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99B1 - Dry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y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99B1
KR101253999B1 KR1020100078680A KR20100078680A KR101253999B1 KR 101253999 B1 KR101253999 B1 KR 101253999B1 KR 1020100078680 A KR1020100078680 A KR 1020100078680A KR 20100078680 A KR20100078680 A KR 20100078680A KR 101253999 B1 KR101253999 B1 KR 10125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chamber
heat
chamber
r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1740A (en
Inventor
한상배
정보림
허준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0007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99B1/en
Priority to CN201110105869.9A priority patent/CN102345972B/en
Priority to JP2011096874A priority patent/JP5400828B2/en
Publication of KR2012002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9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시키는 레이커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와,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천정용 레이커 및 천정용 브러쉬와 피건조물 또는/과 열매체를 교반, 혼합 및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와 상기 레이커와 임펠러 등에 설치되어 건조효율을 증대시키는 수직 블레이드가 갖추어진 복수개의 건조실 또는 복수개의 건조실과 열매체 순환실이 상하로 적층되어 다단으로 구성되고, 가열기와 상기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열에너지가 회수되도록 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rotating a rotating shaft, a rotating shaf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a raker for stirring and conveying a dry object, a brush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cloth for a drying chamber or a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At least one impeller for agitating, mixing and circulating the ceiling raker and ceiling brush and the dried object and / or heat medium,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lades installed in the raker and the impeller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A drying chamber or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and a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and a part or all of th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heater and the drying chamber or the heat medium flowing out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is the dust collector, the heat exchanger, and the adsorption facility. And at least one of the scrubbers I and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such that thermal energy is recovered.

Figure R1020100078680
Figure R1020100078680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MACHINE}Drying Equipment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실 내에서 피건조물의 원활한 교반 및 이송이 이루어지고 열효율이 우수하며 안전성이 개선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ing apparatus in which a smooth agitation and transfer of a dry matter is made in a drying chamber, and thermal efficiency is excellent and safety is improved.

건조장치는 열풍, 과열증기, 전기 및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용제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건조장치에서 건조될 수 있는 피건조물은 농수산물, 가공식품류, 습윤상태의 광물질류, 산업체의 최종제품, 음식폐기물, 축분 또는 슬러지 등이며, 그 외 다양한 종류의 피건조물들을 건조할 수 있다.Drying equipment is a device that removes water or solvents contained in the dry items by directly or indirectly heating the dry items by using hot air, superheated steam, electricity and electromagnetic waves. The dry items that can be dried in the drying device ar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Processed foods, wetted minerals, industrial final products, food waste, powdered or sludge, etc., and various other dry matters.

건조장치의 건조방식은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으로 구별되는데, 간접가열식이란 피건조물이 체류하는 건조실과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매체 순환실로 구성되고 전도전열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가열함으로써 피건조물과 열매체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건조방법이며, 직접가열식이란 가열된 공기,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방법이다. The drying method of the drying apparatus is classified into direct heating type and indirect heating type. The indirect heating type is composed of a drying chamber in which a dry matter resides and a heating medium circulation chamber in which a heat medium circulates. It is a drying method which does not contact, and direct heating type is a drying method in which the heating medium and the dry matter such as heated air and superheated steam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o evaporate moisture.

종래의 건조장치는 스크류 건조기, 박막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다단 복층 건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그중 원통형의 드럼을 횡으로 설치하여 드럼 자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열매체와 피건조물이 직접 접촉하거나 간접 접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는 회전식 건조기의 경우, 중량이 크고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실에 해당하는 드럼 자체를 회전시키므로, 구동부의 용량이 크고, 동력이 과다 소요되며, 피건조물의 교반이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드럼의 내면에 피고형물이 점착되어 점착된 피건조물이 과다 건조되고, 과다 건조된 피건조물은 쉽게 분진화되어 건조용 열풍과 혼합될 경우 폭발의 우려가 있으며, 간접 건조방식의 경우 드럼의 내면에 부착된 피고형물에 의하여 열전도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길이가 긴 드럼을 횡방향으로 설치함으로 부지가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Conventional drying apparatuses include a variety of apparatuses including screw dryers, thin film dryers, fluidized bed dryers, rotary dryers, and multi-stage multilayer dryers. Among them, in the rotary dryer in which a cylindrical drum is installed laterally to rotate the drum itself and the heating medium and the dry matter are directly contacted or indirectly contacted and dried in the drum, the drum corresponds to a drying chamber that has a large weight and accommodates the dry matter. Since it rotates itself, the capacity of a drive part is large, power is excessively consumed, and stirring of a to-be-dried thing is not smooth. In addition, the solid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may cause the adhered dry material to be over-dried, and the over-dried dry matter may be easily dusted and mixed with the drying hot air. Due to the solid matter adhered to the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a drum with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a long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difficult to take a lot of site.

또한, 종래의 건조장치들 중에는 건조실 내부에서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하고 피건조물이 열매체와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되도록 하는 레이커가 설치된 건조장치들은 건조실 자체를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식 건조기에 비교하여 구동부가 작고, 동력소요가 적으며, 부지가 작게 소요되므로 토지가 귀한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하고 중량이 작은 레이커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지므로 동력소요가 적다.In addition, among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es, dryers equipped with a raker for agitating and conveying a dry matter inside the drying chamber and allowing the dry matter to b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heat medium are compared to a rotary dryer which rotates by installing the drying chamber itself in a lateral direction. Therefore, the driving part is small, the power demand is small, and the site is small, so the land is suitable for the reality of Korea, and the agitation is made by the small weight of the raker, so the power demand is low.

일반적으로 건조과정에서 피건조물의 표면적을 크고 성글게 하고 피건조물의 내부에도 외부와 관통되는 많은 공간을 형성하여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이 넓고 증발된 수분이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교반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다단 건조장치 등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에 이용되는 레이커는 피건조물의 이송과 바닥면의 스크레이핑에 치중된 구성이므로 건조효율(단위 열량당 증발된 수분량)이 낮고 건조시간이 길게 소요된다. In general,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surface area of the dried material is made large and sparse, and a large amount of space penetrates to the outside of the dried material, thereby providing a wide contact area with the heat medium and using a stirring means for smoothly evacuating evaporated water. It is advantageou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ulti-stage drying apparatus, the raker used for stirring and conveying the dry items is focused on the transport of the dry matter and the scraping of the bottom surface, so the drying efficiency (the amount of evaporated water per unit calories) is low and the drying time is long. It takes

또한, 유기성의 피건조물이 과다 건조되고 분진화되면 고온에서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장치는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피건조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된 피건조물은 열전도율을 저하시키고 과다 건조되어 분진화되므로 주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해야 되는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dust explosion at high temperatures if the organic dry matter is overdried and dusted. However, the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may be attached to the dry matter on the ceiling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and the attached dry matter lower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is excessively dried and dusted, so there is a management difficulty in cleaning the interior periodically.

또한, 열매체 순환실과 건조실이 분리 설치된 종래의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누적되는 이물질의 제거기능이 없으므로 가열 공기, 열수 또는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에 함유된 분진들이 장시간에 걸쳐서 점착 및 누적되거나, 증기 또는 열수에 의하여 스케일(Scale)이 부착되어 열전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direct drying method of the drying apparatu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and the drying chamber has no function of removing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so dust contained in the heat medium such as heated air, hot water or superheated steam, etc. They are sticking and accumulating for a long time, or the scale is attached by steam or hot water, so that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improvement is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조실 내부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분진 발생이 적고 폭발의 위험이 경감되며, 열전도율과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건조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건조된 피건조물의 수분함량이 균일하고, 부지면적과 동력이 작게 소요되며, 오염물질의 배출이 잘 통제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moothly stirring and transporting the dry matter in the drying chamber, less dust generation, less risk of explosion,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drying efficiency, dry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in which the time required is shor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product is uniform, the land area and power are small, and the emission of pollutants can be controlled we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하는 레이커,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레이커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레이커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 및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블레이드는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열매체와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며 건조시간이 단축되도록 하고 피건조물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등 레이커의 기능을 보완하게 된다.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rying chamber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raker installed inside the drying chamber for stirring and transporting the dry matter, a rotating shaf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aker, the And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raker through a rotating shaft, one or more vertical blade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raker, and a heater for generating heat to directly or indirectly heat the drying chamber. The vertical blade supplements the function of the raker by agitating the dry matte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where moisture can evaporate,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medium, shorten the drying time, and smoothly transport the dry matt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을 스크레이핑 할 수 있는 천정용 레이커를 설치함으로써 건조실의 천정면으로부터 분진과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ceiling raker capable of scrap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과 천정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브러쉬(Brush)를 설치하고,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브러쉬가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바닥면 또는 천정면으로부터 이물질과 분진 등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rush (Brush)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the bottom surface while the brush is rotated by a rotating shaft driven by a drive unit Alternatively, foreign matter and dust were removed from the ceil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 또는 열매체를 교반 및 순환시키거나, 피건조물과 열매체를 혼합 및 순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를 더 포함하였다. 또한 상기 수직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에도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impellers for stirring and circulating the dried object or the heat medium, or mixing and circulating the dried object and the heat medium. In addition, the vertical blade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impe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실에 열을 전도하기 위하여 열매체가 순환되는 열매체 순환실의 내부에도 상기 수직 블레이드, 임펠러, 브러쉬, 천정용 레이커, 천정용 브러쉬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 설치하므로써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 또는 천정면으로부터 분진과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열매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건조실로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ny of the vertical blades, impellers, brushes, ceiling rakers, ceiling brushes in the interior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hrough which the heat medium is circulated to conduct heat to the drying chamber of the indirect drying method. By installing one or more combination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bottom surface or ceiling surface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he circulation of the heat medium is smoothly performed, and heat conduction is well performed from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o the dry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복수개의 건조실 또는 복수개의 건조실과 열매체 순환실을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된 다단 건조장치로 구성하여 건조효율을 개선하고 부지소요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ulti-stage drying apparatus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or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and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up and down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site requirement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상기 가열기는, 상기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소시켜서 악취 원인물질과 분진이 연소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heater of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rns a part or all of th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drying chamber or the heat medium flowing out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so that odor causing substances and dust are comb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실 또는 상기 가열기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또는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서 유출되는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거나 열에너지가 회수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건조실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상기 가열기에서 연소시킴으로써 건조용 열원의 조달이 용이하고 난방용과 산업용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or, a heat exchanger, an adsorption facility and a scrubber, and part of the heat medium discharged from the exhaust chamber or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exhausted from the drying chamber or the heater. Alternatively, all of the contaminants may be removed or thermal energy may be recover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ust collector, the heat exchanger, the adsorption facility, and the scrubber, and the drying of the dried material in the drying chamber may be performed in the heater to procure a drying heat source. Easy to use for heating and industrial use.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건조실의 내부에서 피건조물의 교반 및 이송이 원활하고, 분진 발생이 적고 안전성이 개선되며, 열전도율과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건조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부지소요면적과 동력소요가 작고, 오염물질의 배출이 잘 통제될 수 있으며, 농수산물, 가공식품류, 습윤상태의 광물질류, 음식폐기물 또는 슬러지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의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irring and transport of the dry matter in the drying chamber is smooth, less dust generation, improved safety,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drying efficiency, shorten the drying time It can be used for dry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processed foods, wet minerals, food waste or slud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건조방식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용 레이커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및 천정용 브러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건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피건조물, 열매체 및 배기가스의 흐름과 장치구성이 도시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rying apparatus of a direct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rying apparatus of the indirect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aker and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eiling raker and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e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eller and the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rush and a ceil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ulti-stag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dry matter, the heat medium and the exhaust gas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i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ying apparatus by a direct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프레임(1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고, 구획된 내부공간은 건조실(10)을 이루며, 상기 건조실(10)에는 외부와 연통되어 피건조물을 상기 건조실(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구(130)와 건조된 피건조물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구(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FIG. 1, a frame 100 is installed, and a space is partitioned therein by the frame 100, and the partitioned inner space forms a drying chamber 10, and the drying chamber 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o form a dry object. Inlet port 130 to be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10 and the outlet 140 for allowing the dry to be dried to be drawn out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 투입구(130)에는 피건조물을 건조실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장치(400)가 연결 설치되며, 인출구(140)에는 건조된 피건조물을 건조실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장치(50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투입장치(400)와 상기 인출장치(500)는 건조실(10)의 기밀유지에 유리한 스크류 컨베이어 형태의 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투입 및 인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let port 130 is connected to the inlet device 400 for injecting the dry object into the drying chamber, the outlet 140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device 500 for drawing out the dried object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chamber. The input device 400 and the take-out device 500 are mainly used in the form of a screw conveyor that is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drying chamber 10,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various types of input and withdrawal device may be used.

한편, 상기 건조실(10)에는 열풍 또는 과열증기 등의 열매체가 공급되어 피건조물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열매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유로가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은 외부의 열매체 가열기(300)와 연통되며, 상기 가열기(300)에서는 열매체를 가열시키고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시켜서 건조실(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ying chamber 10 is supplied with a heat medium such as hot air or superheated steam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 medium can flow in and out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dry matter, the drying chamber 10 is an external heat medium heater 300 ), The heater 300 heats the heating medium and raises i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 as to be supplied into the drying chamber 10.

상기 건조실(10)에는 피건조물을 교반 및 유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레이커(30) 또는 천정용 레이커(30a)가 회전축(4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0)은 구동부(20)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아서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레이커(30) 또는 천정면에 위치하는 천정용 레이커(30a)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주로 전기모터와 감속기(Reducer)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구동부(20) 및 회전축(40)은 선택에 따라 단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rying chamber 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akers 30 or ceiling rakers 30a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0 to stir and flow the dry items, and the rotating shaft 4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 to rotate. By receiving power,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aker 3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10 or the ceiling raker 30a located on the ceiling surface. The drive unit 20 is mainly used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reducer (Reducer), the drive unit 20 and the rotating shaft 40 may be arranged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또한, 상기 회전축(40)에는 교반용 임펠러(8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열매체를 휘저어서 피건조물과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진 열매체와 상부측의 온도가 높은 열매체가 교류되도록 하거나,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피건조물의 표면적을 넓게하여 수분증발 속도를 높게 하고, 열매체와 접촉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피건조물과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피건조물을 서로 교환시켜서 건조효율이 증대되고, 건조된 피건조물의 수분함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shaft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irring impeller 80 to agitate the heat medium to contact the dry matt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medium is lowered and the heat medium of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side is alternating or by stirring the dry matter The surface area of the dry matte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water evaporation rate, and the dry efficiency of the dried dry matter is increased by exchanging the dry matter and the dry matter having a relatively high water content in contact with the heat medium. It can be made uniform.

여기서 상기 레이커(30), 상기 천정용 레이커(30a) 또는 상기 임펠러(8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 블레이드(60)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블레이드(60)는 피건조물을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등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도면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모든 레이커의 상부면, 천정용 레이커의 하부면, 임펠러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raker 30, the ceiling raker 30a, or the impeller 8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vertical blade 60. The vertical blade 60 may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dry matte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where moisture can evaporate,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medium, and shortening the drying time. For example, one or more vertical blades may be configur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s of all the rakers, the lower surfaces of the ceiling raker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pell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ying apparatus by an indirect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건조실(1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열매체 순환실(70)을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열매체 순환실에 열풍, 열수 또는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를 순환시켜서 건조실(10)에 투입된 피건조물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상기 건조실(10)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임펠러(80), 레이커(30), 천정용 레이커(30a), 수직 블레이드(60)등을 설치할 수 있다. In FIG. 2,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lower, or side surfaces of the drying chamber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70, and the heat medium such as hot air, hot water, or superheated steam is circulated in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hereby drying the chamber 10. It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direct drying method to conduct heat to the dried object put into). The drying chamber 10 has an impeller 80, a raker 30, a ceiling raker 30a, as shown in FIG. Vertical blades 60 and the like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에는 바닥면과 천정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분진과 스케일을 제거 및 이송할 수 있는 레이커 또는 천정용 레이커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바닥면과 천정면을 쓸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바닥용의 브러쉬(50)와 천정용 브러쉬(50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70 may be provided with a raker or a ceiling raker capable of removing and transporting dust and scal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oo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s well as cleaning the floo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At least one of the floor brush 50 and the ceiling brush 50a which can remove the can be installed.

상기 레이커와 브러쉬 등에 의하여 제거된 분진과 스케일 부스러기 등은 바닥용의 레이커 또는 브러쉬(50)에 의하여 바닥면을 따라 수집 및 이송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호퍼 또는 깔데기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집부를 두고 분진과 스케일 부스러기 등이 일정량 모여지면 배출용 밸브를 개방하여 간헐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상시 개방으로 인한 열매체의 과다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Dust and scale debris removed by the raker and brush are collected and transported along the bottom surface by a raker or brush 50 for floor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 7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can do. When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ion having a shape such as a hopper or a funnel, when a certain amount of dust and scale debris are collected, the discharge valve may be opened and discharged intermittently to prevent excessive leakage of the heat medium due to the regular opening.

또한, 상기 열매체 순환실(70)의 내부에도 회전축에 임펠러(80)를 설치하고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하여 열매체가 혼합 및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조실(10)에 전도되는 열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impeller 80 in the rotating shaft also inside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70 and the heat medium is mixed and circulated by the rotating impeller so that the amount of heat conducted to the drying chamber 10 can be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레이커(30)는 허브(31), 회전축 삽입구(32),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3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 삽입구에 회전축(40)이 삽입 고정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레이커(30)가 회전하게 된다.Raker 30 is composed of a hub 31, the rotary shaft insertion hole 32, one or more blades 33 and the rotary shaft 40 is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insertion hole is fixed a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30 ) Will rotate.

레이커가 회전하면서 건조실 내부의 피건조물을 교반 및 이송하거나,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과 분진 등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여 제거하게 된다.As the raker rotates, the dry matter in the drying chamber is stirred and transported, or the foreign matter and dust are scraped off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방식의 상기 레이커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의 제거에는 적합한 형태이다. 그러나 피건조물이 두터운 층을 이루는 건조실 내부에서는 피건조물의 하부에서 레이커가 겉돌면서 하부에서만 교반이 이루어지고 피건조물의 표면층을 효과적으로 분쇄하거나, 상부와 하부의 피건조물을 혼합하거나 순환시키기 어려운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레이커는 열매체 순환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의 제거에 주로 적용한다. 또한,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레이커의 허브(31)에 브러쉬(미도시)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33)의 측면에 브러쉬(미도시)를 설치하여 바닥면이 잘 청소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the raker of the conventional manner is suitable for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However, in the drying chamber in which the dry layer forms a thick layer, it is difficult to crush the surface layer of the dry matter, or to mix or circulate the dry matter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while the raker is rot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y item and the stirring is performed only at the lower par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type of raker is mainly applied to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In addition, a brush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hub 31 of the raker or a brush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lade 33 so a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more smoothly. Can be.

또한, 상기 허브와 회전축 삽입구를 생략하고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33)를 상기 회전축(40)에 직접 부착 설치하여 레이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addition, by omitting the hub and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port, one or more blades 33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4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raker, which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커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aker and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바닥용 레이커(30)의 블레이드(33)에 상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60)를 추가로 구성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 블레이드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거나 경사지도록 상기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내부는 물론 표면까지도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피건조물의 내부까지 열매체가 접촉될 수 있도록 성글게 공간을 형성하여 피건조물과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등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도면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모든 레이커의 상부면과 천정용 레이커의 하부면, 임펠러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이와 같은 수직 블레이드를 구성할 수 있다.4 is an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one vertical blade 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lade 33 of the floor raker 30, wherein the vertical blade is installed or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stalled to stir not only the surface of the building but also the surface to widen the surface area where moisture can evaporate, and to form a sparse space so that the heating medium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heating medium. It can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and shorten the drying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 drawings are shown or not,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rakers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ceiling raker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mpeller may be configured such a vertical blade.

또한, 상기 수직 블레이드(60)는 봉형, 각봉형, 스크류(Screw)형, 판재형, 좁고 긴 판재를 꼬아서 만든 꽈배기형, 봉재 등에 복수개의 판재가 엇갈리게(Zig-Zag) 부착된 형상, 복수개의 축류 또는 사류형의 회전익이 일열로 적층되어 용접되거나 연결봉에 조립된 형상 등과 같이 피건조물의 표면과 내부까지 휘저어 교반 및 혼합할 수 있으면 그 형상과 구성에 제한을 받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vertical blade 60 is a rod-shaped, angular rod-shaped, screw (screw), plate-like, twisted type made by twisting a narrow and long plat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 is attached to the cross-section (Zig-Zag), a plurality, etc. As long as the two axial or quadrature rotor blades are stacked in a row and welded or assembled to the connecting rod, the stirring and mixing can be performed to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object, without being limited in shape and configuration, and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on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용 레이커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eiling raker and a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천정용 레이커(30a)는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회전축(40)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천정면에 부착되는 피건조물, 분진, 스케일, 이물질 등을 제거하므로써 분진폭발의 위험을 경감하고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의 전달을 저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전도율을 개선하여 건조효율의 향상 및 건조시간의 단축을 기할 수 있으며 간접 건조방식에서 보다 유용하다.The ceiling raker 30a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or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and rotates to remove dry matter, dust, scale, and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eiling surface. It can reduce the pressure and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and shorten the drying tim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hinder heat transfer and improving the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more useful in the indirect drying method.

또한, 상기 천정용 레이커(30a)의 블레이드(33)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60)가 바닥방향으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수형태의 수직 블레이드는 피건조물의 표면으로부터 하부까지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피건조물의 내부까지 열매체가 접촉될 수 있도록 성글게 공간을 형성하여 피건조물과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등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봉형, 각봉형, 판재형, 좁고 긴 판재를 꼬아서 만든 스크류형 등과 같이 도 4의 설명에서 예시된 다양한 형태로 성형되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33 of the ceiling raker 30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vertical blades 60 protrude vertically or inclined in the bottom direction. As such, the vertical blades in the suspension form are swung from the surface to the bottom of the object to widen the surface area where moisture can evaporate, and form sparsely spaces so that the heating medium can contact the interior of the object, thereby making contact with the object and the heating medium. Increasing the area, such as dry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is formed in various forms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4, such as rod-shaped, square rod-shaped, plate-type, narrow and long plate twisted, without limitation Can be appli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e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은 회전축(40)에 교반용 임펠러(80)를 설치함으로써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을 교반 및 혼합하여 건조효율을 개선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는 판재,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평판재 또는 원심류형, 축류형, 사류형 등과 같은 기존의 교반기와 유체기계 등에 적용하는 임펠러 형태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평판재로 구성된 임펠러의 경우 패들(Paddle)형 교반기 등에서와 같이 회전축과 평판재가 이루는 설치각도는 0∼180℃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서도 도면에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회전축에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임펠러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FIG. 6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a stirring impeller 80 is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40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by stirring and mixing a heat medium or a dry matter. The blade of the impeller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e impeller shape applied to a conventional stirrer and fluid machine, such as a plate, a relatively long flat plate or a centrifugal flow, axial flow, quadruple flow type compared to the width. In the case of an impeller composed of a flat plate, as in a paddle type stirrer, the installation angle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flat plate may be in the range of 0 to 180 ° C. In all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mpe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on the rotating shaft as in this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 및 수직 블레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mpeller and the vertical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에서는 임펠러(80)의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또는 경사지게 돌출된 수직 블레이드(60)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수직 블레이드는 임펠러의 상부면에 구성하거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7 illustrates one or more vertical or obliquely protruding vertical blades 6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mpeller 80, but these vertical blades may be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eller, or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t the same time. have.

상기 임펠러에 설치되는 수직 블레이드는 피건조물의 표면으로부터 하부까지 휘저어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게 하고 피건조물의 내부까지 열매체가 접촉될 수 있도록 성글게 공간을 형성하여 피건조물과 열매체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등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형상과 구성은 상기 도 4의 설명에서와 같다. Vertical blades installed on the impeller are agita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the bottom to widen the surface area where moisture can evaporate, and sparse spaces are formed so that the heat medium can contact the interior of the object to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and the heat medium The dry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by increasing the area, and the shape and configuration thereof are the same as in the description of FIG. 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및 천정용 브러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rush and a ceil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건조실 또는 열매체 순환실의 내부 회전축에는 바닥용의 브러쉬(50)와 천정용 브러쉬(50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천정면 및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50, 50a)는 교반력이 크게 소요되지 않는 열매체 순환실에 주로 적용되며 분진폭발의 위험을 경감하고 이물질의 누적에 의한 열전도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of the floor brush 50 and the ceiling brush 50a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rotating shaft of the drying chamber or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eiling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The brushes (50, 50a) is mainly applied to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hat does not require a large stirring force to reduce the risk of dust explosion and to prevent a de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브러쉬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사, 금속사, 신축성의 사상체 또는 신축 후 복원력이 우수한 판상의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The brush may be composed of synthetic resin, metal yarn, stretch filament or plate-like material having excellent resilience after stretchin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건조장치의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stag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건조실은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층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도 9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건조실을 상하로 중첩시켜서 다단 건조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투입장치(400)에 의하여 최상측 건조실(10a)에 피건조물을 투입하면 투입된 피건조물은 레이커(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최상층 건조실(10a) 바닥면 위에서 교반 및 이동되고 최상층 건조실(10a)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된 이송구(120)를 통하여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건조실(10b)로 단계적으로 낙하 및 측면 이동을 반복하면서 최하층 건조실(10f)을 거쳐서 인출구(140)에서 인출되어 전체적으로 플러그 흐름(Plug Flow) 형태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완전혼합형에 가까운 회전식 건조장치보다 건조실의 용량과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효율이 증대되며, 다단으로 높게 설치하면 좁은 면적에서도 건조실의 소요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지소요면에서 경제적이다.The drying chamber of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made of a single layer as shown in Fig. 1 or 2, but also can be configured as a multi-stage drying apparatus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up and down as shown in FIG. When the object to be dried is put into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10a by the feeding device 400, the injected dry matter is stirred and mo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10a by the rotation of the raker 30, and the bottom of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10a. The plug flows out from the outlet 140 through the lowermost drying chamber 10f while repeatedly dropping and lateral moving stepwise to the drying chamber 10b positioned directly below through the transfer hole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urface. Drying in the form of flow is achieved. Therefore, the capacity and drying time of the drying chamber is shorter, the drying efficiency is increased, and the multi-stage installation can secure sufficient capacity of the drying chamber even in a small area than the conventional rotary drying apparatus, which is close to the fully mixed type, so it is economical in terms of site requirements. to be.

상기 건조실(10a,10b,10c,10d,10e,10f)에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레이커(30), 천정용 레이커(30a), 회전축(40), 브러쉬(50), 천정용 브러쉬(50a), 임펠러(80), 수직 블레이드(60)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 및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단 건조장치는 하나의 구동부(20)와 회전축(4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건조실에 설치된 복수개의 레이커와 임펠러 등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면에서도 유리하다.The drying chamber (10a, 10b, 10c, 10d, 10e, 10f) in the various forms of the raker 30, the ceiling raker 30a, the rotary shaft 40, the brush 50, the ceiling brush (50a), the impeller 80, vertical blades 60 may be selected and installed in whole or in part, the multi-stage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using one drive unit 20 and the rotating shaft 40 Since a plurality of rakers and impellers can be driven simultaneously,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최상층 건조실(10a)에 피건조물을 투입하여 최하층 건조실(10f)에서 인출한다. 또한 열풍,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는 최상층의 바로 아랫층 건조실(10b)로 유입시켜서 상기 최하층 건조실(10f)의 직상층 건조실(10e)에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상층 건조실(10a)과 최하층 건조실(10f)에는 열매체가 직접 유입되지 않고 간접건조가 이루어지며 나머지 건조실(10b,10c,10d,10e)에서 직접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기와 접촉하는 최외곽 프레임(100)의 최상부 천정면과 최하부 바닥면은 열매체가 직접 유입되지 않으므로 대기중으로 전도되는 열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외곽 프레임(100)의 단열기능을 충분하게 확보하면 상기 열매체는 최상층 건조실에 유입시키고 최하층 건조실에서 유출시켜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a dry object is put into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10a and taken out from the lowermost drying chamber 10f. In addition, the heat medium such as hot air, superheated steam, etc. flows into the lower layer drying chamber 10b of the uppermost layer and flows out of the upper layer drying chamber 10e of the lowermost layer drying chamber 10f so that the heating medium is heated in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10a and the lowermost drying chamber 10f. Indirect drying is performed without direct inflow and direct drying is performed in the remaining drying chambers 10b, 10c, 10d, and 10e. Therefore, since the heat medium does not directly flow into the top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outermost frame 100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heat loss conducted to the atmosphere may be reduc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heat insulating function of the outer frame 100 is sufficiently secured, the heat medium may flow into the uppermost drying chamber and flow out of the lowermost drying chamber.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다단 건조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도 2를 근간으로 하여 건조실과 건조실 사이에 열매체 순환실이 설치되는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다단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9에서는 6단의 건조실을 중첩하여 다단 건조장치를 예시하고 3열의 회전축(40)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2단 이상의 건조실과 1열 이상의 회전축(40)을 조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다단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multi-stage drying apparatus using the direct drying method is illustrated, but the multi-stage drying apparatus by the indirect drying method may be configured based on FIG. 2 based on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between the drying chamber and the drying chamber. . In addition, in FIG. 9, the six-stage drying chamber is superimposed to illustrate a multi-stage drying apparatus and three rows of rotary shafts 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drying chambers and one or more rows of rotary shafts 40 may be combined to form various forms. Multistage dry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의 피건조물, 열매체 및 배기가스의 흐름과 장치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dry matter, the heat medium and the exhaust gas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in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운송수단 등을 통하여 반입된 피건조물은 투입장치(400)에 의하여 건조실(10)로 투입되고, 건조실에서 열매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건조된 피건조물은 인출장치(500)에 의하여 건조실에서 인출된 후에 외부로 반출되거나 연소가능한 피건조물의 경우 가열기(300)에서 연소되어 건조용 열원으로 이용됨은 물론 잉여분은 산업용, 난방용 등의 열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to-be-dried material brought in through the transportation means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chamber 10 by the input device 400, and the dried object which is dried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the heat medium in the drying chamber is withdrawn from the drying room by the drawing device 500. After being burned to the outside or combustible dry matter, it is combusted in the heater 300 and used as a heat source for drying, as well as the surplus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industrial and heating.

상기 건조실에서 피건조물에 열을 전달하고 유출된 열풍, 과열증기 등과 같은 열매체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가열기(300)에서 연소시켜서 상기 열매체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물 등이 소각 및 탈취되도록 하거나 연소용 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The heat medium, such as hot air, superheated steam, and the like, which transfers heat to the dry matter in the drying chamber and burns a part or all of the heat medium in the heater 300 to incinerate and deodorize the volatile organic substances included in the heat medium or burn air. It can be used as.

또한 상기 건조실에서 유출된 열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가열기(300)에서 직접 가열되거나, 상기 가열기에서 배기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기(7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재가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700)에는 열매체와 상기 가열기(30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퇴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매체와 상기 배기가스는 각각 사이크론(Cyclone) 등과 같은 집진기(600a,600b)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700)에서 우선적으로 열매체에 열을 전달한 상기 가열기의 배기가스에는 상당한 잔열이 존재함으로 열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또한 열교환기(700a)를 추가 설치하여 상기 가열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예열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heat medium flowing out of the drying chamber may be directly heated in the heater 300 or may be reheated by heat exchange in the heat exchanger 700 and the high temperatur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heater. In this process, since the heat medium and the dust included in the exhaust gas of the heater 300 may be deposited in the heat exchanger 700, the heat medium and the exhaust gas may be dust collectors such as cyclones, respectively,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pass through 600a, 600b). In addition, since there is considerable residual heat in the exhaust gas of the heater which preferentially transfers heat to the heat medium in the heat exchanger 700, in order to improve thermal efficiency, the heat exchanger 700a is additionally installed and supplied to the heater 300. It can be used to preheat the air.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기 가열기(300)의 배기가스에는 분진과 악취 유발물질 및 기타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농수산물, 슬러지 등과 같은 유기물 등과 직접 접촉된 열매체를 연소시킨 가열기의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분진, 악취,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백필터(Bag Filter), 전기집진기 등과 같은 집진기(600), 물 또는 알카리성 용액 등과 같은 약액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세척하는 세정기(Gas Scrubber)(900), 또는 오염물질을 활성탄 등으로 흡착하는 흡착기(800) 등을 포함하여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haust gas of the heater 300, which has undergone heat exchange, may include dust, odor causing substances, and other contaminants. Particularly, dust included in the exhaust gas of the heater that burns a heat medium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organic materials such a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ludge, and the like.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such as odors, sulfur oxides, nitrogen oxides, etc., a scrubber for cleaning exhaust gases using a bag filter, a dust collector 600 such a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 chemical solution such as water or an alkaline solution, etc. (Gas Scrubber) 900, or an adsorber 800 for adsorbing contaminants with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a drying apparatus.

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건조방식에 의한 피건조물과 열매체 및 가열기에서 배기된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집진기, 열교환기, 세정기, 흡착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흐름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간접 건조방식에 의한 건조장치를 구성하거나, 가열기의 열풍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flow of the dried material, the heat medium, and the gas exhausted from the heater by the direct drying method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or, a heat exchanger, a scrubber, and an adsorber is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low form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drying apparatus by an indirect drying method, or to configure a drying apparatus for directly or indirectly drying the dry object using the hot air of the heat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10a,10b,10c,10d,10e,10f,...건조실 20..구동부
30...레이커 30a...천정용 레이커
31...허브 32...회전축 삽입구
33...블레이드 40...회전축
50...브러쉬 50a...천정용 브러쉬
60...수직 블레이드 70...열매체 순환실
71...배출구 80...임펠러
100...프레임 120...이송구
130...투입구 140...인출구
300...가열기 400...투입장치
500...인출장치 600,600a,600b...집진기
700,700a...열교환기 800...흡착기
900...세정기
10,10a, 10b, 10c, 10d, 10e, 10f, ... dry room 20..Driver
30 ... Raker 30a ... Ceiling Raker
31.Hub 32.Spindle insert
33 ... blade 40 ... rotation shaft
50 ... Brush 50a ... Ceiling Brush
60 ... Vertical Blade 70 ... Heat Media Circulation Chamber
71.Outlet 80 ... Impeller
100 ... frame 120 ...
130.Inlet 140 ... Outlet
300 ... heater 400 ... injection device
500 ... Drawer 600,600a, 600b ...
700,700a ... heat exchanger 800 ... adsorber
900 ... washing machine

Claims (15)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교반하는 레이커(30);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상기 레이커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60);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 및
하나 이상의 브러쉬(5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레이커(30)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이 브러슁(Brushing)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raker 30 installed inside the drying chamber and stirring the dry matter;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raker;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One or more vertical blades 60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raker;
A heater 300 for generating heat to supply heat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rying chamber; And
One or more brushes 50;
The brush is installed in the raker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10) to be brushed (Brushing).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물을 교반하는 레이커(30);
상기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임펠러(80);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 및
하나 이상의 브러쉬(5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레이커(30)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이 브러슁(Brushing)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raker 30 installed inside the drying chamber and stirring the dry matter;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raker;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One or more impellers (80)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A heater 300 for generating heat to supply heat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rying chamber; And
One or more brushes 50;
The brush is installed in the raker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10) to be brushed (Brushing).
삭제delete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천정용 레이커(30a);
상기 천정용 레이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ceiling raker 30a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scrap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ceiling raker;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nd a heater (300) for generating heat to supply heat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rying chamber.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건조실의 천정면을 브러슁(Brushing)하는 천정용 브러쉬(50a);
상기 천정용 브러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상기 건조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ceiling brush (50a)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nd brushing the ceiling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ceiling brush;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nd a heater (300) for generating heat to supply heat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drying chamber.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열매체가 순환되며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열매체 순환실(70);
상기 열매체 순환실 내부의 천정면과 바닥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천정면 또는 바닥면을 브러슁(Brushing) 하는 브러쉬(50,50a);
상기 브러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상기 열매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for circulating heat medium and conducting heat to the drying chamber;
Brushes (50, 50a)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to brush the ceiling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brush;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nd a heater (300) generating heat so that heat is suppli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heat medium.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실(10);
열매체가 순환되며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열매체 순환실(70);
상기 열매체 순환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매체를 혼합하는 임펠러(80);
상기 임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상기 열매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열을 발생하는 가열기(300); 및
하나 이상의 브러쉬(50);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레이커(30)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이 브러슁(Brushing)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A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A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for circulating heat medium and conducting heat to the drying chamber;
An impeller 80 installed inside the heat medium circulation chamber and mixing the heat medium;
A rotating shaft 40 transmitting a rotating force to the impeller;
A driving unit 20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 heater 300 for generating heat to supply heat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heat medium; And
One or more brushes 50;
The brush is installed in the raker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chamber (10) to be brushed (Brushing).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상기 건조실(10)이 복수개가 상하로 중첩 설치되어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or 5,
The dry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chamber 10 for heating and drying the dried obje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are stacked up and down in a plurality of stages.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300)에서는, 상기 건조실(1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or 7,
The heater (300), characterized in that for burning part or all of the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drying chamber (10).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집진기(600), 열교환기(700), 흡착시설(800) 및 세정기(9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실(1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or 7,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or 600, a heat exchanger 700, an adsorption facility 800, and a scrubber 900, and a part of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drying chamber 10 or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l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ust collector, heat exchanger, adsorption facility and scrubber.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집진기(600), 열교환기(700), 흡착시설(800) 및 세정기(9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기(30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집진기, 열교환기, 흡착시설 및 세정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or 7,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or 600, a heat exchanger 700, an adsorption facility 800, and a scrubber 900, and a part of exhaust gas exhausted from the heater 300 or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l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ust collector, heat exchanger, adsorption facility and scrubber.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10)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상기 가열기(300)에서 연소시켜서 건조용, 산업용 및 난방용 등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or 7,
The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drying the dried object to be dried in the drying chamber (10) in the heater (300) to use as a heat source for drying, industrial and heat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수직 블레이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블레이드(60)는, 천정용 레이커(30a)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매체 또는 피건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ertical blade 60,
The vertical blade (60)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ceiling raker (30a) is a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tirring at least one of the heat medium or the dry matter.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복수개의 상기 건조실(10)과, 상기 건조실에 열이 전도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열매체 순환실(70)이 상하층으로 교차하여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dry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drying chambers 10 for heating and drying a dried object, and one or more heating medium circulation chambers 70 for conducting heat to the drying chamber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in an upper and lower layers.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80)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 블레이드(60)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7,
D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eller 80 is configured to protrude one or more vertical blades (60).
KR1020100078680A 2010-07-29 2010-08-16 Drying machine KR101253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680A KR101253999B1 (en) 2010-08-16 2010-08-16 Drying machine
CN201110105869.9A CN102345972B (en) 2010-07-29 2011-04-22 Drying machine
JP2011096874A JP5400828B2 (en) 2010-07-29 2011-04-25 Dry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680A KR101253999B1 (en) 2010-08-16 2010-08-16 Dry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40A KR20120021740A (en) 2012-03-09
KR101253999B1 true KR101253999B1 (en) 2013-04-12

Family

ID=4612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680A KR101253999B1 (en) 2010-07-29 2010-08-16 Dry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721B1 (en) * 2013-01-28 2015-05-28 주식회사 그린기술 Dryer with cyclone using direct dry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494U (en) * 1987-03-05 1988-09-13
JPH04281179A (en) * 1991-03-08 1992-10-06 Masakumi Hiroe Leakage stopping sleeve for rake driving suspended shaft
JPH09210556A (en) * 1996-02-01 1997-08-12 Azu Kiyaria Kk Condenser for vapor contact dryer
KR200231984Y1 (en) * 2001-02-26 2001-07-19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Indirect heating type dr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9494U (en) * 1987-03-05 1988-09-13
JPH04281179A (en) * 1991-03-08 1992-10-06 Masakumi Hiroe Leakage stopping sleeve for rake driving suspended shaft
JPH09210556A (en) * 1996-02-01 1997-08-12 Azu Kiyaria Kk Condenser for vapor contact dryer
KR200231984Y1 (en) * 2001-02-26 2001-07-19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Indirect heating type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40A (en)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0828B2 (en) Drying equipment
KR100965932B1 (en) Control system for efficient drying and bad smell of organic waste
KR101065721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and animal excretion
KR101236331B1 (en) Drying machine
JP4679336B2 (en) Kitchen garbage dryer
TW201211481A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KR100724686B1 (en) Closed Circulation Type Drying Apparatus
KR101661282B1 (en) livestock manure dryer
KR101387011B1 (en) Rotary-type multi-pass dryer for waste material
KR20100123102A (en) Two stage type heat exchanger roasting apparatus
CN108911473A (en) Direct heating type sludge drying charing mechanism
JP2001324269A (en) Heat transfer type vertical drier
CN106440708B (en) Sawdust dryer
KR101253999B1 (en) Drying machine
KR100282014B1 (en) Mixed drying apparatus for composting and feed using organic wastes and concentrated by-products.
KR101541039B1 (en) Screw Transfer Type Hot Air Drying Equipment
JP5632410B2 (en) Heat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KR100511196B1 (en) Sludge dryer
KR100724687B1 (en) Decompression drying and carbonizing apparatus
KR102427902B1 (en) High-speed sludge drying apparatus
JP2009202078A (en) Drying and granulation system of wet organic waste
JP2006007025A (en) Drier
MXPA02003564A (en) Batch sludge dehydrator.
KR101993350B1 (en) Food waste and livestock excrement dispose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KR102130345B1 (en) A Steam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