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578B1 -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578B1
KR101251578B1 KR1020100113919A KR20100113919A KR101251578B1 KR 101251578 B1 KR101251578 B1 KR 101251578B1 KR 1020100113919 A KR1020100113919 A KR 1020100113919A KR 20100113919 A KR20100113919 A KR 20100113919A KR 101251578 B1 KR101251578 B1 KR 101251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input
input unit
pair
movemen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659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0011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5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클릭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OPTICAL INPUT DEVICE USING SIDE DIRECTIONAL LIGHT SOURCE}
본 발명은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과학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컴퓨터 디바이스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었다. 상기 디바이스들 중 한 그룹은 포인팅 디바이스라고 불리운다. 사용자가 이러한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조작함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의 이동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포인터 이미지의 움직임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포인팅 디바이스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는 그 포인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란 메뉴, 버튼, 이미지 등 선택되었을 때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그 후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선택 동작을 통하여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특정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컴퓨터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윈도우(Windows), Android, Apple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DOS(Disk Operating System) 체제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편리한 마우스 기능 및 다양한 그래픽 기능에 기인하는데, 사용자들은 윈도우를 통해 특정 명령을 입력할 시, 일일이 입력자판으로 입력하지 않고도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의 드래그나 스크롤, 클릭 등을 통해 간편하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근래에는 스마트폰, PDA, 넷북, E-Book, 노트북, Tablet 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소형 전자제품이 각광을 받으면서, 입력장치의 하나인 마우스를 소형화하여 탑재하는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커서의 이동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마우스에 해당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이를 위한 광학입력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사용상의 편리성과 휴대성을 더하기 위해 컴퓨터의 외부에 연결된 마우스를 대체하기 위해 컴퓨터에 키보드 일체형으로 터치패드 및 포인팅 스틱이 내장된 일체형 타입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경우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휴대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터치패드 및 포인팅 스틱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패드와 포인팅스틱은 포인터 이동에 의한 위치설정만이 가능하고 추가적인 실행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명령버튼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어 소형화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포인팅을 위한 부분과 버튼 클릭을 위한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명령을 위해서는 손가락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입력행위의 연속성과 신속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력자판과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고 휴대하기 편리한 광학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부분과 버튼 부분이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신속한 버튼 클릭이 가능한 광학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광학 입력부에서의 지정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등의 특수명령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클릭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은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각각 손가락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위치하는 손가락 중 하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손가락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양손가락을 동시에 각각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매치되는 특정한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소형화된 마우스를 사용하여 입력자판과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부분과 버튼 부분이 일체화되도록 구비되어 신속한 버튼 클릭이 가능하다.
또한, 광학 입력부에서의 지정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등의 특수명령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가 구비된 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의 조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가 구비된 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의 다양한 입력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가 구비된 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클릭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는 입력자판의 키패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별도의 공간을 요하지 않는다.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는 저면에 배치되며 그 일측에 광을 감지하는 광학센서를 가지는 회로기판과,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대물면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반사된 빛을 광학센서에서 감지하여 영상정보 처리부 등으로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광학센서는 빛을 받으면 일정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한 전기 신호는 회로기판의 회로배선을 따라 영상정보 처리부로 이동된다. 영상정보 처리부에서는 포착된 프레임을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물체(손가락 지문 등)의 변위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했는지를 판단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상의 픽셀 단위에 맞게 변환하여 객체 예를 들어 포인터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한 쌍의 광학 입력부(11, 12) 각각은 빛을 감지하는 광학센서를 가지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광원조립체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난반사되어 잘못된 영상정보가 입력되지 않도록 난반사된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대물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보함하되, 상기 점광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출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설정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판, 대물면에 반사된 광을 광학센서로 가이드 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모두 입력자판의 내부에 실장되고, 사용자의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대물면은 입력자판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제1 광학 입력부의 대물면에 위치시키고 원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대물면에 밀착된 손가락 표면(지문)의 영상정보를 광학센서로 전달하고, 전달된 영상정보 처리부에서 매 프레임 당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연산하여 이에 맞게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제1 광학 입력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1, 12)를 포함하는데, 제1 광학 입력부(10)가 입력자판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광학 입력부(10)를 통해서 사용자가 정해진 움직임을 입력할 때 제1 광학 입력부(10)가 하나만 존재할 경우 의도하지 않게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등을 감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즉, 입력자판의 키를 입력하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손가락이 제1 광학 입력부(10)의 상부를 지나갈 경우 이를 영상 정보로 감지하여 잘못된 명령이 수행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광학 입력부(1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1, 12)에 동시에 일정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만 이를 인식 및 분석하여 매치되는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학 입력부(10)는 반드시 한 쌍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그 이상의 복수의 광학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제2 광학 입력부(20)도 입력자판의 키패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제2 광학 입력부(20)도 별도의 공간을 요하지 않는다.
제2 광학 입력부(20)의 구성은 제1 광학 입력부(11, 12)와 동일하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제2 광학 입력부(20)는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므로, 사용자가 포인터를 화면 전체 영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물면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야 하는 반면, 제1 광학 입력부(10)는 클릭 기능 또는 정해진 움직임 만을 감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제2 광학 입력부(20)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부는 2개 또는 3개의 광학 입력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이 클릭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키보드의 키와 조합되어 특수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광학 입력부 및 제2 광학 입력부(10, 20)는 모두 개별적으로 클릭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클릭에 의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학 입력부(11, 12) 각각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 및 오른쪽 버튼과 대응된다. 즉, 제2 광학 입력부(20)로 원하는 오브젝트 상에 포인터를 위치한 후 왼쪽의 제1 광학 입력부(11)를 클릭하면 해당 오브젝트의 왼쪽 클릭 이벤트에 대응되는 명령이 실행되며, 오른쪽의 제1 광학 입력부(12)를 클릭하면 해당 오브젝트의 오른쪽 클릭 이벤트에 대응되는 명령이 실행된다.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는 제2 광학 입력부(20)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광학 입력부(20)로부터 좌우측의 제1 광학 입력부(11, 12) 간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학 입력부(20)는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광학 입력부(20)도 광학센서를 가지는 회로기판 및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그 외 제1 광학 입력부(10)를 이루는 나머지 구성요소를 모두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제1 광학 입력부(10)는 상기 클릭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가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정해진 움직임을 수행하면 이에 대응되는 특정한 명령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의 조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광학 입력부(20)는 종래의 포인팅 스틱 또는 터치 패드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2 광학 입력부(20)에 예를 들어 손가락을 올려 놓고 손가락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화면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광학 입력부(10)는 마우스의 왼쪽 및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클릭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제1 광학 입력부(10)의 표면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2 광학 입력부(20)와 동일하게 대물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광학 입력부(10)는 한 쌍(11, 12)으로 구성되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1, 12)에 손가락을 두고 동시에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특정한 명령에는 스크롤, 줌인, 줌아웃, 회전 및 페이지 좌우 넘김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가 구비된 입력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입력자판 상에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가 제1 광학 입력부(20) 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가 제1 광학 입력부(2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의 나머지 구성은 이전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는 입력자판과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부분과 버튼 부분이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신속한 버튼 클릭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광학 입력부에서의 지정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등의 특수명령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의 다양한 입력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은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각각 손가락을 위치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위치하는 손가락 중 하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손가락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양손가락을 동시에 각각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S20)와, 상기 입력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매치되는 특정한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S30)와, 상기 검색된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2 광학 입력부(20)를 통해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방법이나, 제1 광학 입력부(10)를 클릭하는 방법은 종래의 마우스 장치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1 광학 입력부(10) 위에서 정해진 움직임을 수행하여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 손가락을 위치시킨다(S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광학 입력부(10)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이상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때는 2개의 손가락을 각각 하나씩 제1 광학 입력부(10) 위에 위치시킨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어떠한 손가락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 후, 양손가락 중 하나의 손가락 또는 양손가락 모두를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킨다(S20). 양손가락을 모두 이동시킬 때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한 손가락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 단위로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이를 분석하여 손가락이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과 매치되는 특정한 명령이 있는지를 검색한다(S30).
검색 결과, 매치되는 특정 명령이 존재하면 이를 수행하고, 매치되는 특정 명령이 존재하지 않으면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S40).
이어서,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명령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손가락 도면 중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이동 전의 손가락 위치를 의미하고,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이동 후의 손가락 위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적절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할 때,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동시에 아래로 이동시키면 스크롤다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입력자판 상의 페이지 다운(Page Down) 버튼과 동일하며, 휠마우스에서의 휠을 아래로 내린 것과 기능상 동일하다. 스크롤다운의 효과 즉 화면을 얼마만큼 아래로 이동시키는지에 대한 이동량은 양손가락을 아래로 얼마만큼 이동시켰는지에 대응되며, 스크롤다운의 속도는 양손가락을 아래로 얼마나 빨리 이동시켰는지에 대응된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동시에 위로 이동시키면 스크롤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스크롤업의 이동량 및 속도는 스크롤다운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화면의 좌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화면의 좌우 스크롤 바를 클릭 및 드래그 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좌우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할 때,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좌우측으로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면 화면을 확대시키는 줌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입력자판 상에서 컨트롤키(Ctrl)와 플러스(+)키를 함께 누른 경우와 동일하거나, 휠마우스에서 휠을 위로 올린 경우와 동일하거나, 입력자판 상에서 컨트롤키(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휠마우스의 휠을 위로 올린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줌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 또는 휠을 조작할 필요가 없이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을 좌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좌우측으로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시키면 화면을 축소시키는 줌아웃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할 때,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양손가락을 위아래로 서로 멀어지게 이동시키면 화면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를 보다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화면을 시계방향으로 예를 들어 90° 만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위쪽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화면을 반시계방향으로 예를 들어 -90° 만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명령 수행은 시계방향으로 화면을 회전시키는 동작이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할 때,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은 고정시키고 나머지 한 손가락을 위아래로 이동시키면 앞선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화면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도 8에 비해 보다 직관적인 방법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화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회전축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 만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 광학 입력부(10) 중 오른쪽 제1 광학 입력부(11)에 위치하는 손가락은 회전축이 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왼쪽 제1 광학 입력부(12)에 위치하는 손가락 만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화면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오른쪽 또는 왼쪽 손가락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할 때,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10) 상에서 양손가락으로 광학 입력부를 탭한 상태에서 한 손가락은 고정시키고 나머지 한 손가락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플릭(Flick)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선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왼쪽 손가락 또는 오른쪽 손가락 중 하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손가락을 좌우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플릭 동작은 좌우로 빠르게 1~3회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명령취소 또는 동작모드변경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수행되는 특정 명령 왼쪽 광학 입력부(21) 오른쪽 광학 입력부(22)
상향 스크롤
하향 스크롤
좌향 스크롤
우향 스크롤
줌인
줌아웃
시계방향 회전 고정
고정
반시계방향 회전 고정
고정
명령 취소
(동작 모드 변경)
고정
고정
즉, 상기 표 1에서 화살표 방향은 손가락의 진행 방향과 동일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왼쪽 광학 입력부(11)와 오른쪽 광학 입력부(12)에서의 동작은 서로 동시에 수행될 경우에만 특정 명령 또는 기능이 수행된다. 고정은 광학 입력부(10)를 탭한 상태에서 그대로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에 의해 광학 입력부에서 지정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등의 특수명령을 손쉽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명령 입력 방법이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이므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제1 광학 입력부
20: 제2 광학 입력부

Claims (12)

  1.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클릭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광학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입력부와 다른 키패스 사이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광학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는 상기 제2 광학 입력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광학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입력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광학 입력부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입력부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광학 입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입력부는 클릭 가능하게 형성되는 광학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명령은 스크롤, 줌인, 줌아웃 및 회전 명령을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입력부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광학 입력 장치.
  9. 입력자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어 동시에 정해진 움직임이 감지되면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며,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각각 손가락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광학 입력부에 위치하는 손가락 중 하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손가락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양 손가락을 동시에 각각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움직임을 분석하여 매치되는 특정한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특정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손가락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손가락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입력하는 단계는 한 쌍의 손가락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입력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KR1020100113919A 2010-11-16 2010-11-16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KR10125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19A KR101251578B1 (ko) 2010-11-16 2010-11-16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19A KR101251578B1 (ko) 2010-11-16 2010-11-16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59A KR20120052659A (ko) 2012-05-24
KR101251578B1 true KR101251578B1 (ko) 2013-04-08

Family

ID=4626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919A KR101251578B1 (ko) 2010-11-16 2010-11-16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689A (ja) * 1997-04-25 1998-11-13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キーボード
KR20070120205A (ko) * 2006-06-18 2007-12-24 심상정 인체공학적인 포인팅장치
KR20080006493A (ko) * 2006-07-11 2008-01-16 박태운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KR20100100413A (ko) * 2009-03-06 2010-09-15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및 터치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689A (ja) * 1997-04-25 1998-11-13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キーボード
KR20070120205A (ko) * 2006-06-18 2007-12-24 심상정 인체공학적인 포인팅장치
KR20080006493A (ko) * 2006-07-11 2008-01-16 박태운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KR20100100413A (ko) * 2009-03-06 2010-09-15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및 터치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59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9490B2 (en) Assisting input from a keyboard
US8525776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device with a virtual touchscreen
US8446389B2 (en) Techniques for creating a virtual touchscreen
US7884807B2 (en)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indicating a display orientation change
US9703435B2 (e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20180067571A1 (en) Wide touchpad on a portable computer
US8432301B2 (en) Gesture-enabled keyboard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901091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auncher, activ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90315841A1 (en) Touchpad Module which is Capable of Interpreting Multi-Object Gestur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20262386A1 (en) Touch based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20160202778A1 (en) Keyboard and Touchpad Areas
US20140062875A1 (en) Mobile device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adjust stat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it, and including a hover sensing function
US20120131514A1 (en) Gesture Recognition
US9035882B2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140267029A1 (en) Method and system of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electronic device
KR20110039929A (ko) 멀티터치 방식 입력제어 시스템
US91223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102856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JP2019505024A (ja) タッチ感知面−ディスプレイによるジェスチャー制御式インタラクティブ方法及び装置
US20140152569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1608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US20100271300A1 (en) Multi-Touch Pad Control Method
KR101251578B1 (ko) 광학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US20140327618A1 (en) Computer input device
TWI522895B (zh) 介面操作方法與應用該方法之可攜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