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448B1 - 육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448B1
KR101251448B1 KR1020110068806A KR20110068806A KR101251448B1 KR 101251448 B1 KR101251448 B1 KR 101251448B1 KR 1020110068806 A KR1020110068806 A KR 1020110068806A KR 20110068806 A KR20110068806 A KR 20110068806A KR 101251448 B1 KR101251448 B1 KR 10125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eat
guide
rotary blad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207A (ko
Inventor
현진규
Original Assignee
(주)참푸드급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푸드급식센타 filed Critical (주)참푸드급식센타
Priority to KR102011006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4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칼날이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고속으로 회전되는 절단부가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칼날을 향해 육류를 밀어주는 가압구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고, 하단부는 절단부의 회전칼날과 운송롤러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상단부는 공급부의 상단에 되며, 내부에는 설치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바와; 측면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회전칼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푸시바와; 일측은 가이드바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바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바와, 일측은 고정바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은 푸시바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와, 고정바와 이동바의 체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푸시바를 가이드바의 상단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바;로 구성된 가압구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로 실현 가능하며, 작업자가 공급부와 절단부 사이에 구비된 가압구를 이용해 공급부와 절단부 사이에서 육류가 정지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밀어줄 수 있어 작업자는 회전칼날에 의해 상해를 당하는 위험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류 절단장치{MEAT COU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육류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시키는 육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칼날이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고속으로 회전되는 절단부가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칼날을 향해 육류를 밀어주는 가압구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가공업체나 대형 급식소의 조리장에서 사용되는 육류 절단장치는 덩어리 형태의 육류를 고속으로 회전되는 회전칼날을 사용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장치이다.
특히 얼리지 않은 육류를 일정한 두께로 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육류 절단장치의 경우에는 원형의 회전날이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는 얼지않은 육류는 유동성이 있어 전체를 동시에 자르지 않으면 사실상 균일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회전칼날을 사용해 동시에 균일한 두께로 절단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덩어리 형태의 얼지않은 육류를 균일한 두께로 절단시키는 육류 절단장치(1)는 일반적으로 공급부(10), 절단부(20), 배출부(30)로 구성된다. 공급부(10)는 밸트 형태의 컨베이어가 주로 사용되고, 절단부(20)는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21)에 다수 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칼날(21)과 회전칼날(21)의 하부에서 회전칼날(21)의 단부가 삽입되게 칼날홈(220)이 형성된 운송롤러(23)로 구성되며, 배출부(30)는 공급부(10)와 동일한 컨베이어가 사용되거나 경사판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육류 절단장치(1)가 사용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공급부(10)의 상부에 절단하고자 하는 육류를 올려놓는다. 공급부(10)에 올려진 육류는 컨베이어에 의해 절단부(20)로 이동되고, 절단부(20)에서는 회전칼날(21)이 고속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운송롤러(23)가 육류를 회전칼날(21) 방향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육류는 절단부(20)를 통과되면서 회전칼날(21)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로 일제히 절단된 뒤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육류 절단장치(1)는 통상 한 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다량의 육류를 균일한 두께로 신속하게 절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얼지않은 육류는 특성상 더러 회전칼날(21)에 의해 절단되어 배출부(30)로 배출되지 못하고 공급부(10)인 컨베이어의 단부와 절단부(20)인 회전칼날(21)의 사이에 머무르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육류의 종류와 육질 또는 회전칼날(21)의 마모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현상으로, 작업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으나, 기계적으로 이를 해결한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회전칼날(21)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 멈춰있는 육류가 발생되면 해당 육류를 회전칼날(21)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매우 위험한 것으로서, 잠시 방심하는 사이에 회전칼날(21)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회전칼날(21)은 각종 육류를 절단하기 위한 매우 예리한 도구로써, 회전칼날(21)이 작동되는 중에 신체가 접촉되면 접촉된 신체부위는 절단될 위험성도 매우 높아 작업자에게는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육류 절단장치(1)를 사용하는 상당수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자에게 회전칼날(21)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금속구가 구비된 안전장갑을 착용하는 것을 의무화하고는 있으나, 일부 작업자들은 안전장갑을 착용할 경우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이유로 안전장갑의 착용을 기피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곳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류 절단장치의 공급부에서 절단부로 이동되는 육류가 절단부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육류를 절단시키는 회전칼날로 육류를 밀어주는 가압구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육류를 손으로 직접 절단부로 밀어넣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히자여 회전칼날에 의해 작업자에게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육류 절단장치에 고정되되, 하단부는 절단부의 회전칼날과 운송롤러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상단부는 공급부의 상단에 되며, 내부에는 설치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바와;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회전칼날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푸시바와; 일측은 가이드바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바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바와, 일측은 상기 고정바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푸시바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와, 상기 고정바와 이동바의 체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푸시바를 가이드바의 상단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바;로 구성된 가압구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푸시바는 상기 회전칼날과 대면되는 면에 회전칼날이 삽입되는 칼날홈이 구비된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푸시바는 상기 회전칼날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절단장치는 작업자가 공급부와 절단부 사이에 구비된 가압구를 이용해 공급부와 절단부 사이에서 육류가 정지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육류를 절단부로 공급하기 위해 육류에 손을 대는 일이 없어지므로 회전칼날에 의해 상해를 당하는 위험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이면서 사용이 불편한 안전장갑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장갑을 구매하는데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작업자는 일반적인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므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육류 절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구가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압구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되시된 가압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설명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육류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절단장치(1)는 기본적으로 공급부(10), 절단부(20), 배출부(30)가 포함되고, 이에 더불어 가압구(50)가 추가로 포함된다.
상기에서 공급부(10), 절단부(20), 배출부(30)는 앞서 설명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내용들과 동일하므로 배경기술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상기 가압구(50)는 가이드바(100), 푸시바(200) 및 탄성바(300)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공급부(10)와 절단부(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100)는 육류 절단장치(1)에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고, 하부는 절단부(20)의 회전칼날(21)과 운송롤러(23)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되며 상부는 공급부(10)의 상단에 위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바(100)에는 설치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푸시바(200)는 상기 가이드바(10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푸시바(200)는 절단부(20)의 회전칼날(21)과 대각선 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탄성바(300)는 고정바(310), 이동바(320) 및 스프링(330)으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바(310)는 일측은 가이드바(100)에 회동가능하게 회전핀(351)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바(320)에 회전핀(3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동바(320)는 일측은 고정바(310)에 회전핀(3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푸시바(200)의 측면에 회전핀(35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스프링(330)은 상기 고정바(310)와 이동바(320)의 회동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고, 푸시바(200)를 가이드바(100)의 상단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불어 푸시바(200)는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에 회전칼날(21)의 단부가 일부 삽입되는 칼날홈(22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육류 절단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압구(50)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절단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종래와 같이 절단하고자 하는 덩어리 형태의 육류를 공급부(10)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이 공급부(10)에 올려진 육류는 공급부(10)인 컨베이어를 타고 절단부(20)로 공급되고 절단부(20)의 회전칼날(21)과 운송롤러(23)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절단된다.
이때, 공급부(10)와 절단부(20) 사이에서 절단되지 않고 머무르는 것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푸시바(200)를 회전칼날(21)을 향해 이동시키고, 절단부(20) 입구에 멈춰있거나 느리게 절단되는 육류를 푸시바(200)를 이용해 회전칼날(21)에 밀어준다. 이때, 푸시바(200)는 측면의 가이드롤러(210)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된다.
작업자는 회전칼날(21)에 의해 육류가 절단되는 것을 확인하면 푸시바(200)에서 손을 떼고 다시금 덩어리 형태의 육류를 공급부(10)에 올려놓는 작업과 절단부(20)에서 절단된 육류를 옮기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가 손을 뗀 푸시바(200)는 회전칼날(21)과 운송롤러(23)의 사이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최초에 있었던 가이드바(100)의 상단으로 이동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푸시바(200)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칼날(21)을 향해 이동될 때 가이드롤러(210)가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되므로 정해진 경로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 후 작업자가 손을 놓기만 하면, 푸시바(200)는 탄성바(300)에 의해 다시 가이드바(100)의 상단으로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탄성바(300)는 푸시바(200)가 하강되면 고정바(310)와 이동바(320)가 서로 좁아지면서 이동바(320)의 단부도 하강되는데, 이때, 고정바(310)와 이동바(320)의 회동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던 스프링(330)에는 압축력이 발생된다.
상기 스프링(330)에 발생된 압축력은 계속해서 고정바(310)와 이동바(32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스프링(330)은 작업자의 힘에 압축된 상태에서 억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푸시바(200)에서 놓는 순간 스프링(330)에 발생되었던 압축력은 고정바(310)와 이동바(320)가 펼쳐지도록 작용하고, 고정바(310)와 이동바(320)가 펼쳐지면 푸시바(200)는 이동바(320)를 따라 가이드바(100)의 상단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 푸시바(200)의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에 칼날홈(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육류를 회전칼날(21)에 의해 완전히 절단되는 순간까지 밀어줄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칼날홈(220)의 반대면 즉,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에 손잡이(230)가 구비되면, 작업자는 푸시바(200)를 사용하기에 더욱 용이하고, 손잡이(230)가 푸시바(200)와 작업자의 손을 이격시켜 사실상 회전칼날(21)과 작업자의 손이 상당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하므로 안전사고가 날 확률을 더욱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 육류 절단장치 10: 공급부
20: 절단부 21: 회전축
22: 회전칼날 23: 운송롤러
50: 가압구 100: 가이드바
110: 가이드홈 200: 푸시바
210: 가이드롤러 220: 칼날홈
230: 손잡이 300: 탄성바
310: 고정바 320: 이동바
330: 스프링 351,352,353: 회전핀

Claims (3)

  1. 공급부, 절단부가 구비되고, 절단부는 회전축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뒤 고속으로 회전되는 회전칼날과 회전칼날 방향으로 육류를 안내하는 운송롤러가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에 있어서,
    육류 절단장치(1)에 고정되되, 하단부는 절단부(20)의 회전칼날(21)과 운송롤러(23)의 접하는 부분에 위치되고 상단부는 공급부(10)의 상단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설치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0)이 형성된 가이드바(100)와;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0)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이드롤러(210)가 구비되고, 회전칼날(2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푸시바(200)와;
    일측은 가이드바(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바(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바(310)와, 일측은 상기 고정바(31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푸시바(20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바(320)와, 상기 고정바(310)와 이동바(320)의 체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푸시바(200)를 가이드바(100)의 상단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330)으로 구성된 탄성바(300);로 구성된 가압구(50)가 포함된 육류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200)는 상기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에 회전칼날(21)이 삽입되는 칼날홈(220)이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200)는 상기 회전칼날(21)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에 손잡이(230)가 구비된 육류 절단장치.
KR1020110068806A 2011-07-12 2011-07-12 육류 절단장치 KR10125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806A KR101251448B1 (ko) 2011-07-12 2011-07-12 육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806A KR101251448B1 (ko) 2011-07-12 2011-07-12 육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207A KR20130008207A (ko) 2013-01-22
KR101251448B1 true KR101251448B1 (ko) 2013-04-08

Family

ID=4783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806A KR101251448B1 (ko) 2011-07-12 2011-07-12 육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1B1 (ko) * 2020-01-21 2020-09-03 김경립 고기절단기
CN111531591B (zh) * 2020-02-06 2022-06-07 重庆金星股份有限公司 一种牛肉干切条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059U (ko) * 1994-10-01 1996-05-17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식품절단기의 식품보조압지장치
KR960013054U (ko) * 1994-10-21 1996-05-17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식품절단기의 식품압지구 고정장치
KR19980016726U (ko) * 1996-09-19 1998-06-25 김총원 냉장, 냉동 겸용 육절기
KR20090130479A (ko) * 2008-06-16 2009-12-2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고속 슬라이서에 있어서 절편 스테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059U (ko) * 1994-10-01 1996-05-17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식품절단기의 식품보조압지장치
KR960013054U (ko) * 1994-10-21 1996-05-17 한국후지공업 주식회사 식품절단기의 식품압지구 고정장치
KR19980016726U (ko) * 1996-09-19 1998-06-25 김총원 냉장, 냉동 겸용 육절기
KR20090130479A (ko) * 2008-06-16 2009-12-2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고속 슬라이서에 있어서 절편 스테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207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073B1 (ko) 원목 절단 장치
KR101572949B1 (ko) 레이저 가공용 지지 레일의 슬래그 제거장치
KR101298241B1 (ko) 생육과 냉동육을 절단하는 육류 절단장치
KR101251448B1 (ko) 육류 절단장치
KR20160144054A (ko) 육절기용 피가공육 고정장치
US20140175201A1 (en) Material Reducing Device
KR20150000412U (ko) 육류절단장치
KR101473098B1 (ko) 배추 절단기
KR20190020864A (ko) 도마 절단장치
KR20100033630A (ko) 고속절단기 안전장치
KR101040894B1 (ko) 목재 제재기 안전장치
KR102457326B1 (ko) 띠톱을 이용한 식품 절단기
US20090078099A1 (en) Bread slicer
KR101822956B1 (ko) 배추 절단장치
JP5221006B2 (ja) 食肉スライサ
CN215319037U (zh) 一种具有推料机构的面包切片机
CN203661914U (zh) 滑板进料式锯骨机
KR200347219Y1 (ko) 갈비 절단기
KR100977648B1 (ko) 식육 슬라이서
PL2125305T3 (pl) Krajarka dźwigniowa
IT202100007103A1 (it) Sistema di sicurezza perfezionato.
KR200484608Y1 (ko) 안전 작업판이 구비된 골절기
CA2697619C (en) Safety material feeding device
KR200217105Y1 (ko) 식품슬라이서의 절단칼 찌꺼기 제거장치
CA2786224A1 (en) Portable apparatus for cutting tiles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