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139B1 -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139B1
KR101258139B1 KR1020130003981A KR20130003981A KR101258139B1 KR 101258139 B1 KR101258139 B1 KR 101258139B1 KR 1020130003981 A KR1020130003981 A KR 1020130003981A KR 20130003981 A KR20130003981 A KR 20130003981A KR 101258139 B1 KR101258139 B1 KR 10125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ile
image
frames
thumbnail image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영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00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은,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에 따른 프레임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추출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프레임들이 합성된 축약 이미지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특정 이미지와 썸네일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기능에 의해 다수의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더라도 그 촬영 내용이 변화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확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video file by CCTV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티브이(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피사체 또는 사물을 촬영하여 영상을 얻는 시스템이고, 이러한 CCTV 시스템은 일반 주택, 백화점, 은행, 공장 및 전시장 등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감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근래에는 촬영되는 화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가 폐쇄회로 티브이 시스템에 적용되어 설치된 영역의 정밀한 촬영이 구현되고 있다.
보안이 중요시되고 있는 최근에는 개인들도 집 또는 사무실에 CCTV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는데, 개인이 기존의 CCTV 시스템을 도입하기에는 비용적으로도 부담스러우며 저장된 비디오 파일의 관리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파일은 고압축 기술로 압축하더라도 용량이 큰 편이며, 더욱이 CCTV의 특성 상 오랜 기간 동안 촬영된 비디오 파일들을 일일이 저장해야 함에 따라 저장공간의 확보도 필요하다.
더욱이, CCTV 기능에 따라 생성된 비디오 파일을 확인하여 외부인의 침입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비디오 파일들을 모두 재생시키고 시청해야 함에 따라, 재생속도를 빨리 하더라도 오랜 시간 동안 집중해서 시청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종래의 비디오 파일에서 이용되는 썸네일(thumbnail)은 단순히, 첫 프레임에 따른 이미지 또는 중간 특정 시점에 따른 프레임의 이미지가 그대로 이용되는데, 이는 단순히 어떠한 시점의 영상을 작은 이미지로서 확인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CCTV 기능에 의해 다수의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더라도 그 촬영 내용이 변화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만 노출시키는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 촬영되는 공간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에 따른 프레임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추출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프레임들이 합성된 축약 이미지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특정 이미지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이미지는 촬영 시간순에 의한 바로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이거나, 상기 정보 표시 방식이 썸네일 표시로 결정된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이미지는 상기 CCTV 기능의 시작 시점에 따른 촬영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프레임은 특정한 시간 단위 간격을 갖는 제1 추출프레임들과, 상기 제1 추출프레임들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 중 특정 개수의 제2 추출프레임을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단위 간격 또는 상기 특정 개수는 상기 비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CCTV 기능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CCTV 기능에 따라 일정 촬영시간마다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파일에 따른 프레임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추출프레임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프레임들이 합성된 축약 이미지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특정 이미지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 표시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이미지는 촬영 시간순에 의한 바로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이거나, 상기 정보 표시 방식이 썸네일 표시로 결정된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특정 이미지는 상기 CCTV 기능의 시작 시점에 따른 촬영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이미지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디오 파일에 대한 프레임 압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기능에 의해 다수의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더라도 그 촬영 내용이 변화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확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파일의 재생 없이도 썸네일 이미지만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확인뿐 아니라 개략적인 촬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중요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는 원본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압축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도 그 저장 기간이 자동 설정됨으로 인해 많은 수의 비디오 파일을 삭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편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및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압축 비디오 파일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 프레임의 추출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약 이미지를 이용한 비디오 파일의 저장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식의 결정을 위한 개략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들의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할 그 방법들은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자체에서도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생성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및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생성 과정은 비디오 파일을 이루는 프레임들 중 복수개를 추출하는 추출 프레임 추출 단계(S10), 추출 프레임들이 합성된 축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20) 및 축약 이미지를 이용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30)을 포함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비디오 파일의 각 프레임 중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추출 프레임)을 추출하고, 그 추출 프레임들을 모두 합성한 축약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모든 프레임을 추출 프레임으로써 이용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부의 프레임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일부 프레임들을 추출 프레임으로서 추출 방식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시간 단위 간격으로 추출되거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개수가 랜덤(random)하게 추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에 따르면 그 시간 단위 간격 또는 특정 개수는 비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쉬운 예를 하나 들자면, 비디오 파일이 1분의 재생시간을 갖는 경우 시간 단위 간격은 0.2초, 특정 개수는30개일 수 있다.
이렇게 추출 프레임에 따른 이미지들이 합성된 축약 이미지를 이용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만드는데, 일례에 따르면 축약 이미지의 사이즈가 축소된 이미지가 썸네일 이미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에 의하면, 촬영된 시간이 다른 다수 프레임에 따른 이미지들이 합성되기 때문에, 만일 각각의 프레임 이미지들이 서로 다르다면 사용자가 알아보기 힘든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 쉽게 말해, 비디오 파일에 따른 동영상에서 사람을 포함한 어떠한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한다면, 그 물체로 인해 축약 이미지 또는 썸네일 이미지는 해당 물체를 제대로 확인하기 힘든 이미지일 것이다. 그와 반대로, 움직이는 물체가 없이 정적인 공간이 촬영되었다면, 모든 프레임이 거의 동일한 이미지일 확률이 높으므로 축약 이미지 또는 썸네일 이미지는 합성 이미지가 아닌 마치 한 장의 촬영 이미지처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디오 파일의 재생 없이도 그 썸네일 이미지만으로 촬영된 동영상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도 4 참조).
지금까지는 하나의 비디오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개략적인 생성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일례에 따라 데이터량이 축소된 비디오 파일의 생성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쉬운 예로, 스마트폰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컴퓨팅 장치에서 직접 촬영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한 압축(즉 데이터량 축소) 또는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 등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가 비디오 파일 및 그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을 처리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압축 비디오 파일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프레임들을 모두 그대로 이용하여 비디오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의 프레임들만을 추출하여 비디오 파일(이하 압축 비디오 파일이라 칭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 비디오 파일이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디오 코덱(codec) 기술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의 일부만이 이용됨으로써 원본에 비해 전체 데이터량이 축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초 동안 촬영되는 일정 개수(16개)의 프레임들 중 일부분(예를 들어 하나)만을 추출하는 방식이며, 또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의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압축 비디오 파일을 생성한다. 즉, 1초에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60초(1분) 동안 60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그로 인해 1분 동안 촬영된 압축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1분간 촬영된 원본 비디오 파일에 비해 약 1/16의 프레임 개수를 갖는 압축 비디오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의 CCTV 기능에 의해 1시간 동안 촬영이 된다고 가정하면, 1분짜리 압축 비디오 파일이 60개가 생성되는 것이며, 또한 그 압축 비디오 파일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썸네일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CCTV 기능에 의해 촬영되어 특정 시간 단위로 생성된 각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1분, 1분 30초, 2분, 5분 등)로 움직이는 물체가 있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1분 단위의 비디오 파일에 대한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들(410,420,430)만을 확인함으로써 촬영된 모든 영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그 비디오 파일 즉 해당 시간대의 영상만을 확인함으로써, 특정 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일례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430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는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된 경우이며, 참조번호 410 및 420은 움직이는 물체가 전혀 촬영되지 않은 경우의 썸네일 이미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썸네일 이미지만을 확인하더라도 어떤 시간대에 움직이는 물체가 있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해당 시간대에 따른 비디오 파일만을 선택해서 확인함으로써 촬영된 CCTV 영상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추출 프레임의 다른 일례에 따른 추출 방식, 그리고 추출 프레임을 합성한 축약 이미지를 이용한 비디오 파일의 저장방식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 프레임의 추출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디오 파일에 따른 각 프레임들 중 추출되는 추출 프레임은 특정한 시간 단위 간격으로 추출되는 제1 추출 프레임과, 특정 개수가 랜덤하게 추출되는 제2 추출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예시에서는 특정 시간 단위 간격으로만 추출되는 제1 추출 프레임만을 이용하는 방식인데 비해(물론, 특정 개수가 랜덤하게 추출되는 제2 추출 프레임만을 이용할 수도 있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방식에 따라 추출 프레임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추출하는 경우엔 빠른 움직임에 의한 물체가 촬영된 프레임이 추출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그 간격 사이에 있는 프레임들 중 랜덤하게 일정 개수를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너무 작은 간격을 두고 추출 프레임을 추출하게 되면 너무 많은 추출 프레임들이 추출될 수도 있으므로, 그 간격을 좀 넓히되 그 간격 사이에 랜덤한 방식으로 몇 개의 프레임들을 더 추출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약 이미지를 이용한 비디오 파일의 저장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프레임들에 따른 이미지가 합성된 축약 이미지와 특정 프레임의 이미지가 서로 비교된다(S610). 그 이유는 축약 이미지와 특정 프레임에 따른 이미지가 서로 동일하지 않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된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되었는지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축약 이미지와 비교되는 특정 프레임은 추출 프레임들 중 랜덤하게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또는 첫번째 추출 프레임 및/또는 마지막 추출 프레임과 같이 특정한 어떤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도 있다.
축약 이미지와 특정 이미지간의 비교 결과 그 동일성이 판단된다(S620). 일례에 따르면, 동일성의 판단 기준은 일치율이 90% 이상인지 여부일 수 있다.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일례에 따르면 해당 원본 비디오 파일(즉,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압축되지 않은 원본 비디오 파일)은 삭제되지 않고 저장된다.
이와 달리 S620에서의 판단 결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다. 그리고, 원본 비디오 파일은 삭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례에 따르면,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되지 않은 비디오 파일이므로, 해당 압축 비디오 파일의 저장 기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삭제 명령이 없더라도 일정 기간(예를 들어, 3일)이 경과되면 해당 압축 비디오 파일은 자동 삭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중요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는 원본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축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도 그 저장 기간이 자동 설정됨으로 인해 많은 수의 비디오 파일을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편한 작업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S620에서의 판단 시, 축약 이미지와 특정 이미지(예를 들어, 첫 프레임 이미지 및/또는 마지막 프레임 이미지 등)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비디오 파일의 변화율이 측정될 수 있다. 쉽게 말해, 축약 이미지와 특정 프레임 이미지간의 비교 결과, 일치율이 낮을수록 어떠한 물체들의 움직임이 많았던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그 일치율을 이용하여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비디오 파일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변화율이 일정 수준 이상 큰 비디오 파일을 우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감시하고자 하는 공간에 변화가 많았던 시점을 쉽게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CCTV 기능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파일들에 대해, 그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식의 결정을 위한 개략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파일들의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과정은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생성 단계(S710), 특정 이미지와 해당 썸네일 이미지의 비교 단계(S720) 및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식 결정 단계(S730)를 포함한다.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와 서로 비교되는 상기한 특정 이미지는 CCTV 기능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최초 CCTV 기능의 시작 시점에 처음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어 첫 프레임 등)가 상기한 특정 이미지로 이용될 수 있다. 즉, CCTV 기능이 시작되면, 처음 촬영된 정지 영상을 특정 이미지로서 이용하여 각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저장 이미지 등도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촬영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비디오 파일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순서대로 나열한 경우, 바로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한 특정 이미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420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와 비교되는 특정 이미지는 410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가 되는 것이며, 430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와 비교되는 특정 이미지는 420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S730에서는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식이 결정되는데, 일례에 따른 도 8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두번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420)는 첫번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410)와 서로 동일하므로,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두번째 비디오 파일의 파일 정보는 숨김 처리될 수 있다.
즉, 도 8을 도 4와 함께 비교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가 첫번째 비디오 파일과 동일한 두번째 비디오 파일에 대해 썸네일 이미지 등의 파일 정보가 숨김 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비디오 파일의 파일정보를 표시할 때 동일한 썸네일 이미지를 갖는 비디오 파일의 총 재생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첫번째 비디오 파일과 두번재 비디오 파일의 총 재생시간이 함께 표시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세번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430, 이하 제3 썸네일이라 칭함)는 두번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420, 이하 제2 썸네일이라 칭함) 또는 첫번째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410, 이하 제1 썸네일이라 칭함)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세번째 비디오 파일의 표시 방식은 첫번째 비디오 파일과 같이 숨김이 아닌 장보 표시로서 처리되어, 썸네일 이미지 등의 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된다.
이때, S720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르면, 바로 이전의 비디오 파일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와의 비교가 아니라 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 방식이 결정된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와의 비교가 수행될 수도 있다. 쉬운 예를 들자면, 제3 썸네일과 비교되는 특정 이미지로서 제1 썸네일이 이용되는 것이다. 즉, 제2 썸네일은 해당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식이 숨김으로 처리되었으므로, 제3 썸네일과 비교되는 특정 이미지로서 제1 썸네일이 이용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르면 썸네일 이미지만으로 개략적인 촬영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CCTV 기능에 의해 다수의 비디오 파일이 생성되더라도 그 촬영 내용이 변화된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확인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썸네일 이미지의 비교를 이용하여, 해당 비디오 파일의 압축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S720에서의 특정 이미지와 썸네일 이미지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비디오 파일에 대한 프레임 압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비교 결과 서로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교된 이전 비디오 파일과 비교하여 본 비디오 파일에 따른 영상에서 어떠한 변화된 것이 촬영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해당 비디오 파일은 압축하지 않고 원본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달리 도 4의 420과 같이 이전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와 동일한 썸네일을 갖는 비디오 파일에 대해서는 용량을 줄이기 위해 프레임의 일부만이 이용되는 압축형태의 파일로서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10, 420, 430, 440 : 썸네일 이미지

Claims (11)

  1.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감시 목적으로 촬영된 CCTV영상에 따라 일정한 촬영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되는 비디오 파일에 대해, 전체프레임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복수개의 추출프레임들이 서로 합성된 축약 이미지를 축소하여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촬영시각이 앞선 이전 비디오 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된 이전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파일에 대한 정보는 숨김 처리되도록 비디오파일 정보표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전 비디오 파일은 촬영 시간순에 의한 바로 이전 것이거나, 숨김 처리되지 않은 것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비디오 파일은 프레임의 개수가 압축된 압축 비디오 파일로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프레임은 특정한 시간 단위 간격을 갖는 제1 추출프레임들과, 상기 제1 추출프레임들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 중 특정 개수의 제2 추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간 단위 간격 또는 상기 특정 개수는 상기 비디오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파일 정보 표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30003981A 2013-01-14 2013-01-14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5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1A KR101258139B1 (ko) 2013-01-14 2013-01-14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81A KR101258139B1 (ko) 2013-01-14 2013-01-14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139B1 true KR101258139B1 (ko) 2013-04-25

Family

ID=4844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81A KR101258139B1 (ko) 2013-01-14 2013-01-14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1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73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要約映像ブラウジ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11239075A (ja) * 2010-05-07 2011-11-24 Sony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73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要約映像ブラウジ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11239075A (ja) * 2010-05-07 2011-11-24 Sony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redaction of recorded data
KR101641646B1 (ko) 동영상 마스킹 처리방법 및 장치
US9715903B2 (en) Detection of action frames of a video stream
US82240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CN108062507B (zh) 一种视频处理方法及装置
KR20160074616A (ko) 뷰어 표현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캡쳐링
US20150104149A1 (en) Video summary apparatus and method
US9411690B2 (en) Security surveillance apparatus with networking and video recording functions and failure detecting and repairing method for storage device thereof
CN111405222B (zh) 视频告警方法、视频告警系统及告警图片的获取方法
JP5213123B2 (ja) 映像出力方法及び映像出力装置
KR102180474B1 (ko) 백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64667B1 (ko) 비디오 파일의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2630003A (zh) 图像数据记录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60241817A1 (en) Method of reducing a video file size for surveillance
JP6214762B2 (ja) 画像検索システム、検索画面表示方法
JP2015073251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8139B1 (ko) Cctv에 의한 비디오 파일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63207B1 (ko) Cctv기능 자동 실행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855350A1 (en) Detection of action frames of a video stream
CN107105341B (zh) 视频文件的处理方法及系统
KR101698864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40051770A (ko)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장치에서의 cctv기능의 자동실행 방법
JP7220861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68806B1 (ko) 영상 콘텐츠 재생 및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160068B (zh) 目标图片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