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70B1 -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870B1
KR101257870B1 KR1020110106205A KR20110106205A KR101257870B1 KR 101257870 B1 KR101257870 B1 KR 101257870B1 KR 1020110106205 A KR1020110106205 A KR 1020110106205A KR 20110106205 A KR20110106205 A KR 20110106205A KR 101257870 B1 KR101257870 B1 KR 10125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dge
wing
cove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선
한상훈
장세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0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판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정길이와 폭을 가진 날개부(20)와, 상기 날개부(20)의 단부에 인접 블록의 날개부(20)와 중첩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면(21)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 또는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연결부재(31)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30)과, 상기 블록 중앙부에 블록 저면에서 작용하는 양압력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중앙통공(40)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상하면에 연결공(30)을 사이에 두고 블록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어 어느 일측에서 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블록 상호 간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돌출부(50), 및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로부터 블록 상하면 가운데를 가로질러 상기 제1돌출부(50)와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2 돌출부(51)로 구성됨으로써, 피복블록 날개부의 사면을 통한 중첩결합을 연결부재와 병행하여 인접한 피복블록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Revetment covering block and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피복블록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어느 일측에서의 피복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피복블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 피복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피복블록은 방파제, 해안변, 하천변 및 기타 경사면에 설치되어 그 경사면을 정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의 토사 유실이나 침식 및 붕괴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디나 화초 및 나무 등을 심어 생태계를 복원하고 미관을 가꾸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호안 피복블록은 경사면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충분한 자중을 가져야 하고 비교적 넓은 지역에 적용되어야 하므로, 호안 피복블록은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밀도가 큰 재질로 제작된다.
종래의 호안 피복블록의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99872호의 식생호안 블럭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블럭 상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통공을 이용하여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블럭 간의 결속력은 양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 간의 면 접촉 및 상하면에 형성된 평면상태의 면 접촉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블럭 상호 간의 결속력이 충분치 못하다.
이러한 종래의 호안 피복블록은 대부분 결합 구조상 피복블록 상호 간의 결속력이 약해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이 떨어져 피복블록이 설치된 후 어느 일측에서 편중된 힘이 가해지거나 집중호우로 인하여 피복블록이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블록 날개부의 사면을 통한 중첩결합을 연결부재와 병행함으로써 인접한 피복블록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복블록 상하면에 일정한 형태로 돌출부를 둠으로써, 어느 일측에서의 피복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피복블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 피복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판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정길이와 폭을 가진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인접 블록의 날개부와 중첩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면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 또는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연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과, 상기 블록 중앙부에 블록 저면에서 작용하는 양압력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중앙통공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상하면에 연결공을 사이에 두고 블록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어 어느 일측에서 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블록 상호 간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돌출부, 및 상기 중앙통공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통공 가장자리의 둘레로부터 블록 상하면 가운데를 가로질러 상기 제1돌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 사면 중 일부는 위쪽을 향하고 있고 일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 사면 모두가 위쪽을 향하거나 날개부 사면 모두가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블록 상면의 홈부 및 중앙통공에 녹지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 피복블록을 이용하여 피복블록 간에 피복블록 모서리 부분의 연결공끼리 연결부재로 연결하거나 피복블록의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는 연결공끼리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피복블록 날개부 간의 중첩결합은 날개부 단부의 사면이 위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먼저 설치되고 인접 피복블록 날개부 단부의 사면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그 위에 중첩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는 피복블록 날개부의 사면을 통한 중첩결합을 연결부재와 병행함으로써 인접한 피복블록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피복블록 상하면에 일정한 형태로 돌출부를 둠으로써 어느 일측에서의 피복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피복블록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 피복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 평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호안 피복블록(10)은 사각판형상의 콘크리트블록 모서리로부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와 폭을 가진 날개부(2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0)의 단부에는 사면(21)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 피복블록(10)의 날개부(20)와 중첩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날개부 사면(21) 중 일부는 위쪽을 향하고 있고 일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구조인데, 이 구조는 인접 피복블록(10)과 날개부(20) 상호 간의 중첩결합시 시공 편의상 변경될 수 있고, 피복블록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피복블록(10)의 각 날개부(20)의 길이는 동일하게 제작하되 사면(21) 중앙에서의 날개부(20)의 길이가 피복블록(10) 면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블록(10)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상하면에는 연결부재(31)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30)을 사이에 두고 블록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제1 돌출부(50)가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공(30)은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 또는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피복블록(10)의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블록의 상하면에 제2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로부터 블록 상하면 가운데를 가로질러 상기 제1돌출부(50)와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까지 방사상으로 제2 돌출부(51)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50)는 어느 일측에서 피복블록(10)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피복블록(10) 상호 간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결공(30)을 관통하는 연결부재(31)의 외력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2 돌출부(51)는 판상 형태의 각 피복블록(10)을 보강하여 피복블록(10)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복블록(10)에는 상기 중앙통공(40)을 둠으로써 피복블록(10) 저면에 작용하는 상향의 수압인 양압력를 저감시킬 수 있고 투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 돌출부(50,51)에 의해 형성된 피복블록(10) 상면의 홈부 및 중앙통공(40)에는 녹지를 조성하여 자연 친화적인 공간을 조성할 수도 있다.
도 4 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피복블록을 결합한 피복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1)는 피복블록(10) 간의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해 강성이 큰 와이어, 철근 또는 체인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피복블록(10) 간의 연결부재(31)의 연결방법은 피복블록(10) 모서리 부분의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하거나 피복블록(10)의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는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블록 날개부(20) 간의 중첩결합은 날개부(20) 단부의 사면(21)이 위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먼저 설치되고 인접 피복블록(10) 날개부(20) 단부의 사면(21)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그 위에 중첩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31)를 이용한 피복블록(10)의 연결과 피복블록 날개부(20)의 사면(21)을 통한 중첩결합을 병행함으로써 인접한 피복블록(10)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피복블록 조립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호안 피복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피복블록(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발휘한다면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도 6의 피복블록(10)은 삼각판형상으로 이 또한 콘크리트블록 모서리로부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와 폭을 가진 날개부(2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0)의 단부에는 사면(21)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 피복블록(10)의 날개부(20)와 중첩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삼각형상의 피복블록(10)은 3개의 날개부 사면(21) 모두가 위쪽을 향하고 있는 구조와 3개의 날개부 사면(21) 모두가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구조의 두 가지 타입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구조를 번갈아 설치함으로써 인접 피복블록(10) 날개부(20) 상호 간의 중첩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삼각형상 피복블록(10)의 구조는 인접 피복블록(10)과 날개부(20) 상호 간의 중첩결합시 시공 편의상 변경될 수 있고, 이 또한 피복블록(10)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피복블록(10)의 각 날개부(20)의 길이는 동일하게 제작하되 사면 중앙에서의 날개부(20)의 길이가 피복블록(10) 면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형상의 피복블록(10)도 피복블록(10)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상하면에는 연결부재(31)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30)을 사이에 두고 블록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제1 돌출부(50)가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공(30)은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 또는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피복블록(10)의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블록의 상하면에 제2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로부터 블록 상하면 가운데를 가로질러 상기 제1돌출부(50)와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까지 방사상으로 제2 돌출부(51)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도 7 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삼각형상의 피복블록을 상호 결합한 피복블록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 피복블록(10) 간의 연결부재(31)의 연결방법은 이 또한 피복블록(10) 모서리 부분의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하거나 피복블록(10)의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는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피복블록 20: 날개부
21: 사면 30: 연결공
31: 연결부재 40: 중앙통공
50: 제1 돌출부 51: 제2 돌출부

Claims (5)

  1. 일정한 판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정길이와 폭을 가진 날개부(20)와,
    상기 날개부(20)의 단부에 인접 블록의 날개부(20)와 중첩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면(21)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모서리 또는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연결부재(31)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30)과,
    상기 블록 중앙부에 블록 저면에서 작용하는 양압력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중앙통공(40)과,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상하면에 연결공(30)을 사이에 두고 블록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어 어느 일측에서 블록에 가해지는 편중된 힘에 의해 인접한 블록 상호 간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돌출부(50), 및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통공(40) 가장자리의 둘레로부터 블록 상하면 가운데를 가로질러 상기 제1돌출부(50)와 인접하도록 상기 블록의 각각의 가장자리의 중앙부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 자체의 부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2 돌출부(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피복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사면(21) 중 일부는 위쪽을 향하고 있고 일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피복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사면(21) 모두가 위쪽을 향하거나 날개부 사면(21) 모두가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피복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돌출부(50,51)에 의해 형성된 블록 상면의 홈부 및 중앙통공(40)에 녹지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피복블록.
  5. 제 1 항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호안 피복블록(10)을 이용하여 피복블록(10) 간에 피복블록(10) 모서리 부분의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하거나 피복블록(10)의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는 연결공(30)끼리 연결부재(31)로 연결하고,
    피복블록 날개부(20) 간의 중첩결합은 날개부(20) 단부의 사면(21)이 위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먼저 설치되고 인접 피복블록(10) 날개부(20) 단부의 사면(21)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그 위에 중첩결합하게 되는, 피복블록을 결합한 호안 피복블록 조립체.
KR1020110106205A 2011-10-18 2011-10-18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KR10125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05A KR101257870B1 (ko) 2011-10-18 2011-10-18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05A KR101257870B1 (ko) 2011-10-18 2011-10-18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870B1 true KR101257870B1 (ko) 2013-04-23

Family

ID=4844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205A KR101257870B1 (ko) 2011-10-18 2011-10-18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07A (zh) * 2017-07-25 2017-11-24 许坚玉 一种用于河堤挡土护坡的环保砖
KR101966022B1 (ko) * 2018-10-31 2019-04-04 이대기 투수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25U (ja) * 1991-08-26 1993-03-02 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被覆用ブロツク
JPH10159055A (ja) 1996-11-27 1998-06-16 Shinsei Gikou:Kk 多自然形成貼り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47936Y1 (ko) 2001-06-08 2001-10-29 (주) 서호건업 호안블록
KR20060131713A (ko) * 2006-12-01 2006-12-20 삼우산업(주)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25U (ja) * 1991-08-26 1993-03-02 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被覆用ブロツク
JPH10159055A (ja) 1996-11-27 1998-06-16 Shinsei Gikou:Kk 多自然形成貼り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47936Y1 (ko) 2001-06-08 2001-10-29 (주) 서호건업 호안블록
KR20060131713A (ko) * 2006-12-01 2006-12-20 삼우산업(주) 호안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07A (zh) * 2017-07-25 2017-11-24 许坚玉 一种用于河堤挡土护坡的环保砖
KR101966022B1 (ko) * 2018-10-31 2019-04-04 이대기 투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870B1 (ko) 호안 피복블록 및 그 조립체
CN204959690U (zh) 一种双向联锁砌块砖
CN205116096U (zh) 一种交错嵌式生态砌块
KR200447510Y1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CN107653840B (zh) 一种水域砌块
CN201123287Y (zh) 蓄排水板
CN205776156U (zh) 一种高强度预应力槽型板桩的转角桩
KR101134548B1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200386584Y1 (ko) 식생형 호안블록의 체결구조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CN202969339U (zh) 一种干垒挡土墙砌块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CN215759075U (zh) 一种生态砌块及生态护坡
KR200410828Y1 (ko) 하천 사면의 조경식생 결속블록
KR101759508B1 (ko) 모서리용 옹벽 블럭
KR100520425B1 (ko) 호안블록
KR200330328Y1 (ko) 개량 식생 호안블럭어셈블리
KR200327399Y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KR200263856Y1 (ko) 호안블록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1001562B1 (ko) 결속력이 강화된 식생 코이어블록
JP4207084B2 (ja) 護岸用ブロック及びその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