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125B1 -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125B1 KR101254125B1 KR1020110121592A KR20110121592A KR101254125B1 KR 101254125 B1 KR101254125 B1 KR 101254125B1 KR 1020110121592 A KR1020110121592 A KR 1020110121592A KR 20110121592 A KR20110121592 A KR 20110121592A KR 101254125 B1 KR101254125 B1 KR 101254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seated
- inner diameter
- moving plate
- mandre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가 안착되는 요홈 형태의 슬리브로더를 갖는 슬리브하우징, 슬리브하우징이 설치되고 강판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는 맨드릴을 향해 움직일 수 있는 무빙카를 포함하고, 안착된 슬리브를 맨드릴의 외경으로 삽입안내하는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로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소에 요홈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외주면을 양쪽에서 동시 가압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무빙플레이트; 상기 슬리브로더의 양단에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양단을 파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슬리브 안착시 슬리브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리브의 진원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얇은 슬리브를 맨드릴 외경에 끼우기 위해 상승시키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진원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슬리브 삽입작업이 원활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automatic take-out device for suppor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a sleeve housing having a groove-loaded sleeve loader on which the sleeve is seated, and a moving car installed in the sleeve housing and movable toward a mandrel for winding the steel sheet in the form of a coil. A sleeve automatic withdrawal device comprising: inserting and seating a seated sleeve into an outer diameter of a mandrel; A first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location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oov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loader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simultaneously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on both sides while seesawing when the sleeve is seated; A second moving plat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loader and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hold both ends of the sleeve while being seesawed when the sleeve is seated; It provides a coil inner diameter support automatic draw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undness can be automatically maintained even by raising the relatively thin sleeve to fit the outer diameter of the mandrel, the sleeve can be smoothly inserte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공정, 도금공정 등에서 텐션릴 맨드릴에 슬리브를 인입시킬 때 슬리브가 자중에 의해 진원도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자동으로 교정하면서 원활하게 인입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inner diameter automatic drawing device for supporting a coil inner diamet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leeve is inserted into a tension reel mandrel in a rolling process or a plating process, even if a poor roundness occurs due to its own w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automatic extractor and device for supporting an inner diameter of a coil to be smoothly drawn therein.
일반적으로, 압연공정, 도금공정 등에서는 강판을 코일링할 때 텐션릴의 맨드릴에 중공원통 형태의 슬리브을 끼운 다음 그 슬리브의 외표면에 강판이 감겨지게 함으로써 코일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되고, 이 코일 제품은 맨드릴에서 취출된 후 컨베이어 등을 통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In general, in the rolling process and plating process, the coil is produced in a coil form by inserting a hollow cylinder-shaped sleeve into a mandrel of a tension reel and coiling the steel shee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when coiling the steel sheet. After being taken out of the mandrel, it is transferred to a post process through a conveyor or the like.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맨드릴의 내경을 구성하는 다수의 세그먼트들이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면서 코일링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코일 내경에 마크 결함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series of processes is to prevent this because a plurality of segments constitu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mandrel is coiled while repea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o cause a mark defect in the coil inner diameter in the process.
즉, 고무로 된 슬리브를 코일링 전에 미리 맨드릴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에서 코일을 걸어 코일링하게 함으로써 코일의 내경과 접촉되는 곳이 맨드릴의 세그먼트가 아닌 슬리브가 되도록 하여 마크 불량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ubber sleeve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ndrel before coiling so that the coil is hooked and coiled so th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becomes the sleeve, not the segment of the mandrel, to prevent mark defects. .
최근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코일의 내경이 규격화됨으로써 보통 도 1의 도시와 같은 형태의 무빙카(10)를 이용하여 슬리브를 인입하고 있는데, 효율화를 위해 슬리브는 직경이 다른 제1,2슬리브(4,5)를 구비하고 있다.Recently,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is standardized to improve productivity, a sleeve is introduced using a moving
예컨대, 제1슬리브(4)는 두께가 얇고 제2슬리브(5)에 비해 상대적은 작은 직경을 갖는 이를 테면 20인치 크기의 슬리브이고, 제2슬리브(5)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과 두께를 갖는 이를 테면 24인치 크기의 슬리브이다.For example, the
이들 제1,2슬리브(4,5)는 제1슬리브안착홈(2)과 제2슬리브안착홈(3)을 갖는 슬리브로드하우징(1) 상에 안착되고, 슬리브로드하우징(1)은 무빙프레임(7) 상에 안착되며, 무빙프레임(7)에는 상기 슬리브로드하우징(1)을 승강시킬 수 있는 실린더(8)가 구비되고, 무빙프레임(7)은 메인프레임(9)에 고정된 상태로 무빙카(10) 상에 설치된다.These first and
그리하여, 맨드릴(11)이 위치한 장소로 무빙카(10)가 이동된 다음 사용할 슬리브, 즉 제1슬리브(4) 또는 제2슬리브(5)가 맨드릴(11)의 외경에 끼워지게 된다.Thus, the moving
그런데, 두께가 얇고 직경이 작은 제1슬리브(4)는 얇은 두께로 인해 제1슬리브안착홈(2)에 대기중일 때 자중에 의해 진원을 유지하지 못하고 찌그러지는 문제를 야기시킨다.However, the
만약, 그 상태에서 맨드릴(11)에 끼워지는 작업이 수행될 경우 잘 끼우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진원도 불량으로 인해 강제 삽입시 삽입불량을 야기하며, 끼우는 도중 낙하되어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고, 교체에 따른 작업부하와 작업시간을 가중시켜 생산성 하락의 주된 요인이 되게 된다.
If the work is fitted to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 찌그러지기 쉬운 슬리브를 맨드릴에 삽입할 때 상승동작과 함께 자동적으로 진원도를 유지하도록 안내하여 원활한 삽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막고,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guides to maintain the roundness automatically with a lifting motion when inserting a sleev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nto a mandrel which is easily crushe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il inner diameter automatic drawing support device which prevents the risk of safety accident and prevents the loss of working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슬리브가 안착되는 요홈 형태의 슬리브로더를 갖는 슬리브하우징, 슬리브하우징이 설치되고 강판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는 맨드릴을 향해 움직일 수 있는 무빙카를 포함하고, 안착된 슬리브를 맨드릴의 외경으로 삽입안내하는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로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소에 요홈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외주면을 양쪽에서 동시 가압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무빙플레이트; 상기 슬리브로더의 양단에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양단을 파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슬리브 안착시 슬리브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리브의 진원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leeve housing having a sleeve loader of the groove-shaped to which the sleeve is seated, includes a moving car installed in the sleeve housing and movable toward the mandrel winding the steel sheet in the form of a coil, A sleeve automatic take-out apparatus for inserting and seating a seated sleeve into an outer diameter of a mandrel; A first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location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oov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loader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simultaneously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on both sides while seesawing when the sleeve is seated; A second moving plat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loader and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hold both ends of the sleeve while being seesawed when the sleeve is seated; It provides a coil inner diameter support automatic draw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이때,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는 슬리브의 중심축과 수직한 선에 대해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링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1무빙플레이트의 마주보는 하단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plate is a pair is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of the sleeve, rotatably installed by a ring axis supported by the bracket as a hinge point, facing the pair of the first moving plate The bottom of the bore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support of the spring.
또한,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각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이 테이퍼가공된 푸슁브라켓이 볼트 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irst mov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ed bracket is taper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는 슬리브의 길이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링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2무빙플레이트 하단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plate is installed in a pai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ength center of the sleeve is rotatably installed with a ring axis supported by the bracket as a hinge point, the spring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pair of second moving plate It also has its characteristics.
아울러,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가 슬리브 양단과 각각 접촉하는 쪽 단부에는 슬리브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is fixed to the end of the sleeve is fixed to the end of the second moving plat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slee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얇은 슬리브를 맨드릴 외경에 끼우기 위해 상승시키기만 해도 자동적으로 진원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슬리브 삽입작업이 원활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undness can be automatically maintained even by raising the relatively thin sleeve to fit the outer diameter of the mandrel, the sleeve can be smoothly inserte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슬리브를 맨드릴에 삽입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인 대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를 상부에서 본 평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erting a sleeve into a mandr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sectional view and ma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2 seen from above;
FIG. 4 is a detailed view of part “A” of FIG. 3.
FIG. 5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part “B” of FIG. 3.
6 and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슬리브의 직경이 20인치, 24인치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만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작업환경이나 대상에 따라 슬리브의 직경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iameter of the sleeve to be described later is described in detail, such as 20 inches, 24 inches, etc. This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course, the diameter of the sleeve may vary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or the object.
다만, 본 발명에서의 개념은 이들 슬리브의 직경과 상관없이 적어도 두께가 얇아 평상시 정지상태에서도 진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일부 찌그러지는 현상을 갖는 슬리브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Howeve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sleeve, at least the thickness is thi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sleeves with some crushing phenomenon without securing the roundness even in the usual stationary state.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슬리브(4), 즉 20인치 슬리브가 안착되는 제1슬리브로드(2)의 길이방향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2개소 및 상기 2개소와 제1슬리브로드(2)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2개소, 총 4개소에 설치홈b(24)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b(24)의 하부에는 설치홈a(19)를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5, the
그리고, 상기 설치홈a(19)의 상부 바닥에 고정플레이트a(16)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a(16)를 축브라켓트a(25)와 연결된 브라켓트a(15)를 대고 볼팅하여 브라켓트a(15), 고정플레이트a(16)와 슬리브로드하우징(1)이 연결되게 구성한다.Then, the fixing plate a (16) is installed on the upper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 19, the fixing plate a (16) bolted to the bracket a (15) connected to the shaft bracket a (25) bracket a 15, the fixing plate a (16) and the sleeve rod housing (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브라켓트a(15)는 각각 축브라켓트a(25)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축브라켓트a(25)에는 링축a(14)가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링축a(14)의 중간부에는 링하우징a(13)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링하우징a(13)에는 무빙상부플레이트a(23)와 무빙하부플레이트a(17)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bracket a (15)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haft bracket a (25) by the ring shaft a (14) is fitted to each of the shaft bracket a (25), the ring shaft a (14) The housing a 13 is fixedly connected, and the moving upper plate a 23 and the moving lower plate a 17 are connected to the ring housing a 13.
이때, 상기 무빙상부플레이트a(23)와 무빙하부플레이트a(17)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이들은 호형상을 갖는 하나의 부재, 즉 제1무빙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ving upper plate a 23 and the moving lower plate a 17 are 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y constitute one member having an arc shape, that is, a first moving plate.
덧붙여,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는 링축a(14)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유동하면서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슬리브(4)의 중심점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린 선분에 대하여 요홈 상에 한 쌍의 제1무빙플레이트가 대칭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mov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seesaw movement while rotating the flow by the ring axis a (14) as a hinge point, a pair of first on the groove with respect to the line segment perpendicularly lowere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first sleeve (4) 1 moving plate is provided symmetrically.
아울러, 상기 무빙상부플레이트a(23)에는 푸슁브라켓트(22)가 볼트고정되는데, 이 경우 상기 푸슁브라켓트(22)의 선단면, 즉 제1슬리브(4)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은 테이퍼 가공됨으로써 가급적 제1슬리브(4)의 외주면에 최대한 면접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뿐만 아니라, 상기 무빙하부플레이트a(17) 하부에는 스프링축a(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스프링축a(20)의 외부에는 스프링a(18)가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축a(2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a(16)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하부로 인출되며, 인출된 하단에는 리미트링a(21)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spring shaft a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a (17), the spring a (18)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shaft a (20), the spring shaft a (20) is It is drawn out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 (16), the limit ring a (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is drawn out.
여기에서,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제1슬리브로드(2)의 센터를 기점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Here, the above components are installed symme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leeve rod (2).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브로드하우징(1)의 제1슬리브로드(2) 각 전,후 끝단부 2개소, 즉 양단에 각각 설치홈d(38)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설치홈c(33)를 형성하며, 그 상부 바닥에는 고정플레이트b(36)를 설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stallation grooves d (38) are formed in two places, i.e.,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이어, 상기 고정플레이트b(36)를 축브라켓트b(31)와 연결된 브라켓트b(37)로 볼팅하여 브라켓트b(37), 고정플레이트b(36)와 슬리브로드하우징(1)이 상호 연결되게 구성한다.Subsequently, the
따라서, 상기 브라켓트b(37)는 각각 축브라켓트b(31)와 연결되며 각각의 축브라켓트b(31)에는 링축b(27)가 끼워져 연결되고, 링축b(27)의 중간부에는 링하우징b(28)가 연결되며, 링하우징b(28)에는 무빙상부플레이트b(29)와 무빙하부플레이트b(30)가 연결되고, 무빙하부플레이트b(30) 하부에는 스프링축b(35)와 볼팅 연결되며, 스프링축b(35) 외부에는 스프링b(32)가 끼워져 연결되고, 스프링축b(32)의 하단은 고정플레이트b(36)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하부로 인출된 후 리미트링b(34)에 의해 고정되며,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된다.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무빙상부플레이트b(29)와 무빙하부플레이트b(30)도 앞서 설명한 무빙상부플레이트a(23)와 무빙하부플레이트a(17)의 경우처럼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이들도 호형상을 갖는 하나의 부재, 즉 제2무빙플레이트를 구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moving
덧붙여,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도 링축b(27)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유동하면서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슬리브(4)의 길이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무빙플레이트가 대칭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plate is also installed so that the seesaw movement while rotating the flow with the ring axis b (27) as a hinge point, a pair of second moving plate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first sleeve (4) It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무빙상부플레이트b(29)의 단부는 상기 제1슬리브(4)의 양단에 걸릴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ㄱ' 혹은 'ㄴ' 형상의 걸림턱(L)을 갖도록 하여 제1슬리브(4)의 양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슬리브(4)가 쉽게 유동되지 못하도록 구성함이 특히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movable upper plate b (29) has a locking jaw (L) of the 'b' or 'b' shape as shown in Figure 3 so as to be caught on both ends of the first sleeve (4)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11)에 슬리브(2)를 인입, 인출하는 작업시 두께가 얇은 20인치슬리브, 즉 제1슬리브(4)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면서 도 6의 (a)와 같은 모양을 갖게 되면 진원도 불량이 발생되어 맨드릴 삽입작업이 어렵게 된다.6 to 7,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ner 20-inch sleeve, that is, a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전혀 문제없이 즉시 슬리브 인입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such a phenomenon occurs, the sleeve can be pulled out immediately without any problem, for the following reason.
즉, 이와 같은 슬리브 처짐현상이 발생되더라도 본 발명 장치에 놓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처짐을 받쳐 올려 슬리브가 진원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원시키기 때문에 슬리브 인입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when such a sleeve sag occurs, when it is plac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is naturally supported to be deflected, thereby restoring the sleeve to maintain the original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처진 형상을 갖는 제1슬리브(4)가 제1슬리브로드(2) 상에 놓여지면 슬리브 하중에 의해 무빙하부플레이트a,b(17,30)가 하부로 위치 변화가 생기면서 여기에 연결된 반대편 무빙상부플레이트a,b(23,29)가 앞으로, 동시에 상부로 위치 변화가 발생하여 무빙상부플레이트a(23)가 안쪽으로 위치 변화되면서 푸슁브라켓트(22)가 제1슬리브(4)를 밀어주어 슬리브의 원형, 즉 진원도가 유지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뿐만 아니라, 무빙상부플레이트b(29)가 상부로 위치 변화되면서 제1슬리브(4)가 전,후단으로 밀려 나가는 것를 억제하게 되므로 진원도 유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ving
따라서, 두께가 얇아 자중에 의해 처짐 현상이 유발된 슬리브라고 할지라도 슬리브로드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슬리브의 진원도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슬리브를 맨드릴에 인입하는 작업을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sleeve is thin and the deflection phenomenon is caused by its own weight, it simply maintains the roundness of the sleeve simply by placing it on the sleeve rod, making it easy and accurate to insert the sleeve into the mandrel. Improv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1 : 슬리브로드하우징 2 : 제1슬리브로드
3 : 제2슬리브로드 4 : 제1슬리브
5 : 제2슬리브 10 : 무빙카
11 : 맨드릴1: Sleeve Rod Housing 2: 1st Sleeve Rod
3: second sleeve rod 4: first sleeve
5: second sleeve 10: moving car
11: mandrel
Claims (5)
상기 슬리브로더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소에 요홈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외주면을 양쪽에서 동시 가압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1무빙플레이트;
상기 슬리브로더의 양단에 설치되고, 슬리브 안착시 시이소운동하면서 슬리브의 양단을 파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 제2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슬리브 안착시 슬리브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리브의 진원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
A sleeve housing having a groove-loaded sleeve loader in which the sleeve is seated, a moving car installed with the sleeve housing and movable toward the mandrel winding the steel sheet in the form of a coil, the sleeve automatically inserting the seated sleeve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andrel In a drawer device;
A first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location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roove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loader and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simultaneously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on both sides while seesawing when the sleeve is seated;
And a second moving plat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loader and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grip both ends of the sleeve while seesawing when the sleeve is seated.
A coil inner diameter support automatic draw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aintain the roundness of the sleeve by the weight of the sleeve when the sleeve is seated.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는 슬리브의 중심축과 수직한 선에 대해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링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1무빙플레이트의 마주보는 하단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ving plate is installed in a pai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sleeve, rotatably installed by a ring axis supported by the bracket as a hinge poin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the first moving plate The coil inner diameter support sleeve automatic withdraw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supported.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각 상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이 테이퍼가공된 푸슁브라켓이 볼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coil inner diameter support sleeve automatic draw-o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ush bracket having a tapered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at each upper end of the first moving plate.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는 슬리브의 길이 중심에 대하여 대칭되게 한 쌍이 설치되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링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제2무빙플레이트 하단에는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ving plate is installed in a pai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sleeve and rotatably installed by a ring axis supported by the bracket as a hinge point, the bottom of the pair of second mov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supported Coil inner diameter support sleeve automatic withdrawal device made of.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가 슬리브 양단과 각각 접촉하는 쪽 단부에는 슬리브의 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지지용 슬리브 자동 인출입장치.The method of claim 4,
Coil inner diameter support sleeve automatic draw-o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gaging plate is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sleeve, respectively, the end of the sleeve is fixed to the engaging jaw for fix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592A KR101254125B1 (en) | 2011-11-21 | 2011-11-21 |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592A KR101254125B1 (en) | 2011-11-21 | 2011-11-21 |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4125B1 true KR101254125B1 (en) | 2013-04-12 |
Family
ID=4844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1592A KR101254125B1 (en) | 2011-11-21 | 2011-11-21 |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12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130576A1 (en) * | 2013-07-09 | 2015-01-10 | Mino S P A | SUPPORT FOR STORAGE AND / OR HANDLING OF A ROLL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OF A RIBBON |
CN110668226A (en) * | 2019-10-16 | 2020-01-10 | 涿州北方重工设备设计有限公司 | Automatic double-coiling device for amorphous strip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5518Y1 (en) * | 1993-08-19 | 1995-07-13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Sleeve exchage apparatus |
JPH0744324Y2 (en) * | 1989-03-25 | 1995-10-11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Coil car |
JP2005219076A (en) * | 2004-02-04 | 2005-08-18 | Sumitomo Metal Ind Ltd | Cylindrical support device |
JP2011167705A (en) * | 2010-02-16 | 2011-09-01 | Nippon Steel Corp | Coil conveying truck and coil conveying method |
-
2011
- 2011-11-21 KR KR1020110121592A patent/KR10125412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4324Y2 (en) * | 1989-03-25 | 1995-10-11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Coil car |
KR950005518Y1 (en) * | 1993-08-19 | 1995-07-13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Sleeve exchage apparatus |
JP2005219076A (en) * | 2004-02-04 | 2005-08-18 | Sumitomo Metal Ind Ltd | Cylindrical support device |
JP2011167705A (en) * | 2010-02-16 | 2011-09-01 | Nippon Steel Corp | Coil conveying truck and coil conveying metho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130576A1 (en) * | 2013-07-09 | 2015-01-10 | Mino S P A | SUPPORT FOR STORAGE AND / OR HANDLING OF A ROLL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OF A RIBBON |
CN104276339A (en) * | 2013-07-09 | 2015-01-14 | 意大利米诺公司 | Support for storing and/or moving metal materials, especially metal strips |
EP2837438A1 (en) * | 2013-07-09 | 2015-02-18 | Mino S.P.A. | Support for depositing and/or moving a coil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a strip |
EP2837438B1 (en) | 2013-07-09 | 2018-08-29 | Mino S.P.A. | Support for depositing and/or moving a coil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a strip |
CN110668226A (en) * | 2019-10-16 | 2020-01-10 | 涿州北方重工设备设计有限公司 | Automatic double-coiling device for amorphous strip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31049B2 (en) | Rotor insertion device and insertion method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 |
TWI409113B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ubu-shaped workpieces made of a preholed hollow block | |
KR101254125B1 (en) | Apparatus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leeve using support coil inner diameter | |
US10001143B2 (en) | Method for assembling compressor, and bundle guide device | |
KR20100100748A (en) | Tension balancer for aerial cable and tension balancer installation auxiliary device for aerial cable | |
CN105317481A (en) |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of a turbine component | |
RU2631223C2 (en) | Rolling mill stand with three rolls | |
JP3201028U (en) | Bearing extraction jig | |
CN104057286B (en) | A kind of erecting device of motor rotor upper bearing (metal) | |
CN105537836B (en) | Heavy wheel rim welding fixture | |
JP6500871B2 (en) | Stud pin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ud tire | |
EP3654502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arrangement with a grooved winding carrier and a winding for an electric machine | |
CN104773558A (en) | Installation mechanism of cloth winding barrel | |
KR101843949B1 (en) | Retaining ring expansion system with detachable wedge and base rail. | |
KR101425633B1 (en) | Apparatus for forming an anchor bolt head part | |
JP4329909B2 (en) | Hose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6437041B2 (en) | Cylindrical gripping device | |
KR20160082725A (en) | Wire wrapping device and method for fuel rods using a weight | |
JP2015194216A (en) | Extraction structure of conical roller bearing | |
CN109500086B (en) |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punch head | |
JP4122374B2 (en) | Rotation lock device for rolling roll supported by roll chock in window of rolling stand | |
CN211811787U (en) | Conveying system and iron remover | |
JP2016037703A (en) | Hanging runner device for movable partition | |
CN118539347B (en) | Pulley mechanism for conveying cable | |
KR20150033296A (en) | Pull-out device for rail load car bearing for inner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