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59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59B1
KR101254359B1 KR1020060036319A KR20060036319A KR101254359B1 KR 101254359 B1 KR101254359 B1 KR 101254359B1 KR 1020060036319 A KR1020060036319 A KR 1020060036319A KR 20060036319 A KR20060036319 A KR 20060036319A KR 101254359 B1 KR101254359 B1 KR 10125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resolution
broadcast
memory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122A (ko
Inventor
김득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5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Resolution)를 변경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정보, 방송 종료 정보에 따라 방영시간과, 메모리 카드(저장매체)의 기록 가능한 메모리 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메모리 잔량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로부터 취득한 방영시간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량을 초과하는지를 검색한다. 만일 메모리 잔량이 방송 프로그램 정보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 동작에 따라 메모리 카드에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반대로 메모리 잔량이 방송 프로그램 정보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제공되는 메모리 잔량에 방송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도록 그 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적절하게 변경한다. 상기 해상도 변경으로 인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량이 작아지고, 최초 저장할 수 없었던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 잔량에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장착된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 잔량에 맞춰서 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교체 없이도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MB, 방송 프로그램 저장, 메모리 용량, 해상도 변경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STORAGE DEVICE FOR STOR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DMB 튜너 14 : 시스템 버스
16 : 역다중화부 26 : EPG 버퍼
28 : MPU 30 : SD 카드 인터페이스
34 : 메모리 카드 38 : 사용자 입력부
42 : 해상도 변경 처리부 44 : 해상도 값 저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하 "DMB"라 칭함) 프로그램의 방영시간 정보와 저장매체의 잔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Resolution)를 변경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신기를 통해 야외나 이동 중에도 방송시청이 가능한 DMB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DMB 서비스는 서비스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DMB와 위성DMB로 구분된다. 상기 DMB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방식에 따라 DMB 방송국 또는 위성 DMB 방송국에서 송출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DMB 수신기로서의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 예컨대, DMB폰, DMB-PDA, PMP, 휴대용 컴퓨터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DMB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시청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DMB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에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는 DMB 튜너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된 DMB 프로그램 데이터인 부호화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Encoded Video data and Audio data)를 실시간 재생하거나, 또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DMB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필요시에 재생하도록 하는 휴대용 디지털 방송장치가 2005년 6월 7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고 번호 제2005-52859호(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에 개시 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에 개시된 DMB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DMB 튜너로부터 복조되어 출력되는 부호화된 DMB 방송 신호, 즉, 부호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Encoded Video data and Audio data)를 저장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된 DMB 방송 신호를 MPEG 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역다중화하여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분리한 후 해당 영상과 음성을 재생한다. 이때 저장 매체로서는 소정 슬롯(slot)에 끼워져 동작되는 CF 메모리(Compact Flash Memory),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가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에 개시된 DMB 방송 수신 장치는 튜너에서 복조된 부호화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모두 저장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현재 시청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의 데이터 사이즈가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보다 큰 경우에는 기록을 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수신되고 있는 DMB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음악 영상(Music video)인 경우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CD(compact disk) 수준의 음질을 보장하는 음성 데이터이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데이터 전체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D 수준의 음질로 송출되는 DMB 프로그램의 데이터 중에서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만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DMB 수신기가 특허 출원되어 2005년 6월 2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63215호(DMB 수신기: 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로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의 기술은 DMB 튜너에서 복조되어 출력된 부호화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MPEG 역다중화하여 음성신호만을 MPEG 복조(MPEG Decoding)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DMB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수신되는 DMB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DMB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도중에 저장매체를 교환하더라도 연속적인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DMB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가이드(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Event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된 방영 시간 정보와 상기 DMB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의 기록 잔량을 각각 검출하여 상기 DMB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이하 선행기술 3이라 칭함)이 본원출원인에 의해 2006년 1월 5일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6-1378호로 출원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3의 기술은 저장 매체의 잔량을 검출하여 메모리 잔량에 따라 부호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또는 부호화 음성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메모리가 부족시에도 음성 데이터나 중요한 음악 파일 전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 카드의 메모리 잔량이 부족시 메모리 카드를 교체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DMB 프로그램을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기록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3은 저장매체의 기록 잔량에 따라 DMB 프로그램을 단순히 저장만 하는 기술적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 3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DMB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의 현재 남아있는 기록 잔량보다 큰 경우 하나의 메모리 카드에 상기 DMB 프로그램 전체, 즉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비록 메모리 카드를 교체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술적 내용이 개시되고 있지만, 이 경우 메모리 카드 교체의 번거로운 점과, 여분의 메모리 카드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DMB 프로그램의 녹화를 완전하게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DMB 프로그램의 사용자 전송 채널에 포함된 방영 시간 정보와 저장매체의 잔량에 따라서 상기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채널선택신호의 입력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 를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부호화 영상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 및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역다중화부와; 저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명령에 의해 상기 부가정보로부터 취득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과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제 1 해상도를 변경하는 해상도 변경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는 DMB 프로그램 데이터의 방송시작, 방송종료시간, 방영시간 등의 자막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저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메모리 잔량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총 방영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현재의 제 1 해상도를 유지한 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저장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제 1 해상도를 연산 동작을 통해 낮은 해상도를 갖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 1 해상도보다 낮은 어느 하나의 해상도 값을 제공하는 해상도 값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DMB 프로그램에 포함된 EPG를 검출하여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작시간, 방영종료시간 등의 부가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사용자 저장명령에 응답하여 저장매체의 메모리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메모리 잔량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로부터 취득한 방영시간의 프로그램 데이터 정보량을 초과하는지를 검색하는 기록가능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메모리 잔량이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정보량을 초과하는 경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 1 저장단계와, 그리고 상기 메모리 잔량이 상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정보량보다 작은 경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 2 저장단계로 이루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저장단계에서, 상기 해상도는 상기 저장매체의 메모리 잔량에 따라 적합한 해상도를 갖도록 변경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저장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해상도 값이 테이블 형태로 제공된 상태에서 각각의 해상도 값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 잔량에 저장할 수 있는 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DMB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시간 정 보와 저장매체의 기록 잔량을 비교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DMB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DMB 방송 휴대용 장치(10)는 외부에서 CF(Compact Flash) 메모리 카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와 같은 메모리 카드(34)가 끼워져 결합되는 슬롯(slot)(32)과,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채널 선택, 볼륨 조절, 저장명령어 등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키 버튼들이 배열된 사용자 입력부(3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8)에 배열된 버튼을 이용하여 DMB 방송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발생하면, 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40) 및 시스템 버스(14)를 통하여 인가받고 상기 DMB 방송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채널 선택 신호(CSS : Channel Selection Signal)를 DMB 튜너(12)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sser; 이하 "MPU"라 칭함)(28)가 구비된다.
상기 MPU(28)는 사용자의 입력, 예를 들면, 저장명령(녹화, 녹음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DMB 튜너(12)에서 수신된 DMB 프로그램을 상기 시스템 버스(14)에 연결된 SD 카드 인터페이스(30)를 통해 SD 메모리 카드와 같은 상기 메모리 카드(32)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MPU(28)는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슬롯(32)에 끼워져 결합된 메모리 카드(34)의 메모리 잔량, 즉 기록 가능한 메모리 영역과 상기 DMB 프로그램에 대한 후술하는 EPG 데이터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DMB 튜너(12)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32)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MPU(28)는 동작 수행에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14)를 통해 메모리(36)에 저장/처리함으로써 각종 이벤트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동작 모의 표시, 재생시간 등의 표시등을 처리한다.
상기 MPU(28)가 검출한 상기 EPG 데이터와 메모리 카드(34)의 기록 잔량에 따라서 상기 DMB 프로그램의 데이터 양이 메모리 카드(34)의 기록 잔량보다 더 큰 경우 상기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해상도 변경 처리부(42)가 구비된다.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는 상기 MPU(28)의 제어동작에 따라 메모리 카드(34)의 현재 남아있는 기록 잔량에 DMB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해상도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해상도 변경은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가 상기 MPU(28)로부터 검출된 EPG 데이터와 메모리 카드(34)의 기록 잔량을 제공받아 일련의 연산과정을 통해 적절한 해상도 값으로 직접 변경하거나, 또는 복수의 해상도 값이 테이블 형태로 제공된 해상도 값 저장부(44)로부터 적합한 해상도를 선택 하여 변경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EPG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제공되는 EPG와 같은 데이터로서 프로그램 관련 부가 정보, 예를 들면, 방송시작시간, 방송종료시간, 프로그램 이름 등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DMB 데이터인 PAD(Program Associated Data)의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기 DMB 튜너(12)는 상기 채널 선택 신호(CSS)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채널의 신호를 선택 복조하여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를 시스템 버스(14) 및 역다중화부(16)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6)는 수신된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를 역다중화 하여 부호화 영상 데이터(EVD), 부호화 음성 데이터(EAD) 및 EPG 데이터(EPGD)를 비디오 복원부(18), 오디오복원부(20) 및 EPG 버퍼(26)로 각각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EPG 버퍼(26)의 출력은 상기 MPU(28)로 제공된다.
상기 비디오 복원부(18)는 수신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EVD)를 MPEG-4 디코딩하여 부호화 영상을 디코딩하고 신호처리하여 표시패널(20),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에 수신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오디오 복원부(22)는 수신된 부호화 음성 데이터(EAD)를 MPEG-4 디코딩하여 시스템 버스(14)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디코딩된 음성 데이터(EAD)를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24)를 통하여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DMB 튜너(12)의 출력을 시스템 버스(14)와 역다중화부(16)에 각각 연결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역다중화부(16)가 시스템 버스(14)로부터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신호라인을 간략화할 수도 있다. 또한 해상도 변경 처리부(42)가 시스템 버스(14)를 통해 MPU(28)와 연결하고 있으나, MPU(28)와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를 직접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DMB 방송 휴대용 장치(10)가 동작되면, MPU(28)는 도 2의 제 50 단계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40)의 출력을 읽어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고 판단되면, 상기 MPU(28)는 제 52 단계에서 이전에 수행되었던 해당 동작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8)에 배열된 채널 선택 버튼을 눌려 선택하면, MPU(28)는 제 50 단계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4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선택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 52 단계에서 그에 대응하는 채널 선택 신호(CSS)를 DMB 튜너(12)로 제공한다. 상기 DMB 튜너(12)는 상기 채널 선택 신호(CSS)에 대응하는 채널의 DMB 프로그램을 수신 복조하여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를 출력한다.
상기 DMB 튜너(12)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는 역다중화부(16)에 의해 부호화 영상 데이터(EVD), 부호화 음성 데이터(EAD) 및 EPG 데이터(EPGD)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며, EPG 버퍼(26)는 입력되는 EPG 데이터를 MPU(28)로 제공한다.
이에 상기 MPU(28)는 제 56 단계에서 상기 EPG 버퍼(26)로부터 출력되는 EPG신호를 분석하여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정보, 방송 종료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정보에 의해 방영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비디오 복원부(18)는 수신된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신호 처리하여 해당 영상을 표시패널(20)에 표시하고, 오디오 복원부(22)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24)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DMB 방송 채널이 선택되어 해당 채널의 DMB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이 표시패널(20)과 스피커(24)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8)상에 배열된 저장 명령 버튼을 누른 경우(제 58 단계),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저장 명령은 입출력 인터페이스(40)를 통하여 MPU(28)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MPU(28)는 저장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제 60 단계에서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30)를 통하여 슬롯(32)에 끼워진 메모리 카드(34)의 메모리 잔량을 검출한다.
상기 MPU(28)는 제 62 단계에서 상기 검출한 DMB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시간 정보와 메모리 잔량을 근거로, 현재 선택된 DMB 프로그램 전체를 상기 메모리 카드(34)에 기록할 수 있는지를 검색 판단한다.
상기 검색 판단은 제 56 단계에서 취득한 선택된 DMB 프로그램의 총 방영시간동안 수신될 데이터의 정보량과 제 60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메모리 잔량을 비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6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DMB 프로그램 전체를 상기 메모리 카드(34)의 잔량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고 판단될 때, 즉 충분한 잔량이 확보되었을 경우 상기 MPU(28)는 SD 카드 인터페이스(30)로 저장제어신호를 입력시킨다. 제 64 단계에서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30)는 상기 저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DMB 튜너(12)로부터 출력되어 시스템 버스(14)에 실리는 부호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EVAD)를 슬롯(32)에 끼워 결합된 메모리 카드(34)로 공급하여 저장시킨다.
하지만, 상기 도 2의 제 6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전체를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MPU(28)는 제 66 단계에서 메모리 카드(34)의 잔량 메모리에 상기 선택된 DMB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도록 그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로 변경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해상도 변경은 다음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진행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면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해상도 변경이 가능하고, 변경된 해상도를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제 68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는 상기 MPU(28)로부터 제공받은 변경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34)의 잔량 메모리 대비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어느 정도로 변경할 것인지를 자체적인 연산과정을 통해 추출한다. 즉, 선택된 DMB 프로그램의 최초 해상도가 640*480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는 상기 해상도보다 저하된 해상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해상도로서 DMB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34)에 저장될 수 있는지를 MPU(28) 에게로 전달한다.
상기 MPU(28)는 상기 추출된 해상도를 갖는 DMB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34)에 저장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저장가능하면 제 72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해상도 값을 선택한 다음, 제 74 단계에서 상기 MPU(28)가 SD 카드 인터페이스(30)로 저장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를 메모리 카드(34)로 공급하여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추출된 해상도를 갖는 DMB 프로그램를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MPU(28)는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로 다시 변경신호를 전송하여 적합한 해상도를 계속 추출하도록 상기 제 68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두 번째, 복수의 해상도 값이 테이블로 제공된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DMB 프로그램 전체를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가 상기 MPU(28)로부터 변경신호를 인가받으면, 제 70 단계에서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는 기 설정되어 있는 해상도 값 저장부(44)를 액세스한다.
그리고, 다시 제 72 단계에서 상기 해상도 값 저장부(44)에 설정된 어느 하나의 해상도 값을 선택하고 상기 MPU(28)에게로 상기 추출된 해상도를 갖는 DMB 프로그램이 메모리 카드(34)에 저장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MPU(28)는 메모리 카드(34)에 DMB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제어하지만(제 74 단계), 만일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해상도 값 저장부(44)를 계속 액세스하여 최종적으로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음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
해상도
1 320*240
2 325*288
3 480*272
4 640*480
[표 1]를 참조하여, 현재 DMB 튜너(12)를 통해 수신되는 DMB 프로그램의 해상도가 4번)640*480으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하지만, 상기 MPU(28)가 상기 해상도 640*480을 갖는 DMB 프로그램의 정보량과 메모리 카드(34)의 잔량을 비교한 결과, 상기 DMB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없다라고 판단하면, 상기 MPU(28)는 해상도 변경 처리부(42)에게로 변경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는 현재 설정된 4번)보다 낮은 정보량을 갖는 3번)-2번)-1번)의 해상도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이를 MPU(28)에게로 전달한다.
상기 MPU(28)는 상기 선택된 각각의 해상도 값을 참조하여 메모리 카드(34)의 잔량에 저장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만일 3번 해상도 값을 갖는 DMB 프로그램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다라고 판단하면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에 의해 3번 해상도 값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MPU(28)는 저장제어신호를 상기 SD 카드 인터페이스(30)로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EVAD)를 메모리 카드(34)에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3번 해상도로서도 저장할 수 없으면, 상기 MPU(28)는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42)에 의해 선택된 2번 해상도, 또는 1번 해상도가 적용되었을 때의 DMB 프로그램 정보량을 메모리 잔량과 비 교하고 저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경된 해상도 값은 저장 후 저장 장치(10)에서 재생시에 사용자가 충분히 DMB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최적의 해상도로 제공되어야 한다. 즉 어느 정도의 선명도는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MPU(28)는 상기 메모리 카드(34)에 기록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선택된 DMB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제 56 단계에서 취득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에 대한 데이터 정보량과 제 60 단계에서 검출한 메모리 카드(34)의 메모리 잔량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예에 설명되고 있는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 정보와 저장매체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의 잔여 용량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를 상기 잔영 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기 때문에 저장매체의 잔량이 부족시에도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를 다수 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채널선택신호의 입력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영상/음성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부호화 영상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 및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명령에 의해 상기 부가정보로부터 취득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간과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그리고
    다수의 해상도 값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이 불충분한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변경신호에 따라 해상도 값 테이블에서 순차적으로 낮은 해상도 값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해상도 변경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해상도에 의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었는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는 DMB 프로그램 데이터의 방송시작, 방 송종료시간, 방영시간 등의 자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저장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의 메모리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메모리 잔량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로부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총 방영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현재의 해상도를 유지한 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저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변경 처리부에 의해 현재의 해상도보다 낮은 어느 하나의 해상도 값을 제공하는 해상도 값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DMB 프로그램에 포함된 EPG를 검출하여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시작시간, 방영종료시간 등의 부가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사용자 저장명령에 응답하여 저장매체의 메모리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메모리 잔량이 상기 방송 프로그램 부가정보로부터 취득한 방영시간의 프로그램 데이터 정보량을 초과하는지를 검색하는 기록가능 여부 판단단계와,
    메모리 잔량이 수신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영시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정보량 보다 작은 경우, 다수의 해상도 값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순차적으로 낮은 해상도로 변경하면서 기록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기록 가능한 해상도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60036319A 2006-04-21 2006-04-2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KR10125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19A KR101254359B1 (ko) 2006-04-21 2006-04-2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19A KR101254359B1 (ko) 2006-04-21 2006-04-2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22A KR20070104122A (ko) 2007-10-25
KR101254359B1 true KR101254359B1 (ko) 2013-04-12

Family

ID=3881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19A KR101254359B1 (ko) 2006-04-21 2006-04-2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837A (ja) *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蓄積時間保証方法及び装置
KR20050120723A (ko) * 2003-05-05 2005-12-22 톰슨 라이센싱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나타내는 방법 및 장치
JP2006054570A (ja) * 2004-08-10 2006-02-23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交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837A (ja) *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蓄積時間保証方法及び装置
KR20050120723A (ko) * 2003-05-05 2005-12-22 톰슨 라이센싱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나타내는 방법 및 장치
JP2006054570A (ja) * 2004-08-10 2006-02-23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交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22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85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언어설정 장치 및 방법
US7672574B2 (en) Data broadcast playback control device, data broadcast playback control method data broadcast playback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US20070030766A1 (en) Multiple-driv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1494013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녹화물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50232598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extracting thumbnail picture
KR10125435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장치 및 그 저장방법
US7974518B2 (en) Record reproducing device, simultaneous recor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simultaneous record reproduction control program
US7810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list of recorded broadcasting programs
US20080298781A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udio-video data and method of recording audio-video data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9094966A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KR10095397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휴대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5218B1 (ko) 방송 수신 녹화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탐색 방법
KR100696827B1 (ko) 디브이디 녹화 장치의 데이터 녹화 방법
KR100762581B1 (ko) 타임 쉬프트용 데이터 녹화 방법
KR20100047729A (ko) 영상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80004680A (ko) 광디스크 녹화 장치의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
JP4380388B2 (ja) 編集方法、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513049A (zh) 用于记录节目的用户接口以及用于显示图像的装置和方法
KR100681601B1 (ko) 영상 녹화 시스템의 매뉴얼 정보 제공 방법
JP2007288391A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2007028226A (ja) 放送番組再生装置
KR100657689B1 (ko) 복합 시스템의 디브이디 재생 방법
KR20060125992A (ko) 비정상 방송 수신시 기록된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793788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