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67B1 -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 Google Patents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67B1
KR101255667B1 KR20130007000A KR20130007000A KR101255667B1 KR 101255667 B1 KR101255667 B1 KR 101255667B1 KR 20130007000 A KR20130007000 A KR 20130007000A KR 20130007000 A KR20130007000 A KR 20130007000A KR 101255667 B1 KR101255667 B1 KR 10125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dow
temperature
heat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옥
이남국
최창수
Original Assignee
대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07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6Thermophil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생물학적 반응조에 설치되는 보온덮개에 관한 기술로써, 겨울철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반응조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함에 따라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반응조의 상부에 씌워져 설치되고,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과 단열기능의 보온재가 감싸여 구현된 한편 외주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투시창의 내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태양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하우징에서 투시창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햇빛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는 투명창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공기실을 대류한 내부공기가 반응조 안으로 배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Insulating cover of the reactor internal temperature uniformity}
본 발명은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생물학적 반응조에 설치되는 보온덮개에 관한 기술로써,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반응조에 보온덮개가 씌워져 설치되는 한편 보온덮개에 내부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과 단열기능의 보온재가 구현되고, 태양열을 축열하는 축열재가 설치됨으로써, 겨울철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반응조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함에 따라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또는 오폐수에 포함된 주요 오염물질은 고형물ㆍ유기물ㆍ질소(N)ㆍ인(P)으로, 이러한 오염물질은 침전성이 양호한 부유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1차 처리단계와, 생물학적 방법으로 용존성 유기물 및 유기성 고형물을 처리하는 2차 처리단계와, 물리적ㆍ화학적ㆍ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2차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3차 처리단계로 분류되어 정화되고 있다.
아울러, 조류(藻類)의 대량 발생과 수계에서 산소부족의 원인이 되는 질소(N)와, 부영양화(eutrophication)의 원인이 되는 한편 악취를 발생시키고, 수중의 용존산소를 소모시켜 하천의 자정작용(自淨作用)에 악영향을 끼치는 인(P)의 제거는 수처리에 필수적이다.
최근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기온이 낮은 동절기(12월~03월)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2012년 01월 01일부터 총질소(T-N) 20mg/L 이하, 총인(T-P) 0.2mg/L 이하로 강화 되었으나,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짐으로써, 생물학적 처리방법에서 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되어 수처리공정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가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질소의 경우, 질산화 반응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크나, 탈질 반응에는 온도의 영향이 없다. 이러한 이유는 유기물 처리와 생물학적 인처리 및 탈질 반응에 관계되는 미생물이 주로 타가영양 미생물(Heterotroph)인 반면, 질산화 미생물은 자가영양 미생물(Autotroph)로서, 보편적으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12℃ 이하에서는 활성도 저하)에 따라 처리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하수 또는 오폐수가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수처리되는 반응조에 덮개를 설치한 선행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273호, 등록특허 제10-097530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67731호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등록특허 제10-0907273호는 미생물 담체모듈부에 의해 설비내에서 발생된 악취가 탈취되고, 탈취된 공기가 배출통로를 경유하여 커버부의 루프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악취가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하수 또는 오폐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등록특허 제10-0975301호는 악취확산방지용 커버부와 바이오필터형 탈취부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종래의 커버가 가진 악취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단순한 기능 외에도 탈취기능이 겸비된 복합적 요소를 구비하도록 하여 탈취기능의 다양화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저류조나 농축조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67731호는 가스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전기를 접지시키는 철재프레임과, 이에 고정되는 지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은 일정폭과 길이를 가진 경질의 PVC 패널이 서로 계합된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2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530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731호.
본 발명은 종래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고, 생물학적으로 수처리되는 반응조의 내부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미생물의 활성도가 저하됨에 따라 수처리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반응조의 상부에 보온덮개가 씌워져 설치되는 한편 보온덮개의 내부에 단열기능을 하는 보온재와 내부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이 구현되고, 낮 시간에 태양열을 축열한 다음, 기온이 낮은 밤에 열기를 방출하여 보온하는 축열재가 설치됨으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와 반응조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여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반응조의 상부에 씌워져 설치되고,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과 단열기능의 보온재가 감싸여 구현된 한편 외주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투시창의 내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태양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하우징에서 투시창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햇빛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는 투명창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공기실을 대류한 내부공기가 반응조 안으로 배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하우징은 내측부와 외측부의 이중구조로 구현되며,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공기실과 보온재가 감싸여 구현되는 한편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축열재는 투시창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투시창의 내측부에 부착된 가이드브라켓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투명창은 투시창보다 크게 구성되고, 하우징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된 가이드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며, 차광패드가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이드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배기덕트는 하우징의 내측부 아래에서 공기실과 연통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편 하단부가 반응조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반응조에 보온덮개가 씌워져 설치되는 한편 보온덮개의 내부에 단열기능을 하는 보온재와 내부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이 구현되고, 태양열을 축열하는 축열재가 설치됨으로써, 겨울철의 경우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반응조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함에 따라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태양열이 축열된 축열재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아지는 밤에 열기를 방출하므로 반응조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효과를 높임으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부공기의 대류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축열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부공기의 대류작용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광패드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하수 또는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기온이 낮은 동절기(12월~03월)에 반응조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함으로써,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켜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수처리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조 보온덮개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반응조(10)의 상부에 씌워져 설치되고,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31)과 단열기능의 보온재(35)가 감싸여 구현된 한편 외주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투시창(34)이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서 투시창(34)의 내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태양열을 축열하는 축열재(40)와; 상기 하우징(30)에서 투시창(34)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햇빛이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는 투명창(5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공기실(31)을 대류한 내부공기가 반응조(10) 안으로 배기되는 배기덕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보온덮개(100)를 구성하는 하우징(3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반응조(10)의 상부 공간을 덮어 밀폐하도록 반응조(10)의 상부에 씌워져 설치되며, 단열성과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함이 바람직하고, 반원형 또는 반원형을 이루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우징(30)은 내측부와 외측부의 이중구조로 구현되며,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내측부와 외측부가 소정의 간격(10~25㎝)으로 이격되어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공기실(31)과 보온재(35)가 감싸여 구현되는 한편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리브(32)가 형성된다.
하우징(30)의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공기실(31)과 보온재(35)가 구현될 경우, 보온재(35)는 외측부에 인접하여 구현되고, 공기실(31)은 내측부 쪽에 빈공간으로 구현되어 내부공기가 이동하여 대류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서 보온재(35)는 외부의 냉기와 열기를 차단하는 단열기능으로서, 스티로폼(styrofoam) 또는 우레탄폼(urethane foam)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2)는 내측부와 외측부를 서로 결합하여 지지함에 따라 하우징(30)의 내구성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강리브(32)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기공(32a)이 관통 형성되는데, 여기서 통기공(32a)은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구현된 공기실(31)이 관통되어 내부공기가 대류할 수 있는 통로 기능을 한다.
한편 하우징(30)의 내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유입공(3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33)은 내측부에서 상측 부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구현된 공기실(31)에 유입공(33)이 연통됨으로써, 반응조(10)와 하우징(30)의 내부공간에서 가온된 상층의 내부공기가 다수개의 유입공(33)을 통해 공기실(31)로 유입된 다음, 외부온도에 의해 냉각되면서 공기실(31)을 타고 하강하여 대류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30)은 외주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투시창(34)이 형성되며, 상기 투시창(34)은 다수개의 유입공(33)에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부와 외측부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햇빛이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하우징(30)은 투시창(34)을 제외하고,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내부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31)과, 외부의 냉기와 열기를 차단하여 단열기능을 하는 보온재(35)가 감싸여 구현되며, 제작 및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위해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여러개의 모듈(module)로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이를 작업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축열재(40)는 햇빛이 강한 낮 시간에 태양열을 받아 축열한 다음, 기온이 낮은 밤에 열기를 방출하여 반응조(10)와 하우징(30)의 내부공간을 보온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축열재(4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하우징(30)에 관통 형성된 투시창(34)의 내측부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축열재(40)는 투시창(3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투시창(34)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투시창(34)의 내측부에 부착된 가이드브라켓(41)에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축열재(40)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축열기능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햇빛이 강한 낮 시간에 태양열을 받아 축열한 다음, 기온이 낮은 밤에 열기를 방출함으로써, 보온효과를 높이므로 동절기에 반응조(10)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보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투명창(50)은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하우징(30)에 관통 형성된 투시창(34)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한편 햇빛을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투명창(50)은 투시창(34)보다 크게 구성되고, 상기 투시창(34)을 밀폐하도록 하우징(30)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에서 투명창(50)은 하우징(30)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된 가이드브라켓(52)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투명창(50)의 외측에 차광패드(51)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동절기나 하절기에 따라 차광패드(5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햇빛을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광패드(51)는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으로써, 도면에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투명창(5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이드브라켓(52)에 끼워져 설치되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힌지 방식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배기덕트(60)는 공기실(31)에서 대류하는 내부공기를 반응조(10) 안으로 유도하여 배기시키는 기능으로써, 배기덕트(6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원형이나 사각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 직립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기덕트(60)는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서 공기실(31)과 연통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편 하단부가 반응조(10) 안에 수용된 하수 또는 오폐수에 잠기지 않도록 수위보다 높게 설치된다.
따라서, 배기덕트(60)는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서 공기실(31)과 연통되어 설치됨으로써, 공기실(31)을 타고 하강하여 대류하는 내부공기를 반응조(10) 안으로 유도하여 배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반응조(10) 안에 설치된 폭기장치(20)로 외부에서 따듯한 공기가 주입되어 폭기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반응조(10) 안에 수용된 하수 또는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반응으로 수처리 과정이 진행된다.
폭기장치(20)에서 미립자의 공기방울로 폭기된 공기는 하수 또는 오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인 다음,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팽창한 상태에서 수증기와 함께 반응조(10) 위로 상승하며, 이때 하우징(30)의 내부 상층으로 상승된 내부공기는 내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입공(33)을 통해 하우징(30)의 공기실(31) 안으로 유입된다.
상기에서 공기실(31) 안으로 유입된 내부공기는 외부공기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열에너지를 빼앗겨 점점 온도가 낮아지면서 공기실(31)을 타고 하강하여 대류작용을 하며, 이때 공기실(31) 아래로 하강한 내부공기는 다수개의 배기덕트(60)를 통해 반응조(10) 안으로 배기됨으로써, 반응조(10)와 하우징(30) 안에서 대류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응조(10)에서 따듯한 내부공기가 하우징(30)의 공기실(31)을 통해 연속적으로 대류작용을 하고, 보온재(35)가 감싸여 설치됨으로써, 내부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대류함에 따라 반응조(10)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따듯한 내부공기가 공기실(31)을 통해 대류하고, 보온재(35)가 감싸여 설치됨에 따라 단열효과를 높이며, 아울러 공기실(31)에서 따듯한 내부공기의 대류작용에 의해 결로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기온이 낮은 동절기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반응조(10)의 보온효과를 높이고자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차광패드(51)를 열어 놓으며, 이러한 경우 낮 시간의 강한 햇빛이 투명창(50)과 투시창(34)을 통해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됨으로써, 햇빛이 투시창(34)을 통해 축열재(40)에 조사됨에 따라 태양열이 축열재(40)에 흡수되어 축열된다.
상기에서 태양열이 축열된 축열재(40)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아지는 밤에 축열된 열기를 방출하므로 반응조(10)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보온효과를 높임으로써,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게 된다.
아울러, 기온이 높은 하절기는 반응조(10)의 내부온도와 하수 또는 오폐수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차광패드(51)를 닫아 햇빛이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온이 낮은 동절기(12월~03월)에 반응조의 보온효과를 높여서 미생물의 생물학적 반응 조건을 최적으로 조성함에 따라 하수 또는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동절기의 방류수 수질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반응조 20: 폭기장치
30: 하우징 31: 공기실
32: 보강리브 32a: 통기공
33: 유입공 34: 투시창
35: 보온재 40: 축열재
41: 가이드브라켓 50: 투명창
51: 차광패드 52: 가이드브라켓
60: 배기덕트 100: 보온덮개

Claims (5)

  1. 반응조(10)의 상부에 씌워져 설치되고,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대류하는 공기실(31)과 단열기능의 보온재(35)가 감싸여 구현된 한편 외주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투시창(34)이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서 투시창(34)의 내측부에 부착 설치되는 한편 세라믹 소재로 구현되며, 햇빛이 강한 낮 시간에 태양열을 축열하고, 기온이 낮은 밤에 열기를 방출하여 반응조(10)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축열재(40)와;
    상기 하우징(30)에서 투시창(34)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되고, 햇빛이 하우징(30)의 내부공간으로 투과되는 투명창(5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 설치되고, 공기실(31)을 대류한 내부공기가 반응조(10) 안으로 배기되는 배기덕트(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은 내측부와 외측부의 이중구조로 구현되며,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공기실(31)과 보온재(35)가 감싸여 구현되는 한편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리브(3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32)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기공(32a)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축열재(40)는,
    투시창(34)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투시창(34)의 내측부에 부착된 가이드브라켓(41)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투명창(50)은,
    투시창(34)보다 크게 구성되고, 하우징(30)의 외측부에 부착 설치된 가이드브라켓(52)에 끼워져 설치되며, 차광패드(51)가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이드브라켓(52)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배기덕트(60)는,
    하우징(30)의 내측부 아래에서 공기실(31)과 연통되도록 부착 설치되며, 하우징(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편 하단부가 반응조(10)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KR20130007000A 2013-01-22 2013-01-22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KR10125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000A KR101255667B1 (ko) 2013-01-22 2013-01-22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000A KR101255667B1 (ko) 2013-01-22 2013-01-22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667B1 true KR101255667B1 (ko) 2013-04-17

Family

ID=4844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7000A KR101255667B1 (ko) 2013-01-22 2013-01-22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1B1 (ko) * 2014-04-18 2014-11-26 주식회사 그리너스 수처리 시스템의 패키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2904A2 (en) 2002-02-04 2003-08-06 Ignazio Sanna Telescopic cover with imbricated elements
KR100907273B1 (ko) * 2009-03-25 2009-07-13 (주)엑센 악취제어를 위한 기능성 탈취커버장치
KR20120036194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에코다임 호기조 내부의 폐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폐수처리 시스템
KR101224524B1 (ko) * 2012-10-25 2013-01-21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저에너지 소비형 악취 제거기능을 갖춘 공공하수시설용 생물반응조의 보온덮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2904A2 (en) 2002-02-04 2003-08-06 Ignazio Sanna Telescopic cover with imbricated elements
KR100907273B1 (ko) * 2009-03-25 2009-07-13 (주)엑센 악취제어를 위한 기능성 탈취커버장치
KR20120036194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에코다임 호기조 내부의 폐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폐수처리 시스템
KR101224524B1 (ko) * 2012-10-25 2013-01-21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저에너지 소비형 악취 제거기능을 갖춘 공공하수시설용 생물반응조의 보온덮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1B1 (ko) * 2014-04-18 2014-11-26 주식회사 그리너스 수처리 시스템의 패키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0596B (zh) 分散式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5174430A (zh) 一种自加热式低温运行人工湿地净化装置及净化方法
KR101255667B1 (ko) 내부온도 균일화가 가능한 반응조 보온덮개
KR101224524B1 (ko) 저에너지 소비형 악취 제거기능을 갖춘 공공하수시설용 생물반응조의 보온덮개 시스템
CN103864214B (zh) 一种地埋式污水生态处理系统
JP2007028928A (ja) プラスチックハウス
Svoboda et al. An aerobic piggery slurry treatment system with integrated heat recovery and high-rate algal ponds
US4221571A (en) Solar heated anaerobic digestor
US20140342443A1 (en) PHOTO-BIOREACTOR (Algae Greenhouse-Dry Cooling Tower)
CN205820977U (zh) 一种一体化兼氧污水处理器
JP4863179B2 (ja) 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及び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における汚水の浄化方法
CN208200517U (zh) 一种污水土地处理系统复氧装置
CN202492408U (zh) 一种气动生态氧化沟
RU2489850C1 (ru) Автономный рыбоводный модуль
KR101427382B1 (ko) 블록형 미세조류 배양조
KR100223514B1 (ko) 수생식물을이용한오.폐수자연정화시스템
CN111517468A (zh) 一种新型无能耗零排放污水处理装置及使用方法
KR101786529B1 (ko) 보온덮개를 갖는 생물반응조
CN116750887A (zh) 冬季高效率运行人工湿地系统
KR20000008079A (ko) 흡수성 바이오휠터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과 장치
US20240158270A1 (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CN217921611U (zh) 微生物增氧系统
CN213357068U (zh) 一种新型无能耗零排放污水处理装置
CN116874088A (zh) 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14956472B (zh) 一种模块化农村生活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