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509B1 - 스코리아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스코리아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509B1
KR101252509B1 KR1020110056787A KR20110056787A KR101252509B1 KR 101252509 B1 KR101252509 B1 KR 101252509B1 KR 1020110056787 A KR1020110056787 A KR 1020110056787A KR 20110056787 A KR20110056787 A KR 20110056787A KR 101252509 B1 KR101252509 B1 KR 10125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fabric
mixed solution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802A (ko
Inventor
백우현
백상엽
Original Assignee
백상엽
백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엽, 백우현 filed Critical 백상엽
Publication of KR2012000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리아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사람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코리아를 직물상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코리아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은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고형화한 스코리아 성형체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필름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 상측에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를 도포한 후 열경화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스코리아 성형체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스코리아 성형체가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직물과 스코리아 성형체가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코리아 분말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생성된 혼합용액을 필름상에 열경화시키고, 열경화된 혼합용액의 상측에 접착필름을 접착시킨 후, 접착필름을 필름과 분리시켜 접착필름상에 혼합용액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필름을 직물상에 배치시켜 가열가압하고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코리아 부착방법{Method for sticking of scoria}
본 발명은 스코리아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사람에게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스코리아를 직물상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코리아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식생활이 다변화됨과 더불어 각종 전자파환경에 노출되어 생활함에 따라 많은 질병, 예컨대 성인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병은 40세 이상의 향로기에 발병률이 증가하는 병을 총칭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람이 노화되면서 나타나는 병을 말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대 사회의 변화 즉,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스턴트화, 과도한 스트레스, 운동부족, 대기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수질오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그 발병나이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성인병의 증상은 처음에는 별 증상이 없이 나타나다가 점점 심해지면서 증세가 다양해지며,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면서 증세가 심각해지게 된다. 일반적인 증세는 전반적으로 몸이 피곤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눈도 침침하고 뒷목도 뻣뻣하고 손발이 저리고 몸이 무겁고, 숨이 가쁘고 얼굴로 열이 오르는 등의 증상으로 시작되다가 점점 심해지면서 중풍, 심장병, 간장병 등의 증세로 변한다. 즉, 성인병에 속하는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비만, 고지혈증 등의 병은 병 자체로써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들이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중풍, 각종 암, 악성 종양, 심장병, 간장병 등으로 진행되어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성인병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수행해야 한다. 즉, 사람들은 식생활을 개선하고 운동을 습관화하며 인체 세포의 노화현상을 촉진시키는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등의 요인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들은 사람들 각자의 굳은 신념 없이는 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율특성이 양호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을 인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직물상에 부착함으로써, 스코리아가 갖는 다양한 기능을 사람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코리아 부착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은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고형화한 스코리아 성형체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필름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 상측에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를 도포한 후 열경화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스코리아 성형체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스코리아 성형체가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직물과 스코리아 성형체가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스코리아 성형체는 볼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필름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은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접착제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제21 단계와, 필름상에 혼합용액을 코팅하고 열경화시키는 제22 단계, 상기 제22 단계의 혼합용액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23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혼합용액이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24 단계 및, 직물과 혼합용액이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1 단계에서 혼합용액은 접착제가 스코리아 분말의 40% 이상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1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패턴을 형성하도록 필름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 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필름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코리아를 인체에 접촉시켜 사용자가 스코리아 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회전전자파 효과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스코리아를 용이하게 직물상에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국민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구비된 직물제품을 착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인체의 세포조직활성화 및 혈액정화에 따른 성인병의 예방, 노폐물 배출, 혈액순환, 피로회복, 통증완화, 쾌적숙면, 전자파에 의한 암발생 예방, 수맥차단, 금속성 독성에너지 및 유기성 독성에너지 중화, 아토피치료, 새집증후군 예방 등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2에서 혼합용액(210)이 필름(220)에 코팅된 패턴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4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코리아의 회전전자파특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리아 부착방법은 먼저,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스코리아 성형체(110)를 형성한다(ST1).
즉, 스코리아 성형체(110)는 스코리아 원석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든 다음, 이 스코리아 분말에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다. 그리고, 이 스코리아 반죽을 성형기(미도시)를 통해 특정 형상, 바람직하게는 볼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때, 스코리아 성형체(110)는 성형기(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예컨대, 직경 1mm, 2mm, 3mm 등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성형된 스코리아를 건조기, 예컨대 전기가열장치에 넣고 약 700~1,200℃에서 가열하여 다공질을 확보하도록 고형화시킴으로써 스코리아 성형체(110)가 완성된다
이어, 도1에서 필름(120)상에 접착제(130)를 도포한다(ST2). 이때, 상기 접착제(120)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실리콘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130)는 적절한 패턴, 즉 스코리아를 부착할 직물에 적용되는 적당한 디자인으로 필름(120)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130)는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필름(120)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후, 필름(120)상에 결합된 접착제(130) 상측에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110)를 도포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열경화시킨다(ST3). 예컨대, 열경화 조건은 실리콘 접착제(110)가 녹는 온도로서, 예컨대 100℃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경화처리에 따라 스코리아 성형체(110)는 실리콘접착제(130)를 통해 필름(120)상에 접착된다.
이어, 스코리아 성형체(110)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140)을 접착시킨다(ST4). 즉,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110)의 일면은 필름(120)에 부착되고, 그 ㅌ타면은 접착필름(140)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필름(120)과 접착필름(140)을 분리시켜 접착필름(140)상에 스코리아 성형체(110)가 접착되도록 한다(ST5). 이때, 접착필름(140)이 접착된 스코리아 성형체(110)의 타측 즉, 필름(120)이 분리된 부분은 접착제(130)가 접착된 상태로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스코리아를 부착하고자 하는 직물(1)과 스코리아 성형체(110)가 마주하도록 접착필름(140)을 직물(1)에 배치시키고(ST6), 일정 온도와 압력으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140)을 직물(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직물(1)상에 스코리아 성형체(110)가 부착된다(ST7). 이때, 상기 가열 온도는 예컨대, 2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코리아 성형체(110)에 결합된 접착제(130)가 녹으면서 스코리아 성형체(110)가 직물(1)에 부착된다.
한편,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코리아 부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코리아를 파우더형태로 분쇄한 후, 이 스코리아 분말(201)과 접착제(202)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용액(210)을 생성한다(ST21). 이때, 상기 혼합용액(210)은 접착제(202)가 스코리아 분말(201)의 40% 이상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예컨대 실리콘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이어, 필름(220)상에 혼합용액(210)을 코팅하고 열경화시킨다(ST22). 이때, 혼합용액(210)은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필름(220)상에 부착되고, 예컨대 3회 반복 인쇄하여 혼합용액(210)이 필름(220)상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경화 조건은 혼합용액(210)에 포함된 실리콘 접착제가 녹는 온도로서, 예컨대 100℃ 이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처리에 따라 혼합용액(210)는 혼합용액(210)에 포함된 접착제(202) 즉, 실리콘접착제에 의해 필름(220)상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혼합용액(210)은 필름(220)상에 일정 패턴을 갖도록 코팅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이 이격된 형태로 혼합용액(210)이 필름(220)상에 인쇄될 수 있다.
이어, 필름(220)상에 인쇄된 혼합용액(210)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230)을 접착시킨다(ST23). 즉, 상기 혼합용액(210)의 일면은 필름(220)에 부착되고, 그 타면은 접착필름(230)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필름(220)과 접착필름(230)을 분리시켜 접착필름(230)상에 혼합용액(210)이 접착되도록 한다(ST24).
상기한 상태에서 스코리아를 부착하고자 하는 직물(1)과 혼합용액(210)이 마주하도록 접착필름(230)을 직물(1)에 배치시키고, 일정 온도와 압력으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230)을 직물(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직물(1)상에 혼합용액(21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가열 온도는 예컨대, 2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혼합용액(210)에 포함된 접착제(202)가 녹으면서 스코리아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용액(210)이 직물(1)에 부착된다.
이어, 본원 발명에 적용되는 스코리아에 대해 설명한다.
스코리아(Scoria)는 화산분출물 중에서 공기구멍이 많고 검정, 갈색, 빨강 등의 암색이며 지름이 4mm 이상인 암석덩어리를 말하는 것으로, 인체혈액과 유사한 pH 7.2~7.8의 약알칼리성 자원이다.
스코리아의 성능 및 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스코리아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소의 실험결과 90% 이상, 즉 93%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가지고 있으며, 항균, 정화, 해독의 효능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 및 번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체내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 등 분자에 방사되어 세포를 1분에 약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주는 진동을 통해 세포조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생명활동을 보다 왕성하게 해주고, 세포 내부에 열에너지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인체내 세포가 가지고 있는 유해물질인 노폐물을 자연스럽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원적외선은 인체의 가장 기본 조직인 세포에 영향을 미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에 자기방어능력을 강화시켜 스스로 건강을 회복하도록 하며 이외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쾌적숙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코리아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소의 화학적 성분 분석결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전혀 없으며, 수은이나 납같은 중금속을 흡착하는 성분이 매우 우수하고, SiO2(이산화규소), Al2O3(수산화 알루미늄), Fe2O3(산화철), CaO(산화칼슘), MgO(산화마그네슘), K2O(산화칼륨), Na20(산화나트륨) 및,TiO2(산화티타늄)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 스코리아는 TiO2(산화티타늄)을 3.97% 함유하여 독성분까지도 제거하는 살균기능을 갖는다. 또한, SiO2(이산화규소)는 흡착제로 Ai2O3, CaO, MgO는 응집재 및 중화재로 작용하며 중금속 종류에 따라 3~25배의 높은 중금속 흡착율을 나타낸다. 스코리아는 그 성분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다음 표1은 색상별로 본 스코리아의 화학분석 비교표이다.
색상/성분 산화규소 산화알미늄 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칼슘 산화
마그네슘
산화칼륨
산화나트륨
적갈색 45.40 16.87 14.92 3.97 6.95 6.13 4.06
황갈색 45.70 19.87 15.55 2.92 4.41 6.64 1.77
회색 46.22 16.26 11.66 2.35 5.09 7.91 4.28
흑색 40.02 19.15 12.27 2.6 8.16 6.59 1.9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코리아는 인체의 기(氣)순환, 즉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다. 기를 생성시키는 토션장(스핀장)이라도고 하는 회전전자파(Electro Magnetic Wave)는 단순한 회전이 아닌 나선형의 회전이 만들어지면서 다양한 공간적 구조를 갖는 전자나 핵의 회전을 의미한다. 회전전자파의 종류에는 우회전 양성 회전전자파, 우회전 음성 회전전자파, 좌회전 양성 회전전자파, 좌회전 음성 회전전자파, 좌회전 양성/우회전 양성 회전전자파, 좌회전 양성/좌회전 음성 회전전자파, 우회전 양성/우회전 음성 회전전자파 및, 우회전 음성/좌회전 음성 회전전자파가 있다. 이중 본 발명에 따른 스코리아는 금속성 독성에너지 및 유기성 독성에너지를 중화시키는 좌회전 양성 회전전자파와, 아토피 치료효과 및 새집 증후군에 효과가 있는 좌회전 양성/우회전 양성 회전전자파 및 좌회전 양성/좌회전 음성 회전 전자파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 전자파는 인체에 침투하는 경우 인체의 경락에너지 흐름을 방해하는 에너지를 외부로 몰아내고 그 흐름을 정상화시켜 인체의 면역활동 및 생체활동을 활성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4 내지 도9은 아주대학교 기계공학부 및 산학협력단 회전 전자파 측정연구팀에서 측정한 스코리아의 회전전자파특성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스코리아 원석의 회전전자파측정시험결과이다. 도4는 시료치의 평균값에서 대조군의 평균값을 뺀 값으로 산출된 측정결과로서, 좌회전 양성/좌회전 음성 회전전자파로 측정됨을 알 수 있다.
도5는 스코리아 원석의 경락순환구동력 측정시험결과이다. 도5a 내지 도5d는 스코리아 원석 사용전 및 사용후 매 10분마다 경락의 에너지 흐름량을 측정한 것으로, 경락의 균형된 흐름이 부서졌다가 북원되고 다시 부서지는 현상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것은 스코리아 원석에서 발생되는 회전전자파가 인체에 들어가 인체에 있는 경락의 에너지 흐름을 방해하는 에너지를 외부로 몰아내고 흐름을 정상화시켜 인체의 면역 활동 및 생체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6은 스코리아 원석의 수맥인체장해 방지시험결과이다. 도6은 수맥에서 나오는 해로운 좌회전에너지를 우회전에너지로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측정결과 수맥인체장해 방지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도7은 스코리아 원석의 전자파 인체장해 방지시험결과이다. 도7은 핸드폰 또는 무전기 등의 전자파에서 나오는 인체에 해로운 좌회전에너지를 우회전에너지로 제거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측정결과 전자파 인체장해방지 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부 의학적 주장에 의하면 암의 가장 큰 원인이 전자파라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스코리아의 전자파 인체장해 방지특성은 전자파에 의한 암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도8은 스코리아 원석의 신진대사 촉진능 시험결과이다. 도8은 측정시료에서 나오는 좌회전에너지와 우회전에너지의 교차적인 진동상태를 확인하여 인체 에너지의 진동상태와 비교하는 시험으로, 측정결과 신진대사 촉진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도9a 내지 도9c는 스코리아 원석의 오행측정시험결과이다. 도9는 회전 전자파의 오행(木,火,土,金,水)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결과 스코리아 원석은 오행 중 火로 판명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스코리아의 효능은 인체와 접촉하는 경우 그 효능이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을 인체에 착용되는 직물제품, 예컨대 속옷이나 양말, 모자, 장갑, 밸트 등의 각종 형태의 직물상에 부착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내의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부착되는 직물은 착용제품의 안감 또는 겉감의 내측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물제품에 있어서는 해당 직물제품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만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부착된 직물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코리아 성형체를 구비한 직물제품을 예시한 것으로, 브래지어(300)와 팬티(40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때, 직물제품은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인체에 회전전자파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인체의 전면과 후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300)의 겉감이나 안감, 또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브래지어(300)는 여성의 가슴에 피팅(fitting)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브래지어 컵(310)과 상기 브래지어 컵의 양 말단에 부착되어 인체의 등쪽에서 연결수단으로 서로 연결되는 브래지어 띠(320) 및 브래지어 컵이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어깨 끈(3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인체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도록 브래지어 컵(310)과 브래지어 띠(320) 부분에 배치된다. 여기서, 브래지어 띠(320)는 그 전체에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배치될 수도 있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지어 띠(320)에서 양 옆구리부분에는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을 배치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한 브래지어(300)를 착용하는 경우, 브래지어 컵(310)에 배치된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의 원적외선 방사특성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부분의 세포를 미세하게 진동시켜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빈약한 가슴을 보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의 회전전자파특성에 의해 인체의 면역활동 및 생체활동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의류를 착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암을 포함한 각종 성인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400)의 안감과 겉감의 내측에는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팬티(400)는 허리 밴드(410)와 팬티 천(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은 인체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되도록 팬티(400)의 허리 밴드(410)와 팬티 천(420)의 전면 회음부 부분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도10 및 도11에는 브래지어나 팬티 등과 같은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는 직물제품의 안감이나 겉감, 또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을 배치하도록 실시하였으나, 홑겹으로 구성되거나 재질이 직물이 아닌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부착된 직물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착용제품에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부착된 직물을 인체에 착용하는 착용제품, 예컨대 브래지어 또는 팬티 등의 내의나 팔찌, 밴드, 밸트 등에 별도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스코리아 성형체(110) 또는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210)이 부착된 직물을 착용제품에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착용제품의 재질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봉제결합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이 부착된 직물은 착용제품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결합되거나, 착용제품의 내측이나 외측의 적당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이 부착된 직물을 제품에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래지어 또는 팬티 등의 착용제품의 내측에 제1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이 부착된 직물의 일측에 상기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스코리아 성형체 또는 또는 스코리아 분말이 포함된 혼합용액이 부착된 직물이 착용제품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수단은 벌크로테이프나 스냅단추 등 탈부착이 가능한 각종 형태의 체결수단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스코리아를 용이하게 직물상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코리아가 부착된 직물을 통해 스코리아를 인체에 접촉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스코리아 성분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회전전자파 효과를 용이하게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10 : 스코리아 성형체, 120 : 필름,
130 : 접착제, 140 : 접착필름,
201 : 스코리아 분말, 202 : 접착제,
210 : 혼합용액, 220 : 필름,
230 : 접착필름, 1 : 직물.

Claims (9)

  1.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고형화한 스코리아 성형체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필름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 상측에 상기 스코리아 성형체를 도포한 후 열경화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스코리아 성형체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스코리아 성형체가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직물과 스코리아 성형체가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스코리아 성형체는 볼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필름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5. 산화규소와 산화티타늄이 함유되고 회전전자파 특성을 갖는 스코리아 분말과 접착제을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제21 단계와,
    필름상에 혼합용액을 코팅하고 열경화시키는 제22 단계,
    상기 제22 단계의 혼합용액 상측에 접착면을 갖는 접착필름을 접착시키는 제23 단계,
    상기 제23 단계에서 필름을 분리시켜 접착필름에 혼합용액이 접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24 단계 및,
    직물과 혼합용액이 마주하도록 접착필름을 직물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가압한 후 접착필름을 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단계에서 혼합용액은 접착제가 스코리아 분말의 40% 이상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패턴을 형성하도록 필름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에서 상기 혼합용액은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필름상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리아 부착방법.
KR1020110056787A 2010-07-05 2011-06-13 스코리아 부착방법 KR101252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4228 2010-07-05
KR1020100064228 2010-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02A KR20120003802A (ko) 2012-01-11
KR101252509B1 true KR101252509B1 (ko) 2013-04-09

Family

ID=4561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87A KR101252509B1 (ko) 2010-07-05 2011-06-13 스코리아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96B1 (ko) * 2015-10-13 2016-01-14 (주) 제이제이통상 레이스 원단과 접착심지가 합포된 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8928B1 (ko) * 2020-08-05 2022-07-07 손태일 건강매트리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20A (ko) * 1999-05-29 1999-09-06 이남성 화산암재(송이)가루가도포되는원적외선방사섬유의제조방법
KR200400424Y1 (ko) 2005-07-27 2005-11-08 박성진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200413378Y1 (ko) 2006-01-11 2006-04-06 김대원 원적외선 방사 광물질이 도포된 직물
JP2009153987A (ja) 2008-08-13 2009-07-16 Km Communication Co Ltd 皮膚老廃物及び油分吸着用マッサージボール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20A (ko) * 1999-05-29 1999-09-06 이남성 화산암재(송이)가루가도포되는원적외선방사섬유의제조방법
KR200400424Y1 (ko) 2005-07-27 2005-11-08 박성진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200413378Y1 (ko) 2006-01-11 2006-04-06 김대원 원적외선 방사 광물질이 도포된 직물
JP2009153987A (ja) 2008-08-13 2009-07-16 Km Communication Co Ltd 皮膚老廃物及び油分吸着用マッサージボール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02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16B1 (ko)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 및 직물제품
KR101556077B1 (ko) 발열기능이 있는 건강벨트
KR101252509B1 (ko) 스코리아 부착방법
CN104693804A (zh) 一种负离子硅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286225A (zh) 一种能量手环
CN208065341U (zh) 一种心内科康复带
KR200414803Y1 (ko) 자석과 세라믹을 포함하는 건강밴드
KR200258912Y1 (ko) 옥가루를 혼합하여 실크인쇄한 내포가 접착 성형된건강증진 브래지어
KR20040088125A (ko) 솔리토늄이 함유된 체중감량용 원단 및 그 용도
KR102130118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기능성 팬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0528B1 (ko) 내피에 통기공이 형성된 기능성 건강 벨트
CN101210083A (zh) 一种美容橡胶片的制作方法
CN209437479U (zh) 一种石墨烯加热肚兜
KR200399743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방출 기능성건강벨트
CN209732667U (zh) 一种用于服饰的锗石贴片
CN201336938Y (zh) 保健内衣
CN212937994U (zh) 一种屏蔽电磁波辐射的服装
CN201986722U (zh) 紫外光防护短裤
KR200243605Y1 (ko) 바이오 실버믹 의류
KR20060130838A (ko) 팬티
CN101172090A (zh) 一种磁性复合美容材料的制作方法
JP2000110004A (ja) 靴 下
CN109927355A (zh) 一种复合运动护具面料
KR20080084273A (ko) 건강기능을 갖는 건강양말 및 그 제조방법
JP3013793U (ja) 健康ベ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