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465B1 -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465B1
KR101251465B1 KR1020120002859A KR20120002859A KR101251465B1 KR 101251465 B1 KR101251465 B1 KR 101251465B1 KR 1020120002859 A KR1020120002859 A KR 1020120002859A KR 20120002859 A KR20120002859 A KR 20120002859A KR 101251465 B1 KR101251465 B1 KR 10125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ree line
free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현
오순영
곽상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2000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하고자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따른 제2 자유선을 출력한 후에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FREE FORM LINE INPUT REVIS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기초로 출력되는 자유선을 보정하는 기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다.
워드프로세서나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들은 전자 문서 내에 도형이나 그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자유선을 출력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입력을 수신하여 여러가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 그리기 프로그램이 등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유선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등 전문적인 입력 도구를 이용하지 않는 한,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자유선을 정확히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자유선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마우스 콘트롤의 한계로 인해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자유선을 정확히 입력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자유선 입력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자유선을 출력해 주는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자유선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정한 형태의 선으로 보정해 줄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하고자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따른 제2 자유선을 출력한 후에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자유선이 보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출력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출력한 경우,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하는 접점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하는 중간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하고자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따른 제2 자유선을 출력한 후에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가 자유선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가 자유선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출력부(111), 접점 생성부(112) 및 중간선 생성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데스크탑 PC, 모바일 단말, PDA,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예컨대, 출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마우스 입력에 따른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출력부(111)는 상기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유선의 출력 형태를 보고,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하고자 하여 상기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출력부(111)는 상기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부(111)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이 출력되면, 접점 생성부(112)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중간선 생성부(113)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한다.
이때, 출력부(111)는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11)는 상기 중간선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사용자가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하고자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따른 제2 자유선을 출력한 후에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자유선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선 생성부(113)는 샘플링부(114), 중점 생성부(115) 및 생성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링부(114)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한다.
중점 생성부(115)는 상기 제1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상기 제2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을 생성한다.
생성부(116)는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선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중간선 생성부(113)가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가 자유선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출력부(111)는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211)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자유선의 형태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출력부(111)는 도면부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212)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211)과 제2 자유선(212)이 출력되면, 접점 생성부(112)는 도면부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유선(211)과 제2 자유선(212) 간의 접점(213, 214)을 생성한다.
도면부호 220에서는 제1 자유선(211)과 제2 자유선(212) 간의 접점으로 접점 A(213)와 접점 B(214)가 생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접점 A(213)와 접점 B(214)의 생성이 완료되면, 샘플링부(114)는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A(213)와 접점 B(214)를 기초로 제1 자유선(211)과 제2 자유선(212)을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즉, 샘플링부(114)는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유선(211)에 대해 접점 A(213)로부터 접점 B(214)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211) 라인 AB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고, 제2 자유선(212)에 대해 접점 A(213)로부터 접점 B(214)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212) 라인 AB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유선(211)에 대한 샘플링과 관련하여 접점 A(213)로부터 접점 B(214)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211) 라인 AB뿐만 아니라, 접점 B(214)로부터 접점 A(213)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211) 라인 BA가 문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샘플링부(114)는 제1 자유선(211) 라인 AB와 제1 자유선(211) 라인 BA 중 접점 A(213)로부터 접점 B(214)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212) 라인 AB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을 기초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라인을 제1 자유선(211)에 대한 샘플링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도면부호 230의 예에서는 제1 자유선(211) 라인 AB와 제1 자유선(211) 라인 BA 중 제2 자유선(212) 라인 AB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을 기초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라인이 제1 자유선(211) 라인 AB이므로, 샘플링부(114)는 제1 자유선(211)에 대한 샘플링과 관련하여 제1 자유선(211) 라인 AB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샘플링부(114)를 통해 제1 자유선(211)과 제2 자유선(212)에 대한 샘플링이 완료되면, 중점 생성부(115)는 제1 자유선(211)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제2 자유선(212)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중점 생성부(115)는 도면부호 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유선(211) 라인 AB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제2 자유선(212) 라인 AB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생성부(116)는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제1 자유선(211) 라인 AB와 제2 자유선(212) 라인 AB에 대한 중간선(215)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중간선(215)의 생성이 완료되면, 출력부(111)는 생성된 중간선(215)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11)는 중간선(215)의 생성이 완료되면, 접점 A(213)와 접점 B(214)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 자유선(211) 라인 AB와 제2 자유선(212) 라인 AB을 삭제함과 동시에 중간선(215)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제1 자유선(211)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중간선 생성부(113)가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중간선 생성부(113)가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른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가 자유선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제1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출력부(111)는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311)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자유선의 형태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제2 궤적 입력을 인가하면, 출력부(111)는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312)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이 출력되면, 접점 생성부(112)는 도면부호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 간의 접점(313, 314, 315, 316)을 생성한다.
도면부호 310에서는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 간의 접점으로 접점 A(313), 접점 B(314), 접점 C(315) 및 접점 D(316)가 생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접점 A(313), 접점 B(314), 접점 C(315) 및 접점 D(316)의 생성이 완료되면, 샘플링부(114)는 접점 A(313), 접점 B(314), 접점 C(315) 및 접점 D(316)를 기초로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을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즉, 샘플링부(114)는 제1 자유선(311)에 대해 접점 A(313)로부터 접점 B(314)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311) 라인 AB, 접점 B(314)로부터 접점 C(315)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311) 라인 BC, 접점 C(315)로부터 접점 D(316)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311) 라인 CD 및 접점 D(316)로부터 접점 A(313)로 이어지는 제1 자유선(311) 라인 DA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부(114)는 제2 자유선(312)에 대해 접점 A(313)로부터 접점 B(314)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312) 라인 AB, 접점 B(314)로부터 접점 C(315)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312) 라인 BC, 접점 C(315)로부터 접점 D(316)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312) 라인 CD 및 접점 D(316)로부터 접점 A(313)로 이어지는 제2 자유선(312) 라인 DA를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할 수 있다.
샘플링부(114)를 통해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에 대한 샘플링이 완료되면, 중점 생성부(115)는 제1 자유선(311)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제2 자유선(312)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생성부(116)는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제1 자유선(311) 라인 AB와 제2 자유선(312) 라인 AB 사이의 중간선, 제1 자유선(311) 라인 BC와 제2 자유선(312) 라인 BC 사이의 중간선, 제1 자유선(311) 라인 CD와 제2 자유선(312) 라인 CD 사이의 중간선 및 제1 자유선(311) 라인 DA와 제2 자유선(312) 라인 DA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중간선의 생성이 완료되면, 출력부(111)는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11)는 상기 중간선의 생성이 완료되면, 접점(313, 314, 315, 316)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을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제1 자유선(311)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제1 자유선(311)과 제2 자유선(312)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중간선을 생성함으로써, 제1 자유선(311)을 보정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면부호 320에는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를 통해 자유선이 보정되는 다양한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도면부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유선과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중간선을 생성함으로써, 자유선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1 궤적 입력을 기초로 출력되는 제1 자유선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2 궤적 입력을 기초로 출력되는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자유선에 대한 보정을 완료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제3 궤적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3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3 자유선을 출력하고,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간의 새로운 중간선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기초로 생성된 중간선을 다시 한 번 보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중간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이후에 출력부(111)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3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3 자유선을 출력한 경우, 접점 생성부(112)는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선 생성부(113)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사이의 신규 중간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출력부(111)는 상기 생성된 신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는 사용자가 자유선을 연속 입력하면, 연속 입력된 두 자유선 간의 중간선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자유선을 보정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선이 생성된 이후에 연속으로 입력되는 새로운 자유선이 존재하면, 상기 새로운 자유선과 상기 중간선 사이의 신규 중간선을 다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속적인 자유선 보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단계(S420)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단계(S430)에서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한다.
단계(S440)에서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40)에서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선정된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상기 제2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50)에서는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50)에서는 상기 중간선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은 단계(S450)이후에 상기 중간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3 궤적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3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3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3 자유선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사이의 신규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111: 출력부 112: 접점 생성부
113: 중간선 생성부 114: 샘플링부
115: 중점 생성부 116: 생성부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출력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출력한 경우,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하는 접점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하는 중간선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선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제1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상기 제2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 생성하는 중점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중간선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생성부는
    상기 중간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이후 상기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3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3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3 자유선을 출력한 경우,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생성하고,
    상기 중간선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사이의 신규 중간선을 생성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생성된 신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5. 사용자로부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1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자유선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2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2 자유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 사이의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선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점들로 샘플링하는 단계;
    상기 제1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과 상기 제2 자유선에 대해 샘플링된 점들 각각에 대해, 각 대응 점들 간의 거리의 중점들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중점들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중간선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제1 자유선과 상기 제2 자유선을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선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유선 그리기와 연관된 제3 궤적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3 궤적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3 궤적 입력에 대응되는 제3 자유선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간의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신규 접점들을 기초로 상기 중간선과 상기 제3 자유선 사이의 신규 중간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규 중간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유선 입력 보정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002859A 2012-01-10 2012-01-10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25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9A KR101251465B1 (ko) 2012-01-10 2012-01-10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59A KR101251465B1 (ko) 2012-01-10 2012-01-10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465B1 true KR101251465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59A KR101251465B1 (ko) 2012-01-10 2012-01-10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4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454A (ko) * 2005-02-15 2007-11-26 유겐카이샤 케이아이티이 이메지 테크놀로지즈 수기 문자 인식 방법, 수기 문자 인식 시스템, 수기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2008108177A (ja) 2006-10-27 2008-05-08 Nobuhiko Ido 始点・終点・折れ点・制御点などの点をストロークの特徴点として表示を行なう手書き文字入力システム
KR20080068762A (ko) * 2006-02-17 2008-07-2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궤적정보처리장치, 궤적정보처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JP2011253406A (ja) 2010-06-03 2011-12-15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454A (ko) * 2005-02-15 2007-11-26 유겐카이샤 케이아이티이 이메지 테크놀로지즈 수기 문자 인식 방법, 수기 문자 인식 시스템, 수기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20080068762A (ko) * 2006-02-17 2008-07-2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궤적정보처리장치, 궤적정보처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JP2008108177A (ja) 2006-10-27 2008-05-08 Nobuhiko Ido 始点・終点・折れ点・制御点などの点をストロークの特徴点として表示を行なう手書き文字入力システム
JP2011253406A (ja) 2010-06-03 2011-12-15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6356B1 (en) Techniques for predictive input method editors
US9116871B2 (en) Ink to text representation conversion
US8595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put device audio feedback
US20140164900A1 (en) Appending content with annotation
US9733901B2 (en) Domain specific language design
US20160210274A1 (en) Document Publishing Model
CN103473003A (zh) 一种字符输入的纠错方法及其装置
KR101619192B1 (ko) 전산 기반 모델링의 수정 방법
JP2016531352A (ja) 入力システムをアップデートする方法、デバイス、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
KR101718070B1 (ko) 제스처 조합 기반의 이벤트 실행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0332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bugging a change-set
KR102013657B1 (ko) 연관된 다중 파일 정적 분석 장치
CN104699408A (zh) 触摸屏的操作方法、装置及触摸设备
KR101334154B1 (ko) 중국어 단어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70004859A1 (en) User created textbook
KR101419759B1 (ko) 언두 실행이 가능한 전자 문서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4076940A (zh) 一种辅助输入方法和设备
KR101251465B1 (ko) 자유선 입력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165975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손글씨 입력 방법
KR102361831B1 (ko)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문서의 편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04571917A (zh) 一种基于触摸屏的点读方法和系统
KR101214807B1 (ko) 스프레드시트 장치 및 스프레드시트 차트 연동 방법
Pollanen et al. A tablet-compatible web-interface for mathematical collaboration
KR101582155B1 (ko) 문자 수정이 용이한 문자 입력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102160249B1 (ko)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메모 페이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