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11B1 -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11B1
KR101254011B1 KR1020100064016A KR20100064016A KR101254011B1 KR 101254011 B1 KR101254011 B1 KR 101254011B1 KR 1020100064016 A KR1020100064016 A KR 1020100064016A KR 20100064016 A KR20100064016 A KR 20100064016A KR 101254011 B1 KR101254011 B1 KR 101254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sun gear
planetar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254A (ko
Inventor
김형모
이기용
신광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앤씨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앤씨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86Measures for reducing size of gearbox, e.g. for creating a more compact transmission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구동축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선기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1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2선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2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1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설치 시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치합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유성기어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Planet Gear Assembly Having Multiple Power Tansmission Paths}
유성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유성기어세트가 구비되어 유성기어세트의 구동을 달리하여 변속이 가능하며, 변속을 통한 출력기어의 회전수를 조정하여 감속 및 증속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유성기어장치는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의 한쪽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은 이것과 맞물리면서 그 주위를 도는 기어장치이고,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선기어, 선기어의 둘레를 자전 및 공전하는 유성기어 및 유성기어의 회전을 따라 회전을 하면서 종동축을 변속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링기어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유성기어의 구동을 복합적으로 하거나 변속을 위해서는 복수 개의 구동축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계 및 제작이 어려웠다. 나아가 다양한 변속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체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 전체 변속장치에 크기 및 하중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선기어, 2개의 유성기어, 링기어 및 캐리어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선기어 또는 캐리어가 고정됨에 따라 효율적인 변속비의 구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종래의 변속 가능한 유성기어 변속장치보다 구조적으로 간소화하여 소형 및 경량화하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변속이 가능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구동축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선기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1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2선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2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1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설치 시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치합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유성기어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2선기어는 고정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는 상기 제1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며, 상기 제2유성기어는 상기 제2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며,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의 공전에 따라 상기 캐리어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고정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는 자전을 하며, 상기 제2선기어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 각각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구성되도, 기어열의 배치가 상기 링기어의 원주 둘레 내에서 엇갈려 배치되어 상기 링기어의 지름이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성기어의 치합되는 면의 폭은 상기 제1선기어의 치합되는 면의 폭 보다 넓고, 상기 제2유성기어의 치합되는 면의 폭은 상기 제2선기어의 치합되는 면과 제2유성기어의 치합되는 면의 폭 길이를 합한 것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두 개의 선기어의 반지름이 다르게 구비되어 출력기어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인 변속비를 얻고,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구비되는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가 상시 치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정숙한 구동이 가능하고, 간소화된 구조로 설계가 가능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동축을 복수 개로 구비하지 않아도 변속 가능하므로 구동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차단하지 않고 변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체의 효율이 가장 좋은 RPM구간에서 변속을 할 수 있고, 고효율 RPM구간에서 다양한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성기어 및 제2유성기어가 회전하는 공간인 캐리어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가 고정되는 경우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기어가 고정되는 경우 선기어, 유성기어, 캐리어 및 링기어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포함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포함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판의 고정돌기가 캐리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캐리어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판의 고정돌기가 제2선기어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제2선기어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는 구동축(미도시), 제1선기어(100), 제2선기어(200), 제1유성기어(160), 제2유성기어(260), 캐리어(300) 및 링기어(400)를 포함한다.
구동축(미도시)은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축은 제1선기어(100)를 회전시킨다.
제1선기어(100)는 구동축을 따라 회전을 하고, 제1선기어부(140) 및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제1선기어부(140)는 후술하는 캐리어(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유성기어(160)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1유성기어(160)는 제1선기어부(140)의 회전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제1선기어의 연장부(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원통의 축방향을 따라 개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120)는 제1선기어부(140)에 결합이 되고, 일부가 캐리어(3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홀에는 구동축이 결합되고, 연장부(120)는 구동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선기어부(140)를 회전시킨다.
제2선기어(200)는 구동축(미도시)를 중심으로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선기어(100)의 연장부(120)의 상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선기어(200)는 제1선기어(100)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유성기어(260)은 제2선기어(200) 및 제1선기어(100)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160)에 동시에 치합될 수 있게 된다.
제1유성기어(16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제1선기어(100)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제1선기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3개의 제1유성기어(160)는 제1선기어부(140)와 등간격으로 치합되어 제1선기어부(140)의 회전을 따라 회전을 한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160)는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이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300)가 고정되는 경우 자전을 한다. 그리고 제2선기어(200)가 고정되고, 캐리어(300)가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300)의 회전에 따라 자전을 하면서, 제1선기어부(140)의 둘레를 공전하게 된다.
제2유성기어(26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선기어(200)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제2선기어(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공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2유성기어(260)가 제2선기어(20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선기어(200)의 회전을 따라 회전을 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는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이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300)가 고정되는 경우 자전을 한다. 그리고 제2선기어(200)가 고정되고, 캐리어(300)가 회전을 하는 경우 캐리어(300)의 회전에 의하여 자전을 하면서, 제2선기어(200)의 둘레를 따라 공전을 하게 된다.
캐리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유성기어(260)가 안착되는 유성기어안착부(303)가 구비되며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제공한다.
그리고 캐리어(3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유성기어(160)는 제1선기어(100)의 회전을 따라 자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유성기어(260) 역시 제2선기어(200)의 회전을 따라 자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선기어(200)가 고정이 되는 경우, 캐리어(3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유성기어(160)는 자전을 하면서, 제1선기어(100) 둘레를 공전하고, 제2유성기어(260) 역시 자전을 하면서 는 제2선기어(200) 둘레를 공전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캐리어(300) 역시 구동축(미도시)를 중심으로 공회전을 한다. 상기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변속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에서 캐리어(300)는 고정되고, 제2선기어(2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면서 종동축의 변속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300)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고, 제2선기어(200)는 고정이 되어 종동축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클러치(500)와 같이 제2선기어(200) 및 캐리어(3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복수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 및 방식으로 구동축의 일정한 회전에 대하여 서로 다른 회전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링기어(400)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링 형태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제2유성기어(260)가 치합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의 자전 또는 공전을 따라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속장치가 변속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성기어 및 제2유성기어가 회전하는 공간인 캐리어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유성기어(160), 제2유성기어(260) 및 캐리어(300)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선기어(200)는 제1선기어(100)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160)는 제1선기어(100)에 치합되고, 제2유성기어(260)는 제2선기어(200)에 치합되면서 제1유성기어(160)에도 각각 치합된다.
결국 제1유성기어(160)는 제1선기어(100) 및 제2선기어(200)의 지금의 차이에 해당하는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구동축(미도시),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축 및 제2유성기어(260)의 회전축은 동일 직선상에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동축(미도시)과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방향은 구동축과 제2유성기어(260)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방향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유성기어(160)의 지름의 크기를 제1선기어(100) 및 제2선기어(200)의 지름의 차이에 해당하는 지름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제2유성기어(260)를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선기어(200)와 치합시킬 수 있다.
결국 제1유성기어(160)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구동축(미도시)과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방향과 구동축 및 제2유성기어(260)의 회전축이 형성하는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서로 다른 토크 또는 회전수를 형성하는 유성기어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제1선기어(100) 및 제2선기어(2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선기어(200)도 일정 간격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제2유성기어(260)의 폭을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선기어(200)의 폭의 합보다 보다 큰 폭으로 형성하는 경우, 제2유성기어(260)는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선기어(200)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1선기어(100), 제2선기어(200),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유성기어(260)가 평기어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기어들은 각각의 기어가 서로 치합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가 고정되는 경우의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선기어의 연장부(120)는 구동축(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선기어부(140)는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160)은 제1선기어(10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캐리어(300)는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제1유성기어(160)는 제자리에서 자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는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 자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의 자전에 따라 제2선기어(200)는 구동축 상에서 구동축과 반대방향으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자전하는 제2유성기어(260)는 링기어(400)를 구동축의 회전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서 구동축의 동력을 링기어(400)의 연결되는 종동축으로 전달을 하면서 변속이 되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가 고정된 경우의 구동축 및 종동축의 변속비는 제2선기어(200)의 공회전 및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유성기어(260)의 자전에 따라 제1선기어(100) 및 링기어(400)간의 잇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기어와 출력기어의 감속비를 산출할 경우, 1단 변속에서의 감속비는 높아지고, 적은 회전수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토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선기어(100)에 형성된 잇수가 10T, 이를 구동기어 ZS1 이라 하고, 링기어(400)에 형성된 잇수가 40T, 이를 피동기어 ZR 이라 할 경우, 1단 변속을 할 경우의 감속비 값은 ZR /ZS1와 같은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을 사용하여 감속비를 산출할 경우, 캐리어(300)가 고정되는 경우의 감속비는 4가 될 수 있어, 적은 회전수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토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위와 같이 감속비 값을 입력기어/출력기어로 산출하였지만, 감속비 값 산출에 대한 수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기어가 고정되는 경우의 선기어, 유성기어, 캐리어 및 링기어의 회전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를 참조하면, 제2선기어(200)가 고정된 경우, 제1선기어(100)의 회전을 따라 제1유성기어(160)가 회전을 한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을 따라 제2유성기어(260)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 제2선기어(200)가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제2유성기어(260)는 자전을 하면서, 제2선기어(200)의 둘레를 따라 공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의 공전에 의해서 제1유성기어(160) 역시 자전을 하면서, 제1선기어(100) 둘레를 따라 공전을 하게 된다.
한편, 제2선기어(200)가 고정이 되는 경우, 캐리어(300)는 구동축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캐리어(300) 역시 제1유성기어(160) 및 제2유성기어(260)의 공전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제2유성기어(260)에 치합된 링기어(400)는 제2유성기어(260)의 제2선기어(200) 둘레를 따른 공전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상술한 제2선기어(200)의 고정시 감속비를 산출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2단 변속은 감속과정 및 증속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설명한 캐리어(300)가 고정된 경우보다 적은 감속비로 변속이 된다.
본 발명의 감속과정에서 제1선기어(100)는 구동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제1선기어(100)의 회전을 따라 캐리어(300)가 감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선기어(100)의 회전을 따라 제1유성기어(160)가 구동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리고 제1유성기어(160)의 회전을 따라 제2유성기어(260)가 구동축의 회전 방향으로 자전을 하면서, 고정된 제2선기어(200)의 둘레를 구동축의 회전 방향으로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캐리어(300)가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감속된다
일반적인 유성기어의 감속과정에서 선기어(ZS)가 회전을 하고, 링기어(ZR)가 고정이 되면, 캐리어는 속도가 줄면서 구동된다. 이 때 유성기어는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되고, 캐리어는 선기어보다 천천히 회전을 하게 된다. 이 때의 캐리어의 감속비는 (ZS + ZR)/ZS 로 구해진다.
본 발명의 감속과정에서 고정된 제2선기어(200: ZS2)는 링기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감속과정에서 제1선기어(100: ZS1)의 회전에 따른 캐리어(300)의 감속비는 상기 식에 따라 (ZS1+ZS2)/ZS1로 구해진다.
즉 제1선기어(100)에 형성된 잇수가 10T, 제2선기어(200)에 형성된 잇수가 20T인 경우 캐리어(300)의 감속비는 3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증속과정에서는 상기 감속과정에서 감속된 캐리어(300)의 회전에 따라 링기어(400)가 증속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300)의 구동축과 같은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제2선기어(200)에 치합된 제2유성기어(260)가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전 및 공전을 한다. 그리고 제2유성기어(260)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링기어(400)가 구동축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증속이 되게 된다.
일반적인 유성기어의 증속과정에서 선기어(ZS)가 고정되고, 캐리어가 회전을 하면, 캐리어의 회전을 따라 유성기어가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링기어는 유성기어의 자전에 의해서 회전을 하면서 유성기어의 공전에 의해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증속이 되게 된다. 이 때 캐리어의 구동에 따른 링기어의 증속비는 ZR/(ZS+ZR)으로 구해진다.
본 발명의 증속과정에서 고정된 제2선기어(200: ZS2)는 선기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증속과정에서 캐리어의 회전에 따른 링기어(400:ZR) 감속비는 상기 식에 따라 ZR/(ZS2+ZR)으로 구해진다.
즉 제2선기어(200)에 형성된 잇수가 20T이고, 링기어(400)에 형성된 잇수가 40T인 경우 캐리어의 구동에 따른 링기어(400)의 감속비는 2/3이 된다. 즉 캐리어(300)의 회전에 따라 링기어(400)는 증속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선기어(200) 고정시 감속 및 증속과정에 따른 최종 감속비는 (ZS1+ZS2)/ZS1*ZR/(ZS2+ZR)와 같은 식으로 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최종 감속비는 2가 된다. 그리고 이는 제1선기어(100) 및 제2선기어(200)의 잇수가 같은 상기 캐리어(300) 고정시의 감속비 4보다 2배 증속이 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포함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포함된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500)를 사용하여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성기어 어셈블리는 캐리어(300')가 고정되고, 제2선기어(200')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속도로 변속이 된다. 그리고 제2선기어(200')가 고정이 되고, 캐리어(300')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변속이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의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가 클러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동일 구동축의 회전을 서로 다른 속도의 2개의 회전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선택적 변속을 위하여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를 사용하여 캐리어 및 제2선기어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2선기어(200')는 제2선기어부(240), 연장부(220) 및 플랜지(280)을 포함한다.
제2선기어부(240)는 캐리어(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캐리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유성기어(260)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2유성기어(260)는 제2선기어부(240)의 회전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제2선기어의 연장부(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원통의 축방향을 따라 개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에 제1선기어(100)의 연장부(120)가 삽입되고, 상기 제2선기어부의 연장부(220)는 제1선기어의 연장부(120)의 둘레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선기어의 연장부(220)는 제2선기어부(240)에서 캐리어(3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280)는 캐리어(30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부(220)에 결합된다.
결국 플랜지(280)와 캐리어(300')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클러치(500)가 상기 이격된 공간에서 구동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리어(300') 또는 플랜지(280)를 선택적으로 고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280)가 고정되면, 결국 제2선기어(200')가 고정이 되어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한편, 플랜지(280)에는 후술하는 클러치(500)의 제1고정돌기(522)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282)이 형성되고,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클러치(500)는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2유성기어(260)가 자전 또는 공전을 하고, 링기어(400)의 출력 회전수가 변동된다.
클러치(500)는 다양한 구성에 의하여, 캐리어(300') 및 제2선기어(200')를 선택적으로 고정을 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의 클러치(500)는 클러치판(520) 및 이동부(540)을 포함한다.
클러치판(520)은 중심부가 관통된 원반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된 중심부에는 제2선기어(200')의 연장부(220)가 삽입된다. 결국 클러치(520)은 제2선기어(200')의 연장부(220)를 따라 구동축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플랜지(280) 및 캐리어(300')을 선택적으로 고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540)은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둘러싸는 하우징(미도시) 등에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이 되어 외부 입력에 의해서 클러치판(520)을 구동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클러치판(522)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2선기어(200')의 연장부(2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플랜지(280) 또는 캐리어(300')를 고정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의 클러치판(522)의 양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클러치판(522)의 구동축방향 이동에 따라 플랜지(280)의 제1고정홈(282)에 삽입되면서 플랜지(280)를 고정하거나, 캐리어(300')의 제2고정홈(320)에 삽입되면서 캐리어(300')를 고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판(522)의 일면에는 캐리어(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고정돌기(524)가 형성될 수 있고, 타면에는 플랜지(28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돌기(52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캐리어(300')의 클러치판(522)과 대향되는 면에는 제2고정돌기(524)와 대응되는 제2고정홈(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540)가 클러치판(520)을 이동시켜 제2고정돌기(522)가 제2고정홈(282)에 삽입되면서 캐리어(300')가 고정된다.
그리고 플랜지(280)의 클러치판(522)과 대향되는 면에 클러치판(522)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522)와 대응되는 제1고정홈(28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부(540)가 클러치판(520)을 이동시켜 제1고정돌기(522)가 제1고정홈(282)에 삽입되면서 플랜지(280)가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플랜지(280) 및 캐리어(300')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클러치판의 양면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판의 고정홈이 캐리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캐리어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이동부(54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부(540)와 결합된 원판의 형태의 클러치판(520)이 이동할 수 있다.
클러치판(520)의 이동에 따라 제2고정돌기(524)가 캐리어(300')에 형성된 제2고정홈(320)에 삽입되고, 캐리어(300')는 고정이 된다. 이 때 제2선기어(200')의 플랜지(280)는 클러치(500)와 분리되고, 그에 따라 제2선기어(200')는 자유롭게 제1선기어(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공회전 할 수 있다.
결국 캐리어(300')는 고정되고, 제2선기어(2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한다. 그리고 이 경우의 구체적인 기어들의 회전 및 변속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판의 고정홈이 제1선기어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제1선기어를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이동부(540)가 이동하여 클러치판(5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522)는 플랜지(280)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282)에 삽입되어 플랜지(280)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280)에 결합된 제2선기어(200')의 연장부(220)가 고정되고, 연장부(220)에 연결된 제2선기어부(240)도 고정이 되어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결국 제2선기어(200')는 고정이 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치판(520) 및 플랜지(280)의 결합에 따라 캐리어(300')는 클러치판(520)과 분리되고, 구동축에 공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제2선기어(200')는 고정되고, 캐리어(300')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한다. 그리고 이 경우의 구체적인 기어들의 회전 및 변속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제1선기어 120: 연장부
140: 제1선기어부 160: 제1유성기어
200: 제2선기어 220: 연장부
240: 제2선기어부 260: 제2유성기어
280: 플랜지 282: 제1고정홈
300: 캐리어 320: 제2고정홈
400: 링기어 500: 클러치
520: 클러치판 522: 제1고정돌기
524: 제2고정돌기 540: 이동부

Claims (5)

  1.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구동축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선기어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2선기어, 상기 제1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1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선기어와 치합되어 자전 또는 상기 제2선기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공전하는 복수 개의 제2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링기어는 상기 제1선기어, 상기 제2선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내측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설치 시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가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치합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상기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유성기어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선기어는 고정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는 자전 및 상기 제1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며,
    상기 제2유성기어는 자전 및 상기 제2선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전하며,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상기 캐리어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고정되고,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는 자전을 하며,
    상기 제2선기어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상기 제1유성기어 및 상기 제2유성기어 각각에 구비되는 회전축이 구성되고, 기어열의 배치가 상기 링기어의 원주 둘레 내에서 엇갈려 배치되어 상기 링기어의 지름이 축소되는 것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성기어의 폭이 상기 제2선기어 및 상기 제1유성기어 폭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KR1020100064016A 2010-07-02 2010-07-02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KR101254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16A KR101254011B1 (ko) 2010-07-02 2010-07-02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16A KR101254011B1 (ko) 2010-07-02 2010-07-02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54A KR20120003254A (ko) 2012-01-10
KR101254011B1 true KR101254011B1 (ko) 2013-04-12

Family

ID=4561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016A KR101254011B1 (ko) 2010-07-02 2010-07-02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68B1 (ko) * 2013-04-11 2014-02-28 정효진 엔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383A (ja) 1997-05-13 1998-11-24 Harmonic Drive Syst Ind Co Ltd 遊星歯車機構を用いた回転伝達機構
US7137922B1 (en) 2004-11-22 2006-11-21 Taiwan Jet Power Industrial Ltd. Differential device
US20060293143A1 (en) 2003-12-23 2006-12-28 Moon-Haeng Cho Compound planetary gear set and gear trains
KR100912134B1 (ko) 2008-04-16 2009-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동 잠금기능이 구비된 차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383A (ja) 1997-05-13 1998-11-24 Harmonic Drive Syst Ind Co Ltd 遊星歯車機構を用いた回転伝達機構
US20060293143A1 (en) 2003-12-23 2006-12-28 Moon-Haeng Cho Compound planetary gear set and gear trains
US7137922B1 (en) 2004-11-22 2006-11-21 Taiwan Jet Power Industrial Ltd. Differential device
KR100912134B1 (ko) 2008-04-16 2009-08-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동 잠금기능이 구비된 차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68B1 (ko) * 2013-04-11 2014-02-28 정효진 엔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54A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9236B2 (ja) Cvt差動装置
EP3284971B1 (en) Single shaft two-speed drive system
KR101724659B1 (ko) 역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JP2011521183A (ja) 最終駆動装置としてチェーン及び遊星歯車セットを使用する手動変速機
JP6627155B2 (ja) 入力合成装置
JP5327761B2 (ja) 変速装置システム
KR101374872B1 (ko) 전기자동차의 드라이브 유닛장치
KR101156176B1 (ko) 전기자동차용 유성기어 변속장치
KR101463300B1 (ko) 다중 출력 차동 장치
KR101254011B1 (ko) 복수 개의 동력전달 경로를 가지는 유성기어 어셈블리
JP2014029203A (ja) 遊星歯車機構を利用する高変速比の減速機
JP5280592B1 (ja) 変速装置
JP7365714B2 (ja) 回転式変速機構
KR100501562B1 (ko) 복수개의 유성기어 유닛을 이용한 증속장치
KR20060008147A (ko) 유성 치차 감속기
JP2009168193A (ja) 遊星歯車減速機
KR101274472B1 (ko) 복수 회전비를 가진 유성기어감속장치
KR20090103143A (ko) 유성치차를 이용한 연속 고변속장치
US20240011541A1 (en) Speed reducer having self-locking function without ring gear, and self-locking method of speed reducer
JP2006046424A (ja) 歯車式無段変速機
KR20130007211A (ko) 래치기어를 이용한 유성기어식 변속기
KR101451068B1 (ko) 다중 출력 차동 장치
JP3847170B2 (ja) 遊星歯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変速装置
KR101173680B1 (ko) 변속 장치
KR20130016952A (ko) 트랙션 모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