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297B1 -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297B1
KR101258297B1 KR1020060129426A KR20060129426A KR101258297B1 KR 101258297 B1 KR101258297 B1 KR 101258297B1 KR 1020060129426 A KR1020060129426 A KR 1020060129426A KR 20060129426 A KR20060129426 A KR 20060129426A KR 101258297 B1 KR101258297 B1 KR 10125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lan
module
wla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471A (ko
Inventor
최종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2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무선랜 모듈이 AP와 접속하는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는, 무선랜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전원판별부와,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말기에 장착되는 무선랜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이 배터리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무선랜 모듈의 전송속도가 최소로 유지되도록 하여 배터리전원의 소모전력이 최소화되어 한번 장착된 배터리를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무선랜 모듈, Wi-Fi 모듈, 배터리전력소모 절감, 전원공급모드

Description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LAN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제어부 210: 전원판별부
220: 전원공급부 230: 무선랜 모듈
231: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 232: 데이터 송수신부
240: 배터리 잔량 검출부
본 발명은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무선랜 모듈이 AP와 접속하는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랜 시스템의 경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에서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2.4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2Mbps 전송속도의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랜 시스템에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다양한 모드의 무선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AP(110)는 다양한 사양의 무선단말기 및 무선환경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다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시스템은 무선 랜 장치(WLAN Apparatus)(100)가 무선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Wireless) LAN과 같은 무선처리부와, 유선으로 접속된 LAN/WAN으로 구성되는 유선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처리부와 유선 처리부는 중계수단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10)를 통해 무선 서 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무선 랜 장치(100)는 노트북컴퓨터(101), 개인용 디지털단말기(PDA)(102),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스마트폰, 이동전화단말기,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랜 모듈(또는 카드)을 구비한 단말기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RF 모듈 등을 포함하여 지칭한다.
상기 무선랜 장치(100)는 AP(110)를 통하여 유선 랜(LAN)과 연결되며, 라우터(120)를 통하여 소정의 서버장치(130)와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컴퓨터(101)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되는 무선랜 모듈은 다양한 전송속도의 통신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양한 속도의 데이터 전송모드를 제공하는 다중모드 AP를 통하여 무선랜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통신환경에 따른 적합한 모드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지원되는 802.11a/b/g에 의한 표준 전송모드를 나타낸다.
(표 1)
표준
(Standard)
최적주파수
(Op. Frequency)
최대 데이터율
(Max.Data Rate)
허용 데이터율(Mb/s)
(Allowed Data Rate)
변조방식
(Modulation)
802.11b 2.4 GHz 11 Mb/s 11/5.5/2/1 CCK
802.11a 5 GHz 54 Mb/s 54/48/36/24/18/12/9/6 OFDM
802.11g 2.4 GHz 54 Mb/s 54/48/36/24/18/12/9/6 OFDM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사양을 가진 무선랜 단말기가 무선랜 시스템의 AP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표 1에 나타낸 여러 가지 표준 전송모드를 함께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다중모드 지원 구조로 구성되며, 또한 무선랜 단말기에 장착되는 무선랜모듈 또한 다중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모듈이 802.11b/g 모듈인 경우에는 단일대역 이중모드(single band/dual mode)를 지원하고, 802.11a/b/g 모듈인 경우에는 이중대역 3중모드 (dual band/tri- mode)를 지원하므로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모드로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와 AP 간의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허용되는 몇 가지 전송 데이터율 중에서 적합한 하나의 속도로 AP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노트북 컴퓨터에 구비된 무선랜 모듈(802.11a/b/g 또는 802.11/b/g)이 다중모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AP에 접속할 때에는, 먼저 802.11a 또는 802.11g에 따른 고속의 전송모드로 먼저 접속을 시도하고, 고속의 전송모드로 접속이 되는 경우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해당 접속모드에서 지원하는 높은 데이터전송률에서부터 낮은 데이터전송률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적정한 수준의 전송속도를 가진 전송모드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만약 고속 전송모드인 802.11a 또는 802.11g로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802.11b의 저속의 전송모드로 변경하여 다시 적정 수준의 데이터전송률을 찾는 시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랜 단말기가 접속하고자 하는 AP가 지원하는 전송모드(802.11a, 802.11b 및 802.11g)와 무선랜 단말기와 AP 간의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접속되는 전송모드가 결정되고, 상기과정에 따라 접속된 전송모드에 따라 무선랜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노트북 시스템과 같은 휴대용 무선랜 단말기의 경우 이동중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시간이 제한되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므로, 하나의 배터리로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선랜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무선랜 모듈에 있어서는 무선랜 모듈과 다중모드 AP의 접속방식은 AP가 지원가능한 모드 및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휴대용 무선랜 단말기가 배터리전원 공급모드에서 배터리전원을 절약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에도 무선신호의 세기가 양호한 상태일 때에는 AP가 지원가능한 최대의 전송속도로 접속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배터리전원을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무선랜모듈이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한 무선랜 단말기가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하는 경우, 무선랜 단말기의 전원공급 모드에 따라 무선랜모듈과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접속방식을 무선랜 단말기의 배터리전원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랜 단말기의 배터리전원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에 적 합한 상태로 사용자의 전원 옵션 설정에 따라 무선랜모듈과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접속방식의 자동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는, 무선랜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전원판별부와,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말기에 장착되는 무선랜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판별부는 무선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 또는 AC 어댑터 전원 중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판별한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최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유지하는 전송모드로 접속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판별한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의 데이터 전송속도 설정 값을 최소 전송속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 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대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최대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무선랜 모듈의 데이터 전송속도 설정치를 최소의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이 배터리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무선랜 모듈의 전송속도가 최소로 유지되도록 하여 배터리전원의 소모전력이 최소화 되어 한번 장착된 배터리를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무선랜 단말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는, 전원공급부(22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전원판별부(210)와, 상기 전원판별부(2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무선랜 모듈(230)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의 접속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용 무선랜 단말기는 무선기능이 지원되는 컴퓨터, PDA, 또는 핸드폰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2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AC 어댑터전원 또는 배터리전원의 전력을 휴대용 단말기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전원은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전력공급에 따라 현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240)를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240)는 해당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200)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판별부(210)는 휴대용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지 또는 AC 어댑터 전원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 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원판별부(210)에서 판별한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230)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최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모드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23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무선랜 모듈(230)과 AP가 접속을 시도할 때 AP에서 지원하는 최소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접속모드로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랜 모듈(2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201)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의 동작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20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201)를 통하여 입력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의 동작 실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무선랜 모듈(230)은 일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AP와 채널 설정 및 데이터 송수신 동작 등의 일련의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와 데이터 송수신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데이터 버스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블록 및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을 통해 제어부(200)와 버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전에 약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송수신 요구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맥(MAC: Medium Access Controller)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32)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법에 따라, 맥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블록과, 맥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AP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송신블록과, 상기 송신블록에서 처리된 송신데이터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 또는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RF 스위치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의 동작 및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가 무선랜 모듈의 데이터 전송 모드를 제어하여 무선랜 단말기의 소모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원공급부(220)를 통하여 무선랜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무선랜 단말기가 구동을 시작한다(S310).
무선랜 단말기가 구동함에 따라 무선랜 단말기의 전원판별부(210)는 전원공 급부(220)를 통하여 무선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여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S320).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원판별부(210)에서 출력되는 전원종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종류가 배터리전원인지를 판단한다(S330).
이후 제어부(200)는 상기 판단된 전원종류에 따라 최소 때는 최대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전송모드로 무선랜 모듈(230)이 AP와 접속하도록 무선랜 모듈(230)을 제어한다(S34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판단결과(S330) 전원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에,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230) 및 AP가 제공하는 최소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AP와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랜 모듈(230)을 제어한다(S341).
즉,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230)이 최소의 데이터 전송률을 가진 전송모드로 AP에 접속하도록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는 무선랜 모듈(230)의 전송속도 세팅 값을 무선랜 모듈(230)이 지원하는 최소의 값으로 변경설정하여 해당 세팅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모드로 접속하도록 하여 무선랜 모듈(230)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전송모드로 AP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가 무선랜 모듈(230)의 무선랜모듈 컨트롤러(231)에 주전원 공급모드가 배터리 전원모드에 해당한다는 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무선랜모듈 컨트롤러(231)가 AP와의 접속을 시도할 때 AP로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를 할당해 주도록 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AP로부터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 속모드를 할당받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는 상기 전원모드 정보를 AP로 전송할 전송프레임의 특정 필드(field)에 삽입하고, 전원모드 정보가 실린 전송프레임을 AP로 전송함으로써, AP는 전원모드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최소의 전송속도로 설정된 전송모드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모드 정보는 전송프레임의 RTS(Request To Send), CTS(Clear To Send) 신호의 특정 필드(field)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가장 낮은 데이터전송률을 가지는 전송모드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무선랜 모듈(230)이 802.11b/g 모듈이고 AP가 다중 전송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무선랜 모듈 컨트롤러(231)는 먼저 무선랜 모듈(230)이 802.11b에 따른 접속모드로 AP와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시도 결과, 802.11b에 따른 저속의 전송모드로 접속이 되는 경우, 무선신호의 세기에 불구하고 해당 접속모드에서 지원하는 가장 낮은 데이터전송률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AP에서 허용되는 가장 낮은 데이터전송률을 가지는 전송모드로 접속되도록 시도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S330) 전원종류가 배터리전원이 아닌 AC전원인 경우에는 무선랜 모듈 및 AP가 제공하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AP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230)을 제어한다(S342).
이 경우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230)이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AP에서 제공하는 최대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한다. 즉, 무선랜 모듈(230)이 802.11b/g 모듈인 경우, 802.11g에 따른 고속의 전 송모드로 먼저 접속을 시도하고, 802.11g 모드로 접속이 되는 경우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해당 802.11g 모드에서 지원하는 높은 데이터전송률에서부터 낮은 데이터전송률까지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최대의 데이터전송률을 가진 전송모드로 접속할 수 있도록 AP와 접속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에는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갖는 전송모드에서 동작하게 AP와의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무선랜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서 배터리전원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무선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모드만을 고려하여, 배터리 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의 전송속도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려주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한편, 무선랜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랜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경우 고속의 통신모드를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무선랜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전원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무선랜모듈 및 AP에서 허용하는 최대의 전송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제어 방법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경우의 다른 실시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무선랜 모듈의 데이터 전송모드를 제어하여 무선랜 단말기의 소모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전원에 의하여 무선랜 단말기에 주전원이 공급됨에 따라(S330), 배터리전원에 구비된 배터리잔량 검출부(240)는 현재의 배터리잔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배터리잔량 정보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제어부(200)는 상기 배터리잔량 검출부(240)에서 출력되는 현재의 배터리 잔량 값과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현재의 배터리 잔량 값이 기준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400).
상기 판단결과(S400) 현재의 배터리 잔량 값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무선랜모듈(23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선랜모듈(230)이 AP와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341). 한편, 현재의 배터리 잔량 값이 기준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랜 모듈 및 AP가 제공하는 최대의 데이터전송률을 가지는 고속의 전송모드로 AP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을 제어하게 된다(S342).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제어 방법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무선랜 단말기의 무선랜모듈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랜 단말기가 최대의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부(201)를 통하여 해당 메뉴를 팝업하여 무선랜모듈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에 관한 메뉴는 전원 옵션 메뉴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전원 옵션 메뉴를 팝업하여 무선랜모듈의 통신상태를 고속통신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배터리전원인 경우에도 무선랜모듈(230)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0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무선랜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에 관한 설정 값은 제어부(200)를 통하여 저장부(20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 옵션 메뉴를 통하여 무선랜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를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배터리전원에 의하여 무선랜 단말기에 주전원이 공급되는 경우(S330), 제어부(200)는 저장부(202)에 저장된 소모전력 절감모드 실행 여부 설정 값을 확인하여 무선랜모듈의 통신상태가 고속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00).
상기 판단결과(S500), 무선랜모듈의 통신상태가 고속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랜 모듈 및 AP가 제공하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AP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는 무선랜 모듈(230)을 제어한다(S342). 반면에 무선랜모듈의 통신상태가 고속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00)는 무선랜모듈(23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선랜모듈(230)이 AP와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전송모드로 접속하도록 무선랜 모듈(230) 을 제어하게 된다(S341).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기초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그러한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모듈이 구비된 무선랜 단말기의 전원이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모듈을 제어하여 무선랜모듈과 AP간의 데이터 전송률이 최소가 되는 접속모드로 접속하게 함으로써 무선랜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의 배터리전원의 전력소모가 줄어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랜모듈 제어장치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전송속도의 통신을 원하는 사용자는 해당 기능의 수행을 중지토록 함으로써 무선랜 단말기가 빠른 전송속도로 통신할 수 있게 해 준다.

Claims (8)

  1. 무선랜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전원판별부와;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말기에 장착되는 무선랜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접속하는 접속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단말기는 무선기능이 지원되는 컴퓨터, PDA, 또는 핸드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판별부는,
    무선랜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 또는 AC 어댑터 전원 중의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판별부에서 판별한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액세스 포인트(AP)와 최저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유지하는 전송모드로 접속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5.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6.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대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최대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7. 단말기에 현재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의 종류가 배터리전원인 경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모듈이 최소의 전송속도를 가진 접속모드로 AP와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무선랜 모듈의 데이터 전송속도 설정치를 최소의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모듈 제어 방법.
KR1020060129426A 2006-12-18 2006-12-18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26A KR101258297B1 (ko) 2006-12-18 2006-12-18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426A KR101258297B1 (ko) 2006-12-18 2006-12-18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71A KR20080056471A (ko) 2008-06-23
KR101258297B1 true KR101258297B1 (ko) 2013-04-25

Family

ID=3980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426A KR101258297B1 (ko) 2006-12-18 2006-12-18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2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378A (ko) * 2005-09-01 2007-03-08 에스엘 주식회사 발광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378A (ko) * 2005-09-01 2007-03-08 에스엘 주식회사 발광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71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7639B1 (en) Managing associations in ad hoc networks
US79119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904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electively utilizing peripheral devices
EP1392022B1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module in a computer system
US20100093280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8014779B2 (en) Wireless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3852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856003B2 (en) Local area network having multiple channel wireless access
US7436790B2 (en) Wireless access point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cost
US7941177B2 (en) Wireless termina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WLAN standard and method thereof
US7003331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to optimize battery life in a wireless device
US82085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ulti-mode wireless modem
US20050198257A1 (en)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devices
US200600467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device power consumption by selecting among plural communication transceivers
US20020118664A1 (en) Communication setup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17042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cessing circuit
JP200428937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及び通信方式の切替方法
EP1741304A2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units having location transmitters
US20070032272A1 (en) Wireless network device with a signal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for the same
JP4885052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258297B1 (ko) 무선랜 모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61181B1 (ko) 무선통신규격 자동변경기능을 지원하는 무선단말장치 및그 방법
KR100662607B1 (ko) 무선통신규격 자동설정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장치 및방법
JP2008211601A (ja) 無線通信装置
JP7494512B2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