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591B1 -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591B1
KR101251591B1 KR1020100092496A KR20100092496A KR101251591B1 KR 101251591 B1 KR101251591 B1 KR 101251591B1 KR 1020100092496 A KR1020100092496 A KR 1020100092496A KR 20100092496 A KR20100092496 A KR 20100092496A KR 101251591 B1 KR101251591 B1 KR 101251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alloon
circumferential surface
holde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890A (ko
Inventor
김창욱
장홍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0/00649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34403A2/ko
Priority to US13/496,853 priority patent/US8968170B2/en
Publication of KR2011003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A61N5/1016Gynaecological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95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inflatabl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궁 근접 치료를 할 때 벌룬(풍선)을 이용하여 질 내부를 치료계획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각기 일정하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주입기구의 정확한 위치 재현이 가능하고,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정확한 방사선량을 부여할 수 있는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Intra-Cacitary Radiotherapy apparatus and system having respectively expanding balloon}
본 발명은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궁 근접 치료를 할 때 볼룬(풍선)을 이용하여 질 내부를 치료계획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각기 일정하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주입기구의 정확한 위치 재현이 가능하고,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정확한 방사선량을 부여할 수 있는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자궁 내부에 발생한 질병 예컨대, 자궁암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자궁에 근접 치료를 시행하여 자궁의 질병 부위에 방사선을 주입하게 된다. 방사선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선원 이동 장치를 사용한다. 선원 이동 장치는 선원(방사선 소스)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텐덤(TENDOM)과 오보이드(OVOI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선원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를 할 때 우선 스페큘럼(SPECULUM)을 이용하여 질을 확장한다. 이렇게 질을 확장한 상태에서 텐덤이라는 자궁내 삽입기구를 시술자가 직접 눈으로 보면서 자궁 내부로 삽입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스페큘럼을 질로부터 제거한 후 오보이드라는 질내 삽입기구를 질 내부로 밀어 넣는데, 이때 시술자는 오보이드가 삽입되는 정도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시술자의 직감으로 질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부분까지 밀어 넣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보이드를 질 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스페큘럼을 제거하는 것은 오보이드의 크기로 인하여 스페큘럼이 걸려서 삽입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삽입한 텐덤과 오보이드 즉, 선원 이동 장치를 고정시켜 주고 질과 자궁의 근처에 있는 방광과 직장과 같은 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직접 거즈를 질 내부로 삽입하여 패킹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텐덤과 오보이드 주위로 거즈를 이용하여 패킹하게 되는데, 거즈의 양이나 두께, 삽입 정도 그리고 삽입 방향 등을 매 치료시마다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이 어렵다. 거즈에 의해 패킹되는 선원 이동 장치의 위치가 매 치료시마다 변경되면 정확한 시술을 하기 어렵다.
둘째, 선원 이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3개를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보다 다양하고 선택적인 선량 분포를 얻기 어렵다.
셋째, 일반적으로 방사선은 선원으로부터 방사될 때 동일 중심으로부터 주위로 일정하게 방사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종양의 위치가 어느 한 방향에 치우쳐 있거나 종양 형태가 불규칙한 경우 상술한 종래의 장치로는 종양측으로만 방사되지 않고 주위의 정상 장기까지 방사되어 오히려 정상 장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상 장기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방사선이 특정 종양측으로만 방사되게 할 수 있는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 치료시마다 선원 이동 장치를 요구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선량 분포를 얻을 수 있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량 측정이 가능한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튜브가 내장되되 선원 이동 장치가 내부에 투입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삽입방향 선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되,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팽창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형 프론트 벌룬을 포함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벌룬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팽창하는 미들 벌룬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프론트 벌룬은 상기 선단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벌룬은 실린더의 두께방향 혹은 삽입방향 혹은 상기 두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를 다수의 분할 슬리브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 슬리브에 분리형 프론트 벌룬을 각각 장착하되, 상기 분리형 프론트 벌룬은 본체의 두께방향 혹은 전방 혹은 상기 두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할 슬리브는 상기 실린더와 힌지 결합하되, 상기 분할 슬리브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반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상에 음각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에 선원 이동 장치를 장착한 후 상기 선원 이동 장치 주위로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재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에 의해 자궁 근접 치료를 할 때 질 내부를 원하는 방향에, 각기 원하는 정도로 일정하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소스를 이동하는 선원이동기구의 정확한 위치 재현이 가능하고, 치료계획에서 결정된 정확한 방사선량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 근접 치료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궁 근접 치료용 보조 장치가 자궁 내에 위치한 상태의 개념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 근접 치료용 보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조사 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구가 자궁 내에 위치한 상태의 개념도이며, 도 3과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1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에 장착되는 프론트 벌룬(120)을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 실린더(110)는 다수의 에어튜브(140)가 내장되되 선원 이동 장치(O, T)가 그 내부에 투입된다.(도 2 참조)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상기 실린더(110)의 삽입방향(방향 I, 도 1, 도 2 참조)의 선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되, 상기 에어튜브(140)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팽창된다.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외부에 설치된 주입 수단(200)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주입 수단(200)은 에어튜브(140)를 통해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는 부분으로서, 공압 시스템(210) 또는 유압 시스템(22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상호 분리된 형태로 다수 장착되되 상기 에어 튜브(140)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개별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선단부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총 4개의 프론트 벌룬(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상기 에어 튜브(140)에 각각 연결되거나 좌우 및 상하 한 쌍의 프론트 벌룬이 하나의 에어 튜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벌룬(120) 및 에어 튜브(14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개의 에어 튜브(140)를 형성하여 4개의 프론트 벌룬(120)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고 후술하는 미들 벌룬(130)에도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선단부(110a)는 내측(실린더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프론트 벌룬(120)은 상기 선단부(110a)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실린더(110)의 두께방향(방향 II) 혹은 삽입방향(방향 I) 혹은 상기 두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하도록 하여 결국 (방향 III)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벌룬(120)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11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에어튜브(140)와 연결되어 팽창하는 미들 벌룬(13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들 벌룬(130)은 질의 입구 쪽에서 확장되어, 본 발명의 조사용 기구(100)가 질 외부로 밀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질의 입구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벌룬(120) 및 미들 벌룬(130)은 외부의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거나 배출시킴으로써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팽창성이 우수한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사용 기구(100)의 작동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조사용 기구(100)를 질 내부로 삽입하면, 프론트 벌룬(120)은 질의 종단에 위치되고, 분리형인 상기 프론트 벌룬(120)이 각각 확장되면서 정상 장기(B, R)를 밀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B는 방광을, R은 직장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프론트 벌룬(120)은 실린더(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비되며, 복수의 에어튜브(140)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프론트 벌룬(120)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갖도록 팽창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각 프론트 벌룬(120)의 확장의 정도를 달리하여 원하는 형태로 질 내부를 확장시켜 조사용 기구(100)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원 이동 장치 주위로 거즈를 패킹하기 때문에 거즈의 삽입양이나 각도 등의 변화가 발생하여 추후 시술시 기존에 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다. 즉, 본 발명은 프론트 벌룬(120)에 주입되는 공기나 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으므로 추후 시술시 그 만큼의 양만을 주입하면 선원 이동 장치(O, T)를 최초 시술된 위치에 배치하여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 확장을 위한 공기 주입 정도는 게이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확장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여 확장 정도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거즈 패킹으로 인해 치료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텐덤(T, 도 2 참조) 또는 오보이드(O, 도 2 참조)의 기하학적 에러를 최소화하고, 경우에 따라서 거즈 패킹을 생략할 수 있으므 치료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론트 벌룬(120)을 독립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정상 장기(B, R, 도 2 참조)가 특정 방향(예: 상하)으로 멀어지게 하여 정상 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량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방향(예: 좌우)은 환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확장시킴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너무 밀면 질 내부 정상 조직이 좁아지고 이 조직에 불필요한 방사선량이 조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우방향도 약간 넓혀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벌룬(120)과 에어튜브(140)는 일대일로 대응시켜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를 충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벌룬(12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110)의 중심선에 대하여 각각 대칭인 4개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실린더(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더(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3, 도 4 참조)
이와 같은 홀더(160)에 상기 텐덤(T, 도 2 참조)이나 오보이드(O, 도 2 참조)를 장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160)의 형상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10)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반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도록 홀더(160: 이하 '돌출형 홀더'라 칭한다.)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10) 내주면상에 음각되도록 홀더(170: 이하 '음각형 홀더'라 칭한다.)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돌출형 또는 음각형 홀더(160, 170)를 다수 형성하여 추가적인 선원 이동 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형 이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3개 즉, 한 쌍의 오보이드(O, 도 2 참조)와 1개의 텐덤(T, 도 2 참조)을 사용하여 다양하고 선택적인 선량 분포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다수의 홀더(160, 170)에 추가적인 오보이드를 설치하거나 다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보다 다양하고 선택적인 선량 분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각형 홀더(170)가 형성된 경우 상기 홀더(170)에 선원 이동 장치를 장착한 후 상기 선원 이동 장치 주위로 차폐재(18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재(180)에 의해 방사선이 특정 방향으로만 조사되도록 하여 정상 장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차폐재(180)는 실린더(110)에 삽입되는 반원형(181) 또는 1/4원형(182)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재(180)의 재질은 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폐재(180)의 형상은 사용되는 선원 이동 장치의 개수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차폐재(180)의 재질 역시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열 형광소자(TLD: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등을 상기 실린더(110) 또는 프론트 벌룬(120)에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들어가는 실제 방사선량을 실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컴퓨터 계획상의 선량 값과 절대선량을 측정 비교하여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다. 상기 열 형광소자는 방사선이 조사될 때 방사선을 함유하고 있다가 열을 가하면 방사선량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 형광소자를 통해 원하는 위치의 실제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차후의 치료 시에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110)의 선단부(110a)를 다수의 분할 슬리브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 슬리브에 상기 프론트 벌룬(120)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를 4개로 형성한 후 상기 각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에 4개의 프론트 벌룬(120)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와 프론트 벌룬(120)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벌룬(120)이 실린더(110)의 두께방향(방향 II, 도 2 참조) 혹은 삽입방향(방향 I, 도 2 참조) 혹은 상기 두 방향으로 동시에 팽창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의 선단부(110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단부(110a)가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110)의 외측으로 변형된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궁의 직경은 질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프론트 벌룬(120)의 팽창만으로 주위 장기를 밀어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를 실린더(110)의 삽입방향(방향 IV)으로 밀어 실린더(110) 외측 방향(방향 V)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프론트 벌룬(120)을 팽창시켜 주위 장기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가 방향 V로 회전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가 실린더(110)와 힌지(Z) 결합하여 방향 V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의 선단부(110a) 역시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동일하다. 한편 상기 힌지(Z)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도 8에서는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도 8에서는 푸싱 로드(D)를 방향 IV로 밀어 상기 분할 슬리브(111, 112, 113, 114)가 실린더(110) 외측방향 즉, 방향 V로 회전할 수 있음이 도시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조사용 기구(100)를 이용하여 자궁 강 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100)를 질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프론트 벌룬을 각각 팽창시켜 선원 이동 장치를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한 후 시술하되, 상기 프론트 벌룬을 팽창하는 데 소요된 유량을 체크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프론트 벌룬은 개별적으로 팽창 가능하므로 주위 장기를 적절한 거리만큼 밀어내어서 선원 이동 장치를 요구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주위 장기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장기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x선 촬영을 하여 상기 장기의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10)에 의해 프론트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량 정보를 획득한 후 다음 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20)는 최초 시술 후 추가 시술시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100)를 질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체크된 유량을 상기 프론트 벌룬에 주입하여 선원 이동 장치를 최초 시술시의 위치에 배치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시술한다.
즉, 본 방법(S100)에 의해 최초 프론트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량 정보를 확보하여 추후 시술시 상기 유량 정보에 따라 프론트 벌룬을 팽창시키면 최초 시술시의 시술 조건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최초 시술 후 소정의 유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추후 시술시 상기 획득한 최초 시술의 조건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선원 이동 장치를 거즈를 이용하여 패킹할 때의 문제점(거즈의 투입량이나 각도 등이 매번 시술마다 변화하여 시술을 거듭함에 따라 최초 시술시의 위치와 달라지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와 조사방법(S200)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조사 방법(S200)은 상기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100)를 질 내부로 삽입한 후 프론트 벌룬을 각각 팽창시키되, 질병 부위측의 벌룬은 다른 벌룬보다 작게 팽창시켜 선원 이동 장치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이 질병 부위측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S200)에 의해 질병 부위와 선원 이동 장치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상기 질병 부위측으로 집중적인 방사선 조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위의 정상 장기측의 벌룬은 상대적으로 크게 팽창되므로 선원 이동 장치와 정상 장기와의 거리가 멀어져서, 정상 장기측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실린더 120 : 프론트 벌룬
130 : 미들 벌룬 140 : 에어 튜브
160 : 홀더 200 : 주입 수단

Claims (23)

  1. 다수개의 에어튜브가 내장되되 선원 이동 장치가 내부에 투입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삽입방향 선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되,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프론트 벌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벌룬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팽창하는 미들 벌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프론트 벌룬은 상기 선단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벌룬은 실린더의 두께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동시에 팽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벌룬은 서로 다른 부피를 갖도록 팽창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벌룬과 에어튜브는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또는 프론트 벌룬에 구비되어,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열 형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반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상에 음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선원 이동 장치를 장착한 후 상기 선원 이동 장치 주위로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를 다수개의 분할 슬리브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 슬리브에 프론트 벌룬을 각각 장착하되,
    상기 프론트 벌룬은 실린더의 두께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동시에 팽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슬리브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되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변형된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슬리브는 상기 실린더와 힌지 결합하되, 상기 분할 슬리브의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4. 다수개의 에어튜브가 내장되되 선원 이동 장치가 내부에 투입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삽입방향 선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되,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프론트 벌룬과;
    상기 프론트 벌룬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팽창하는 미들 벌룬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반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실린더 내주면상에 음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선원 이동 장치를 장착한 후 상기 선원 이동 장치 주위로 차폐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또는 프론트 벌룬에 구비되어,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열 형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19. 삭제
  20. 질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투입되는 선원 이동 장치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선원 이동 장치가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내주면에 상기 선원이동장치 주위로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 강내 조사용 기구.
  21. 삭제
  22. 다수개의 에어튜브가 내장되되 선원 이동 장치가 내부에 투입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삽입방향 선단부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되, 상기 에어튜브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프론트 벌룬과;
    상기 프론트 벌룬의 팽창을 위해 공기 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팽창 방식의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시스템.
KR1020100092496A 2009-09-21 2010-09-20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KR10125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490 WO2011034403A2 (ko) 2009-09-21 2010-09-20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US13/496,853 US8968170B2 (en) 2009-09-21 2010-09-20 Intrauterine radi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an individually inflating ball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9277 2009-09-21
KR1020090089277 2009-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90A KR20110031890A (ko) 2011-03-29
KR101251591B1 true KR101251591B1 (ko) 2013-04-08

Family

ID=4393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496A KR101251591B1 (ko) 2009-09-21 2010-09-20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68170B2 (ko)
KR (1) KR101251591B1 (ko)
WO (1) WO201103440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1388A1 (ko) * 2015-04-20 2016-10-27 국립암센터 체내 방사선량 측정기구
KR20200134086A (ko) * 2019-05-21 2020-12-0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벌룬의 확장이 가능한 배액용 카테터
WO2023014173A1 (ko) * 2021-08-05 2023-02-09 서울대학교병원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946A2 (en) * 2011-03-16 2012-09-20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Multi-segmented inflatable brachytherap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149653B2 (en) * 2013-03-06 2015-10-06 Mark A. D'Andrea Brachytherapy device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GB2522240A (en) * 2014-01-19 2015-07-22 Dosevue Nv Minimally invasive applicator for in-situ radiation dosimetry
CN104189993B (zh) * 2014-08-14 2016-08-31 广州医科大学附属肿瘤医院 一种放疗计划设计模拟和三维剂量分布测试装置
US10086213B2 (en) 2015-04-23 2018-10-02 Mark A. D'Andrea Mobile gynecological balloon devices and methods
CN109465221A (zh) * 2018-09-12 2019-03-15 阜阳市佳康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妇科的医疗器械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569484A (zh) * 2020-12-09 2021-03-30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直肠腔内可调整多分隔气囊多通道后装施源器
WO2023230293A1 (en) * 2022-05-26 2023-11-30 Cornell University Brachytherap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9A (ja) * 1993-05-12 1996-11-26 ボード・オヴ・リージェンツ,ザ・ユニヴァーシティ・オヴ・テキサス・システム レーザー誘導蛍光を利用した形成異常の診断
JPH11164838A (ja) 1997-12-02 1999-06-22 Yoshihiko Endo 分娩促進バルーン
JP2003325685A (ja) 2002-03-06 2003-11-18 Minoru Uematsu 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バルーン型スペーサー及び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アプリケーター
US20090099515A1 (en) 2007-10-11 2009-04-16 Utah Medical Products, Inc. Trans-cervical catheter having a conical-shaped ballo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856A (en) * 1971-06-09 1975-03-25 Ralph S Clayton Apparatus for treating the walls and floor of the pelvic cavity with radiation
JPS6047859B2 (ja) * 1979-08-21 1985-10-24 不二ラテツクス株式会社 子宮体癌治療用腔内照射装置
US5653683A (en) * 1995-02-28 1997-08-05 D'andrea; Mark A. Intracavitary catheter for use in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KR100613244B1 (ko) * 2004-01-13 2006-08-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선량률 근접치료계획 정확성평가를 위한 팬텀 및 상기팬텀을 갖는 팬텀장치
US7439524B2 (en) * 2004-09-02 2008-10-21 Abraham Katzir Thermoluminescence measurements and dosimetry with temperature control of the thermoluminescence element
US20090018383A1 (en) * 2006-11-03 2009-01-15 North American Scientific, Inc. Expandable brachytherapy device with expandable cage having a controlled diameter
US20100010287A1 (en) * 2008-07-09 2010-01-14 Senorx, Inc. Brachytherapy device with one or more toroidal ballo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9A (ja) * 1993-05-12 1996-11-26 ボード・オヴ・リージェンツ,ザ・ユニヴァーシティ・オヴ・テキサス・システム レーザー誘導蛍光を利用した形成異常の診断
JPH11164838A (ja) 1997-12-02 1999-06-22 Yoshihiko Endo 分娩促進バルーン
JP2003325685A (ja) 2002-03-06 2003-11-18 Minoru Uematsu 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バルーン型スペーサー及び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アプリケーター
US20090099515A1 (en) 2007-10-11 2009-04-16 Utah Medical Products, Inc. Trans-cervical catheter having a conical-shaped ballo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1388A1 (ko) * 2015-04-20 2016-10-27 국립암센터 체내 방사선량 측정기구
KR20200134086A (ko) * 2019-05-21 2020-12-0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벌룬의 확장이 가능한 배액용 카테터
KR102222395B1 (ko) * 2019-05-21 2021-03-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벌룬의 확장이 가능한 배액용 카테터
WO2023014173A1 (ko) * 2021-08-05 2023-02-09 서울대학교병원 질 삽입형 약제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68170B2 (en) 2015-03-03
KR20110031890A (ko) 2011-03-29
US20120215053A1 (en) 2012-08-23
WO2011034403A3 (ko) 2011-09-01
WO2011034403A2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591B1 (ko) 개별적으로 확장되는 벌룬을 구비하는 자궁 강 내 조사용 기구 및 시스템
CN1929891B (zh) 用于放射治疗的组织定位系统和方法
US8961383B2 (en) Intracavitary radiation system
JP4077603B2 (ja) 医療装置
US75342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dose rate radiation intracavitary brachytherapy
US5748699A (en) Apparatus for applying X-rays to an interior surface of a body cavity
US5913813A (en) Double-wall balloon catheter for treatment of proliferative tissue
EP2533847B1 (en) Brachytherapy applicator
US20100145132A1 (en) Dual Gynecological Balloon Packing System
US8348825B2 (en) Expanding multi-lumen applicator operating within a balloon
US7744521B2 (en) Customized gynecological brachytherapy applicator and method
WO1997012540A9 (en) Improved apparatus for applying x-rays to an interior surface of a body cavity
EP1618924A1 (en) Device for radiation treatment of proliferative tissue surrounding a cavity in an animal body
US10086213B2 (en) Mobile gynecological balloon devices and methods
US7771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distance from a brachytherapy radiation source to sensitive anatomical structures
US9498644B2 (en) Apparatus for brachytherapy
JP2003325685A (ja) 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バルーン型スペーサー及び子宮頚癌腔内放射線照射用アプリケーター
EP1695740B1 (en) Gynaecological instrument
US201501906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Displacement in Brachytherapy
CN104623794B (zh) 放射治疗的腔内施源保护器
WO2020091714A1 (en) Vaginal intensity modulated brachytherapy (imbt) applicator
US20180085598A1 (en) Brachytherapy Applicator
TWM462608U (zh) 放射線劑量計之載具
WO2017059143A1 (en) Brachytherapy applicator
KR20010037727A (ko) 자궁 근접 치료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