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506B1 -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506B1
KR101252506B1 KR1020110017229A KR20110017229A KR101252506B1 KR 101252506 B1 KR101252506 B1 KR 101252506B1 KR 1020110017229 A KR1020110017229 A KR 1020110017229A KR 20110017229 A KR20110017229 A KR 20110017229A KR 101252506 B1 KR101252506 B1 KR 10125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formula
polyacetylene
alkylene group
lead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794A (ko
Inventor
윤주영
첸샤오창
이경미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5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triple bonds
    • C08F38/02Acetyle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1/643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non-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N-헤테로고리 헤드 그룹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100% 수용액 하에서 납 이온에 대해 선택적 비색 및 형광 반응을 나타내는 육안으로 납 이온 검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Polyacetylene supramolecules having selectivity for lead 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etection method of lead 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100% 수용액 하에서 납 이온에 대해 선택적 비색 및 형광 반응을 나타내는 N-헤테로고리 헤드 그룹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착, 방출 및 산화-환원 특성에 의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온 공액 고분자 기반 센서는 환경 동요에 민감하다. 그들 중, 공액 고분자의 일종인 폴리다이아세틸렌(polydiacetylenes, PDAs)은 몇 가지 양상에서 매우 흥미로운 물질들이다. PDA는 짙은 파란색을 나타내고, 파란색 PDA는 환경 자극 시 붉은색 상으로의 색 이동을 겪을 수 있다. 자극에 의해 생기는 PDA의 명백한 파란색의 붉은색으로의 전이는 다양한 PDA 기반 화학센서의 개발을 이르게 하였다. 그리하여, 생물학적, 화학적 및 환경적으로 중요한 표적 분자, 예를 들어, DNA, 바이러스, 음이온, 금속 이온, 및 계면활성제 등의 비색 검출이 보고되었다.
금속 이온 중, 납 이온은 납 노출 특히 아이들에 대한 건강에 해로운 효과로 인해 중요한 표적 중 하나이다. 납 노출은 기억 상실, 과민성, 빈혈, 근육 마비 및 정신지체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납은 배터리, 가솔린, 색소 등에서 예전부터 사용되고 있어 환경에서 쉽게 부딪힐 수 있다. 1996년, WHO는 음용수 내 최대 납 함량을 10mg/L로 제한하는 가이드라인을 세웠다. 현재 납 검출 방법, 예를 들어, 원자흡광광도법,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 및 다른 방법들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과정들이어서 납을 검출하는 간단한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비록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금속 이온들에 대한 형광 화학센서들을 개발하고자 하는 주목할만한 노력들이 있어왔으나, 납 이온에 선택적인 형광 화학센서들에 대한 보고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현재 프로브들은 DNAzyme, 펩타이드, 단백질, 고분자 및 소분자들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기 소분자 기반 프로브들은 유기용매 또는 유기-물 혼합용매에서 수행되며, DNAzyme 또는 단백질 기반 프로브들은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기는 하나 소분자 또는 고분자 기반 센서들에 비해 복잡한 공정을 요구한다.
납 선택적 형광 센서들과 비교하여, 납 선택적 비색 센서들은 거의 없고, 특히 수용액에서 수행하는 비색 센서들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납 이온을 비색 또는 형광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1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구조 내에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2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사용하여 납 이온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용액 내에서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기초로 한 납 이온에 대한 화학센서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납 이온이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백본 구조를 방해하여 중합으로 인해 생성된 알킬 사이드 체인의 변형 에너지의 방출을 유도함으로써 잘 배열된 p-오비탈의 부분 뒤틀림으로 인해 비색 및 형광 변화를 일으키는 납 이온에 대한 선택성을 이용한 것이다.
도 1은 CDCl3에서 본 발명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PCDA-DPA-1)의 1H NMR (250 MHz)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CDCl3에서 본 발명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PCDA-DPA-1)의 13C NMR (62.5 MHz)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25℃에서 HEPES (10 mM, pH 7.4)에서 UV 조사 전 본 발명의 다이아세틸렌 베지클 용액의 평균 크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25℃에서 HEPES (10 mM, pH 7.4)에서 UV 조사 후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베지클 용액의 평균 크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HEPES (10 mM, pH 7.4)에서 다양한 금속 양이온들 존재 하에서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PCDA-DPA-1:PCDA-Acid=1:9)(a) 및 다이아세틸렌 단량체(PCDA-Acid) 유래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200 μM)(b)의 비색 반응과, HEPES (10 mM, pH 7.4)에서 Pb2+의 농도 별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PCDA-DPA-1:PCDA-Acid=1:9)(200 μM)의 비색반응을 나타낸 것이다(c).
도 6은 HEPES (10 mM, pH 7.4)에서 납 이온의 농도 별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PCDA-DPA-1:PCDA-Acid=1:9)(50 μM)의 흡광 분광 모니터링 결과(a)와, HEPES (10 mM, pH 7.4)에서 납 이온과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PCDA-DPA-1:PCDA-Acid=1:9)(50 μM)의 형광 적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b)(여기파장: 530 nm, 슬릿: 5 nm/5 nm).
도 7은 HEPES (10 mM, pH 7.4) 완충용액에서 납 이온의 농도 별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PCDA-DPA-1:PCDA-Acid=1:9)(50μM)의 정량 비색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5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환체 정의에 사용된 용어는 하기와 같다.
"알킬"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포화 탄화수소를 가리킨다. C1-30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이소헥실, 이소헵틸, 이소옥틸, 이소노닐 및 이소데실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킬은 "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상기 시클로알킬은 다른 기재가 없는 한, 탄소수 3 내지 12의 비방향족, 포화 탄화 수소환으로서 단일환 및 융합환을 포함한다. C3-12 시클로알킬의 대표적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렌"은 상기 알킬로 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로서, 바람직한 탄소수의 범위는 상기 알킬과 동일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R1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기 R1는 탄소수 6 내지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이-(2-피코일) 아민 유도체가 다이아세틸렌과 결합하여 헤드 그룹을 형성하며 자기 조립이 가능하여 100% 수용액 상에서 간단하게 고분자가 제조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자기 조립에 의한 리포좀의 직경은 80 내지 500 nm,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내지 250 nm정도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이아세틸렌과 다이-(2-피코일) 아민 유도체의 아민기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세틸렌은 다이-(2-피코일) 아민 유도체의 아민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다이아세틸렌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10, 12-펜타코사디이노산 (pentacosadiynoic acid), 5, 7-에이코사디이노산 (eicosadiynoic acid), 2, 4-헵타코사디이노산 (heptacosadiyno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이-(2-피코일) 아민 유도체로 (2-아미노에틸)비스(2-피리딜메틸)아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학식 1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6
상기 반응식 1에 따르면, 메틸렌 클로라이드/티오닐 클로라이드 용매에 녹인 다이아세틸렌 용액을 환류시킨 후, 다이-(2-피코일) 아민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1의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합성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한 중합 과정을 통해 구조 내에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7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구체적으로는, R1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R1는 탄소수 6 내지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의 혼합 용액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1013987992-pat00009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은 1:7 내지 1: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내일 경우 상온에서 안정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고분자가 광중합 이후에 자체적으로 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합은 통상의 고분자 중합 과정을 거쳐 실시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254 nm UV 선을 조사하여 광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1013987992-pat00010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다이아세틸렌 중합 동안 리포좀의 크기가 수축되어 직경이 50 내지 300 nm, 보다 구체적으로는 55 내지 9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센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파란색을 띠지만 납 이온이 폴리아세틸렌 고분자의 백본을 방해할 수 있어 중합 동안 생성된 알킬 사이드 체인 상에 부과된 변형 에너지의 방출을 유발한다. 사이드 체인의 변형 에너지의 방출은 잘 배열된 p-오비탈의 부분 뒤틀림을 유발하여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색전이를 유도함으로써 붉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색전이는 육안으로 관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좁은 영역 내에서의 반응에 대한 변화는 광학현미경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의 변화는 형광으로도 검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색전이는 납 이온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색전이의 정도를 수치화하면 납 이온의 농도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납 이온 하에서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파란색의 붉은색으로의 색전이를 나타내어 620 nm에서 흡광도는 감소하고 540 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한다. 또한, 납 이온 하에서 형광 강도 역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Ca2+, Co2+, Cu2+, Hg2+, Mg2+, Mn2+, Ni2+, Zn2+ 등의 다양한 금속 이온들에 대해서는 색전이를 나타내지 않으나, 납 이온과 반응시키면 농도 의존적으로 붉은색으로의 색전이를 나타내고, 형광 강도의 증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100% 수용액 하에서 납 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비색 또는 형광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납 이온 검출용 센서는 납 이온을 검출하고자 하는 시료용액과 혼합하여 납 이온의 유무 및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통상의 키트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외에 완충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용액의 종류 및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상기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의 적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H 6 내지 10의 완충용액일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HEPES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사용하여 납 이온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는 수용액 내에서 파란색을 띠나 납 이온을 첨가할 경우 선택적으로 붉은색으로 변화하므로 육안으로 비색 변화를 관찰하거나, 형광 강도 증가를 측정하여 납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납 이온의 검출은 100% 수용액 하에서 실시되므로 환경에서, 세포내 납 성분의 축적 등을 검출하는데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제조
다이아세틸렌 단량체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물질로 10,12-펜타코사디이노산(10,12-pentacosadiynoic acid)와 (2-아미노에틸)비스(2-피리딜메틸)아민 ((2-aminoethyl)bis(2-pyridylmethyl)amine)을 사용하였다(반응식 1 참조).
실온에서 1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0.50092 g (1.34 mmol)의 10,12-펜타코사디이노산(10,12-pentacosadiynoic acid) 용액에 1 mL (13.7 mmol)의 티오닐 클로라이드(thionyl chloride)를 한 방울씩 부가하였다. 혼합 용액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진공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후, 잔류물은 10 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서 재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1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인 390 mg (1.61 mmol)의 (2-아미노에틸)비스(2-피리딜메틸)아민 ((2-aminoethyl)bis(2-pyridylmethyl)amine) 용액에 한 방울씩 부가하고, 혼합 용액을 실온에서 오버나이트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은 알루미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30-400 mesh ASTM; Merck, CH2Cl2/CH3OH 100:1) 에서 정제하여, 410 mg (51%)의 N-(2-(bis(pyridin-2-ylmethyl)amino)ethyl)pentacosa-10,12 diynamide (PCDA-DPA-1)을 수득하였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는 두께가 1mm인 Merck 60 F 254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1H NMR 및 13C NMR 스펙트럼은 Brucker 250 or Varian 500에서 기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JMS-HX 110A/110A Tandem Mass Spectrometer(JEOL)에서 얻었다.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의 분광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도 1 및 2 참조):
PCDA-DPA-1 : 1H NMR (250 MHz, CDCl3) δ(ppm): 0.78-0.83 (t, J= 6.3 Hz, 3H), 1.18-1.58 (m, 32H),1.93 (s, 1H) , 2.12-2.19 (m, 6H), 2.65-2.69 (t, J= 5.8 Hz, 2H), 3.24-3.31 (m, 2H), 3.81 (s, 4H), 7.10-7.11 (m, 2H), 7.25-7.28 (d, J= 7.9 Hz, 2H), 7.52-7.56(td, J= 7.7 Hz, J=1.8 Hz, 2H), 8.47-8.85 (dq, J= 4.9 Hz, J= 0.8 Hz, 2H);
13C NMR (250 MHz, CDCl3) δ(ppm) 173.10, 159.18, 149.14, 136.51, 123.19, 122.20, 65.26, 65.18, 59.89, 52.43, 37.41, 36.92, 31.91, 29.63, 29.61, 29.48, 29.42, 29.35, 29.28, 29.10, 28.86, 28.81, 28.34, 28.31, 22.69, 19.20, 14.14;
HRMS (FAB) m/z 598.4673 (C39H58N4O requires 598. 4778).
<실시예 2> 다이아세틸렌의 조립 및 광중합
2-넥 라운드 바텀 플라스크에서 상기 실시예 1의 PCDA-DPA-1 및 PCDA-Acid(10,12-pentacosadiynoic acid)를 1:9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20 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켰다. 질소 가스 하에서 상기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키고, 1mM 지질 용액이 되도록 완충된 수용액(HEPES, 10 mM pH7.4)을 부가하였다. 상기 용액은 80℃에서 40분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시린지 필터를 통해 지질 응집체들을 제거한 후, 0℃에서 오버나이트 동안 냉각 및 저장하였다. 실온에서 다이아세틸렌 단량체에 254 nm UV 선을 조사(1 mW cm-2)하여 중합한 결과, 파란색을 띠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가 형성되었다(반응식 2 참조).
<실험예 1> 입자 크기 측정 및 SEM 이미지 연구
25℃에서 HEPES (10 mM, pH 7.4)에서 리포좀 용액 응집체들의 외견상의 크기는 동적 광 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장치(ALV 5000-60x0, 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 Ltd. Malvern, UK)에서 연구하였다. 직경 값은 5분 간격으로 3회 측정치들의 평균값이다.
SEM 이미지는 5.0 또는 10.0 keV에서 작동시킨 전계방출주사전자현미경(JMS-6700F, JEOL)에서 얻었다.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 선을 조사하기 전, 리포좀 입자는 90 nm의 평균 크기를 갖고 있다(도 3). 254 nm UV 선을 조사하는 동안 베지클 크기는 60 nm까지 수축하였다(도 4).
<제조예 1> 금속 이온 용액의 제조
증류수에서 금속 염의 스톡 용액(1mM)을 제조하였다. 또한, 리포좀의 스톡 용액(1mM)은 HEPES (10 mM, pH 7.4)에서 제조하였다. 비색 반응을 위해 Pb2+, Ca2+, Ni2+, Cd2+, Mg2+, Zn2+, Hg2+ 의 염화염 및 K+, Li+, Ag+, Cs+, Al3+, Cr3+ 및 Cu2+의 과염소산염을 사용하였다. UV 및 형광 스펙트럼을 조사하기 전에, 금속 염이 부가된 용액은 5분 동안 평형화시켰다.
<실험예 2> 금속 이온들에 대한 비색 반응 조사
PDA 현탁액을 제조한 후, 금속 이온들의 비색 반응을 조사하였다. 750 ㎕의 리포좀(200 μM)을 실험관에 정치하여 50 μM의 스톡 용액을 제조하고, 2250 ㎕의 10 mM HEPES (pH 7.4)로 상기 용액을 희석하였다. UV 적정은 HEPES (10 mM, pH 7.4)에서 PDA-DPA의 50 μM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의 PDA-DPA의 색 변화는 하기 식에 따라 비색 반응(colorimetric response, CR)을 계산하였다:
CR = [(PB0 - PB1)/PB0] ×100
여기서, PB = Ablue/(Ablue + Ared)이고, A는 UV-vis 스펙트럼에서 파란색 성분 또는 붉은색 성분에서의 흡광도이다. PB0 및 PB1은 각각 노출 전 및 후의 값을 나타낸다. UV 흡광 스펙트럼은 UVIKON 933 Double Beam UV/VIS Spectrometer에서 얻었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금속 양이온들, 예를 들어, Na+, K+, Ca2+, Cd2+, Co2+, Cu2+, Hg2+, Mg2+, Ni2+, Pb2+ 및 Zn2+ 를 포함하는 HEPES (10 mM, pH 7.4)에서 PDA-DPA-1(200 μM)는 납 이온에 대해서만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의 전이를 선택적이고 명확하게 나타냈다.
대조군 실험을 위해 PCDA-Acid만을 이용한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제조하였다. PCDA-Acid 유래 초분자체는 금속 이온들에 대해 어떠한 유의적인 변화들을 나타내지 않아(도 5b), 명확한 비색 전이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CDA-DPA-1 단량체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도 5c는 HEPES (10 mM, pH 7.4)에서 다양한 함량의 납 이온 하에서 고분자 PDA-DPA-1 (100 μM)의 농도 의존적 비색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납 이온의 존재는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납에 의한 PDA의 상 전이는 또한 흡광 분광 광도법에 의해 추가로 모니터링 하였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b2+ 를 부가하면 620 nm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며, 동시에 540 nm에서 흡광도의 증가가 일어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PDA 센서의 전형적인 파란색의 붉은색으로의 전이를 나타냄을 입증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6a에서 이들 납 이온에 대해 기록된 흡광 스펙트럼으로부터 납 이온에 대해 계산된 비색 반응 값의 대표 비율(CR %)을 나타낸 것으로, CR은 비색 고분자에 실험 분석물질을 부가한 후 흡광 스펙트럼에서의 변화를 반영하는 파라미터이다.
0 내지 11 μM의 범위 내에서 CR 값과 납 이온의 온도 간에 직선 관계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3> 형광 스펙트럼 조사
PDA의 파란색의 붉은색으로의 전이는 형광의 발생을 동반하기 때문에, 형광 스펙트럼을 통해 납에 의한 전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PDAs(50 μM)의 스톡 용액은 750 ㎕의 초분자체(200 μM) 및 2250 ㎕의 HEPES 완충용액(10 mM, pH 7.4)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여기 및 방출 슬릿 너비는 둘 다 5 nm/5 nm였다. 형광 스펙트럼은 분석물질을 부가한 후 5분 동안 측정하였다. 형광 방출 스펙트럼은 RF-5301/PC Spectrofluorophotometer (Shimadzu)에서 얻었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합된PDA-DPA-1(50 μM)는 납 이온에 의해 큰 형광 증가를 생성하였다. PDA의 형광 스펙트럼은 0 내지 9 μM의 Pb2+에서 점차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50 μM의 파란색의 PDA를 이용하여 납 이온의 함량 별로 방출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검출 한계는 0.8 ppm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때 시그널 노이즈는 3dB였다.
PDA-DPA-1의 납 이온 선택성은 DPA 유닛과 인접한 PCDA-Acid 모이어티의 카르복실산 카르보닐기와 납 이온의 상호작용때문일 수 있다. 납 이온의 부가는 PDA 고분자의 백본을 방해할 수 있어 중합 동안 생성된 알킬 사이드 체인 상에 부과된 변형 에너지의 방출을 유발한다. 사이드 체인의 변형 에너지의 방출은 잘 배열된 p-오비탈의 부분 뒤틀림을 유발하여 광학적 특징들에서의 관찰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액에서 납 이온을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PDA 기반 화학 센서 시스템은 형광 증가뿐만 아니라 파란색의 붉은색으로의 선택적 비색 변화를 나타내어 납 이온의 존재를 육안으로 쉽게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92597818-pat00011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1는 탄소수 6 내지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4. 구조 내에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화학식 2]
    Figure 112012092597818-pat00012


    상기 식에서,
    R1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R1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6. 제4항에 있어서,
    R1는 탄소수 6 내지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7.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2092597818-pat00013


    [화학식 3]
    Figure 112012092597818-pat00014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COOH 를 나타내고,
    X는 -CONH(CH2)CH2- 를 나타낸다.
  8. 제7항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6 내지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3의 화합물은 1:7내지 1: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의 제조방법.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센서.
  12.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pH 6 내지 8의 완충용액을 더 포함하는 납 이온 검출용 조성물.
  14.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사용하여 납 이온을 검출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납 이온의 검출은 육안으로 비색 변화를 관찰하거나, 형광 강도 증가를 측정하는 것인 납 이온을 검출하는 방법.
KR1020110017229A 2011-02-25 2011-02-25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KR10125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29A KR101252506B1 (ko) 2011-02-25 2011-02-25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29A KR101252506B1 (ko) 2011-02-25 2011-02-25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94A KR20120097794A (ko) 2012-09-05
KR101252506B1 true KR101252506B1 (ko) 2013-04-09

Family

ID=4710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29A KR101252506B1 (ko) 2011-02-25 2011-02-25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7012B2 (en) 2015-01-14 2019-10-2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fabricating columnar or lamellar structures of organic molecules aligned into large-area single doma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533A1 (en) * 2014-05-02 2015-11-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and kit for detecting lead in a solid sample
WO2019230543A1 (ja) * 2018-05-31 2019-12-05 長瀬産業株式会社 ジピコリルアミン構造を有する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抗微生物剤および抗菌方法
KR102237165B1 (ko) 2018-12-06 2021-04-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실리카-폴리다이아세틸렌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납 이온 비색 검출기
KR102622187B1 (ko) * 2021-10-15 2024-0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독성 이온 검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0770A1 (en) 2004-12-30 2006-07-20 Anthony Hayford Method for the synthesis of 3-substituted indolizine and benzoindolizine compounds
KR20100123552A (ko) * 2009-05-15 2010-11-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이온 계면활성제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0770A1 (en) 2004-12-30 2006-07-20 Anthony Hayford Method for the synthesis of 3-substituted indolizine and benzoindolizine compounds
KR20100123552A (ko) * 2009-05-15 2010-11-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이온 계면활성제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7012B2 (en) 2015-01-14 2019-10-2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fabricating columnar or lamellar structures of organic molecules aligned into large-area single dom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94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dar et al. BODIPY-derived polymeric chemosensor appended with thiosemicarbazone units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and separation of Hg (II) ions in pure aqueous media
Li et al. New lanthanide ternary complex system in electrospun nanofibers: Assembly,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sensor application
Fang et al. An AIE active probe for specific sensing of Hg2+ based on linear conjugated bis-Schiff base
Gong et al. A phenylselenium-substituted BODIPY fluorescent turn-off probe for fluorescence imaging of hydrogen sulfide in living cells
Zhang et al. A highly selective colorimetric and ratiometric two-photon fluorescent probe for fluoride ion detection
Jeon et al. Conjugated polydiacetylenes bearing quaternary ammonium groups as a dual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sensor for ATP
Shao et al. Copper ion-selective fluorescent sensor based on the inner filter effect using a spiropyran derivative
Bao et al. A fluorescent conjugated polymer for trace detection of diamines and biogenic polyamines
KR101252506B1 (ko) 납 이온 선택성을 갖는 폴리아세틸렌 초분자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납 이온 검출방법
Gao et al. A self-assembled fluorescent organic nanoprobe and its application for sulfite detection in food samples and living systems
Zheng et al. A novel rhodamine-based thiacalix [4] arene fluorescent sensor for Fe 3+ and Cr 3+
Farhi et al. A quinoline-based fluorescent probe for selective detection and real-time monitoring of copper ions–a differential colorimetric approach
Karuk Elmas et al. Coumarin Based Highly Selective “off-on-off” Type Novel Fluorescent Sensor for Cu 2+ and S 2− in Aqueous Solution
Jiang et al. Reactive fluorescence turn-on probes for fluoride ions in purely aqueous media fabricated from functionalized responsive block copolymers
Raj et al. A new class of pyrene based multifunctional chemosensors for differential sensing of metals in different media: Selective recognition of Zn2+ in organic and Fe3+ in aqueous medium
Liu et al. Two novel CN turn on fluorescent imaging materials with twin binding groups
Gao et al. Thioacetal modified phenanthroimidazole as fluorescence probe for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Hg2+ in aqueous solution assisted by surfactant
Wu et al. A highly selective visible light excitable boron dipyrromethene probe for cysteine over homocysteine and glutathione based on a Michael addition reaction
Crucho et al. Silica nanoparticles with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for live cell imaging
Chen et al. A new salamo-based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turn-on sensor with aggregation-induced emission for the rapid and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cyanide in real samples
Zhang et al. Polydiacetylene functionalized with charged termini for device-free colorimetric detection of malathion
Xie et al. A pyrenyl-appended C3v-symmetric hexahomotrioxacalix [3] arene for selective fluorescence sensing of iodide
Ozmen et al. An easy way to prepare reusable rhodamine-based chemosensor for selective detection of Cu2+ and Hg2+ ions
Chen et al. Polydiacetylene-based colorimetric and fluorometric sensors for lead ion recognition
Hu et al.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turn-on fluorescent chemodosimeter for Hg2+ based on thiorhodamine 6G-amide and its applications for biological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