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88B1 -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3988B1 KR101253988B1 KR1020110022721A KR20110022721A KR101253988B1 KR 101253988 B1 KR101253988 B1 KR 101253988B1 KR 1020110022721 A KR1020110022721 A KR 1020110022721A KR 20110022721 A KR20110022721 A KR 20110022721A KR 101253988 B1 KR101253988 B1 KR 1012539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input
- heat generating
- generating means
- arthrit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염이 발생하는 손가락,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발가락 관절 부위의 인체 형상을 구현하고 관절염의 중요한 요소인 관절부의 발열을 재현함으로써 의료인이 의료 진단을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론 및 술기를 실제와 같이 환자를 보고 느끼면서 숙달토록 함으로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손부분, 팔부분 또는 다리부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체모형과, 상기 인체모형 내부의 관절부위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와 발열수단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로 상기 발열수단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부위의 온도를 변화시켜 사용자가 관절염 진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염은 뼈마디 사이인 관절에 염증이 일어나 부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퇴행성관절염과 류마티스관절염으로 구분된다.
먼저, 퇴행성관절염은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무릎이나 손목, 발목 등의 부위에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노화 또는 노동, 운동 등 지속적이고 무리한 관절 사용으로 인해 완충역할을 하던 연골이 닳아 없어지고, 연골밑의 뼈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관절이 파괴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관절이 뻣뻣하고, 삐걱이는 소리가나며, 관절운동 장애, 관절 변형, 결절이 나타나고, 관절이 발갛게 되며, 활막에 염증이 생겨 열이 발생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 류마티스관절염은 만성 전신성 염증 질환으로서 손가락,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발가락 등의 관절뿐 아니라 피부, 혈관, 심장, 폐, 근육 등 신체 여러 조직, 장기에 이상이 생긴다. 주로 활막에서 염증을 일으켜 연골을 파괴하고 관절을 변형시키며 나중에는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원인으로 유전설, 감염설, 자가면역질환설이 있으나,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환자의 80%에서 자가항체인 류마티스 인자(Rheumatoid Factor:RF)가 발견되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적인 관절 변형으로는 손가락이 새끼손가락 쪽으로 구부러짐(편측편위), 손가락이 단추 누르는 모양으로 변형됨(Swan neck), 손에 류마티스 결절이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관절염의 진단방법으로는 환자 병력 및 관절염의 발생부위, 결절 등을 시각, 촉각으로 검사하는 의사에 의한 증상 진단, 뼈의 위치와 형태, 골절, 변형, 탈구 등뼈의 증식에 의한 변형을 검사하는 X-ray 촬영, 관절 연골, 관절포, 인대, 반월상연골 등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MRI 촬영, 류마티스 인자(RF) 및 요산농도를 검사하는 혈액검사 및 요검사의 진단방법이 있다. 이렇듯 관절염 진단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주로 의사가 아픈 부위를 만지고 살펴보아 확인하고 환자에게 증상에 대해서 물어 보고 진단에 필요한 기준에 합당한지를 가려 진단하게 된다. 관절이 붓거나 아프고, 몸의 양쪽이 대칭적으로 아픈 경우가 있는지,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 손이 뻣뻣해서 주먹이 쥐기 힘든 경우가 몇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는 환자에게 물어서 알 수 있다. 이렇듯 관절염 진단에서는 의사에 의한 진단이 중요한 방법으로 선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절염의 진단에서는 의사가 아픈 부위를 만지고 살펴보아 확인하고 환자에게 증상에 대해서 물어보고 진단에 필요한 기준에 합당한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절염 진단을 위한 실습으로는 관절염이 발생한 뼈 형상의 단순한 모형을 사용하거나, 관절염이 발생한 여러 관절부에 대한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절염 차트를 통하여 이론적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단순 관절염모형을 이용한 실습에서는 피부구조가 없는 뼈 모형을 통하여 실습이 진행됨으로써 진단시 의사가 아픈 부위를 만지고, 살펴보고, 관절부의 열발생을 느껴야 하는 실습 과정에 대한 사실감이 저하되고, 사진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챠트를 통한 교육은 이론적 교육만 수행이 가능한 실정이다. 최선의 방법인 실제 관절염 환자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실습은 진단 실습의 횟수 및 시간이 제한적이므로, 독립적이고 지속적인 숙달이 불가하여 효과적인 실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절염이 발생하는 손가락,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발가락 관절 부위의 인체 형상을 구현하고 관절염의 중요한 요소인 관절부의 발열을 재현함으로써 의료인이 의료 진단을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론 및 술기를 실제와 같이 환자를 보고 느끼면서 숙달토록 함으로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절염 진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인체의 손부분, 팔부분 또는 다리부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체모형과, 상기 인체모형 내부의 관절부위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와 발열수단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로 상기 발열수단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관절염을 진단할 때 사용되는 시진, 촉진 등의 진료과정을 실제와 같은 느낌으로 정교하게 구현하여 실제의 환자를 연상하며 의료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관절염 환자의 인체형상을 해부학적으로 재현한 손가락,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발가락 형상의 인체모형을 구현하고, 각각의 관절부 체온이 개별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관절염 진단 실습시 실제 환자를 진단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실습할 수 있어 미숙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서 인체모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는 사용자가 관절염 진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인체의 손부분, 팔부분 또는 다리부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체모형(110)과, 상기 인체모형(110) 내부의 관절부위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열수단(120)과, 상기 발열수단(12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출력부(130)와, 상기 입출력부(130)와 발열수단(120)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입출력부(130)로 송신하거나, 상기 입출력부(130)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로 상기 발열수단(120)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인체모형(110)은 실제 인체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인체모형(110)은 인간의 표준체형에 따른 외형을 가지며 실제 피부의 탄성과 유사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피부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인체모형(110)은 손부분, 팔부분 또는 다리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절부분은 인체관절의 자유도를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모형(110)은 팔부분과 다리부분뿐만 아니라, 머리부분 특히, 귀부분의 외형을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발열수단(120)이 귀부분의 내부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귀체온 측정 실습을 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상환자의 신체모형으로 제작될 경우 열이 발생되는 외상부위를 진단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발열수단(120)은 상기 인체모형(110) 내부의 특히 관절부위에 다수가 산발적으로 분포하여 설치된다. 상기 발열수단(12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인체모형(110)의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1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120)에서 발생된 열은 관절부분의 온도를 상승시켜 결과적으로는 사용자가 인체모형(110)의 관절부분을 만지면 그 온도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출력부(130)는 발열수단(12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입출력부(130)는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 및 컨트롤부(140)의 설정 온도를 외부로 출력하고, 설정온도를 입력받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30)는 터치패널방식의 모니터, PC/노트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130)를 통해서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실습과정을 모니터링하여 쌍방향 자가 학습이 가능하고 평가 결과의 저장, 외장 프린트 출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프로그램 입력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부(130)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수동조작방식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컨트롤부(140)는 상기 입출력부(130)와 발열수단(120)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입출력부(130)로 송신하거나, 상기 입출력부(130)에서 입력된 설정온도와 대응하여 상기 발열수단(120)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컨트롤부(140)는 인체모형(110)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열수단(120) 및 입출력부(130)와 유·무선방식으로 통신하여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입출력부(130)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입력하면, 그 입력 온도와 비례해서 발열수단(120)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발열수단과 통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열수단(120)은 공지의 다양한 발열체 및 발열구조가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전류변화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트랜지스터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수단(120)은 상기 컨트롤부(140)의 신호를 받아 트랜지스터 방식의 히터가 그 신호, 대체적으로는 전압의 크기에 반응하여 발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열수단(120)은 상기 인체모형(110)의 손가락(111), 손목(112), 팔꿈치(113), 발가락(114), 발목(115), 무릎(116)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수단(120)이 손가락(111), 손목(112), 팔꿈치(113), 발가락(114), 발목(115), 무릎(116)에 설치되는 이유는 관절염이 자주 발생하는 관절부위이기 때문이며, 발열수단(120)이 상기 손가락(111), 손목(112), 팔꿈치(113), 발가락(114), 발목(115), 무릎(116)의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관절염 진단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손가락(111), 손목(112), 팔꿈치(113), 발가락(114), 발목(115), 무릎(116)에 설치된 발열수단(120)의 온도는 개별적인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위의 관절염 진단 실습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인체모형(110)은 전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손모형, 다리모형, 팔모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손모형, 다리모형, 팔모형에는 단자부(C)가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부(140)는 상기 입력단자와 접속하는 단자부(C)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140) 및 입출력부(130)는 각각의 손모형, 다리모형, 팔모형에 공용으로 사용되고, 모형의 형태만 바꿔가면서 실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부(140)는 상기 발열수단(120)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와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는 온도센서(141)와, 상기 온도센서(141)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를 증폭시켜 송신하는 신호증폭회로(142)와, 상기 신호증폭회로(142)에서 송신된 발열수단(120)의 온도와 입출력부(130)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를 비교하는 온도제어회로(143)와, 상기 온도제어회로(143)의 신호를 받아 전류증폭비를 조절하여 상기 발열수단(120)의 발열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시키는 전류증폭회로(144)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모형(110)의 관절부에는 체온발생을 위한 발열수단(120)이 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41)는 상기 발열수단(120)과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서로 맞대어 접촉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간차이나 온도차이 없이 정확히 실시간으로 실제온도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41)는 LM35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120)은 체온과 같이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온도센서(141)는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41)는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적으로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온도센서(141)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신호증폭회로(142)를 거쳐 증폭된 뒤, 상기 입출력부(130)와 상기 온도제어회로(143)로 각각 송신된다. 먼저, 입출력부(130)로 출력된 전압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입출력부(130)에서 온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부(140)는 상기 신호증폭회로(142)에서 출력된 전압신호를 수신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입출력부(130)로 송신하여 온도값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A/D변환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제어회로(143)로 출력된 전압은 상기 입출력부(130)에서 입력된 설정 온도값과 비교하게 되고, 상기 전류증폭회로(144)에서 상기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전류증폭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가 입출력부(130)에서 입력한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의 실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출력부(130)를 통해 인체모형(110)의 각 관절부분에 내삽된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설정한다. 입출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온도 값은 컨트롤부(140)의 온도제어회로(143) 및 전류증폭회로(144)를 통해 전압 형식으로 발열수단(120)으로 출력되고 상기 발열수단(120)의 온도가 그 출력 값에 비례해서 조절된다. 그리고, 발열수단(120)의 온도가 입력된 온도값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상기 발열수단(120)과 근접한 온도센서(141)가 발열수단(120)의 온도를 전압 형식으로 감지하여 출력하고 신호증폭회로(142)를 거쳐 전달된 전압을 A/D변환부(145)로 변환해서 입출력부(130)로 송신되면 입출력부(130)에 발열수단(120)의 온도가 출력된다. 상기 발열수단(120)의 실제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입출력부(130)에 입력된 발열수단(120)의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관절염 진단 실습을 시행하는 데 관절부위 중에서 온도가 상승된 부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관절염 진단 실습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관절염을 진단할 때 사용되는 시진, 촉진 등의 진료과정을 실제와 같은 느낌으로 정교하게 구현하여 실제의 환자를 연상하며 의료훈련을 할 수 있고, 관절염 환자의 인체형상을 해부학적으로 재현한 손가락,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발가락 형상의 인체모형을 구현하고, 각각의 관절부 체온이 개별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관절염 진단 실습시 실제 환자를 진단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실습할 수 있어 미숙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인체모형 120 : 발열수단
130 : 입출력부 140 : 컨트롤부
141 : 온도센서 142 : 신호증폭회로
143 : 온도제어회로 144 : 전류증폭회로
145 : A/D변환부
130 : 입출력부 140 : 컨트롤부
141 : 온도센서 142 : 신호증폭회로
143 : 온도제어회로 144 : 전류증폭회로
145 : A/D변환부
Claims (7)
- 사용자가 관절염 진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인체의 손부분, 팔부분 또는 다리부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인체모형;
상기 인체모형 내부의 관절부위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와 발열수단 사이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열수단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로 상기 발열수단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전류변화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트랜지스터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인체모형의 손가락, 손목, 팔꿈치 또는 무릎, 발목, 발가락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도가 가능하도록 접하도록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발열수단의 실제온도와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를 증폭시켜 송신하는 신호증폭회로;
상기 신호증폭회로에서 송신된 발열수단의 온도와 입출력부에서 입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는 온도제어회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신호를 받아 전류증폭비를 조절하여 상기 발열수단의 발열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하는 전류증폭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신호증폭회로에서 출력된 전압신호를 수신받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출력부로 송신하여 온도값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A/D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프로그램 입력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수동조작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721A KR101253988B1 (ko) | 2011-03-15 | 2011-03-15 |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721A KR101253988B1 (ko) | 2011-03-15 | 2011-03-15 |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127A KR20120105127A (ko) | 2012-09-25 |
KR101253988B1 true KR101253988B1 (ko) | 2013-04-11 |
Family
ID=4711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2721A KR101253988B1 (ko) | 2011-03-15 | 2011-03-15 |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39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6460B1 (ko) * | 2016-10-24 | 2016-12-14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정보 구현 더미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생체정보 제어 시스템 |
KR102539070B1 (ko) * | 2023-03-15 | 2023-06-02 | (주)영인바이오텍 | 고주파 온열 암치료기용 인체몸통 내부온도 비침습 측정/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0989A (ja) * | 1995-02-14 | 1996-08-30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人工皮膚及び人工発汗装置 |
JP2006189525A (ja) | 2004-12-30 | 2006-07-20 | Marui:Kk | シミュレーション用人工腕 |
JP2007171036A (ja) | 2005-12-22 | 2007-07-05 | Bunka Gakuen | 模擬皮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特性評価方法 |
JP2009205184A (ja) | 2000-10-06 | 2009-09-10 | Gaumard Scientific Co Inc | 患者看護教授用対話型教育システム |
-
2011
- 2011-03-15 KR KR1020110022721A patent/KR1012539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20989A (ja) * | 1995-02-14 | 1996-08-30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人工皮膚及び人工発汗装置 |
JP2009205184A (ja) | 2000-10-06 | 2009-09-10 | Gaumard Scientific Co Inc | 患者看護教授用対話型教育システム |
JP2006189525A (ja) | 2004-12-30 | 2006-07-20 | Marui:Kk | シミュレーション用人工腕 |
JP2007171036A (ja) | 2005-12-22 | 2007-07-05 | Bunka Gakuen | 模擬皮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特性評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127A (ko) | 2012-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44446B2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e-action therapy | |
Norton | Standards for anthropometry assessment | |
Kolar et al. | Stabilizing function of the diaphragm: dynamic MRI and synchronized spirometric assessment | |
Riddle et al. | Evaluation of individual finger forces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ose with hand arthritis | |
Wong et al. | Within-and between-day reliability of spinal stiffness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 computer controlled mechanical indenter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 |
Lee et al. | The effect of wrist position on grip endurance and grip strength | |
de Melo Barcelar et al. | Chest wall regional volumes in obese women | |
CN107049325B (zh) | 一种新型的穿戴式手部外骨骼力-位移实时检测系统及检测方法 | |
Adhia et al. | Inter-tester reliability of non-invasive technique for measurement of innominate motion | |
KR101253988B1 (ko) | 관절염 진단 실습용 시뮬레이터 | |
Behdarvandan et al. | Differences in timing and magnitude of lumbopelvic rotation during active and passive knee extension in sitting position in people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A cross-sectional study | |
Watanabe et al. | Ergonomic advantage of pistol‐grip endoscope in the ENT practice | |
da Silva et al. | Bone mineral density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 male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and without Down Syndrome) | |
TWI454255B (zh) | The use of muscle signal control of the rehabilitation system | |
Diaz-Saez et al. | Validity and intra rater reliability of a new device for tongue force measurement | |
Hussin | Shoulder Physio Device Monitoring Using ESP32 Microcontroller And Web Applications | |
CN112837803A (zh) | 一种基于5g信号传输的超声检测和远程按诊系统及方法 | |
McEvoy et al. | Transversus abdominis: changes in thickness during an incremental upper limb exercise test | |
Bano et al. | Potential predictor of pulmonary health in collegiate staff: A Correlational study | |
Zain et al. | Arm Rehabilit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LabVIEW | |
Schauffler | Methods for Improved Kinematic Measure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 |
Levin et al. | Variability within and between evaluations of sacroiliac pain with the use of distraction testing | |
Carlota Diaz-Saez et al. | Validity and Intra Rater Reliability of a New Device for Tongue Force Measurement. | |
Jaufuraully et al. | Preventing stillbirth from obstructed labor: A sensorized, low-cost device to train in safer operative birth | |
Vera et al. | Correlated Variables And Changes In Fascial Stiffness And Pelvic Mobility Following The Myofascial Induction Method Utilizing The Crossed Hands Techn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