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607B1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1607B1 KR101251607B1 KR1020100094912A KR20100094912A KR101251607B1 KR 101251607 B1 KR101251607 B1 KR 101251607B1 KR 1020100094912 A KR1020100094912 A KR 1020100094912A KR 20100094912 A KR20100094912 A KR 20100094912A KR 101251607 B1 KR101251607 B1 KR 101251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ypsum
- desulfurized gypsum
- green algae
- red
- red t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은, 특별한 유해성이 없는 탈황석고를 사용하기 때문에 녹조 및 적조의 제거 시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2차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효율이 우수한 입자분포 특성을 갖춘 탈황석고를 사용하여 소량의 살포로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황석고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녹조 및 적조생물에의 흡착이 용이하여 다량의 녹조 및 적조생물 개체를 흡착하여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탈황석고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녹조 및 적조생물에의 흡착이 용이하여 다량의 녹조 및 적조생물 개체를 흡착하여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조는 발생수역에 따라 내만 국지성 적조, 연안성 적조, 및 외양성 적조로 나뉘며,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육상으로부터 질소와 인이 포함된 영양염류가 수환경에 다량 유입되는 것이 가장 큰 발생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적조의 대부분은 식물 플랑크톤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원인생물로는 홍색유황세균이나 원생동물, 남조, 은편모조, 와편모조, 참편모조, 착편모조, 황금색조, 규조와 유글레나조, 담녹조, 녹조류의 10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조류가 알려져 있다. 특히 Gymnodinium mikimotoi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sp. 등과 같은 해양생물을 직접 폐사시키는 독성종에 의한 피해는 심각한 정도이다. 적조로 인하여 해상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양식 어류의 대량폐사 등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해수 색깔의 변화로 인해 심미적인 측면에서 혐오감을 유발하여 관광산업의 피해도 나타난다. 또한, 호소에서는 녹조에 의한 용존산소 결핍 등으로 어패류의 서식에 심각한 영향을 주며,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정수과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음용 시 역한 맛을 띠게 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력발전소의 회처리장과 같은 폐쇄성 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한 경우 회처리장 내에 서식하는 어류의 대량폐사와 부패에 의한 악취, 해수색 변화로 인한 불쾌감으로 인해 민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적조방제 방법으로는, 적조생물의 포식자와 천적 미생물을 이용하거나 적조생물을 치사 시키는 생리활성물질 이용 등의 생물학적 방법과, 황산동, 수산화마그네슘, 과산화수소수 등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적조생물을 파괴 또는 치사 시키는 이화학적인 방법이 있으며, 황토 살포, 초음파 및 오존처리, 가압 부상분리장치를 사용하여 적조생물을 회수하는 물리적인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천적생물에 의한 방법은 포식자가 선택적으로 적조생물을 포식하지 못하는 저효율의 문제로 현장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천적 미생물의 배양과 활성물질 생산에 많은 비용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학약품에 의한 방법은 약품 사용으로 수질환경오염과 해양생물에 2차적인 피해를 유발하거나 대량생산과 처리과정에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경제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물리적인 방법은 오존 사용의 경우 2차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지만, 오존발생기의 규모가 크고 전력소모량이 매우 크며 선박에 별도 설치해야 하는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황토는 구하기가 쉽고 입자 사이의 빈 공간이 해수 중 현탁물질을 흡착하여 침강하는 특성이 있어 1996년부터 적조방제 방법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과다살포 및 비효율적 살포방식, 황토의 채취와 운반, 관리상 막대한 인력소요 등의 경제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황토 입자크기가 50㎛이하에서 가장 제거효율이 높고 자연황토의 경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50㎛ 이하 입자는 16 내지 29% 밖에 존재하지 않아 황토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적조 제거효율이 낮아져 분쇄경비 및 포장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탈황석고를 사용하여, 소량의 살포로도 효과적으로 녹조 및 적조생물을 제거하며 생태계에 미치는 2차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녹조 및 적조의 제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있어서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는 이수석고 상태이고, 상기 탈황석고의 입자크기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은 상기 탈황석고를 해수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는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의 탈황석고는, 실온 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를 200℃ 이하에서 5시간 이상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은 상기 탈황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혼합저장조(14); 상기 혼합저장조(14) 외부에 위치한 해수펌프(11); 상기 혼합저장조(14)와 상기 해수펌프(11)를 연결하며 상기 해수펌프(11)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14)로 해수를 공급해 주는 해수공급관(10); 상기 혼합저장조(14)의 하층부에 위치한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12); 상기 혼합저장조(14)의 하층부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된 구조의 퇴적된 탈황석고를 배출하는 배출구(13); 상기 혼합저장조(14)의 상층부에 위치한 수중펌프(15); 및 상기 수중펌프(15)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14) 외부의 분사노즐(17)을 연결하는 분사호스(16);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노즐(17)은 원형분사구(18) 및 이의 주위에 배치된 타원형 분사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혼합저장조(20); 상기 혼합저장조(20)의 하층부에 위치하는 방제물질 공급관로(21); 상기 방제물질 공급관로(21)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송풍관로(31); 상기 방제물질 공급관로(21) 상에 위치하는 방제물질의 분사량을 조절해 주는 분사량 조절밸브(22); 상기 송풍관로(31)의 일측면에 설치된 송풍기(30); 및 상기 송풍관로(31)의 타측면에 설치된 분사노즐(3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은, 특별한 유해성이 없는 탈황석고를 사용하기 때문에 녹조 및 적조의 제거 시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2차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효율이 우수한 입자분포 특성을 갖춘 탈황석고를 사용하여 소량의 살포로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황석고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녹조 및 적조생물에의 흡착이 용이하여 다량의 녹조 및 적조생물 개체를 흡착하여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온 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 좌측) 및 이수석고를 200℃에서 건조한 탈황석고(반수 또는 무수석고, 우측) 입자의 외관 사진이다.
도 2는, 탈황석고 입자를 확대(X 150) 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이수석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분사노즐(17) 및 이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탈황석고 입자를 확대(X 150) 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이수석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분사노즐(17) 및 이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있어서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탈황석고는 배연탈황 공정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석고를 사용할 수 있다. 국내 석탄 및 중유발전소에서 운영되고 있는 배연탈황 공정 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탈황석고는 연간 약 120만톤 정도이며, 급속한 수화 응결성이 있어 짧은 시간 내에 탈형, 운반,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다른 재료와 혼합하여 복합재료로 이용이 가능한 장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근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탈황석고는 특별한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어 사업장 일반폐기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탈황석고의 화학적 성분에 대한 ICP와 XRF 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나듯이, SO3가 42.2%로 가장 많고 CaO 성분이 31.6%이며, 이밖에 SiO2, Al2O3, Fe2O3 등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pH는 약 6.5 내지 6.8이며, 용출실험 결과에서도 토양의 화학성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살포 후 생태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탈황석고의 토양오염 공정 시험법에 의한 용출시험 결과는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Cr, Hg, As는 검출되지 않고 나머지도 기준치보다 현저히 낮아 환경적인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분 | pH | Al2O3 | Fe2O3 | SiO2 | CaO | SO3 | MgO | CO2 | SO2 | C.W |
탈황석고 | 6.5 | 0.34 | 0.80 | 1.49 | 31.6 | 42.2 | 0.59 | 1.97 | 0.02 | 20.99 |
(C.W : Combined Water) (단위: %)
구분 | Cr | Cu | Cd | Pb | Hg | As |
탈황석고 | ND | 0.56 | 0.19 | 1.53 | ND | ND |
기준치 | 4 | 50 | 1.5 | 100 | 4 | 6 |
(ND : Not Detected (불검출)) (단위 : mg/kg)
또한, 탈황석고를 첨가한 후 pH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결과 증류수에서 초기 6.18에서 3시간 이후 7.65, 해수는 초기 7.79에서 7.98, 호소담수는 초기 9.03에서 7.86으로 그 이후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수서생물의 생존이 가능한 pH 범위는 7.00 내지 9.00 인 점을 감안하면 탈황석고 살포로 인한 pH 변화가 서식생물의 정상 성장을 방해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탈황석고 입자의 모양은 판상의 기둥형 모양으로 둥근 각을 가지고 있으며 결정구조는 CaSO4·2H2O의 구조이다. 도 2는 탈황석고 입자의 확대사진(×150)으로, 판상의 기둥형 형태가 대부분이며 둥근 입자가 소량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탈황석고 입자의 비중은 약 2.58이고 크기는 대체적으로 80㎛ 이하의 입자가 90%, 30㎛ 이하 입자가 50% 정도이며, 최대 300㎛를 초과하지 않는 매우 미세한 입도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고 체류시간이 길어 녹조 및 적조생물의 흡착이 용이하고 다량의 녹조 및 적조생물 개체를 흡착하여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탈황석고는 실온 상태에서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이수석고의 상태로 존재하나, 이를 건조하는 경우 수분이 제거되어 반수 또는 무수석고로 존재하게 된다. 도 1은, 실온 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 좌측) 및 이수석고를 200℃에서 건조한 탈황석고(반수 또는 무수석고, 우측) 입자의 외관 사진이다. 도 1의 좌측에서 볼 수 있듯이 실온 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황토색의 빛깔을 보이며, 우측에서 볼 수 있듯이 200℃에서 건조한 탈황석고(반수 및 무수석고)는 수분이 많이 제거되어 흰색의 외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는 이수석고 상태이고, 상기 탈황석고의 입자크기는 10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은 상기 이수석고를 해수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수석고를 해수에 희석한 후 50㎛ 이하의 입자가 분포하는 상등액만을 분사하는 경우 입자의 부유시간 증가를 통해 녹조 및 적조생물의 제거율을 높이고 분사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혼합저장조(14); 상기 혼합저장조(14) 외부에 위치한 해수펌프(11); 상기 혼합저장조(14)와 상기 해수펌프(11)를 연결하며 상기 해수펌프(11)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14)로 해수를 공급해 주는 해수공급관(10); 상기 혼합저장조(14)의 하층부에 위치한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12); 상기 혼합저장조(14)의 하층부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된 구조의 퇴적된 탈황석고를 배출하는 배출구(13); 상기 혼합저장조(14)의 상층부에 위치한 수중펌프(15); 및 상기 수중펌프(15)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14) 외부의 분사노즐(17)을 연결하는 분사호스(16);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황석고(이수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도 3은, 상기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이수석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해수펌프(11)를 가동하여 해수공급관(10)을 통해 해수를 혼합저장조(14)로 공급하고, 공급된 해수에 탈황석고를 투입하여 혼합저장조(14) 바닥에 있는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12)를 구동시켜 탈황석고 입자가 해수에 고루 확산되도록 한다. 이때 탈황석고의 대부분이 50㎛ 이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가 작고 침강속도가 낮아서 혼합저장조의 상층부에 주로 위치한 미세입자를 흡입하여 녹조 및 적조생물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탈황석고의 분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혼합저장조(14)의 상층부에 수중펌프(15)가 설치된다. 상기 수중펌프(15)를 가동하여 분사호스(16) 끝에 연결한 분사노즐(17)을 통해 탈황석고를 해수에 희석한 방제물질을 녹조 및 적조수역에 살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혼합저장조(14) 바닥 바깥 면에는 입자가 커서 퇴적된 탈황석고를 배출할 수 있는 상기 혼합저장조(14)의 하층부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된 구조의 퇴적된 탈황석고를 배출하는 배출구(1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해수펌프(11), 수중펌프(15), 및 분쇄 및 혼합회전날개(12)에는 녹조 및 적조방제 시 사용되는 선박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해수와 탈황석고의 혼합 시 작업이 용이하고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게 혼합저장조(14)의 높이는 1.5m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분사노즐(17)은 원형분사구(18) 및 이의 주위에 배치된 타원형 분사구(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분사노즐(17) 및 이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분사압력과 분사각을 증가시켜 녹조 및 적조수역에 탈황석고가 포함된 해수가 넓은 수역에 고루 살포될 수 있도록 원형 분사구(18)와 얇은 타원형의 분사구(19)로 구성된 분사노즐(17)의 형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는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의 경우 해수에 희석하지 않고 녹조 및 적조수역에 직접 살포하여 녹조 및 적조생물의 흡착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탈황석고는 건조과정에서 입자크기가 급격히 작아져 표면적이 증가하고 해수표면에 살포시 입자 내 흡수과정에 의한 녹조 및 적조생물의 흡착율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의 탈황석고는, 실온 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를 200℃ 이하에서 5시간 이상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탈황석고의 원형인 이수석고(CaSO4·2H2O)는 건조 시 급격하게 중량이 감소되는데, 이는 1차 탈수에 의해 반수석고(CaSO4·2H2O → CaSO4·1/2H2O)로 변하고, 2차 탈수에 의해 III형 무수석고(CaSO4·1/2H2O → III-CaSO4)로 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은 상기 탈황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1:1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파쇄 황토와 탈황석고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사하게 되면 해수면에서의 침강속도를 약간 증가시켜 수심 1m 이하에 분포하는 녹조 및 적조생물의 제거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상술한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포함한 방제물질의 분사장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저장조(20); 상기 혼합저장조(20)의 하층부에 위치하는 방제물질 공급관로(21); 상기 방제물질 공급관로(21)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송풍관로(31); 상기 방제물질 공급관로(21) 상에 위치하는 방제물질의 분사량을 조절해 주는 분사량 조절밸브(22); 상기 송풍관로(31)의 일측면에 설치된 송풍기(30); 및 상기 송풍관로(31)의 타측면에 설치된 분사노즐(3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가 제공된다.
우선, 혼합저장조(20)에 방제물질로써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를 투입하면 경사진 방제물질 공급관로(21)를 통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게 되며, 분사량 조절밸브(22)를 조작하여 적정 살포량으로 조절한 다음, 송풍기(30)를 구동하여 분사노즐(32)을 통해 방제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송풍관로(31)는 충분한 길이와 유연성을 확보하여 녹조 및 적조수역에 적정하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건조파쇄 황토와 탈황석고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분사하면 해수면에서의 침강속도를 약간 증가시켜 수심 1m 이하에 분포하는 녹조 및 적조생물의 제거속도를 높일 수 있다. 혼합저장조(20)와 송풍기(30)는 각각 방제물질 공급관로(21)와 송풍관로(31) 사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미사용 시는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의한 녹조 제거율 측정
녹조생물로써 호소에 서식하는 녹조류인 Staurastrum sp.를 선정하였다. 실험용기로는 지름 15cm, 높이 60cm의 투명유리 용기를 사용하였으며, Staurastrum sp. 에 의해 녹조가 진행된 호소수를 채취하여 서식하는 Staurastrum sp. 의 개체수를 광학현미경을 통해 계수하여 정량화한 결과, 초기 세포수는 약 5,740 cells/ml 였다. 상기 녹조가 진행된 호소수에 5g/ℓ농도로 실온상태의 탈황석고(이수석고)를 살포 한 후, 10분, 30분, 및 1시간 후에 20cm 깊이에서 10ml의 시료를 채취하여 Staurastrum sp. 개체수를 계수하여 계산하였다.
그 후, [(초기 개체수-시간별 개체수)÷초기개체수×100]으로 녹조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 | 10분 후 | 30분 후 | 1시간 후 | |
개체수(개체/ml) | 5,740 | 1,580 | 820 | 560 |
제거율(%) | - | 72.5 | 85.7 | 90.2 |
표 3의 수치에서 볼 수 있듯이, 탈황석고를 살포한 후 1시간 내에 72.5 내지 90.2%의 녹조를 제거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실험에 이용된 Staurastrum sp. 보다 큰 해양 적조생물에 대하여는 제거효과가 더 우수할 것이라고 예상이 가능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해수공급관
11 : 해수펌프
12 :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
13 : 배출구
14 : 혼합저장조
15 : 수중펌프
16 : 분사호스
17 : 분사노즐
18 : 원형 분사구
19 : 타원형 분사구
20 : 혼합저장조
21 : 방제물질 공급관로
22 : 분사량 조절밸브
30 : 송풍기
31 : 송풍관로
32 : 분사노즐
11 : 해수펌프
12 :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
13 : 배출구
14 : 혼합저장조
15 : 수중펌프
16 : 분사호스
17 : 분사노즐
18 : 원형 분사구
19 : 타원형 분사구
20 : 혼합저장조
21 : 방제물질 공급관로
22 : 분사량 조절밸브
30 : 송풍기
31 : 송풍관로
32 : 분사노즐
Claims (9)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200℃ 이하에서 5시간 이상 건조하여 제조한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의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
- 반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상태의 탈황석고 및 건조파쇄 황토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방제물질을 투입하여 녹조 및 적조 생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
- 삭제
- 혼합저장조;
상기 혼합저장조 외부에 위치한 해수펌프;
상기 혼합저장조와 상기 해수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해수펌프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로 해수를 공급해 주는 해수공급관;
상기 혼합저장조의 하층부에 위치한 분쇄 및 혼합 회전날개;
상기 혼합저장조의 하층부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된 구조의 퇴적된 탈황석고를 배출하는 배출구;
상기 혼합저장조의 상층부에 위치한 수중펌프; 및
상기 수중펌프로부터 상기 혼합저장조 외부의 원형분사구 및 이의 주위에 배치된 타원형 분사구를 포함하는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분사호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에 사용되는 탈황석고 분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912A KR101251607B1 (ko) | 2010-09-30 | 2010-09-30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912A KR101251607B1 (ko) | 2010-09-30 | 2010-09-30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3412A KR20120033412A (ko) | 2012-04-09 |
KR101251607B1 true KR101251607B1 (ko) | 2013-04-08 |
Family
ID=4613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4912A KR101251607B1 (ko) | 2010-09-30 | 2010-09-30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160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45241A (zh) * | 2016-07-12 | 2016-11-23 | 山东胜伟园林科技有限公司 | 一种海滨水质改良剂的制备工艺与应用 |
CN106167278A (zh) * | 2016-07-15 | 2016-11-30 | 山东胜伟园林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硬度苦咸水水质缓冲剂及其制备工艺 |
KR101890804B1 (ko) | 2016-12-06 | 2018-10-01 | 금양개발주식회사 | 적조 퇴치효과를 극대화 시킨 혼합조성물 |
KR101890801B1 (ko) | 2016-12-07 | 2018-10-01 | 금양개발 주식회사 | 녹조제거용 혼합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4977A (ko) * | 1998-06-05 | 1998-10-07 | 황철호 | 소성미세분말 황토의 공중살포에 의한 적조방제 방법 및 장치 |
KR100304060B1 (ko) * | 1998-11-04 | 2001-11-22 | 배평암 | 적조방제를위한황토분쇄및살포방법및그장치 |
JP2007022963A (ja) * | 2005-07-19 | 2007-02-01 | Arashi Hidaka | 赤潮駆除剤及び赤潮駆除方法 |
KR100781945B1 (ko) * | 2006-09-06 | 2007-12-04 | 백효정 | 적조방제용 휴대형 황토살포기 |
-
2010
- 2010-09-30 KR KR1020100094912A patent/KR1012516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4977A (ko) * | 1998-06-05 | 1998-10-07 | 황철호 | 소성미세분말 황토의 공중살포에 의한 적조방제 방법 및 장치 |
KR100304060B1 (ko) * | 1998-11-04 | 2001-11-22 | 배평암 | 적조방제를위한황토분쇄및살포방법및그장치 |
JP2007022963A (ja) * | 2005-07-19 | 2007-02-01 | Arashi Hidaka | 赤潮駆除剤及び赤潮駆除方法 |
KR100781945B1 (ko) * | 2006-09-06 | 2007-12-04 | 백효정 | 적조방제용 휴대형 황토살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3412A (ko) | 2012-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63628B2 (en) | Water ozonation and bioremedi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461617B1 (ko) | 자성부유세라믹을 이용한 수질정화 및 녹조방지장치 | |
KR101251607B1 (ko) | 탈황석고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
KR20170087798A (ko) | 패각을 이용한 저질 개선제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각을 이용한 저질 개선제 | |
EP1646587A1 (en) | A process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green algae in aqueous systems | |
KR100756282B1 (ko) | 복합처리방식을 이용한 조류의 생장억제 방법 및 장치 | |
KR100819460B1 (ko) | 녹조 또는 적조 제거용 황토-카폭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02146A (ko) | 수산양식장 수질정화를 위한 발포성 조성물 | |
CN111689586B (zh) | 一种河道淤泥处理系统以及水质净化器制备方法 | |
CN102745762A (zh) | 一种蓝藻的防治方法 | |
KR20150144448A (ko) | 녹조 또는 적조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047518B2 (ja) | 水質改善方法及びその装置 | |
CN101333020B (zh) | 治理富营养化湖泊藻华的方法及磁沉机浮床 | |
Lenzi | Resuspension of sediment as a method for managing shallow eutrophic lagoons | |
CN108623087B (zh) | 一种不良水体和深水养殖治理的工艺 | |
CN207468397U (zh) | 生态滤床净化处理装置 | |
US1064760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 |
CN210030281U (zh) | 一种光降解处理水产养殖污水中抗生素的系统 | |
KR101539444B1 (ko) |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제와 이를 이용한 녹조 및 적조 제거방법 | |
CN202449954U (zh) | 生态循环过滤生物岛 | |
KR101890801B1 (ko) | 녹조제거용 혼합조성물 | |
KR101088860B1 (ko) | 수면 표층의 이물질 흡입장치 | |
CN218262111U (zh) | 一种改善湿地或库塘水质的靶向湿立方 | |
KR101237762B1 (ko) | 수질향상 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 |
CN110835163A (zh) | 一种组合式生态浮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