고(단계 330), 재생된 이미지를 출력한다(단계 33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401), 기가입된 사용자 및 등록된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402).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단말 장치(200)와의 연동을 수행하며(단계 403),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404),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405).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고(단계 406), 지정된 컨텐츠의 지불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지불 정보가 포함된 지불 요청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200)로 송신한다(단계 407).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지불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지불 승인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를 수행한다(단계 408).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결제 서버(2000)로부터 결제 확인 정보 및 지정된 컨텐츠를 수신하고(단계 409), 수신한 지정된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컨텐츠 메타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200) 및 사용자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컨텐츠에 관한 권한을 분석한다(단계 410).
상기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의 분석결과와 상기 단말 장치 및 사용자가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411).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는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컨텐츠의 영상을 이미지화하고(단계 412), 이미지화된 영상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단계 41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 연동 요청 정보를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하고(단계 601),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요청받은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602).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을 수신하고(단계 603), 컨텐츠 지정 이벤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단계 604), 컨텐츠 지정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는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한다(단계 605).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지불 정보가 포함된 지불 요청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하고(단계 606), 사용자로부터 지불 이벤트를 수신한다(단계 607).
상기 단말 장치(200)는 지불 이벤트에 대응하는 지불 승인 정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하고(단계 608), 요청받은 단말 장치의 성능 정보를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 송신한다(단계 609).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100)로부터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을 수신하고(단계 610), 수신된 이미지화된 컨텐츠의 영상에서 패키징된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를 분석한다(단계 611).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분석된 컨텐츠 권한에 따라 이미지를 재생하고(단계 612), 재생된 이미지를 출력한다(단계 61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는 어떤 컨텐츠에 접근 권한 제어가 설정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종류 필드, 컨텐츠를 어떤 사용자에 대해서만 접근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필드,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작자 필드, 개인정보 보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보호 필드, 컨텐츠의 공유 및 공유에 대한 동의를 확인할 수 있는 공유 필드, 컨텐츠를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해서만 접근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필드, 재생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재생 권한 필드, 쓰기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쓰기 권한 필드, 수정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수정 권한 필드, 삭제 권한이 부여된 것인지를 저장하는 삭제 권한 필드, 재생 가능한 기간의 정보가 저장된 재생 기간 필드, 재생 가능한 횟수의 정보가 저장된 재생 횟수 필드, 재생 가능한 일수가 저장된 재생 일수 필드, 컨텐츠의 복사 가능한 횟수의 정보가 저장된 복사 횟수 필드, 컨텐츠의 신뢰성 정보 예를 들어, 공신력 있는 기관이 인증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신뢰성 필드, 컨텐츠의 신뢰성을 알 수 없을 때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 필드, 개인정보나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의 제공시 사용자 또는 열람자 동의를 받는 개인정보 필드 등의 컨텐츠의 권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권한 메타데이터가 패키징된 컨텐츠는 컨텐츠 서버(1000)로부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 송신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10 : 단말 연동부
120 : 제어부 130 : 단말 성능 협상부
140 : 컨텐츠 수신부 150 : 컨텐츠 저장부
160 : 이미지 생성부 170 : 전송부
180 : 인증부 190 :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
200 : 단말 장치 210 : 중계 장치 연동부
220 : 단말 정보 전송부 230 : 제어부
240 : 재생부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암호화부 1000 : 컨텐츠 서버
2000 : 결제 서버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단말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서비스를 위한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로서,
    단말 장치로부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연동 요청 정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을 위한 정보 및 사용자 식별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연동부;
    상기 연동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단말 장치 정보의 동일성과 상기 사용자 식별을 위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의 동일성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와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컨텐츠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컨텐츠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지불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제어하는 컨텐츠 관리 및 권한 제어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을 분석하는 단말 성능 협상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상기 단말 성능 협상부가 분석한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 생성부가 생성한 이미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생성부가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에 대응된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이미지화하는 것은, 소정의 주기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자체를 이미지화한 전체(full) 이미지와 상기 전체 이미지 또는 앞서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로부터 파생되는 차(differential)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서비스를 위한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단말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화번호 및 제품 식별 번호(Produc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인증서, 지문 정보 및 홍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Triple DES(Data Encryption Standard), RSA(Rivest Shamir Adleman)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권한은 상기 컨텐츠의 목록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드(read), 라이트(write), 수정, 삭제, 컨텐츠 재생 유효 기간, 컨텐츠 재생 횟수, 컨텐츠 재생 일수, 컨텐츠를 재생할 단말 장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컨텐츠 제작자 정보, 컨텐츠 복사 가능한 횟수, 컨텐츠 성인정보, 개인정보 보호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 종류,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상기 단말 장치가 구비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표현 컬러수에 대한 정보, 각각의 선호하는 이미지화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서비스를 위한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7. 삭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스트리밍 동영상(streaming moving picture) 및 이미지(im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서비스를 위한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 결제 수단 정보 및 사용자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10036292A 2011-04-19 2011-04-19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KR10125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92A KR101258389B1 (ko) 2011-04-19 2011-04-19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92A KR101258389B1 (ko) 2011-04-19 2011-04-19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33A KR20120118733A (ko) 2012-10-29
KR101258389B1 true KR101258389B1 (ko) 2013-04-30

Family

ID=4728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92A KR101258389B1 (ko) 2011-04-19 2011-04-19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958A (ko) * 2007-07-19 2009-11-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콘텐츠를 변환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958A (ko) * 2007-07-19 2009-11-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콘텐츠를 변환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33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al-time ad insertion based on meta-data within a hardware based root of trust
US100389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providing adaptive bit rate streaming media content on-demand
KR101194477B1 (ko) 전자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09231A1 (en) Contents Encryption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hrough Network Using the Encryption Method
CN101977190B (zh) 数字内容加密传送方法以及服务器端
US20080109882A1 (en) Drm System For Devices Communicating With A Portable Device
CN102100031A (zh) 用于在用户接口中提供安全服务的设备及方法
AU2012275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al-time ad insertion based on meta-data within a hardware based root of trust
CN101945248A (zh) 处理流中的可录制内容
CN101938468A (zh) 数字内容保护系统
WO20140706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providing streaming media content on-demand
CN103237010B (zh) 以加密方式提供数字内容的服务器端
KR20110004332A (ko) 스트림에서의 레코딩가능한 콘텐트의 프로세싱
CN103237011B (zh) 数字内容加密传送方法以及服务器端
JP5908296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50021B2 (ja)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58389B1 (ko)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구비된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JP2007293719A (ja) デジタルメディアサーバ及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対応機器
KR100931500B1 (ko) 리치미디어 서버와 리치미디어 전송 시스템 및 리치미디어전송 방법
KR200800636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KR100814520B1 (ko) Drm 컨텐츠 제공/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423955B1 (ko) 사용자단말의 콘텐츠 접근 제어에 따른 콘텐츠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8072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241678A (ja) 情報送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