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63B1 - 낙하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63B1
KR101253963B1 KR1020110036748A KR20110036748A KR101253963B1 KR 101253963 B1 KR101253963 B1 KR 101253963B1 KR 1020110036748 A KR1020110036748 A KR 1020110036748A KR 20110036748 A KR20110036748 A KR 20110036748A KR 101253963 B1 KR101253963 B1 KR 10125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object
falling
frame
coke oven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9028A (ko
Inventor
김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3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6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설비에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되, 위치가변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제공되면서, 낙하물을 처리토록 구성되는 낙하물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하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낙하되어 서비스 플랫폼에 쌓여있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연속적인 브러싱과 고압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코크스 오븐 측의 체인 컨베이어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낙하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ALLING MATERIAL}
본 발명은 낙하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낙하되어 서비스 플랫폼에 쌓이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코크스 오븐 측의 체인 컨베이어로 이동시킴으로써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코크스란 고로 내에서 열원, 환원제 등의 역할과 함께 통기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석탄의 일종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100)에 의하여 생산된다.
구체적으로, 코크스 오븐(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입차(200)는 점결성 있는 석탄을 일정 주기로 장입하고, 이렇게 코크스 오븐(100)에 장입된 석탄은 밀폐된 상태에서 섭씨 1300℃ 정도로 간접 가열된 후, 약 18 시간의 건류과정을 거친 뒤 적열 코크스(C)로 건류된 후 압출기에 의하여 코크스 오븐(100)의 외부로 압출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를 압출하기 위해서 코크스 오븐(100)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오븐 도어(110)를 개방하면 더스트가 발생하여 환경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출 작업시 소량의 적열 코크스(C)는 여전히 코크스 오븐(100)의 바닥이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남아있던 적열 코크스(C)는 코크스 오븐(100) 밖으로 낙하되어 체인 컨베이어(130)에 의해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도 더스트가 발생하여 환경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오븐 도어(110) 개방시 및 압출기의 램 후진시 오븐 도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적열 코크스(C)의 일부는 비산하여 서비스 프랫폼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고온의 적열 코크스(C)가 서비스 플랫폼(120)에 닿을 경우 서비스 플랫폼(120)이 손상되어 설비 트러블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작업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 측면은,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낙하되어 서비스 플랫폼에 쌓이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연속적인 브러싱과 고압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코크스 오븐 측의 체인 컨베이어로 이동시킴으로써, 서비스 플랫폼에 쌓여있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설비에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되, 위치가변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제공되면서, 낙하물을 처리토록 구성되는 낙하물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하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이동설비에 연계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제공되는 상하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낙하물 처리수단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에 절첩가능토록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낙하물 처리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절첩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에 연속적인 브러싱을 통해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처리수단 크리닝유닛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수단 크리닝유닛은, 구동부를 매개로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낙하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무한궤도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장치바디에 제공되는 절첩가이드수단을 매개로 절첩가능토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첩가이드수단은, 무한궤도 일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날개가 펴진 상태로 낙하물을 처리한 후 되돌아올 때 접촉하여 접히도록 제공되는 판형 부재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는, 낙하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브러시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바디에, 복수의 노즐을 통해 물을 고압분사하여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물분사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낙하물은 코크스 오븐에서 낙하되는 낙코크스로 제공되고, 상기 이동설비는 코크스 오븐의 양측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 배치되되, 상기 코크스 오븐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낙하되어 서비스 플랫폼에 쌓여있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연속적인 브러싱과 고압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코크스 오븐 측의 체인 컨베이어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의 낙코크스에 의한 서비스 플랫폼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 트러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장치 밑에 작업자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감지된 경우에는 장치가 작동을 정지하거나 상승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및 주변 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코크스 오븐 주변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의 휴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수단의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1)가 사용되기 위하여 상하이동프레임(14)이 하강하고, 낙하물 처리수단(20)의 장치바디(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1)가 사용되지 않는 휴지상태를 나타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수단(20)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1)는 크게 프레임부(10) 및 상기 프레임부에 제공되면서 낙하물을 처리토록 구성되는 낙하물 처리수단(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낙하물은 여러 장소에 쌓여있을 수 있으므로 낙하물 처리장치(1)는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부(10)는 이동설비에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설비는 종류 및 형태에 제한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이동차량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1)가 도 1 및 2에 도시된 코크스 오븐(100)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가 복수의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110) 가까이의 서비스 플랫폼(120)에 쌓여있으므로, 이동설비는 코크스 오븐(100)의 양측 도어(11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코크스 오븐(100)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는 이동설비에 의해 낙하물이 쌓여있는 위치에 배치된 후, 낙하물 처리수단(20)을 낙하물에 근접시켜 낙하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위치가변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0)는 본체프레임(12) 및 상하이동프레임(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2)은 상기 이동설비에 연계되고, 상하이동프레임(14)은 상기 본체프레임(12)에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4)에 낙화물 처리수단(20)이 절첩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프레임들은 H형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를 위치가변형으로 구성하기 위해, 본체프레임(12)과 상하이동프레임(14)은 상하이동 실린더(13)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이동 실린더(13)의 하우징과 축이 본체프레임(12)과 상하이동프레임(14)에 각각 또는 반대로 연결되어, 상하이동 실린더(13)의 신축에 따라 상하이동프레임(14)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 실린더(13)의 상승을 보조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12)에 체인 스프로켓(15)을 구비하여 실린더 자체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하이동프레임(14)은 상하이동 실린더(13)와 체인 스프로켓(15)의 작용에 의해 본체프레임(12)에 대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프레임(14)과 낙하물 처리수단(20)은 절첩 실린더(17)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첩 실린더(17)의 하우징과 축이 상하이동프레임(14)과 낙하물 처리수단(20)에 각각 또는 반대로 연결되어, 절첩 실린더(17)의 신축에 따라 낙하물 처리수단(20)이 상하이동프레임(14)에 대해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부(10)의 구성에 따라, 바닥의 낙하물을 처리하기 위해, 상하이동 실린더(13) 또는 이와 함께 체인 스프로켓(15)을 작동시켜 낙하물 처리수단(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낙하물 처리수단(20)은 평면상으로 위치한 때 하부에서 낙하물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므로, 절첩 실린더(17)를 작동시켜 낙하물 처리수단(20)을 수평으로 펴지게 한다.
그리고, 낙하물 처리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구성들을 상기와 반대로 작동시켜 낙하물 처리수단(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낙하물 처리수단(20)은, 상기 프레임부(10)에 절첩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30)와, 상기 장치바디(30)에 연속적인 브러싱을 통해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바디(30)는 상하이동프레임(14)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절첩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물 처리수단(20)은 상하이동프레임(2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하이동하고, 상하이동프레임(20)에 대하여 절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에 의해 바닥의 낙하물이 처리되므로, 장치바디(30)는 하면 및 낙하물이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으로 유입되는 측면(31)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측면들은 낙하물이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혀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측면들이 막혀있는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자가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에 의해 직접적으로 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장치바디(30)는 바닥의 낙하물을 처리하기 위해 대략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1)가 이동함에 따라 낙하물이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으로 유입되도록 일측(31)은 개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가 코크스 오븐(100)에 적용되는 경우를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낙하물 처리장치가 체인 컨베이어(130)에 인접한 서비스 플랫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낙코크스 및 더스트를 체인 컨베이어(130)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장치바디(30)는 낙코크스 및 더스트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일측(31)이 도면상 우측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낙하물 처리장치가 이동설비에 의해 서비스 플랫폼(120)을 따라 우측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낙하물 처리장치가 이동하면서 장치바디(30)의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으로 낙코크스 및 더스트가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낙코크스 및 더스트는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의 연속적인 브러싱을 통해 체인 컨베이어(130)로 이동 처리되게 된다.
다음,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은 상기한 연속적인 브러싱을 위해, 구동부(42)를 매개로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낙하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은, 두 개의 회전부(41) 및 두 개의 회전부(41) 중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구동모터(43)로 구성되는 구동부(42)와, 상기 두 개의 회전부(41)를 감싸는 체인 또는 벨트와 같은 무한궤도부재(46)와, 상기 무한궤도부재(46)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4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3)가 작동되면 무한궤도부재(46) 및 이에 구비된 복수의 날개(44)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되고, 무한궤도 운동을 하면서 복수의 날개(44)가 바닥의 낙하물을 쓸어 이동시켜 처리(또는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날개(44)가 낙하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날개(44)의 바닥측 하부에는 브러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날개(44)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무한궤도부재(46)에 구비되되, 상기 장치바디(30)에 제공되는 절첩가이드수단(32)을 매개로 절첩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44)는 접힘 및 펴짐이 가능토록 무한궤도부재(46)에 힌지 결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4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날개(44)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한궤도 중 낙하물을 이동시키는 구간은 무한궤도부재(46)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구간으로서, 이 구간에서는 날개(44)와 낙하물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도록 날개(44)가 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무한궤도 중 낙하물을 이동시키지 않는 구간은 무한궤도부재(46)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는 구간으로서, 이 구간에서는 날개(44)에 의해 낙하물이 이동되지 않거나 가능하면 적은 양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날개(44)가 상기와 같은 낙하물 비처리구간에서는 절첩가이드수단(32)을 매개로 접히도록 구성하여, 날개(44)와 낙하물이 접촉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첩가이드수단(32)은, 무한궤도 일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날개(44)가 펴진 상태로 낙하물을 처리한 후 되돌아올 때 접촉하여 접히도록 제공되는 판형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절첩가이드수단(32)이 마련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날개(44)가 펴지고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날개(44)와 무한궤도부재(46)의 연결부분, 즉 힌지 결합 부분에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판형 부재는 무한궤도부재(46)로부터 장치바디(30)의 개방된 측면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은 날개(44)가 접힌 상태에서 지나갈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날개(44)와 판형 부재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날개(44) 또는 판형 부재는 마찰 부분에 롤러와 같은 회전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절첩가이드수단(32)이 판형 부재로 구비됨으로써, 날개(44)에 붙어 있던 낙하물이 판형 부재 뒤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절첩가이드수단(32)의 작용을 다시 설명하면, 낙하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날개(44)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날개(44)는 무한궤도부재(46)와의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펴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낙하물을 처리한 후 날개(44)가 우에서 좌로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날개(44)는 절첩가이드수단(32)에 간섭을 받아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날개(44)를 접첩가능토록 제공하는 구성은 상기한 탄성부재 및 판형 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식 제어수단에 의해 절첩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부를 적절히 제공하여 낙하물 비처리구간의 시작부분에서 걸림부에 의해 날개(44)가 접히고, 낙하물 처리구간의 시작부분에서 다른 걸림부에 의해 날개(44)가 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장치바디(30)에, 복수의 노즐(36)을 통해 물을 고압분사하여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물분사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물분사부(34)는 절첩가이드수단(32)을 따라 구비되는 관형 부재(35)와 상기 관형 부재(35)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분사부(34)는 날개(44)와의 출동을 피하기 위해 절첩가이드수단(32) 뒤쪽에 배치되되, 노즐(36)의 방향은 장치바디(30)의 개방된 일측(31)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닥에 쌓여있는 낙하물 및 날개(44)의 브러시에 붙어있는 낙하물을 날개(44)가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구간, 즉 낙하물 처리구간으로 모이도록 하여 낙하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물이 뿌려져 낙하물이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치바디(30)에, 하측에 작업자의 유무를 감지토록 제공되는 센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낙하물을 처리하는 작업을 할 때, 낙하물 처리수단(20) 밑에 작업자가 있는 경우에는 인명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치바디(30)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낙하물 처리수단(20) 밑에 작업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낙하물 처리수단(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거나, 이에 더하여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낙하물 처리장치 10 ... 프레임부
12 ... 본체프레임 14 ... 상하이동프레임
20 ... 낙하물 처리수단 30 ... 장치바디
32 ... 절첩가이드수단 34 ... 물분사부
36 ... 노즐 40 ... 처리수단 크리닝유닛
42 ... 구동부 44 ... 날개
46 ... 무한궤도부재

Claims (9)

  1. 삭제
  2. 이동설비에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되, 위치가변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10); 및 상기 프레임부(10)에 제공되면서, 낙하물을 처리토록 구성되는 낙하물 처리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이동설비에 연계되는 본체프레임(12)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상하이동이 가능토록 제공되는 상하이동프레임(14)을 포함하고,
    상기 낙하물 처리수단(20)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14)에 절첩가능토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3. 이동설비에 연계되어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되, 위치가변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부(10); 및 상기 프레임부(10)에 제공되면서, 낙하물을 처리토록 구성되는 낙하물 처리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낙하물 처리수단(20)은, 상기 프레임부(10)에 절첩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치바디(30)와, 상기 장치바디에 연속적인 브러싱을 통해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 크리닝유닛(40)은, 구동부(42)를 매개로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낙하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날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44)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무한궤도부재(46)에 구비되되, 상기 장치바디(30)에 제공되는 절첩가이드수단(32)을 매개로 절첩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가이드수단(32)은, 무한궤도 일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날개(44)가 펴진 상태로 낙하물을 처리한 후 되돌아올 때 접촉하여 접히도록 제공되는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44)는, 낙하물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30)에, 복수의 노즐을 통해 물을 고압분사하여 낙하물을 처리토록 제공되는 물분사부(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물은 코크스 오븐에서 낙하되는 낙코크스로 제공되고,
    상기 이동설비는 코크스 오븐의 양측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 배치되되, 상기 코크스 오븐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처리장치.
KR1020110036748A 2011-04-20 2011-04-20 낙하물 처리장치 KR10125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48A KR101253963B1 (ko) 2011-04-20 2011-04-20 낙하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748A KR101253963B1 (ko) 2011-04-20 2011-04-20 낙하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028A KR20120119028A (ko) 2012-10-30
KR101253963B1 true KR101253963B1 (ko) 2013-04-11

Family

ID=4728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748A KR101253963B1 (ko) 2011-04-20 2011-04-20 낙하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703B1 (ko) * 2016-05-10 2018-05-14 임성기 코크스 컨베이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29B1 (ko) * 2018-04-24 2019-11-04 (주)일진기술 관로 지장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31Y1 (ko) * 1998-11-21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플래트홈의 낙코크스 및 더스트 제거장치
KR20030053571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로 선로상의 낙하물 흡입장치
JP2006348549A (ja) * 2005-06-15 2006-12-28 Marushima Sangyo Kk 除塵機
KR20100118790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주변 보호 및 청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931Y1 (ko) * 1998-11-21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플래트홈의 낙코크스 및 더스트 제거장치
KR20030053571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로 선로상의 낙하물 흡입장치
JP2006348549A (ja) * 2005-06-15 2006-12-28 Marushima Sangyo Kk 除塵機
KR20100118790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주변 보호 및 청정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703B1 (ko) * 2016-05-10 2018-05-14 임성기 코크스 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028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3251A (en) Apparatus for removing asbestos and like materials from a surface
JP5751189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の濾布洗浄装置
CA2911836C (en) Mat washing system
KR101253963B1 (ko) 낙하물 처리장치
KR20130003264A (ko) 전기 자동차 하부 세척 장치
EP1926570B1 (de) Strahlfangvorrichtung für eine bearbeitungsmaschine
KR100907311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너
CN107649324A (zh) 一种无人机螺旋桨喷漆设备
CN111846778A (zh) 一种悬挂式带式输送机封闭通廊的清灰装置
CN107492791A (zh) 一种配电设备用低压开关柜外部除尘装置
KR101590988B1 (ko) 낙하물 처리장치
KR100949900B1 (ko)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부재의 크기를 인식하여 자동으로이동 분사하는 에어 블로잉 장치
RU2590769C2 (ru) Способ чистки подовых плит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хлебопекарной установки и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99044B1 (ko) 리크레이머
CN110451199B (zh) 一种用于地沟刮板出碳黑的方法
CN210594020U (zh) 一种回程皮带面清洗装置
CN210594378U (zh) 一种尾部密封装置
CN210594044U (zh) 一种无动力除尘导料槽设备
CN113682768A (zh) 一种具有冲洗清理功能的履带床结构
CN109864672B (zh) 一种用于清理厂房内壁可进行二次处理的设备
CN210730283U (zh) 一种垫板清扫装置
CN215515547U (zh) 一种带智能清洗装置的刮板机
KR100521632B1 (ko) 리턴콜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10775663A (zh) 一种无动力除尘导料槽设备
CN214993454U (zh) 一种交通运输工程用路面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