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469B1 -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 Google Patents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469B1
KR101256469B1 KR20100096176A KR20100096176A KR101256469B1 KR 101256469 B1 KR101256469 B1 KR 101256469B1 KR 20100096176 A KR20100096176 A KR 20100096176A KR 20100096176 A KR20100096176 A KR 20100096176A KR 101256469 B1 KR101256469 B1 KR 10125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
valve
piezo actuator
valve housing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847A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9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4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4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결빙된 밸브를 해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개선하여 저온에서의 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의 유체 유로를 개폐시키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와; 일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타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에조 구동유닛 및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 및 피에조 구동유닛을 보호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는 저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된 밸브가 결빙된 상태에서 히터에 의한 열과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이 동시에 투입하여 이를 해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결빙된 밸브 내부의 해빙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VALVE WITH PIEZO ACTUATOR}
본 발명은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차량 등과 같이 물 또는 수분이 함유된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의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이 결빙되는 경우 이 결빙된 수분을 빠른 시간 내에 해빙되도록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의 환경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고, 이러한 환경 공해는 주로 석유 연료의 사용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석유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의 개발과 더불어 저공해 자동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서 공해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연료전지 자동차(FCV, Fuel Cell Vehicle)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란 수소를 기본 원료로 하여 이 수소의 이온화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로서 이를 위해 연료전지 자동차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기본적으로 연료전지(1, Stack)가 구비되며, 이 연료전지(1)에는 양극(cathode)과 음극(anode)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층이 구비되고, 음극에는 수소가스가 공급되며, 양극에는 공기가 공급되고, 이때 양극에 공급된 수소는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되어 수소이온은 전해질층을 통해 음극쪽으로 이동된 후 음극쪽에서 산소이온과 수소이온이 만나 물이 생성되고, 수소가스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양극쪽으로 이동되면서 전기가 발생된다. 연료전지 자동차는 상기에서 발생된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여 운용된다.
한편, 음극와 양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층은 통상적으로 고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전해질층은 적절한 전도성이 확보되도록 습도유지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해질층을 구성하는 교환막이 건조하게 되어 전도성이 상실하게 되고, 이는 곧 연료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해질층에 가습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전지가 작동될 때에는 수소와 산소의 결합에 의해 물이 생성되며, 이 물은 워터 트랩(2, water trap)을 통해 연료전지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워터 트랩에는 이러한 물을 수집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배출할 수 있도록 솔레이드형 밸브(4)가 구비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되면 닫히게 된다.
또한 연료전지에는 연료전지 내부에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이 배출구를 통해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데, 이 배출구는 시동이 꺼지게 되면 연료전지의 내부가 밀폐되어야 하고 이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구에도 솔레노이드형 밸브(3)가 구비되고, 이 밸브 역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닫히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낮은 온도가 장시간 지속되게 되면 이들 밸브 내부에 남아 있던 수분이 얼게 되며, 이 경우 밸브가 얼음에 의해 고착되어 솔레노이드를 여자시켜도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결빙에 의해 고착된 상태에서는 트립이 발생되어도 시동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이러한 결빙은 차량의 시동 전에 해소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차량의 시동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상기 연료전지 차량에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솔레노이드형 밸브(3) 및 수집된 물을 배출하는 솔레노이드형 밸브(4) 뿐만 아니라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설비(또는 장치)에서는 동절기 저온에서 장시간 노출에 따른 밸브의 결빙을 해빙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밸브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이 전기히터의 발열에 의해 해빙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히터의 발열양이 적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발열량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해빙시간은 다소 줄어들 수 있으나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면서도 전기히터의 크기도 전반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히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별도의 발열수단이 없이도 밸브 작동 시에 발생하는 자화열을 이용하여 해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제안하여 특허 제10-0773058호(자가 제빙 기능을 갖는 밸브)로 등록받은 바 있다.
위 기술은 밸브 작동 시에 발생되는 자화열을 이용하여 자가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개구부에 오리피스(112)가 형성된 중공(111)의 선형 코어(110)와; 상기 오리피스(112)와 대면하여 상기 선형 코어(110)와 동축을 이루며 고정되는 밸브바디(120)와; 상기 밸브바디(120) 내에 수납되어 상기 오리피스(112)와의 계합 상태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게 되는 강자성 재질의 플런저(130)와; 상기 오리피스(11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형 코어(110)와 밸브바디(120)를 감싸면서 권취되는 솔레노이드 코일(140)과; 상기 밸브바디(120) 내에서 상기 플런저(13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150)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4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유니트(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가 제빙 기능을 갖는 밸브는 별도의 히터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고 플런저 작동 시에 발생되는 자화열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결빙된 유체를 해빙할 수 있으나, 자체에서 발생된 열원만 가지고 해빙시켜 해빙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로 인해 연료전지차량을 시동하는 데에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코일에 공급된 전력으로 플런저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플런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력이 공급되어 하므로 동작에 따른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결빙된 유체를 해빙하는 과정에서 듀얼 히터의 구조와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을 동시에 투입하여 해빙의 동작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밸브 동작에 요구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의 유체 유로를 개폐시키는 피에조 액추에이터와; 일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가 고정설치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타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에조 구동유닛 및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 및 피에조 구동유닛을 보호하는 커버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밸브는 저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된 연료전지차량의 밸브가 결빙된 상태에서 히터에 의한 열과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이 동시에 투입하여 이를 해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냉 시동 시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사용으로 밸브에 투입되는 소비전력이 향상되어 저전력으로도 이를 구동할 수 있어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연료전지차량의 냉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자가 제빙 기능을 갖는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히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 결빙된 밸브를 해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개선하여 저온에서의 결빙시에 해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사시도,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3의 B-B'의 단면도 및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는 크게, 밸브하우징, 히터모듈, 피에조 액추에이터 및 피에조 구동유닛으로 구성된다.
밸브하우징(20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10)와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연통 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유입구(210)와 배출구(220)의 연통을 개폐하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이 밸브하우징의 양 측면으로는 각각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300)이 설치된다.
히터모듈(300)은 첨부된 도면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인가받는 전원선(310)과; 상기 전원선(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가받은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발열되는 발열체(320)와; 상기 발열체(320)의 열을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절연체(330)와; 상기 발열체(320) 및 절연체(330)를 감싸는 히터커버(340)와; 상기 히터커버(340)의 내측면과 상기 절연체(33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350) 및 상기 전원선(310)이 통과하는 상기 히터커버(340)의 통공(341)에는 부싱(360)을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발열체(32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PTC 히터는 전류를 공급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전류의 공급으로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일정온도에서 저항도 커지게 되며, 저항이 커짐으로써 흐르는 전류가 줄어들어 발열량이 감소되고 다시 발열량이 감소하게 되면 흐르는 전류가 커지게 되어, 전류의 공급으로 PTC 히터 자체에서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없다.
절연체(330)는 발열체(3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 절연체(330)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350)에 의해서 상기 발열체(320)가 밸브하우징(200)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열체(320)로 구성된 히터모듈(300)을 밸브하우징(20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으나, 밸브하우징(200)의 양 측면에서 동시에 발열하여 해빙하므로 해빙시간이 단축되어, 1개의 발열체에 의해서 해빙시키는 종래의 밸브와 소비되는 전력 비교하여도 그 차이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하기에서 설명될 피에조 액추에이터(400)의 소비전력이 솔레노이드형 밸브보다 현저히 감소되어 밸브의 운용에 따른 전체 소비전력은 감소된다.
밸브하우징(200)의 상부에는 밸브하우징(2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결빙된 밸브하우징(200)을 진동에 의해 제빙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400)가 설치된다.
피에조 액추에이터(4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피에조 스택(410)과; 상기 피에조 스택(410)이 삽입설치되는 피에조 시트(430)와;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하부는 상기 피에조 스택(410)의 상부와 면접하고, 상기 피에조 구동유닛(600)에서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피에조 스택(410)으로 전송하는 스택헤더(431)와;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상부와 상기 스택헤더(431) 상부와 각각 연결막(432, 433)으로 결합되는 캔틸레버(420)와; 상기 캔틸레버(420)의 하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421)와; 상기 링크(421)의 끝단에 힌지핀(443)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승하강되는 승하강체(440) 및 상기 승하강체(440)에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유입구(210)와 배출구(220)의 유체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개폐유닛(45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에조 시트(430)는 고정나사(434)에 의해서 상기 측벽(5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밸브개폐유닛(450)의 구성은 서포터(451), 서포터 커버(452), 다이아프램(454, Diaphragm) 및 스프링(453)으로 이루어진다.
서포터(451)의 상부는 상기 승하강체(440)의 하부에 구비된 서포터 삽입부(442)에 끼워지며, 하부는 다이아프램(454)이 끼워 삽입된다.
여기서, 밸브에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결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포터(451)가 다이아프램(454)에 끼워 삽입되어 돌출된 부분(도 4 참조)을 살펴보면, 서포터(451)의 하부측은 원추형 돌출부(451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원추형 돌출부(451a)는 밸브하우징(2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수증기 및 다이프램(454)에 붙어있는 수분 등을 이 돌출부(451a)에 달라붙도록 하거나 중심부측으로 유도하여 다이아프램(454)과 밸브하우징(200)의 내벽과의 접촉하는 부분에 잔류하는 수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온에서 장시간 노출에 따른 결빙시에도 수분의 결빙양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이아프램(454)은 서포터(45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유동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밸브하우징(200)의 내벽과 접촉하는 저면은 플랙시블(flexible)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며, 이 플랙시블한 재질의 다이아프램(454)은 결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이 플랙시블한 재질의 다이아프램(454)은 밸브하우징(200)의 내부에서 결빙되었다 하더라도, 피에조 액추에에터(400)의 진동에 의해 파쇄가 용이하여 해빙시간을 감소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서포터 커버(452)는 상기 다이아프램(454)을 측면을 고정하며 상기 서포터(451)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서포터 커버(452)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45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53)이 마련되는데, 이 스프링(453)은 상기 다이아프램(454)을 하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피에조 스택(410, Piezo Stack)은 피에조 필름을 적층한 것으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으로 적층된 길이가 늘어나고, 전기 에너지를 방전하면 본래 적층된 길이로 복귀하는 성질이 있으며, 전기 에너지에 대한 반응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즉, 피에조 스택(410)은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면 즉각적인 반응으로 길이가 증가하게 되나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키게 되면 즉시 본래 길이로 복귀하는데,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가변되는 피에조 스택(410)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과 방전으로 진동(vibration)을 하게 된다.
또한, 저주파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면 길이 가변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전기 에너지를 차단하더라도 방전되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피에조 스택(410)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으로 개방상태에서 방전되기까지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지 않아도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야 하는 솔레노이드형 밸브보다 저 전력으로 구동되어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피에조 스택(410)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빙을 위한 동작에서는 피에조 스택(410)의 진동으로 결빙된 유체를 파쇄시켜 제빙(해빙)의 시간을 단축하고, 밸브의 개폐동작에서는 피에조 스택(410)의 가변되는 길이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에조 스택(410)에 전기 에너지의 공급과 방전은 피에조 구동유닛(600)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피에조 구동유닛(600)은 피에조 스택(410)을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방전하는 것으로서, 크게 해빙제어신호와 밸브개폐제어신호의 2가지 동작으로 구분된다.
① 해빙제어신호시
해빙제어신호일 경우의 피에조 구동유닛(600)은 피에조 스택(410)으로 단시간에 전기에너지의 공급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를 공인가하여 상기 피에조 스택(410)이 진동을 하게 되며, 이 진동에 의해 결빙된 유체가 파쇄되고, 밸브하우징(20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히터모듈(300)에 의해 제빙시간을 단축한다.
이 과정에서 피에조 구동유닛(600)의 해빙제어신호와 히터모듈(300)의 가열신호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② 밸브개폐제어신호시
밸브개폐제어신호일 경우의 피에조 구동유닛(600)은 피에조 스택(410)으로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유체의 유로를 개방하고, 공급된 전기 에너지의 방전으로 유체의 유로가 폐쇄되어 통상적인 밸브로서 동작된다.
한편, 피에조 액추에이터(400)와 피에조 구동유닛(600) 사이에는 측벽(500)이 마련되는 데, 이 측벽(500)은 하기에서 설명될 서포터 커버(452)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며, 일측벽에는 피에조 스택(410)이 고정되고, 타측벽에는 피에조 구동유닛(600)이 부착 설치된다. 또한, 이 측벽(500)에는 상기 승하강체(440) 측으로 돌출된 가이드(510)가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체(440)에는 상기 가이드(51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4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510)에 의해 승하강체(44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동작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의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의 동작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피에조 구동유닛(600)의 제어에 의해 출력된 전기 에너지는 스택헤더(431)를 통해 피에조 스택(410)으로 인가된다. 이 인가된 전기 에너지는 피에조 스택(410)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피에조 스택(410)의 길이 증가에 따라 이 피에조 스택(410)이 삽입설치된 피에조 시트(430)의 하부는 고정나사(434)에 의해서 측벽(5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증가된 피에조 스택(410)은 이 피에조 스택(410)의 상부에 있는 스택헤더(431)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상부와 상기 스택헤더(431) 상부와 각각 연결막(432, 433)으로 결합되는 캔틸레버(420)의 상부측은 양 측면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캔틸레버(42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 링크(421)가 중심부측으로 모여지게 되며, 상기 링크(421)의 끝단에 힌지 결합된 승하강체(440)가 상승하게 된다.
승하강체(440)의 상승에 따라 이 승하강체(440)의 하측에 결합된 서포터(451)가 동반상승하게 되고, 이 서포터(451)의 상승으로 다이아프램(454)이 상승하여 유로가 개방된다.
밸브의 폐쇄동작은 피에조 구동유닛(600)의 제어에 의해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함으로써, 피에조 스택(410)이 본래의 길이로 축소되며, 캔틸레버(420)가 중심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캔틸레버(420)의 하부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 캔틸레버(420)에 힌지결합된 린크(421)가 승하강체(440)가 하강하여 유로를 폐쇄한다.
밸브의 진동에 의해 결빙된 유체를 파쇄하는 과정은 상기 동작을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해빙되는 시간을 측정하면 10~15sec사이에서 해빙되어 종래의 30sec보다 현저히 감소되며, 이로 인해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냉 시동 성능이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밸브는 저온의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된 연료전지차량의 밸브가 결빙된 상태에서 히터에 의한 열과 피에조 액추에이터의 진동이 동시에 투입하여 이를 해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밸브의 해빙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200 : 밸브하우징 210 : 유입구
220 : 배출구 300 : 히터모듈
310 : 전원선 320 : 발열체
330 : 절연체 340 : 히터커버
341 : 통공 350, 453 : 스프링
360 : 부싱 400 : 피에조 액추에이터
410 : 피에조 스택 420 : 캔틸레버
421 : 링크 430 : 피에조 시트
432, 433 : 연결막 431 : 스택헤더
440 : 승하강체 441 : 가이드 홀
442 : 서포터 삽입부 443 : 힌지핀
450 : 밸브개폐유닛 451 : 서포터
451a : 원추형 돌출부
452 : 서포터 커버 454 : 다이아프램
500 : 측벽 510 : 가이드
600 : 피에조 구동유닛 700 : 커버

Claims (10)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10) 및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구비되는 밸브하우징(200)과;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모듈(300)과;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유입구(210) 및 배출구(220)의 유체 유로를 개폐시키는 피에조 액추에이터(400)와;
    일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400)가 고정설치되는 측벽(500)과;
    상기 측벽(500)의 타측편에는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에조 구동유닛(600) 및
    상기 밸브하우징(2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400) 및 피에조 구동유닛(600)을 보호하는 커버(70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액추에이터(400)는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피에조 스택(410)과;
    상기 피에조 스택(410)이 삽입설치되는 피에조 시트(430)와;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상부에 마련되며, 그 하부는 상기 피에조 스택(410)의 상부와 면접하고, 상기 피에조 구동유닛(600)에서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피에조 스택(410)으로 전송하는 스택헤더(431)와;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피에조 시트(430)의 상부와 상기 스택헤더(431) 상부와 각각 연결막(432, 433)으로 결합되는 캔틸레버(420)와;
    상기 캔틸레버(420)의 하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421)와;
    상기 링크(421)의 끝단에 힌지결합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승하강되는 승하강체(440) 및
    상기 승하강체(440)에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밸브 하우징(200)의 유입구(210)와 배출구(220)의 유체 이동을 제어하는 밸브개폐유닛(450);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유닛(450)은
    상부는 상기 승하강체(440)의 하부에 구비된 서포터 삽입부(442)에 끼워지며, 하부는 다이아프램(454)이 끼워 삽입되는 서포터(451)와;
    상기 다이아프램(454)을 고정하며 상기 서포터(451)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서포터 커버(452) 및
    상기 서포터 커버(452)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터(451)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53);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451)의 하부측은 원추형의 돌출부(451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500)에는 상기 승하강체(440) 측으로 돌출된 가이드(510)가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체(440)에는 상기 가이드(51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4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510)에 의해 승하강체(44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모듈(300)은
    전기에너지를 인가받는 전원선(310)과;
    상기 전원선(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가받은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발열되는 발열체(320)와;
    상기 발열체(320)의 열을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절연체(330)와;
    상기 발열체(320) 및 절연체(330)를 감싸는 히터커버(340)와;
    상기 히터커버(340)의 내측면과 상기 절연체(33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350) 및
    상기 전원선(310)이 통과하는 상기 히터커버(340)의 통공(341)에는 부싱(36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32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구동유닛(600)은
    해빙제어신호시에는 상기 피에조 스택(410)으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구동유닛(600)은
    밸브개폐제어신호시에는 상기 피에조 스택(410)으로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유체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공급된 전기 에너지의 방전으로 유체의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10. 삭제
KR20100096176A 2010-10-04 2010-10-04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KR10125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176A KR101256469B1 (ko) 2010-10-04 2010-10-04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176A KR101256469B1 (ko) 2010-10-04 2010-10-04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47A KR20120034847A (ko) 2012-04-13
KR101256469B1 true KR101256469B1 (ko) 2013-04-19

Family

ID=4613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6176A KR101256469B1 (ko) 2010-10-04 2010-10-04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4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518A (ko) * 2008-09-10 2010-03-18 세일전자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KR20100047515A (ko) * 2008-10-29 2010-05-10 김성근 초음파진동 장치를 이용한 직선운동 및 이송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518A (ko) * 2008-09-10 2010-03-18 세일전자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KR20100047515A (ko) * 2008-10-29 2010-05-10 김성근 초음파진동 장치를 이용한 직선운동 및 이송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47A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704B2 (ja) 燃料電池用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29506B1 (ko) 연료 셀 시스템 및 결빙으로부터의 연료 셀 보호 방법
KR101200749B1 (ko)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대용 냉장고 및 그의 운전방법
JP534226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4082053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50097921A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결빙방지용 응축수 배출밸브
KR20120046422A (ko) 연료전지 스택의 응축수 배출용 온도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KR101256469B1 (ko)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밸브
CN111916787B (zh) 一种微型燃料电池及其低温启动运行方法
JP200919378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47299B1 (ko) 연료전지 차량용 워터트랩 밸브
US8722269B2 (en) Fuel cell system and scavenging method therefor
JP2005164538A (ja) 圧力センサ
KR100527958B1 (ko) 냉시동성을 개선한 연료전지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882659B1 (ko) 연료전지 차량의 드라이 아웃 방지 장치 및 방법
JP512657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091681B1 (ko) 공기 압축열을 이용한 연료전지 냉시동 장치 및 방법
KR10162809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응축수 드레인 밸브
JP2006286486A (ja) 燃料電池ユニット
KR101372195B1 (ko) 연료전지용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113647B1 (ko) 연료전지 차량의 밸브 결빙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3086214A (ja) 燃料電池装置
JP200733512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に搭載される電気接続箱
CN114122478A (zh) 燃料电池组件和车辆用的燃料电池
KR101144045B1 (ko) 연료전지 냉시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